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최효식,연은모,권수진,홍윤정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2

        Using a three-years (2008∼2010) longitudinal sample of 2,089 Korean mothers who raise infants aged between 0 to 2 from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this study examined a growth curve model of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and identified their relationships with AMOS 20.0. As a result,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were increased whereas value of children was decreased as children grow older. Results also found that the initial value of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knowledge behav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initial value of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changes of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value of childre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ial changes of parenting stress. In sum,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의 성장(만 5.58개월∼만 25.75개월)에 따른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여 3차년에 걸쳐 실시된 한국아동패널의 2,089명의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어머니가 인식하는 아버지 양육참여,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자녀가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양육스트레스 초기값에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초기값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인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자녀가치 변화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 연구 분야의 이론적 확장과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 및 조절효과

        김정은(Kim Jungeun),최진령(Choi, Jinr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 아동학대, 양육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영유아 어머니 278명을 연구 대상으로 자녀권리존중 실행, 아동학대, 양육스트레스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278부로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 회귀조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는 부적상관, 아동학대와 양육스트레스는 정적상관,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권리존중 실행과 아동학대 간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상시 부모의 자녀권리존중 실행이 잘 이루어진다면 양육스트레스 질적 차이에 의해 아동학대의 정도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나 어느 정도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학대와는 상관없이 존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among the respect of mother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child rights, their child abuse and parenting stress an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8 selected mothers who had thei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tte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hild-rights respect inventory, a child-abuse inventory and a parenting stress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that were 27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18.0, an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 of the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parenting stres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s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had any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child rights and child abuse, it didn t produc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f parents usually respect their children s rights,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parenting stress or not makes no difference to the degree of child abuse. Therefore parenting stress may take place to some extent irrespective of child abuse.

      • KCI등재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유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최효식,연은모,권수진,홍윤정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2

        Using a three-years (2008∼2010) longitudinal sample of 2,089 Korean mothers who raise infants aged between 0 to 2 from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this study examined a growth curve model of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and identified their relationships with AMOS 20.0. As a result,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were increased whereas value of children was decreased as children grow older. Results also found that the initial value of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knowledge behav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initial value of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changes of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and value of childre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ial changes of parenting stress. In sum,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erception of father involvement in child care, value of childr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의 성장(만 5.58개월∼만 25.75개월)에 따른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의 변화패턴을 알아보고,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이 양육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여 3차년에 걸쳐 실시된 한국아동패널의 2,089명의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어머니가 인식하는 아버지 양육참여, 양육 지식, 양육스트레스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 반면, 자녀가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양육스트레스 초기값에 아버지 양육참여, 자녀가치, 양육지식 초기값 모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인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자녀가치 변화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 연구 분야의 이론적 확장과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하는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참여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민경(Ha, Mi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양육참여,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2012년도) 자료 중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 762명이다. 어머니 대상 조사는 2012년 6월 25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실시되었다. 변인 간의 상관 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했다. 연구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참여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양육스트레스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는 부적 상관을, 아버지 양육참여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양육스트레스, 아버지 양육참여 모두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영향을 미쳤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가장 강력하게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통해 후속출산계획 자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버지도 어머니와 동등한 입장에서 자녀 양육에 참여해야 한다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아버지 양육참여를 높이고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 마련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paternal participation and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for mothers with first-born child an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ternal participation on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The study was conducted on 762 mothers with their first-born child out of the fifth year’s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variable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parenting stress and paternal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Nextly, parenting stress and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had a negative correlation, paternal participation and 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parenting stress and paternal participation affect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And a variable predicting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most strongly was paternal particip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child in follow-up childbirth plan, Need o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aternal participation that requires fathers to participate in parenting on an equal footing, such as mothers and social system that can increase paternal participation and reduce parenting stress has been confirmed.

      • KCI등재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마음챙김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

        신웅,최은실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7 No.1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 마음챙김이 부모자녀관계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3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마음챙김, 부모자녀관계, 양육효능감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 마음챙김, 부모자녀관계, 양육효능감 각각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 마음챙김에서 부모자녀관계로 가는 경로에서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어머니 마음챙김에서 부모자녀관계로 가는 경로에서 양육효능감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 마음챙김에서 부모자녀관계로 가는 경로에서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순차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 마음챙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어머니 마음챙김이 양육관련 변인을 통해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부모교육에서 어머니의 마음챙김을 다루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By considering the roles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this research sought to understand how maternal mindfulness influence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Surveys on 307 mothers with children in middle and high school revealed several correlations. First, mindfulness in mothers,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al efficac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dditionally, parenting stress and mindfulness in mothers,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al efficacy each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Interestingly, while high maternal mindfulness appeared to enhance parenting efficacy and reduce stress, only parenting stress, serv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the parent-child bond.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maternal mindfulness in fostering healthier parent-child dynamics.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

