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원고갈이 가격-품질 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세훈 ( Sehoon Park ),손용석 ( Yong Seok Sohn ),오유진 ( Youjin Oh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자아조절자원의 고갈 여부가 가격-품질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즉, 제품의 품질을 판단할 때 소비자들은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조건에서는 노력을 들이지 않고 직관적인 가격-품질 휴리스틱에 의존함으로써 가격의 영향력이 높지만,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조건에서는 노력을 들여서 제품속성 정보를 심사숙고하는 감시조정과정을 실시하므로 제품속성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소비자들은 제품의 품질을 판단할 때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비고갈)된 조건에서 가격(제품속성) 정보에 대한 의존이 더 클 것이다(가설 1). 본 연구에서는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해서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삼원분산분석 결과, 자원고갈 여부와 가격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이는 햄버거 제품의 품질 판단에 있어서 가격의 영향은 비고갈 조건보다 고갈 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자원고갈 여부와 제품속성 매력도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고, 이는 햄버거 제품의 품질 판단에 있어서 제품속성 매력도의 영향은 고갈조건보다 비고갈 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실험 1은 가설 1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실험 2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첫째, 실험 2는 자원고갈 여부가 가격-품질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 1이 채용한 판단 패러다임이 아닌 선택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재현하고자 했는데, 실험 2의 결과는 가설 1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실험 1이 보여준 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둘째, 실험 1의 결과에 대하여 자원고갈 여부의 조작이 해석수준의 변화를 야기하고 그 결과 품질 판단에서 가격과 제품속성의 상대적 영향의 변화가 일어났다는 주장을 제기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대안적 설명을 배제하기 위해서 실험 2는 실험 1과 달리 자원고갈 여부의 조작 후에 물어본 BIF 질문들에 대한 피험자들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석수준이 아닌 자원고갈 여부 자체가 품질 판단에서 가격과 제품속성의 상대적 영향의 변화를 야기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the price-quality relationship is influenced by self regulatory resource(depletion vs. no depletion): Consumers in depletion condition may not process product attributes information effortfully and thus rely more on the price-quality heuristic for making quality inferences, whereas those in no-depletion condition may process attributes information by more effortful processing called monitoring process and thus judge the product quality mainly based on attributes information. Accordingly, we predict the following: When inferencing the quality of the product, consumers would have greater reliance on price (product attributes) information in resource depletion (no-depletion) condition (hypothesis 1). In this research,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hypothesis 1. In experiment 1, a 2 × 2 × 2 ANOVA on judgments of the likely tastiness of the hamburger revealed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s with the resource-depletion manipulation. First, a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between price and resource depletion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price was stronger in the depletion than in the no-depletion condition. Secon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ttribute attractiveness and resource depletion confirmed that the attribute attractiveness of the hamburger had a greater impact on taste judgments in the no-depletion than in the depletion condition. In experiment 2,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selected the high-price, less attractive coffee-milk as being the tastier 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letion condition than in the no-depletion condition, supporting hypothesis 1.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nd develop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외부불경제 유발시설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과세 확대 방안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

        윤상호,서은혜 한국지방세연구원 2020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20 No.36

