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관성법칙을 적용한 산업용 장비 디자인개발 사례연구 -디자인 언어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권민성 ( Min Sung K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일관성 법칙에는 내부적 일관성, 기능적 일관성, 외부적 일관성, 미학적 일관성 이렇게 크게 4 가지로 분류되는데 내부적, 기능적 일관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브랜드 아래의 다양한 시리즈제품을 효율적이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도와주어 소비자의 제품 사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관성이다. 이와 달리 외부적, 미학적 일관성은 외형적인통일성을 통한 가족형태(family look)를 완성하여 충성도 높은 소비자 그룹을 만드는 일관성이다. 이러한 일관성 법칙들은‘디자인 언어 시스템’이라는 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제품 디자인에 반영되어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에 필요한 편의성 향상은 물론 향후 개발 되어질 미래의 시리즈 제품 개발에도 적용 되어질 디자인 요소들로 정리된다. 이번 연구는2012 년도부터 2014 년도 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던 일관성 법칙에 입각한 산업 및 의료용 시리즈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시리즈로 개발되었던 두 제품들은 하나의 모기업에서 기획, 개발되어 생산이 진행된산업용 장비이다. 이 제품들은 유사한 공학기술이 적용되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던 반면 사용 환경, 사용자, 사용방식이 전혀 다른 장비라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한 제품들을 하나의 브랜드 이미지로 표현 시켜야 하였고 동시에 통일된 직관적인 사용성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충성도 높은 소비자 그룹을 만들어야 했고 이것이 시리즈제품 개발 과정에서 요구되었던 핵심과제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일관성 원칙’이라는 디자인 방법론 적용이 필요하였고 일관성 법칙이 적용된 ‘디자인 언어 시스템’이라는 디자인 툴을 만들어 두 개의 제품 개발에 사용하였고 향후 개발되어질 일관성 법칙이 구현된 시리즈 제품에도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consistency principle is the core design method used in design processes. Consistency is classified under four heads and these are internal consistency, functional consistency, external consistency, and aesthetic consistency. Internal and functional consistencies can be used for making a product and brand more efficient and intuitive. On the other hand, external and aesthetic consistencies are more related to the making of product and brand look as if they are in a ‘family’ of some sort. This would provide a chance to make loyal customers. For this reason, I tried to create a ‘design language system’under the consistency principle and that is the goal from this study. This case study is a series of the developments of product design proces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from 2012 to 2014. This series of developments were industrial products and were planned, developed, and manufactured by two branch branded products under mother company. These products share similar engineering technology but still have big differences between brands which are their business environments, users, and using methods. Even though they have very identical differences, we had to make these two branded products designed under a corporation brand image and to also have them be produced with a consistent and intuitive usability in order to create loyal customer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goal, ‘the consistency principle’is used under a design process‘Design Language System’

      • KCI등재

        회계일관성의 추정과 그 효과: 투자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배길수,최승욱,김정택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3