        최정혜 한국코칭학회 2016 코칭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경상남도 J시와 S시 어린이집 10곳에서 만 4세-5세 유아 254명의 부와 모를 각각 254명씩 쌍으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양육효능감은 보통 수준이며, 부부의 양육스트레 스는 낮게 나타났다. 부부비교에서 부부간 양육효능감은 차이가 나지 않았고, 양육스트레스는 아내가 남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의 양육효능감에는 사회인구학적인 변인과 심리적 변인이 모두 관련 변인으로 나타났다. 남편의 양육스트레스 변인에는 남편의 학력과 자아존중감, 아내의 자아존중감 등이 나타났으며, 아내의 양육스트레스 변인에는 종교, 자녀 수, 남편의 학력, 아내와 남편의 자아존중감 등이 나타났다. 셋째, 부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 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서 아내의 양육효능감은 남편의 양육효능감과 아내의 양육스트레스는 남편의 양육스트레스와 강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부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방안 모색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hen raising thei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include 254 fathers of 4∼5 year-old young children who live in J- and S-cities of Gyeongsang-Namdo, Korea. All the data are computed and analyzed-using SPSS 21.0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acy of parents was measured as being at a moderate-level, when their parenting stress level was low. Second, the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relied mainly on their social-economic and psychological status.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largely depended upon their educational level and the self-esteem of their fathers and mothers, whereas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primarily depended on their religion, the educational level of their husbands, and the mothers’ self-esteem. Third, the parenting-efficacy and parenting-stress of mother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ose of fathers. Th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successful education-programs for parents to efficiently foster their young children with higher satisfaction and low.

      • KCI등재

        중·고등학생 어머니의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박봉헌(Bong-Heon Park),백용매(Yong-Mae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모성이데올로기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대상으로 모성이데올로기, 양육스트레스,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긍정적 모-자녀 관계 간에 어떤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기가치감 수반성 이론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고, 내재모형(nested model)로서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 경쟁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경쟁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과를 살펴보면, 모성이데올로기와 긍정적 모-자녀관계에서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했고,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양육스트레스에서 긍정적 모-자녀관계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모성이데올로기가 자녀 수반 자기가치감과 긍정적 모-자녀관계를 이중으로 매개하여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모성이데올로기를 깊이 내면화 할수록 어머니는 자녀에게 자신의 가치감을 더 수반시키게 되며 이는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와의 관계를 덜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여 결국 양육스트레스가 초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성이데올로기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심리적 기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상담 장면에서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전략을 모색할 수 있는 경험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ing ideology on parenting stress and to access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Methods To this end, 279 middle-aged women who live in large cities, including **, **, **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not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We compared the model fits of the research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and found that the com-petition model was the best model for the present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no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fully mediated as no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g ideology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fully mediated as s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arenting stres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ncident of mothering ideology influenced parenting stress through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with dual mediation effects. Conclusions The deeper the mother's ideology is internalized, the more a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to child, which means that the mother becomes less positive about her relationship with the child, resulting in pa-renting stress. That’s wh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mothering ideology effects parenting stress of the middle-aged women. Also, it has significant meaning the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s data to seek counseling strategies to decrease parenting stress of middle-aged woma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정희정 ( Chung Hee-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참여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와 어머니 381쌍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20.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FA),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자녀의 행복감과 대부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를 통해서만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를 통해서도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를 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ren's happiness was mediated by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hree hundred eighty on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he child education institut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20.0 v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Fathers' participation was 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happiness. Second,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children's happiness, but it influenced the children's happiness only through the medit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ir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irectl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happiness, and it also influenced the children's happiness through the medit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In conclusion, it was quite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there should be some practical ways to increase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자녀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자녀 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주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Relationship of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Value of Child Joohyun Suh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s temperament on the mother’s value of child. For this, the effect of child’s temperament on the mother’s value of child mediated by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366 pair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3rd year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and responded to the research variables. The data was analyzed the path of mediating effect by SPSS Process Macro 4.0. As a result, the negative emotionality of the child was prove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f lowering on mothers’ value of child by increasing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sociality of the child was prove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f increasing on the mother’s value of child by lowering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intervention for the parenting fit for each temperament and reducing parenting stress to promote mother’s value of child. Key Words: Temperament, Emotionality, Sociality, Parenting Stress, Value of Child 자녀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자녀 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 주 현**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녀가치에 미치는 유아 기질의 영향력의 양상과 경로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어머니의 자녀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조사에 참여하여 연구 변인에 응답한 1,366쌍의 어머니와 그들의 자녀이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임으로써 어머니의 자녀가치를 낮추는 간접효과가 입증되었고, 유아의 사회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어머니의 자녀가치를 높이는 간접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자녀가치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으로서 아동의 기질에 적합한 양육 및 양육 스트레스 완화를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핵심어: 기질, 정서성, 사회성, 양육스트레스, 자녀가치 □ 접수일: 2022년 4월 12일, 수정일: 2022년 4월 1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8일* 이 논문은 2022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교수(Professor, Sangmyung Univ., Email: jhsuh@smu.ac.kr)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손수민 ( Soo Min So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를 둘러싼 다양한 생태학적 변인들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008년 자료를 바탕으로 배우자가 있는 취업모 656명과 비취업모 138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보통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양육비용에 대한 부담, 육아정보선택, 자녀의 정서적 안정에 대한 책임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취업모에 비해 비취업모가 더 높은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보았을 때, 취업모가 비취업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부모됨의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이 자녀양육에 더 많이 참여하였고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도 높아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양육 관련 특성인 자기효능감, 부모됨의 태도, 양육방식이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비취업모의 경우에만 남편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lated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child rearing. The participants were 656 employed mothers and 1380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from 2008 Korean Children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ent though medium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non-employed mothers reported parenting stress higher than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in parenting costs, selection of appropriate paren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responsibility of infants` emotional stability. Second, compared to non-employed mothers, employed mothers reported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 of being parent. In addition,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spouse`s and social supports for child rearing. Third, mothers` child-rearing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positive attitude of being parent, and parenting style, had influential impact on parenting stress. Furthermore,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only non-employed mothers were influenced by their spouse`s and social sup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