        □ 연구목적 ○ 지역자원시설세의 특정자원분과 특정부동산분은 외부경제와 외부불경제로 구분되는 정반대의 경제적 효과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외부효과의 내재화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목적을 실현 - 지역자원시설세와 관련된 최근 논의는 이장욱(2019), 임현(2008), 전지성(2019), 최병호(2019) 등이 존재하나 대부분이 외부불경제의 내부화라는 단순한 논리적 접근을 통해 분석을 수행 - 또한, 지역자원시설세와 관련된 해외사례 조사 연구의 경우에도 최철호(2011), 허등용(2018)과 같이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세부담금의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 - 지역자원시설세의 특정부동산분을 분석한 유태현(2013)이 외부경제 효과를 거론한 유일한 연구이나 여전히 외부불경제 효과의 경우 환경오염 문제(Taking-In Problem)만을 제시 - 외부효과의 내재화(Internalization of Externality)라는 동일한 목적하에 그 세부 목적을 환경오염, 자원고갈, 공공재 공급으로 구분해 지역자원시설세의 정체성 및 역할을 구체화 하는 시도가 필요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효과의 교정이라는 세부 세목 간의 동질적 목적 설정을 통한 지역자원시설세의 정체성 재확립과 해외사례의 검토를 통한 잠재적 과세대상의 발굴 - 또한, 지역자원시설세의 2021년 재분류·개편안에 따른 각각의 세부 세목이 설정하고 있는 목적으로 환경오염(Taking-In), 자원고갈(Taking-Out), 무임승차(Free-Riding)에 따른 문제의 해결로 제시 - 각각의 세부 세목이 추구하는 정확한 목적을 제시함에 따라 각각의 세부 세목별로 고려할 수 있는 잠재적 과세대상의 명시 및 해외사례의 발굴이 가능 - 지역자원시설세의 논리적 정체성 재정립과 과세대상의 후보군 제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시멘트 등을 포함해 지역자원시설세의 과세대상 확충방안을 추진하는 데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특히 이미 거론된 바와 같이 지역자원시설세에 대한 대다수 연구가 환경오염 측면의 외부 불경제의 내부화에 치중되어 있어 지역자원시설세의 향후 발전·논의를 위한 차별화된 기여가 가능 □ 연구내용 ○ 이질적인 목적을 실현하는 세부 세목 간의 화학·유기적 결합이 부재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가능하나 지역자원시설세의 본질적인 성격을 살펴보면 외부효과의 내부화를 위한 지역적 수단이라는 평가도 가능 - 지역자원시설세의 대명제를 외부효과의 내부화로 설정할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각각의 세부 세목이 추구하는 이질적인 목적의 동질화된 설정이 가능 - 우선 지역자원시설세의 대명제적 목적으로 설정하는 외부효과의 방향성에 따라 외부불경제 효과와 외부경제 효과로 구분이 가능 · 외부효과의 방향성이 부정적 혹은 긍정적이냐에 따라 비용과 효용 중 하나를 경제주체가 저평가 및 간과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이하게 표출 - 경제주체가 비용을 저평가해 표출되는 외부불경제 효과는 환경오염과 자원고갈이라는 두 개의 문제로 구분이 가능하나 현행 지역자원시설세의 경우 특정자원분이란 단일 세부 세목을 통해 해소를 시도 · 다만 2021년을 기점으로 특정자원분과 특정시설분으로 분리될 예정이며 위의 그림과 같이 각각의 문제를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분화된 접근이 가능 · 환경오염 문제의 해소를 위해서는 특정시설분, 자원고갈 문제의 해소를 위해서는 특정 자원분으로 구분·특정화된 각각의 지역적 수단·정책의 도입·적용이 가능 · 특히 지역적 특색에 따른 조세 제도의 운용이 가능한 임의성, 즉 지방자치 권한이 최대한 보장될 경우 자원고갈과 같은 공유지의 비극을 해소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모색이 가능 - 경제주체가 효용을 저평가해 표출되는 외부경제 효과는 재화가 과소공급되는 무임승차의 문제를 유발하며 현행 지역자원시설세의 경우 특정부동산분으로 해소를 시도 · 2021년을 기점으로 소방분으로 개칭되며 소방시설을 제외한 타 공공시설의 공급을 위한 재원 조달 기능이 축소될 예정 · 오물처리시설, 수리시설 등과 같은 공공시설을 위한 재원 조달 수단으로 실제로 운용되었던 사례는 부재하나 지역적 수단의 기능적 축소는 2021년에 예정된 개편의 가장 아쉬운 측면 · 조세법률주의에 따라 2021년 이후 지역적 요구에 따른 공공시설의 공급을 위한 재원 조달 수단으로 지역자원시설세를 활용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효과 - 2021년에 예정되어 있는 분류체계의 세분화(특정자원분+특정부동산분→특정자원분+특정시설분+소방분)는 각각의 세부 세목을 통해 달성하려는 목적을 명시화한다는 평가가 가능 - 이러한 세부 목적의 명시화는 향후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하고자 하는 조세 정책의 목적성에 근거해 적용이 가능·적합한 세부 세목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 즉, 위의 <그림>과 같이 외부성에 대처하기 위한 지방세목으로 지역자원시설세를 활용하고 외부성의 방향 및 문제의 세부적 성격에 따라 특정시설분, 특정자원분, 소방분으로 구분해 적용·응용 ○ 미국의 주별 지역자원세가 부과되는 주요 과세대상 및 과세방식을 종합하면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가 가능 - 위의 표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미국의 지역자원세는 주별로 매우 상이하게 설정된 과세 대상 및 과세방식을 적용해 운용 중 · 지역자원시설세 특정자원분의 과세대상인 수자원 또한 고갈 문제로 인해 조세를 포함한 여러 정책이 미국에서도 적용·도입 중이나 대부분 (특히 지하수의 경우) 카운티나 시 정부가 관할 · 수자원을 과세대상으로 설정하는 경우 카운티나 시별로 너무나 다양한 형태의 세제가 운용되고 있어 본 연구의 조사 대상에서 제외 - 특히 대다수의 주에서 과세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는 석유, 천연가스, 광물 등의 경우 주별로 차등화된 세율 및 과세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채굴 후 복구를 위한 보호세를 추가해 부과하는 사례도 존재 - 또한, 목재, 광물, 수산자원 등과 같은 과세대상의 경우 주별로 설정하고 있는 과세대상의 세분화 정도 및 척도도 매우 상이 - 주별 지역자원세제 간의 차이는 부존자원, 경제적 조건·환경 등과 같은 지역별 특성을 각각의 주 정부가 적용하며 표출되는 현상·결과로 해석이 가능 ○ 미국의 지역자원세 사례는 모든 지역에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세제적 정답이 지역자원시설세 특정자원분의 경우 부재하다는 것을 시사 - 동일한 과세대상에 대해 부과되는 주별 지역자원세를 비교하면 상이한 과세대상 세분화와 세율의 적용을 통해 부존자원의 보호를 위한 조세 정책을 추진·적용 - 또한, 채굴 과정에서 얻어지는 경제적 편익과 채굴 후 복구 과정에서 소요되는 재원 규모 등을 구분해 세분화된 조세 목적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각각의 세목을 설정한 경우도 다수 · 방출시설과 같은 동일한 과세대상에 대한 이중과세란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나 