        This paper measures accounting consistency and examines its effects on corporate investment efficiency. Despite its importance, there exists limited research on accounting consistency. By leveraging the mechanism from the prior research that uses earnings and stock returns as proxies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economic events, respectively, we propose a firm-year proxy of accounting consistency. Specifically, we estimate the coefficients of a linear equation that converts a firm’s economic performance (i.e., stock returns) to accounting numbers (i.e., earnings) using returns and earnings in the previous periods. If a firm’s accounting system is consistent, the same economic performance of a firm in different periods should be converted into the same accounting numbers. We next calculate the expected earnings for a given economic event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nd compare them with the actual earnings.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ported and expected earnings is our proxy of accounting consistency. We multiply negative one to make our proxy increases as consistency increases. Using listed firms in the Korean stock market, we show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counting consistency and investment efficiency. Furthermore, we find that both over- and under-investment decrease as accounting consistency increases. In addition, we find that accounting consistency is still associated with higher investment efficiency after controlling for accounting comparability. Lastly, to address endogeneity concerns, we conduct a change test and a lead-lag regression test and find the similar results. 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회계일관성을 측정하고 그 효과를 실증 조사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회계일관성의 측정은 경제적 사건과 회계정보를 각각 주가수익률과 회계이익으로 대용한 선행연구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즉, 회계시스템을 과거분기 주가를 이익으로 전환하는 계수를 통해 추정하고, 이 계수와 당기의 주가를 곱해 기대되는 예상 당기 회계이익과 실제 당기의 회계이익의 차이를 비교해 회계일관성을 측정한다. 해당기업의 회계시스템이 과거와 현재 사이에 일관성이 있다면 예상이익과 실제이익이 유사할 것이다. 경영자가 투자의사결정을 할 때 여러 사항을 고려하겠지만 미래의 수요와 성과에 대한 예측이 가장 중요한 사항의 하나일 것이다. 과거 성과추세에 대한 이해가 일관성을 결여한 시계열 자료에 기초한다면 이는 진정한 성과추세를 왜곡할 것이며, 미래의 성과를 예측하는 것에 어려움으로 작용하여 투자의사결정이 왜곡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성과추세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상이한 기간의 회계추정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한 회계시스템 사이에 일관성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분석결과, 예상한바와 같이 회계일관성은 투자효율성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비효율적 투자를 과잉투자와 과소투자로 구분하였을 때, 일관성은 과잉·과소투자를 모두 줄이는 효과가 있다. 추가분석으로, 회계일관성과 투자효율성의 여러 대용치를 사용한 결과도 이와 유사하였다. 또한 회계일관성과 투자효율성 사이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내생성을 완화하기 위해 변화량 분석과 당기-전기 분석을 하였으며, 이 분석에서도 역시 질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계일관성이 비교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 둘의 양의 관계를 실증하고, 또한 비교가능성을 통제한 후에도 회계일관성과 투자효율성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하다. 본 연구는 회계일관성을 분석 가능한 기업-연도 수준의 대용치로 측정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이용하여 후속연구들은 회계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회계일관성의 효과, 자본시장의 반응 등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관된 회계처리가 기업의 투자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경영자와 투자자 및 정책입안자과 규제자에게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어휘분석을 통한 경관계획 단계별 계획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신윤지 ( Shin Yunji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15 한국경관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계획을 내용의 일관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으며, 계량적인 수치로 이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타 분야에서 계획의 연계성 또는 일관성을 검토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사례를 통하여 도출한 일관성 평가 방법 및 수식을 본 연구의 특성과 대상에 맞게 변경하여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를 반영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목포시, 의왕시 총 4개의 지방자치단체의 경관계획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정된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계획의 구성단계를 계획의 개요, 경관자원조사 분석, 기본구상, 기본계획, 경관설계지침, 실행계획 총 6개의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구성어휘를 MalSem41 프로그램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평가 수식을 활용하여 이들의 단계별 일관성을 검토하였다. 평가는 지자체별 평가와 단계별 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4개의 지방자치단체들의 평균 단계별 일관성이 도출되었다. 평균적으로 대전광역시가 가장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대구광역시가 단계별로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목포시, 의왕시 순으로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6개의 단계를 통하여 나타나는 5개의 단계별 평균 일관성을 살펴보면, 경관자원조사 분석과 기본구상 간의 일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계획의 개요와 경관자원조사 분석 사이의 일관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일관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4개의 지자체가 나타내는 단계별 일관성의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재 여러 연구에서 경관계획 내 연계성 부족, 내용의 불일치성 등 경관계획에 대한 지적이 있었으나, 이를 검토를 실시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관계획의 양적 개수가 증가하는 현 시점에 경관계획의 내용을 내용의 일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정략적인 평가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단어의 반복만으로 일관성을 측정하여 경관계획내용의 정성적인 측면까지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4개의 도시만 평가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landscape plan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s consistency with a quantitative method. To do this it is firstly needed to review other cases related to consistency or consistency of contents. Through other cases, expression is built in considering this study’s character and subject of evaluation in this study. And four municipal corporations such as Daegu, Daejoen, Mokpo and Uiwang are selected the subject for this study. First, a landscape plan is divided into six steps like summary of the plan, landscape resources survey, basic concept, landscape plan, design guidelines, and action plan. For examining, MalSem41 program that can analyze vocabulary and its frequency is used. Also, in this study, it has own expression for evaluation and this tool gives two viewpoint. One is each municipal corporation’s consistency and another is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teps. As the result, the average consistency index is given and Daejoen has the highest consistency index. Then Daegu shows the second highest index. In succession, Mokpo and Uiwang are appeared by very little. About the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teps, the consistency between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basic concept shows the highest but between summary of the plan and landscape resources survey has the lowest.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endency of consistency in the landscape plan. Until now, there have been some opinion about lack of landscape plan’s consistency, but the research for studying this is not enough. Also, these are not for quantitative so it is hard to comparison of consistenc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try to examine landscape plans with quantitative especially about consistency. However it does not cover qualitative method and it treats just four cities.

