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과학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과학교육 및 연수 실태에 대한 질적분석

        안부금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8

        This study aims to capture actual condition of preschool scienc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field accurately. Based on this, the requests of preschool teachers for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e preschool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lso analyzed. Fifty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have collected data especially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categorized them, and found out the themes of each areas through the content and meaning analysis methods. In terms of the current condition of science education and training, preschool science teacher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ur groups. For the request of preschool science teachers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raining of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conceptual orientation of science and knowledge, a long-term systematic training, and improvement of efficient science teaching method.

      • KCI등재

        유아과학 교수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 반성적 저널쓰기를 중심으로

        안부금 미래유아교육학회 200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자신의 과학교수행동을 평가해나가면서, 저널쓰기가 과학교수실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3명을 대상으로 과학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와 저널쓰기에 관한 교사교육을 12주간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쓰기를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한 과학교수행위에 대한 반성은 교사들로 하여금 이전의 과학교수를 되돌아보면서 자신이 유아과학교육에 대해 가졌던 가치, 강조점, 교수-학습 방법, 유아에 대한 이해,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해 반성하게 하였다. 이에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육분야의 전문성과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해 저널쓰기를 통한 반성적 사고 적용 기회가 요구된다. This study proposed to use teacher-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education and to verified through the changes in the changes in the reflective thinking toward science teaching. To do this three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We have collected data especially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categorized them, and found out the themes of each areas through the content and meaning analysis method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research assignments. First, the program for teacher training effectively improved th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ttitude on science education. The frequency of teacher training made a distinctive changes in reflective thinking. So the stages of reflective thinking changed from the daybook or report approach journals to the focused journals. Second, how this changes in reflective thinking attitude affect the actual science teaching situation can be seen in the different stages of the program-in the initial stage, in the middle stage, in the later stage.

      • KCI등재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컨설팅 경험이 유치원교사의 수업일관성에 미치는 영향