동일한 과세대상 자체가 아닌 상이한 경제적 행위에 대한 과세라는 해석 또한 가능 - 목재와 같은 특정 과세대상의 경우 산림 보전을 위한 재산세 등의 감면액을 이연된 세액처럼 간주해 감면액을 벌목할 시 지역자원세를 통해 부과하는 측면도 존재 - 미국의 지역자원세 사례는 V장에서 추후 논의되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현행 법률체계 하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조세 권한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 ○ 미국의 주별 유해물질세가 부과되거나 세외수입이 징수되는 주요 과세·징수대상 및 방식을 종합하면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가 가능 - 위의 표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미국의 유해물질세는 조세가 아닌 세외수입을 통해 부과·징수하는 경향이 관찰되며 이는 연방법에 따른 규제를 주별로 이행하며 나타나는 결과로 유추가 가능 - 다만 동일한 규제의 적용을 위해 세외수입이 부과·징수되나 동일한 시설에 대해 매우 상이하게 설정된 요율을 적용하는 등 주별로 다양한 징수방식이 활용 중 - 또한, 서두에서 거론한 바와 같이 폐기물 발생·처리시설에서 징수된 세외수입은 지역자원 시설세의 소방분(특정부동산분)과 유사하게 오물처리시설의 재원으로 사용되는 사례도 존재 - 특히 유해물질세의 목적에 따라 거의 모든 대기 유해물질 방출시설에 대해 세외수입을 부과·징수하고 있으며 전력시설과 같은 대규모 방출시설에 대해 좀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 ○ 미국의 유해물질세 사례는 국가적 제도·정책의 실질적 집행자로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 - 미국의 유해물질세의 경우 지역자원시설세의 특정시설분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나 실질적인 과세대상 및 과세방식은 주 정부가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적용 - 특히 환경보호라는 목적을 위해 연방법은 최소한의 배출·방출 기준만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의 내용은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는 형식을 활용 · 소규모 방출시설과 같이 연방법의 규제 대상이 아닌 경우에도 주 정부 차원에서 과세·징수대상으로 설정해 차등화된 요금을 부과하는 사례도 다수 존재 - 또한, 연방법에 따른 환경규제의 집행정책임을 감안해 대부분의 주에서 세제가 아닌 세외 수입의 형태로 해당 요금을 징수·부과하고 있으며 징수액을 해당 정책에 소요되는 재원으로 특정화 - 미국의 유해물질세 사례는 V장에서 추후 논의되는 바와 같이 환경보호 정책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 □ 결론 및 정책제언 ○ 미국의 주별 지역자원세·유해물질세와 우리나라의 지역자원시설세를 비교하면 아래의 표와 같은 차이의 확인이 가능 - 자원고갈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특정자원분의 경우 과세대상이 수자원과 채광물로 제한된 반면 동일한 목적을 가진 미국의 지방세목은 석탄, 목재, 수산자원 등을 과세대상에 포함 -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채광물을 과세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보다 포괄적인 광물이 과세대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광물의 종류 및 희소성에 따라 차등적인 세율을 적용 - 미국에서만 과세하는 석탄, 목재, 수산자원은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한 채굴 및 채집 활동이 관찰되는 부존자원으로 자원고갈의 문제 해소를 위해 과세대상 후보군으로 고려가 가능 -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특정시설분의 경우 과세대상이 컨테이너와 원자력·화력발전으로 제한된 반면 동일한 목적을 가진 미국의 지방세목은 폐기물 처리시설, 선박 등을 과세대상에 포함 · 미국은 원자력·화력발전시설을 포함해 대기오염물질을 방출시키는 거의 모든 (생산)시설에 대해 방출 규모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된 세외수입을 부과·징수 · 유해 폐기물의 처리시설에 대해서도 처리 단계별 혹은 폐기물의 유해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설정된 세외수입을 부과·징수 · 미국에서만 과세하는 대기오염물질 방출시설, 폐기물 처리시설 등은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관찰할 수 있는 시설로 환경오염의 문제 해소를 위해 과세대상 후보군으로 고려가 가능 ○ 자원고갈과 환경오염의 문제에 대비하기 위한 우리나라와 미국 간 지방세목의 비교 및 본 연구의 내용은 지역자원시설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1) 과세대상 및 과세방식 등과 같은 지역자원시설세의 운용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자율적 선택 권한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변화의 모색이 필요 - 한 예로 과세대상을 나열하는 포지티브 방식의 과세대상 설정 방식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별 경제·사회적 환경·조건을 고려한 과세대상의 선택이 가능 - 또한, 표준세율의 명시가 아닌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를 통해 세율 및 과세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하는 방향의 변화도 고려가 가능 (2)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특정시설분의 경우 환경오염의 피해를 측정해 피해 정도에 따른 과세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세율 및 과세방식의 전환이 필요 - 현재 원자력발전 및 화력발전에 적용되고 있는 발전량에 따른 과세방식은 환경오염의 피해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 - 대기오염물질 등의 방출량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 환경부 등의 정책을 통해 측정이 시도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 (3) 네거티브 방식으로의 전환과 같은 근본적인 대책이 불가능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설문 조사 등을 통해 각각의 지역별 경제·사회적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과세대상을 추가할 필요 - 지방자치단체가 요청하는 과세대상을 우선 추가하고 추후 지방자치단체와 관련 기업, 시설, 이해 당사자 간의 협의를 통해 실제 부과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접근이 가능 - 또한, 현재 채광물과 같이 다소 추상적으로 설정된 과세대상의 경우 실제 과세대상의 세분화 및 확대를 통해 희소성 및 고갈 확률 등이 반영된 차등적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도 고려가 가능