      • KCI등재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의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 유통산업을 중심으로

        송광석(Gwangsuk Song),유한주(Hanjoo Yoo) 한국생산관리학회 2008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19 No.3

          서비스품질 측정에 있어 국내에서는 주로 KS-SQI, NCSI, KCSI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평균값의 환산점수를 활용하는 서비스품질지수와는 달리서비스품질의 일관성 수준을 측정하는 새로운 지표인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Service Quality Consistency Index, SQCI)에 관한 연구로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SQCI)를 활용하여 경쟁관계에 있는 국내 유통업 4개 업태(백화점, 할인점, TV홈쇼핑,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품질 일관성 수준을 측정하고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SQCI)는 제조업의 프로세스의 역량을 평가하는데 널리 이용되는 공정능력지수를 응용하여 서비스품질의 일관성 수준을 나타낸 지수이다.<BR>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1)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SQCI)는 다른 여러 공정능력지수와는 달리 불량률과 일치하며 극단적인 공정모수의 변화에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 KS-SQI와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SQCI)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S-SQI와 표준편차의 상관분석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서비스품질일관성지수(SQCI)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통업 4개 업태의 서비스품질의 일관성분석결과 업태별 차이가 나타났다.   Nowadays, many companies employ the KS-SQI, NCSI and KCSI methods to assess service quality. This study uses a different metho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Rather than using the usual method of converting the service quality index by mean value, the Service Quality Consistency Index (SQCI) is use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consistency level, which in turn can be used as the new service quality index. Process capability indices(PCI) are widely used to measure the capability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SQCI can also be applied to the PCI.<BR>  The empirical analysis has yielded these findings: (1) SQCI provides a robust way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consistency and compare the PCI and defect rate; (2) the characteristics of two service quality indexes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KS-SQI and SQCI when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service quality index, SQCI, actually results in a reverse relationship of standard deviation that is a weak correlation of KS-SQI; (3)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various retail industries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TV home shopping, and internet shopping mall).

