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이인칭 대명사로의 전용 현상

        이규호(I, Gyu-ho)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2

        한국어는 두 인칭 언어로서 ‘나/너’가 짝을 이루며, 삼인칭의 자리는 빈칸이다. 지시사는 ‘이/그/저’가 ‘화자 근칭/청자 근칭/화·청자 원칭’의 인칭 중심 체계를 이룬다. 역사적으로 지시사 ‘저’와 재귀 대명사가 삼인칭 대명사의 빈칸을 채워 주었다. 현대국어의 삼인칭 대명사들은 지시사를 포함한다. 장소 대명사 ‘이쪽/그쪽/저쪽’이 사람 대명사로 전용되면, 각각 ‘일인칭/이인칭/삼인칭’을 나타낸다. 사람/사물 대명사는 가시적 근칭/원칭에 ‘이/저’ 계열을 쓰고, 비가시적 대상에 ‘그’ 계열을 쓴다. ‘이’ 계열은 청자를 가리키는 말로도 전용된다. 재귀 대명사는 이인칭 대명사로 기능이 전환되기도 한다. ‘당신, 자기’는 이인칭 대명사로 전용된다. 일반 명사 중에서는 ‘댁, 본인, 님, 둘이’ 같은 말이 이인칭 대명사로 전용된다. TV 드라마 대본으로 만든 준구어 말뭉치를 검색하여 이인칭 대명사의 용법을 살펴보았다. ‘얘, 인석’을 이인칭 대명사로 등재할 필요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대명사 뜻풀이 내용 중에서 개선할 점을 제시했다. Korean is a two-person language with “me and you” in pairs and an empty place in the position of third person. The demonstratives of ‘이/그/저’ make the person-oriented system of “speaker proximal/listener proximal/speaker & listener distal” ones. Historically, the demonstrative ‘저’ and reflexive pronouns have filled the empty place of third person pronouns. In modern Korean, third person pronouns contain a demonstrative. When the place pronouns ‘이쪽/그쪽/저쪽’ are converted into person pronouns, they refer to first, second, and third person, respectively. Person/material pronouns use the ‘이/저’ line for visible proximal/distal ones and the ‘그’ line for invisible ones. The ‘이’ line can be converted to refer to the listener. A reflexive pronoun has its function converted to a second person pronoun. ‘당신’ and ‘자기’ are converted into second person pronouns. Common nouns such as ‘댁, 본인, 님, and 둘이’ are also converted into second person pronouns. The investigator searched quasi-spoken language corpus in TV drama scripts and examined the uses of second person pronou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raised a need to register ‘얘’ and ‘인석’ as second person pronoun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finitions of pronouns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 KCI등재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박재희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of ‘ku’ as a 3rd person pronoun in the comtemporary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hen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Dong-In Kim started with using ‘ku’ as a 3rd perosn pronoun in their writings. Un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which are included in closed-classes and close to a grammatical category rather than lex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sisted that the reason that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as not because the efforts of certain writers but because commonly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ku’ was selected a 3rd person pronoun in three demonstrative pronouns ‘i, ku, tye( ‘je’ in the modern Korean).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asons. First reason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and second reason is the change of narrative methods in the early 20 century from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speaker-hearer oriented situation) to the context- focused situation. In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the demonstratives ‘i, ku, tye (je in the comtemporary Korean)’ or ‘a unified forms with demonstratives and nouns’ are commonly used as pronouns but in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these forms cannot be used pronouns. The narrative style in Korean wa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instance, the ending maker ‘-r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were less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nstead, the ending marker ‘-d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were more used from the same times. The change of writing style caused people to find a new 3rd person pronominal word. Thus, among ‘i, ku, tye(je)’,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people selected ‘ku’ as a new 3rd person pronoun because it contained a neutral meaning. 본고에서는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이는 ‘그’의 기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20세기 초에 김동인을 비롯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그’를 3인칭대명사로 쓰게 되면서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설명하여 왔다. 그러나 인칭대명사가 문법 범주에 가깝다는 점과 폐쇄류(closed-class)에 속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된 것이 일개인의 노력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20세기 초 언중들의 필요와 동의에 따라 선택되어진 결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지시대명사 ‘이, 그, 뎌(현대 국어 ‘저’)’ 중에서 ‘그’가 20세기 들어 인칭대명사로 선택된 까닭을 (i)한국어에서 대명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휘들의 특성과 (ii)개화기에 나타난 서사체 서술 방식의 변화를 들어 설명하였다. 즉 한국어에서 대명사는 화맥적 상황(화자와 청자가 전제된 상황)과 문맥적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국문 서사체 서술 방식이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한 ‘-라’ 종결어미 문장에서 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 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어 3인칭 대명사에 대한 교육적 제언