      • KCI등재

        소비자의 자아조절자원과 해석수준이 유통업체의 제품구색 평가에 미치는 영향

        조연진,박경도,서재범,이호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7 경영컨설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자아조절자원과 해석수준에 따라 제품 구색에 대한 선택의 강도와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연구로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면 통제능력이 약해져 직관적이고 비교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의사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소비자의 제품구색 평가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대상에 대한 해석수준이 조절작용을 하여 제품구색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고차원 해석수준의 집단은 제품의 세부적인 정보를 비교하기 보다는 포괄적이고 다양한 구색에 초점을 두며, 더 추상적이고 바람직성을 바탕으로 제품을 고려하는 반면, 저차원 해석수준의 집단은 제품구색에 대한 선택에 따른 어려움을 고려하여 실행가능성의 상대적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제품을 고려하게 된다. 그런데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면 소비자의 제품평가는 자원한계(저차원 해석수준)와 목표적합성(고차원 해석수준)이 기준이 되어 각각의 제품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데 그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해석수준의 차이에 따라 자아조절자원과 제품구색의 크기 평가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아조절자원 고갈과 비고갈 집단으로 나누어 두 가지 구색(큰/작은)을 동시에 보여주고 선택하게 한 후 각 선택과업을 할당하였다. 조절변수인 해석수준은 '내일'과 '반년 후'를 이용하여 조작하였다. 고차원 해석수준에서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집단은 폭넓은 구색의 상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이지만, 저차원 해석수준에서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집단은 작은 구색의 상품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를 할 것이다. 반면, 고차원 해석수준에서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집단은 작은 구색의 상품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이지만, 저차원 해석수준에서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집단은 폭넓은 구색의 상품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해석수준의 차이에 따라서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은 제품구색의 크기에 대한 상품구색 평가가 달라질 것으로 나타났다. Prior research discusses that consumers have a stronger preference for retailers offering more or fewer choices. However, research has not considered whether this preference of assortment size may change depending on temporal distant level in depletion or no-depletion condition. In this article, we address this issue by examining whether temporal distance moderates the evaluation of product assortment size when participants are depleted by a prior self- regulation task, as compared with not being depleted. To test our hypothesis we present one experiment. First, we manipulated self-regulatory resource availability using a self-regulation task. After instructing participants to solve sudoku puzzle or to solve diagram cube by filling any diagrams that they prefer into cube, we asked to evaluate the difficulty of the tasks available to them. Seco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imagine that they were planning to buy laptop at two store, but in next day(proximal) or 6months away(distal). Third, we asked participants to imagine that they were planning to purchase laptop at one of the two retail shops (small assortment: 6 options vs. large assortment: 30 options) and to read product description, respectively. Also we instructed participants to consider all the information and chose a store that they want to buy a product. After then we asked to indicate evaluation of product assortment to them.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on-depleted(depleted) participants at a high level will be more attracted to large assortment(small assortment), but non-depleted(depleted) participants construing an event at a low level will be more attracted to small assortment(large assortment). CLT posits that consumers at a high(low) level are likely to place more weight values and ideals (contextual detail), and focus on goal and desirability (limited resource and feasibility). We demonstrate that non-depleted consumers at a high level would weight desirability concerns more than feasibility so that they are likely to have strong preference for large assortment. In contrast, non-depleted consumers at a low level would weight feasibility concerns more than desirability so that they are likely to have strong preference for small assortment. Depleted consumers at a high level would focus on goal achievement and be willing to trade off information about several attributes regardless of depleted resource, having strong preference for small set. In contrast, depleted consumers at a low level would focus on limited resource rather than goal. Thus they would be less willing to trade off good and bad attributes of a product, and place weigh only specific product attributes by which they will make a buying decision from large assortment.