      • KCI등재후보

        주요업무계획의 전략방향 진술형식과 일관성 분석

        박홍윤(Hong Yun Park)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2

        본 연구는 다음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되었다. 첫째는 중앙행정기관의 연차별 주요업무계획을 대상으로 각 기관의 위임사항, 임무, 비전, 목적, 목표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 하는 어휘를 분석하고, 둘째는 첫 번째의 분석을 기초로 하여 위임사항, 임무, 비전, 전략목적, 전략목표간의 계층적 일관성과 시간적인 일관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전략적 기획 입장에서의 발전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법적 위임사항은 전통적인 행정개념인 집행중심으로 진술되어 부의 전략방향 설정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부 평균 전략목적의 수는 6.06개, 전략목표는 21.83개로 1개의 전략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균 3.61개의 전략목표가 제시되고 있다. 표현 형식에서는 전략 방향설정의 하위계층(법적 위임사항 →임무→비전→전략목적→전략목표)으로 갈수록 명사 및 숫자의 활용빈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략방향의 일관성은 계층적인 일관성과 시간적인 일관성 두 개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일관성은 문서에 대한 어휘분석을 하여 중복단어의 사용빈도로 계산하였다. 2007년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위임사항과 임무간의 일관성은 부 평균 14.08%, 임무와 비전은 17.02%, 비전과 전략목적은 2006년 9.21%, 2007년 7.51%, 전략목적과 전략목표간에는 18.74%의 일관성을 보이고 있다. 시간적으로 비전과 임무의 일관성이 낮게 평가되고 있다. 전략목적의 경우 2003~2007년 동안의 일관성은 63.85%, 전략목표는 47.07%로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시간적인 일관성이 계층적 일관성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A performance-oriented management system seeks to shift government's focus from activities to results or outcomes. The result-oriented strategic plan requires the linkages between long-term strategic goals and annual performance goals. This study examines the expression form of the mission, vision and goal statement, and analyzed the consistency of goal systems. This research used a vocabulary analytical techniqu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Ministries' Annual Plan did not adequately consistency between elements in the goal hierarchy. The use frequency of the noun and number is shown to be higher in the lower level of goal hierarchy. The number of strategic goals averages 6.06, strategic objectives 21.83. The average character number of mission statement is 41.41 and vision statement is 18.61. This research analyzed a consistency from two dimension; the hierarchical consistency(mandates→mission→vision→goal→objective→strategy), the time consistency. The hierarchical consistency of goals is shown to average : mandates and missions, 14.08%, missions and visions, 17.02%, visions and strategic goals, 7.51(2007), and strategic goals and strategic objectives 18.74%. The time consistency of goals is shown to average : strategic goals 63.85%, strategic objectives 47.07%. Overall, the time consistency is shown to be higher than hierarchical. This research it discovered the necessity which will secure a hierarchical consistency between components of strategic goal systems in Ministries' Annual Plan.

      • KCI등재

        비일관성 말소리장애아동을 위한 핵심어휘 확장 프로그램의 효과

        고유경(Yoo-Kyeong Koa),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 일관성 확립을 위한 핵심어휘 확장프로그램이 비일관성 말소리장애아동의 말소리 비일관성과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말소리 비일관성, 음운오류패턴 및 조음문제를 동시에 보이는 3-5세의 비일관성 말소리장애아동 4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핵심어휘접근법과 다중감각접근법을 사용하였고, 부모지원을 동시에 제공하였다. 실험설계는중다기초선실험설계를사용하였고, 각 3-5회의기초선평가, 10회의치료평가및 3회의유지평가가수행되었다. 종속변수의 데이터 분석, 평균, 경향선기울기, 표준편차, 치료의 즉각적인 효과 및 비중복정도(PND)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말소리 비일관성이 감소되었고, PCC와 PWC이 향상되었다. 말소리 비일관성은 4명의 참여아동 모두에서 치료효과를 보였고, 정확성은 3명의 아동에서 치료효과를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핵심어휘 확장 프로그램이 지적문제와 언어장애를 동반한 비일관성 말소리장애아동의 말소리 비일관성 및 정확성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말소리 일관성이 확립된 이후에 남아있는 음운오류패턴의 제거를 위해 음운치료접근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Core Vocabulary Extension Program for establishing speech sound consistency on speech inconsistency and accuracy of children with inconsistent SSD. Methods: Four children with inconsistent SSD aged 3-5 years who exhibited speech sound inconsistency,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nd articulation problems at the same ti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ogram of this study used a core vocabulary approach and a multi-sensory approach, and parental support was provided at the same time.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with 3-5 baseline evaluations, 10 treatment evaluations, and 3 maintenance evaluations were performed. Data analysis of dependent variables, mean, trend line slope, standard deviation, immediate effect of treatment, and ratio of non-overlapping data (PND)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consistency was reduced and articulation ability was improved. Speech inconsistency improvement was effective in all four participating children, but accuracy improvement was only effective in three childre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Core Vocabulary Extension Program which integrated a multisensory approach and parent coaching based on a core vocabulary approach on speech sound inconsistency and accuracy of children with severe speech sound disorder accompanied by intellectual problems and language disorde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pply a phonological approach to remove the remaining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fter speech consistency is established an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honological approach