        안부금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effect of consulting based on science class analysis tool on instructional coher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7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vited to a total of six(6) instances of science class consultations based on the tool of science class analysi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science class coher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er directly observed the science teaching of th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consulting, and analyzed the results using the teaching consistency analysis tool, interviews with 7 students and from their "science class analysis shee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improvements to the science class coher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ositive results were seen in the following 4 additional categorie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science class goal, reflective thinking towards their own science classes based on child-centered, activating scaffolding and pre-knowledge of children, and evaluating the achivement of goal. It is expected that the present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significant considerations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for science class coherence. 본 연구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컨설팅을 실시하여 유치원교사들의 과학수업 일관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교사들은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과학수업을 반성하고 체계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총 6회의 컨설팅에 참여하였다. 컨설팅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일관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에 교사들이 작성한 과학수업 계획안과 더불어 본 연구자가 직접 과학수업을 참관 관찰하면서 수업일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일관성의 구체적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층면담 자료, 반성적 저널쓰기, 컨설팅 시 교사들이 자가 분석한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 분석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교사들의 과학수업 일관성이 향상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목표의 중요성 인식하기, 유아가 중심이 되는 수업 고민하기, 목표 달성을 위한 비계설정 및 사전지식 활용 시도하기, 수업 평가 계획하고 실행하기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수업일관성 차원에서 수업계획 및 실행 시 지켜야 할 고려 및 주의 사항들을 교사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현장 과학수업의 질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ㆍ놀이중심교육과정 운영사례 비디오 기반 반성활동을 통한 주목하기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부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noticing program based on child play-based curriculum running cas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4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 University located in Changwon City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10 week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 2021.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material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play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their play teaching efficacy contents from an in-depth interview and their journal writ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noticing program based on child play-based curriculum running case is effective in improving pre-service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especially, pre-service teachers, regard to play teaching efficacy showed checking cognition of play, understanding child play-based teaching method, growing up learning and teaching and also regard to noticing, showed selective noticing, noticing on unseeing, re-noticing from refle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prospective teacher educator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현장의 유아ㆍ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사례 기반 반성활동을 통한 주목하기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3명을 대상으로 총 10주에 걸쳐 주목하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놀이교수효능감의 양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 및 소감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의 유아ㆍ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사례 비디오 기반 반성활동을 통한 주목하기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영향으로 놀이교수효능감 측면에서 유아와 놀이에 대한 인식 점검하기, 유아ㆍ놀이중심 교수방법 알아가기, 유아와 함께 놀이하며 배우고 싶다는 열망 키우기가 나타났으며, 주목하기 측면에서 선택적으로주목하기, 드러나지 않는 것에 주목하기, 반성을 통해 다시 주목하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들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주목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예비교사교육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구성주의 관점의 유아과학 교사교육이 유아의 과학흥미도, 과학과정기술,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안부금,신은수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구성주의 관점의 유아과학 교사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3, 4, 5세 학급 담임교사 14명과 유아 총 370명으로 교육참여 집단과 비교집단 각 7학급씩 14학급이다. 교사교육을 16주간 실시하였고, 유아의 과학적 능력은 과학흥미도, 과하과정기술, 문제해결력의 진보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구성주의 관점의 유아과학 교사 교육은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긍정적 영향이 나타났으므로 과학교육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how teachers' training in children's science education affects the scientific ability of young children. A total of 370 respondents including 14 teachers handling 3-, 4-, and 5-year-old kindergarten students, and young students in 14 classes were chosen. The classes were equally divided into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earch procedure lasted 16 weeks and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children's degree of interest in science and in scientific process technology, as well as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in relation to scientific task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science edu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cientific ability and concludes that providing basic and advanc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children's science education is necessary.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사회관계영역 관련 활동의 비교 분석 -사회교육 유형 및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안부금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mparison analysis of social relationship-related activities of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ance books, focusing on social education types and core concepts, in order to suggest implications for revisions of the Nuri curriculum and teacher guidance books in the future. Thirty-two teacher guidance books of the Nuri curriculum for 3- to 5-year old children were examined, with a total of 1, 122 social relationship-related activities as its focal point. First, there is a need for types and concepts clarification via refinement and actualization of social relationship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Second, because some types of social education were not adequately addressed in the teacher guidance books, a wider range of types of social education-related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hird, because many core concepts of social education types were insufficiently adopted in teacher guidance book activities, there is a need for activity development that reflects more diverse core concepts. Fourth, the activities of teacher guidance books for five-year-olds need to contain more variety of social education, deepening and expanding its key concepts, so that the intention and the purpose of the Nuri curriculum - that specific contents of social relationship domains are differentiated by age group - can be can be distinctly conveyed.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사회관계영역 관련 활동을 사회교육 유형 및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향후 누리과정 및 교사용지도서 개정 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지도서 32권이며 그 중 사회관계영역 관련활동 총 1,122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틀은 유아사회교육의 유형 7개와 각각의 유형에 따른 핵심개념 총 27개다. 분석내용은 교사용지도서의 사회관계영역 관련 활동이 사회교육의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그 유형에 해당되는 어떤 핵심개념을 다루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3세, 4세, 5세 교사용지도서 간에 어떤 차이나는 양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분석 세 가지이다. 각각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기초한 논의로부터 향후 누리과정 및 교사용지도서 개정 시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 세부내용의 세분화 및 구체화를 통한 사회교육 유형 및 핵심개념의 명료화가 필요하며, 둘째, 사회교육의 유형 중 교사용지도서에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은 유형이 발견되었으므로 향후 다양한 유형의 사회교육 관련 활동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교육의 유형에 해당되는 핵심개념 중 교사용지도서 활동에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은 개념들이 많으므로 다양한 핵심개념을 반영하는 활동 개발이 필요하며, 넷째,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의 세부내용이 연령별로 계열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특히 5세 교사용지도서의 활동은 다양한 유형의 사회교육을 포함하고 핵심개념을 보다 심화, 확충할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수업일관성 분석