      • KCI등재

        조절자원의 고갈과 속성정보 제시가 자아조절에 미치는 영향

        송시연,여준상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논집 Vol.19 No.4

        조절자원의 고갈이 자아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기존 연구는, 자아조절에 성공하기 위해서 명확한 목표 및 조절자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자아조절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아조절관련 목표 및 조절자원고갈 여부 외에, 모니터링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제품에는 비용과 혜택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데, 기존 연구에서 자아조절 목표가 있더라도 조절자원이 고갈될 경우, 자아조절에 실패한 이유는 비용관련 제품정보, 즉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실험에서는 조절자원고갈 여부 및 속성정보 제시 여부를 독립변수로 하여 선한제품(다이어트에 도움되는 제품)과 악한제품(다이어트에 방해되는 제품) 간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속성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절자원이 고갈될수록 악한제품의 선택 비율이 증가하여 자아조절에 실패한 반면, 속성정보가 제시된 경우에는 조절자원이 고갈되더라도, 비고갈 그룹과 동일하게 선한 제품을 더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how that setting goals related to self regulation and cognitive resource are important but also to show that monitoring is another key factor that is required to succeed in self regulation. It is widely known that there are many informations related to costs and benefits for product. However, the reason why previous researches showed failure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resource depletion on the self regulation even if definite goals exist is that informations regarding monitoring were not provided appropriately. To issue above concerns, study 1 provided cognitive resource deple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ried to verify whether those variables have any impacts on the choice between virtue product and vice product. As a result, in the condition w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there was a higher probability to choose vice product while in the condition where the attribute information was provided, resource-depleted group showed a higher probability to choose virtue product like non-depleted group.

      • KCI등재

        신용카드 소비에 있어서 자아조절자원의 고갈과 모니터링 효과

        송시연(Sie-Yeoun SONG)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4 기업과 혁신연구 Vol.7 No.1

        현대 생활에서 신용카드의 사용은 굉장히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사용률에 비해, 연체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카드사용은 현금사용보다 과소비를 촉진한다는 견해도 많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러한 카드사용 과소비를 막고,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자아조절(self regulation)의 실패원인 중 하나는 피험자의 인지적 자아조절자원의 고갈에 있는데, 기존연구에 의하면, 인지적 자원이 고갈된 피험자는 그렇지 않은 피험자에 비해, 유혹재 혹은 악한 제품(vice product)을 더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아조절자원의 고갈이, 카드 사용 총 금액(추가 신용카드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 이러한 부정적인 효과는 카드 사용 시 은행에 남아있는 본인계좌 금액 혹은 카드결제 금액을 피험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해준 경우에 줄어듦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피험자라 할지라도, 적절한 모니터링이 제공되면, 부정적 효과가 방지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how that setting goals related to self regulation and cognitive resource are important but also to show that monitoring is another key factor that is required to succeed in self regulation. It is widely known that there are many informations related to costs and benefits for product. However, the reason why previous researches showed failures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resource depletion on the self regulation even if definite goals exist is that informations regarding monitoring were not provided appropriately. To issue above concerns, study provided cognitive resource depletion and monitoring inform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ried to verify whether those variables have any impacts on the total credit card consumption. As a result, in the condition where the monitoring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there was a higher consumption while in the condition where the monitoring information was provided, resource-depleted group showed a low consumption in the total credit card amounts.