      • KCI등재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수업일관성 분석

        안부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5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useful methods that teachers can emplo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in an aspect of instructional coherence considering the guidelines of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er analyzed 270 activity plans of free play and 270 instructional class plans. In the results of the plans analyses, the ratio of instructional coherence of plans on free play activity was coincidence 17%, neutrality 20%, and discordance 59%. The ratio of instructional coherence of plans on instructional class was coincidence 22%, neutrality 27%, and discordance 45%.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chieve a low level in instructional coherence of kindergarten daily lesson pla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useful methods that teachers can emplo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in an aspect of instructional coherence considering guidelines of instructional design. 본 연구는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수업일관성을 분석하여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수업일관성이 얼마나 지켜지고 있는지, 어떤 부분들에서 문제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일관성 있는 수업계획안 작성 및 이를 통한 수업의 효과성 및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0개의 일일교육계획안을 수집하여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쌓기활동, 수조작활동, 미술활동을 포함한 자유선택활동 270개, 이야기나누기활동, 신체 및 음률활동, 동화할동을 포함한 단위활동 270개를 수업일관성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업일관성 분석은 활동목표와 활동내용 간, 활동목표와 학습자 간, 활동목표와 활동내용 간, 활동목표와 활동방법 간, 활동목표와 활동매체 간 일관성의 5개 영역에 걸쳐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자유선택활동의 수업일관성은 일치 17%, 중간 20%, 불일치 59%로 불일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위활동의 수업일관성도 일치 22%, 중간 27%, 불일치 45%로 불일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수업일관성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일관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유치원 수업의 효과성 및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롱런 브랜드의 일관성 전략에 관한 연구