        안부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5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useful methods that teachers can emplo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in an aspect of instructional coherence considering the guidelines of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er analyzed 270 activity plans of free play and 270 instructional class plans. In the results of the plans analyses, the ratio of instructional coherence of plans on free play activity was coincidence 17%, neutrality 20%, and discordance 59%. The ratio of instructional coherence of plans on instructional class was coincidence 22%, neutrality 27%, and discordance 45%.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chieve a low level in instructional coherence of kindergarten daily lesson pla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useful methods that teachers can emplo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in an aspect of instructional coherence considering guidelines of instructional design. 본 연구는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수업일관성을 분석하여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수업일관성이 얼마나 지켜지고 있는지, 어떤 부분들에서 문제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일관성 있는 수업계획안 작성 및 이를 통한 수업의 효과성 및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0개의 일일교육계획안을 수집하여 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쌓기활동, 수조작활동, 미술활동을 포함한 자유선택활동 270개, 이야기나누기활동, 신체 및 음률활동, 동화할동을 포함한 단위활동 270개를 수업일관성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업일관성 분석은 활동목표와 활동내용 간, 활동목표와 학습자 간, 활동목표와 활동내용 간, 활동목표와 활동방법 간, 활동목표와 활동매체 간 일관성의 5개 영역에 걸쳐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자유선택활동의 수업일관성은 일치 17%, 중간 20%, 불일치 59%로 불일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단위활동의 수업일관성도 일치 22%, 중간 27%, 불일치 45%로 불일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수업일관성이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일교육계획안 작성 시 일관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유치원 수업의 효과성 및 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력적 반성 기반 STEAM수업 모형 개발

        안부금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EAM teaching model based on collaborative reflec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related to STEAM education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instruction were reviewed to develop a teaching model and the expert judgment validity was calculated. Also, 2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pilot testing for 15 weeks by applying the model to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pilot testing, the teaching model was modified and finalized.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STEAM teaching model based on cooperative reflec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STEAM education and to foster competency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it. In the early stage of applying early childhood STEAM education, this study could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about teaching STEAM to be taught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applying STEAM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력적 반성 기반의 STEAM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TEAM수업 및 협력적 반성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수업모형(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쳤다. 이 수업모형(안)은 예비유아교사 23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유아과학교육 시간에 적용되었으며, 적용과정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력적 반성 기반 STEAM수업 모형의 목표는 예비교사의 STEAM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유아 STEAM수업을 계획 및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있다. 개발원리 및 중점 사항으로는 과학을 기반으로 다른 교과를 연계시키는 다학문적 통합의 방식을 취한 점, 구성주의 이론에 토대를 둔 점, 유아 STEAM수업 준거(틀) 및 협렵적 반성을 지원하기 위한 반성 준거(틀)을 함께 구성한 점 등을 들 수 있으며, 운영방식은 유아 STEAM 수업 준거(틀)에 따라 STEAM수업을 계획 및 실행, 계획 수정 및 재실행을 하고 각 단계마다 4-5명이 함께 반성 준거(틀)에 따라 협력적으로 반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유아 STEAM 교육 적용 초기인 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STEAM 교육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 정보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예비유아교사 STEAM교육 적용을 위한 모델로 활용됨으로써 유아교육 분야의 STEAM교육을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안부금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 그리고 실제 과학교수방법의 변화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문헌 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유치원 교사 7명이 참여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실제 과학교수방법의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과학 분야의 전문성과 자질 함양을 위해, 그리고 과학교수 능력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vist early childhood teacher-training programs in science education on teachers'scientific knowledge,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 methods. A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Seven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verification phase of the study which aimed to 1) improve teaching skills by improving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science, 2) improve their science teaching skills through their applic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o science teaching, and 3) improve their science teaching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1) There we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ains in the participating teacher's scientific knowledge. 2) The program improved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ttitude on science education. 3)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methods improv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the progra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