      • KCI등재

        자아조절자원이 유통기한 제품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시연,김영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4

        Although expiration d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ption decision, consumers pay not much attention to it. As such,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regulatory resource on willingness to use of product that past its expiration date by resource depletion. The result revealed that compared with no resource depletion condition, participants in resource depletion condition showed less willingness to use the product that past its expiration date.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resource depletion and no depletion condition in product with valid expiration date. Thus, this research suggests, in consumers' health perspective, an potential implication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piration date by depleting cognitive resources. 본 연구는 제품 소비에 있어서 유통기한이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비자가 이에 대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자아조절 자원의 고갈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연구 결과, 유통기한이 남은 경우에는 제품 소비의도에 있어서 조절자원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통기한이 경과한 경우에는 조절자원이 고갈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욱 더 제품의 소비의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조절 자원고갈 연구가 자아조절 실패나 편향된 판단 등을 통해 부정적 결과만을 보여준 것과 달리 긍정적인 효과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소비자의 자아조절 자원을 고갈시킴으로써 유통기한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통기한을 강조하는 마케팅을 사용하는 마케팅 실무자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자아조절자원 및 해석수준이 공짜대안 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진용,임승아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4

        Most people prefer to choose zero-cost products they may get without paying any money. The ‘zero-cost effect’ can be explained with a ‘zero-cost model’ where consumers attach special values to zero-cost products in a different way from general economic models (Shampanier, Mazar and Ariely 2007). If 2 different products at the regular prices of ₩200 and ₩400 simultaneously offer ₩200 discounts, the prices will be changed to ₩0 and ₩200,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same price gap of the two products after the ₩200 discounts, people are much more likely to select the free alternative than the same product at the price of ₩200. Although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zero-cost effect’ in isolation of other fact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a self- regulatory resource and a construal level on the selection of free products. Self-regulatory resources induce people to control or regulate their behavior. However, since self- regulatory resources are limited, they are to be easily depleted when exerted (Muraven, Tice, and Baumeister 1998). Without the resources, consumers tend to become less sensitive to price changes and to spend money more extravagantly (Vohs and Faber 2007). Under this condition, they are also likely to invest less effort on their information processing and to make more intuitive decisions (Pocheptsova, Amir, Dhar, and Baumeister 2009). Therefore, context effects such as price changes and zero cost effects are less likely in the circumstances of resource depletion. In addition, construal levels have profound effects on the ways of information processing (Trope and Liberman 2003, 2010). In a high construal level, people tend to attune their minds to core features and desirability aspects, whereas, in a low construal level, they are more likely to process information based on secondary features and feasibility aspects (Khan, Zhu, and Kalra 2010). A perceived value of a product is more related to desirability whereas a zero cost or a price level is more associated with feasibility. Thus, context effects or reliance on feasibility (for instance, the zero cost effect) will be diminished in a high level construal while those effects may remain in a low level construal. When people make decisions, these 2 factors can influence the magnitude of the ‘zero-cost effect’. This study ran two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ory resources and construal levels on the selection of a free product. Kisses and Ferrero-Rocher, which were adopted in the prior study (Shampanier et al. 2007) were also used as alternatives in Experiments 1 and 2. We designed Experiment 1 in order to test whether self-regulatory resource depletion will moderate the zero-cost effect. The level of self-regulatory resources was manipulated with two different tasks, a Sudoku task in the depletion condition and a task of drawing diagrams in the non-depletion condition. Upon completion of the manipulation task,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a decision set with a zero-cost option (i.e., Kisses ₩0, and Ferrero-Rocher ₩200) or a set without a zero-cost option (i.e., Kisses ₩200, and Ferrero-Rocher ₩400). A pair of alternatives in the two decision sets have the same price gap of ₩200 between a low-priced Kisses and a high-priced Ferrero-Rocher. Subjects in the no-depletion condition selected Kisses more often (71.88%) over Ferrero-Rocher when Kisses was free than when it was priced at ₩200 (34.88%). However, the zero-cost effect disappeared when people do not have self-regulatory resources.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constual levels influence the magnitude of the ‘zero-cost effect’. To manipulate construal levels, 4 different ‘why (in the high construal level condition)’ or ‘how (in the low construal level condition)’ ques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were asked. They were presented with 4 boxes connected with downward arrow... 사람들이 돈을 지불하지 않고 무료로 얻을 수 있는 공짜제품을 과다하게 선호하는 현상을 ‘공짜효과’라 한다.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공짜제품에 주어지는 특별한 가치 때문에 이와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공짜효과가 항상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 변수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자아조절자원과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면 통제의 힘이 약해져서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직관적이고 노력을 별로 기울이지 않는 정보처리과정을 통해 의사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주어진 정보를 어떤 해석수준에서 처리하는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진다. 고차원 해석수준에서 중심기능을 바탕으로 대안의 바람직성에 따라서 선택하는 반면, 저차원 해석수준에서 부가기능을 바탕으로 대안의 실행가능성에 초점을 두어 선택한다. 이와 같은 특성이 공짜효과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자아조절자원과 해석수준에 의해서 공짜효과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기 위해 2개의 실험설계를 채용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재(키세스와 페레로로쉐 초콜릿)를 이용했다. 실험 1은 자아조절자원 고갈 여부가 공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자아조절자원 고갈과 비고갈 집단으로 나누어 공짜대안이 있는 선택과업과 그렇지 않은 과업에 할당했다.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되지 않은 집단에서 공짜효과가 확실하지만, 자아조절자원이 고갈된 집단에서 공짜효과가 약해진다는 것을 밝혔다. 실험 2는 해석수준이 공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 실험 2는 ‘왜(why)’와 ‘어떻게(how)’를 이용해 해석수준을 조작했으며, 실험 1과 유사하게 공짜대안이 존재하는 의사결정과업과 존재하지 않는 과업에 할당한 뒤 공짜대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고차원 해석수준의 집단은 저차원 해석수준의 집단에 비하여 공짜제품 선택비율이 낮았다.