        이승영(Seung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지며 오랜 기간 일관된 아이덴티티로 소비자의 의식 속에 신뢰의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는 브랜드가 롱런 브랜드이다. 롱런 브랜드에 있어서 일관성은 변화하되 브랜드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보여주기 위한 노력으로 브랜드 자산 구축의 핵심요소는 일관성 유지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롱런 브랜드의 현 실태 분석을 통해 상황을 인지하고 분야별 대표 롱런 브랜드 30개를 선정, 주요 일관성 전략을 분석하여 전략의 기본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롱런 브랜드의 인지도, 일관성, 가치를 통하여 소비자의 롱런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롱런 브랜드의 일관성 전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국내외 문헌 및 인터넷 자료를 참고하였으며 롱런 브랜드의 소비자 인식조사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된 롱런한 성공 브랜드들은 핵심 컨셉의 대한 일관성을 지키고 품질 개선과 브랜드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디자인과 품질에서 차별화를 시도하여 꾸준한 마케팅 활동에 의해 장기간에 걸친 관리와 유지를 하고 있었다. 또한 적정한 시기에 브랜드를 재활성화 하여 브랜드 이미지의 노후화와 시장의 영향력 감소, 브랜드의 인지도, 충성도를 재강화하여 롱런 브랜드로 지속, 성장해왔다. 설문조사 결과 인지도와 일관성에 있어서 식음료업과 소비재 분야가 높게 나타났으며 소비자가 느끼는 롱런 브랜드의 시대적, 기술적, 감각적, 정서적 가치에 관한 조사결과를 통하여 한국 최고의 브랜드로 자리 잡은 각 브랜드들의 성공요인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롱런 브랜드가 되기 위한 일관성 전략방안은 1. 소비자의 니즈를 발견하고 최우선으로 원하는 매력타점(Sweet Spot)을 충족시켜야 한다. 2. 일관된 브랜드 메시지를 통한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3.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브랜드가 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아 상품이 아니라 문화가 되어야 한다. 4. 소비자의 피드백을 반영하여야 한다. 5. 브랜드를 일관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투자해야 한다의 5가지로 정리, 제시될 수 있다. 앞으로 많은 브랜드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일관성을 가지고 브랜드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적정한 시기에 브랜드를 재활성화 하여 롱런 브랜드로 발전해 나아가길 바란다. A long-run brands refers to a brand that has a powerful brand power and a prolonged, consistent identity and is considered by consumers to be trustworthy. A key factor to building brand assets is maintaining the consistency of the brand. In other words, it`s important to seek change and a new look yet stick to a uniqu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s of domestic long-run brands and the major consistency strategies of 30 typical long -run brands selected from different fields in an effort to find out the basic structure of their strategies. And it`s also meant to analyze the awareness of consumers about long-run brands involving their consistency and value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consistency strategies of long-run brands.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online data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grasp the awareness of consumers about long-run brands. The long-run brands investigated were successful in creating a sustainable market for a long time thanks to their coherent key concepts, improved quality, reinforced brand power, attempts for differentiation of design and quality, and steady marketing efforts. They also were successful in revitalizing themselves at the right time not to make their own brand images old-fashioned, which contributed to bolstering their marketability, awareness, loyalty and grow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food/beverage business and consumer goods were superior in terms of brand awareness and consistency, and investigating how consumers looked at the values of the long-run brands in the current times and their technological, sensual and emotional values made it possible to find out the success factors of the brands that were definitely viewed as top-notch brands in our country.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what kind of consistency strategies would be necessary to become a long-run brand: First, consumer needs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to satisfy their primary needs to hit the sweet spot. Second, consistent brand messages must be created to keep maintaining interaction with consumers. Third, the brand should become a way of life for consumers as part of their lifestyle and culture, not merely as a product. Fourth, their feedback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ifth, sustained management and investment should be done in a manner not to undermine the consistency of the brand. In order to create a long-run brand, consistent, long-term brand-management plans should be mapped out, and a timely revitalization of brand is required. In the future, lots of brands are expected to turn into long-run brands.

      • KCI등재

        일관성 욕구가 소비자의 구전 후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만족에 대한 귀인과 추천보상의 역할