      • 스마트폰 리튬배터리의 기술개발로 인한 금속의 자원고갈 및 독성영향 평가

        팔폴메자메메자메 ( Palle Paul Mejame Mejame ),정다윤 ( Da-yoon Jung ),이희수 ( Hee-soo Lee ),이대성 ( Dae-sung Lee ),임성린 ( Seong-rin L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스마트폰의 기술 개발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첨단 스마트폰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리튬배터리가 개발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먼저 부피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메모리효과가 없어 배터리의 수명이 길며 에너지 손실이 적다. 새로운 스마트폰이 계속해서 개발됨에 따라 리튬 배터리 또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리튬 배터리는 금속의 자원고갈문제와 환경 독성문제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터리 기술 개발의 환경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배터리의 기술 개발에 따른 모델의 교체를 고려하여 스마트폰 리튬 배터리의 금속 물질의 환경 영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먼저 배터리의 금속 농도를 분석하여 배터리를 유해 폐기물로 분류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였으며 금속의 자원고갈, 인체독성 및 생태독성을 평가방법으로 전 과정평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리튬 배터리의 유해성 폐기물의 발생 잠재력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배터리 모델 교체에 따라 금속의 질량은 전반적으로 감소했기 때문에 자원 고갈 및 독성 영향이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리튬배터리 제조업체들이 환경영향이 적은 리튬 배터리를 생산하고 전자폐기물 관련 정책의 입안자들이 폐배터리의 유해물질과 독성 금속을 효과적으로 관리 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환경 정보를 제공하여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감정노동 작업장에서의 유머와 신뢰의 역할 : 직무요구-자원 모형의 확장