        박기경 ( Kikyoung Park ),류강석 ( Gangseog Ryu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구전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구전대상인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전달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고객이 지닌 일관성 욕구의 수준과 구전의 원천인 만족경험에 대한 고객의 귀인유형이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구전뿐만 아니라 추천에 대하여 보상이 제공되는 보상된 구전 상황에서는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모델에 의하면, 일관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는 자신의 구전활동에 대하여 일관성과 정당화를 중시하는 반면, 일관성 욕구가 낮은 소비자는 구전과정에서 자기중심편향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업 관련 귀인의 만족경험에 대한 구전이 더욱 일관되고 정당화하기 쉽고, 고객 관련 귀인의 만족경험에 대한 구전이 자기중심편향에 더 적합할 것이며, 나아가 일관성 욕구 수준과 귀인유형이 일치될 때 태도강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해보면, 먼저 일관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는 기업 관련 요인으로 만족하여 구전을 할 때 서비스에 대하여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한 반면, 고객 관련 요인으로 만족한 경험에 대한 구전은 전달자의 태도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일관성 욕구가 낮은 소비자는 고객 관련 요인으로 만족하여 구전을 할 때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였지만, 기업 관련 요인으로 만족한 구전은 태도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발휘하지 않았다. 또한, 일관성 욕구가 높은 소비자가 기업 관련 요인으로 만족한 경험에 대하여 보상된 구전을 하는 경우, 자연적 구전보다 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덜 호의적으로 나타났다. 즉, 추천보상을 자신의 구전행동에 대한 외적인 동기요인으로 지각함으로써 정당화가 어려워지고, 그 결과 구전의 태도강화 효과도 감소되었다. 반면, 일관성 욕구가 낮은 소비자는 보상된 구전에 대해서 차별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공개선언 효과를 확장하고, 구전 및 귀인문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기업의 구전관리와 관련하여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Word-of-mouth(WOM) has long been known to play important and various roles in the marketing and consumption process, and it started gaining more popularity among firms and scholars due to the recent emergences of new technologies like social network services. Although a substantial amount of knowledge has been accumulated regard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M, we know much less about its impact on the communicator herself. It appears quite apparent to predict that it will affect her own attitudes or feelings about the product if a customer talks about her opinions or experiences of a product. Psychologists have already demonstrated these possibilities through public commitment effect -communicating one’s attitude in a verbal or written format makes it more extreme - and emotional recovery effect -expressing one’s emotions about negative experiences lessens negative feelings. In the marketing literature, Garnefeld, Helm, and Eggert(2011) show that the positive effect of WOM transmission behavior and the communicators’ brand loyalty is stronger for consumers with a low level of product knowledge, and Park and Ryu(2011) find that the emotional recovery effect of WOM varies by the motives of WOM.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WOM participation on communicators also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irms that pay attention to Customer Lifetime Value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which emphasizes the value of existing customers as well as new customers.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examine the roles that consumers’ need for consistency and attribution of satisfaction(i.e., locus of control) play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M transmission and own attitude change, and study both traditional natural WOM and new rewarded WOM - a reward is offered in exchange for referral. Need for consistency is one of the most basic human motives; People desire to pursue a balance among their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responses. Individuals with a high level of need for consistency place greater weights not only on consistency but also justifiability of their and others’ responses. This tendency becomes stronger in public. In contrast, individuals with a low level of need for consistency consider self-enhancement motives more importan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Weiner’s(2000) attributional causes, the authors suggest that locus of control - whether company-related causes or customer-related causes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ifferent motives which individuals emphasize. That is, company-related causes of satisfaction will be perceived to be more legitimate and valid, and thus will provide easier justifications for one’s responses. On the contrary, customer-related causes are likely to be perceived to be more subjective and self-serving, and will be harder to justify the responses. Therefore, Hypothesis 1 posits that consumers high in need for consistency will show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service after they engage in WOM transmissioner about their satisfying experiences attributable to company-related causes(vs. no WOM), whereas they will show no difference in the customer-related attribution condition.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low in need for consistency will formulate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service after engaging in WOM transmission about their consumption experiences attributable to customer-related causes (vs. no WOM), whereas they will show no difference in the company-related attribution condition. Hypothesis 2 compares the impact of rewarded WOM with that of natural WOM. Since referral rewards will work as an additional extrinsic motive or elicit situational attributions for WOM, consumers will perceive it to be less legitimate and justifiable engaging in rewarded WOM behavior. This condition will be relevant only to consumers high in need for consistency, and their attitude will be become less favorable after WOM in the rewarded WOM compared to the natural WOM condition when they make company-related attributions for satisfaction. The authors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2(need for consistency: high vs. low) x 2(satisfaction attribution: company-related vs. customer-related) x 3(WOM type: natural WOM vs. rewarded WOM vs. no WOM) between-subjects design. The main dependent variable was communicator’s attitude toward service, and general emotion that the communicator experienced during WOM transmission was also measured for exploratory analysis. 293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12 conditions. Planned-contrasts were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es. As to Hypothesis 1, participants high in need for consistency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when they had engaged in WOM about company-attributed satisfaction(vs. no WOM)(3.75natural WOM vs. 2.53no WOM; F(1, 281) = 8.82, p < .01), whereas engaging in WOM did not have any influence in the customer-attributed satisfaction condition (3.06natural WOM vs. 2.64no WOM; F(1, 281) = 1.03, p > .30). On the other hand, participants low in need for consistency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when they had engaged in WOM about customer-attributed satisfaction(vs. no WOM)(3.68natural WOM vs. 2.91no WOM; F(1, 281) = 4.23, p < .05), whereas engaging in WOM had no effect in the company-attributed satisfaction condition (3.40natural WOM vs. 3.61no WOM; F(1, 281) = .25, p > .60). As for Hypothesis 2, participants high in need for consistency showed a less favorable attitude when they had engaged in rewarded WOM about company-attributed satisfaction(vs. natural WOM)(3.75natural WOM vs. 2.82rewarded WOM; F(1, 281) = 5.40, p < .05),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ponses among other conditions(high in need for consistency -customer-attributed satisfaction: 3.06natural WOM vs. 2.64rewarded WOM, F(1, 281) = .97, p > .30; low in need for consistency -company-attributed satisfaction: 3.40natural WOM vs. 3.46rewarded WOM; F(1, 281) = .02, p > .85; low in need for consistency -customer-attributed satisfaction: 3.68natural WOM vs. 3.52rewarded WOM; F(1, 281) = .17, p > .65). In addition, the result of emotion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attitude. In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by extending the public commitment effect to WOM domains with new moderators and by introducing indirect effects of attributions, and also offer insights to firms for their WOM strategy.

      • KCI등재

        경영이념에 기반한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조은환(Cho, Eun-Haun),유보현(Yoo, Bohyeon)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1

        기업에서 경영활동의 목적을 성취하는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는 디자인전략(Design Strategy)의 핵심은 독창성과 차별성이며, 이와 함께 체계화된 경영이념을 통하여 정립된 경영목표가 명확하게 전달되는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 전략은 기업경영의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업의 경우 기업이념, 제품철학, 경영철학 등의 경영이념 체계화가 위계적으로 잘 정립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업 및 경영이념은 국가의 헌법과 법률 같은 역할을 하면서 소비자에게 기업의 존재 이유를 명확히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경영이념의 체계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대표적인 이유로는 최고경영자 중심의 경영이념으로 기업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기업은 소비자에게 다양하고 광범위한 기업경영 홍보를 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제품을 통한 이미지 관리 수준에 이르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국내 중소기업의 현실을 감안하여 경영이념과의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에 필요한 최소한의 경영이념 체계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경영목표와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수립을 위한 중소기업의 경영이념 체계화는 대기업의 그것과는 경영환경 및 주변의 여건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경영이념 체계화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대기업의 체계화 과정과 소비자의 의견 수렴이 기업의 체계화에 미치는 영향, 외국 전문기업의 특수한 기업이념 체계화 성공 사례에 대한 문헌 조사와 분석을 하였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의 현황 및 사례제시를 위해 기업을 선정을 하여 실태 조사와 분석을 통한 경영목표와 일관성 있는 디자인전략 사례제시를하였다. 그 예로 미래를 내다보는 경영철학을 통하여 국내 중소기업 중에서 소수제품의 전문화와 소비자로 부터의 긍정적 제품이미지등을 통해 세계화에 성공한 (주)지엠피의 성공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는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제품철학 중심의 기업이념 체계화를 통한 디자인 전략의 일관성 확립의 모범적인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디자인전략 수립에 있어서 경영이념의 체계화에 대한 중요성, 국내 중소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기업이념체계에 대한 사례를 제안하였으며, 이와 함께 경영목표와 일관성있는 디자인 전략과 이에 따른 디자인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Many big companies have systemized their product identity. Based on their corporate identity, they have a training or education program on the organization and the product inside the company, and other supporting systems outside the company such as collecting consumers' opinions and offering them after-service (AS) support o promote the specialties of the product and manage the product quality.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except some exemplary foreign companies that have a systematic product identity, do not have any system for product identity. Among Korean companies, there is one international company in which the product is globally identified as special, but whose product identity is not systematically managed and whose product philosophy is manager-oriented. GMP Co. LTD manages the company with an ideology of "leaders in lamination technology." In general,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uch as GMP have different situations compared to big companies that have a good product identity system. Consumers better know GMP's professional products (laminators and films) than the company's name. By examining the systematizing process of product identity of GMP, I believe this case study will be a good example for othe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similar circumstances to have a secure and long-term 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