        임창희(Im Chang H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2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직무요구-자원 모형(JD-R model)에서 주장하는 소진에 대한 직무 요구의 영향과정과 소진과 몰입에 대한 직무자원의 영향과정이 전통적 주장대로 상호 독립적인지, 아니면 특정 매개변수가 개입되면 하나의 프로세스로 연결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의 대표적 하위요소인 감정노동이 소진의 대표적 하위요소인 정서고갈과 몰입에 신뢰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고 직장의 유머사용이라는 직무자원이 역시 두 개의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칠 때 신뢰의 매개작용이 존재하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을 JD-R이론 관점에서 본다면 직무요구/자원과 소진/몰입의 관계에 매개변수의 추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울러 직무요구가 소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health impairment process)과 직무자원이 소진을 완화시키는 재활과정(energetic process)과 직무자원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화과정(motivational process)은 독립적인 관계라기보다는 신뢰라는 매개변수를 통하여 동시에 소진과 몰입에 동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도 밝혔다. 이로써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JD-R모형의 확장ㆍ개선과 함께 실무적으로는 감정노동 분야에서 유머와 신뢰가 종업원의 정서고갈을 줄여주고 동시에 직장생활의 질을 높이는 자원이 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모형을 설정하고 설문 서베이 기법을 활용하여 이를 검정하는 방식에 의존하였다. 수퍼마켓 주부사원, 보건소와 병원의 간호사, 제약회사 영업사원, 사회복지사 등 고객을 상대하는 일선 직원들로부터 회수된 405개의 유효 설문응답을 토대로 구조방정식에 의한 제안모델의 우수성을 AMOS 6.0을 이용하여 확인하고 다시 Sobel test 등에 의한 추가분석을 통해 이를 입증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본 연구의 실효성과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시 보완할 점 등도 제언하였다. While recommendations and anecdotal evidence for reducing the negative impact of emotional pressure in the emotional workplace, there has been very little empirical work examining use of humor and trust in this field.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burnout, and engagement, the role of humor and trust were examined. That is, our study examined the role of trust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s(e.g., emotional work pressure), job resources(e.g., humor), and employees' emotional exhaustionand vigour, dedication, etc., the main components of burnout and work engagement, respectively. Influenced by dominant work psychological models, like Job demand-control model, the Job Demands - Resources (JD-R) model attributes employee well-being to the job characteristics. Previous studies have supported the underlying predictions of the model, namely that job demands are the main predictors of negative job strain, while job resources ar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s of work engagement. However, studies on the JD-R model have been restricted to job characteristics and, as a result, the role of employees’ personal situations(e.g., interpersonal trust relationship), which could b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ir adaptation to work environments, has been neglected. Empirical studies that uncover the processe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resources and demands and outcomes are, however, scarce. To address this void in the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rust serve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advanced in the JD-R. To investigate the role of trust in the JD-R model, we used insights from humor practices as a main component of social supports, which could be job resources factors. Most employees working at emotional workplace would be tired. While many people want their work to be satisfying, emotional labor reenforce workers to have smile face in front of clients. If their patience would be worn out, finally they quit easily their 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interpersonal trus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humor practices and emotional exhaustion/job engag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a heterogeneous sample of 405 workers of the emotional workplace(employees of supermarket, employees of bank, hospital nurses, salesman of pharmaceutical company, service wome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onfirmed that trustful relation explained the relationships from job demands(emotional labor) to exhaustion and from job resources(humor practices) to engagement. Our study's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trust fully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or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partially expla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pressure/humor and exhaustion / engagement (vigour, dedication, absorption). This suggests that employees who are surrounded by humor practice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general feeling of trustful relationship with their leaders and coworkers, which in turn explains why they feel less exhausted, and more vigorous in their jobs. These findings help to shed light on the processes underl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burnout and engagement. This results aligns with the general theorizing supported by JD-R model. More specifically, it builds on the JD-R literature as it tests one of the proposed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work engagement However, our results also extends the JD-R li terature by suggesting that one mechanism, namely trust helps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ealth-impairing as well as the health-enhancing job characteristics and both employees’ ill-health (i.e. burnout) and well-being (i.e. engagement). Notably, within the JD-R literature, two different processes are assumed, that is, an energy depleting process in the development of burnout and a motivational process

      • KCI등재

        노르웨이 에너지 자원정책과 지속발전전략: 북해모델에 관한 연구

        박상철 ( Sang Chul Park ) 한국EU학회 2011 EU학연구 Vol.16 No.2

        전 세계적으로 석유를 생산하고 있는 국가의 수는 약 100여 국에 이른다. 이중 약 46개 국가는 이미 석유생산량이 정점을 지나 점진적으로 생산량의 감소를 경험하고 있다. 학자 및 기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글로벌 석유생산량은 이미 그 정점을 지났거나 조만간 정점에 도달하리라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유한한 에너지자원인 석유자원을 개발하여 생산하면서 자원의 한계를 인정하고 석유자원에 국가경제 및 산업을 최소한으로 의존하기 위하여 장기적으로 국가개입을 통하여 산업 및 경제발전 그리고 복지국가를 구현한 국가가 노르웨이다. 이처럼 노르웨이 에너지 자원정책은 자유시장주의 원칙을 기초로 한 북미식 모델에서 탈피하여 자국의 전통적인 정치경제체제를 기초로 석유자원 개발을 위하여 보호주의정책, 정부입찰주의정책, 국제화정책 등을 수행하면서 북해모델을 정립하였다. 본 논문은 에너지 자원개발을 기초로 국내 석유산업 및 연관산업을 발전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복지국가를 건설한 노르웨이가 추진한 에너지 자원정책이 지속발전을 가능하게 하고 석유기금 창설을 통하여 북해유전 고갈에 대비한 전략적 측면과 성공요소는 무엇인지 연구 및 분석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In the year 2011 there are about 100 countries producing crud oils. Among these 46 countries have already experienced that their oil productions have met their peak and started to decline.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oil peak between scholars and research institutes. However, the fact is that the global oil production has already met its peak or is expected to decrease. Norway realized that natural resources such as oil and gas have their scarcity and implemented a strong government-led energy depletion policy strategy that resulted in establishing resource based industrial development and minimizing its dependancy on the oil and gas resources. Eventually Norway was able to build a world class welfare state. By doing that, the nation could create the North Sea model based on the indigenous social culture as well as the strong government interventionism although the North American model based on free market and competition had been overwhelmed in the energy market. The paper focuses on Norwegian strategies to develop a strong natural resource based industrial structure strengthening related industrial sectors and competitiveness as well as creating the world class welfare system. Furthermore, it also discusses and analyze what are successful factors to implement these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