        김현희(Kim Hyeon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3

        본고는 중국어 3인칭 대명사 “他”에 대한 한국 학습자의 인식개선을 통해 이와 관련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제언을 시도하였다. 유형학적으로 볼 때 중국어는 3인칭 언어에 귀속된다. 반면에 한국어는 2인칭 언어에 귀속되는 것으로, 이 점에서 두 언어의 인칭 대명사 체계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2인칭 언어라는 속성으로 인해 한국어에는 전용 3인칭 대명사가 존재하지 않으며, 3인칭 대명사로 사용되는 성분은 대체로 지시대명사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이다. 이로 인해 “그, 그녀”는 사용빈도가 높지 않고,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3인칭 대명사는 대부분 “지시사 통합형”이다. 한편, 한국어는 화용상의 공손 전략에 의해 존대의 대상을 대명사가 아닌 명사로 조응하거나, 주어 생략이 잦은 담화적 특징으로 인해 선행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복잡한 체계로 인해 중국어 3인칭 대명사 “他”와 한국어 3인칭 대명사는 비대칭적 관계를 이룬다. 그러나 한국 학습자는 두 언어의 비대칭 관계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여 [他-그]와 같은 단순 대응 위주의 중국어 구사에 머무르고 있다. 한편, 이로 인해 발생되는 오류는 통사 규칙에 대한 오해가 아닌, 이를 넘어서는 대상 언어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지 못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처럼 통사부와 인지부의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장기적인 교수 계획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고는 “他”를 처음 접하는 입문단계에서부터 중국어 3인칭 대명사와 관련된 인지적 요소를 개입시켜 교수해야함을 주장한다. 본고는 현재 가장 현실적으로 시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으로 중국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가장 한국어적인 3인칭 대명사의 사용 및 한국어 담화에서 상용되는 조응방식-명사 및 생략-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paper sought a method to solve errors related to “Ta” by analyzing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Chinese third person pronoun “Ta”. First of all, errors related to “Ta”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is an error that arises from not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Korean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a”, and the second is an error in operating “Ta” properly as a corresponding word in discourse. These two errors are not separate and share their roots. Typologically, Chinese belongs to the third person language in the system of personal pronouns. On the other hand, Korean belongs to the second person language, and in this respect, the personal pronoun system of the two language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irst of all, because Korean is a second-person language, there is no dedicated third-person pronoun. In fact, the components used as third-person pronouns in Korean are mostly derived from referential pronouns. For this reason, the first third-person pronoun that comes to mind in Korean, “he,” is not used very often, such as being actually used only in written language, and most of the third-person pronouns actually used are integrated referential types. On the other hand, in Korean, the object of respect is referred to as a noun due to the politeness strategy of phrasing, or the corresponding word is omitted because of the frequent omission. Due to such a complex system, the Chinese third-person pronoun “Ta” and the Korean third-person pronoun form an asymmetrical relationship rather than a parallel [Ta-he] relationship. However, Korean learners do not properly recognize such asymmetrical relationships, so they remain in a one-dimensional expression such as [Ta-he] in speaking Chinese. As a result, Korean expressions such as “that person” cannot easily correspond to Chinese “Ta”, or they interfere with the rules of Korean discourse, creating a correspondence that is not suitable for Chinese discourse. These problems do not stem from a misunderstanding of syntactic rules, but rather from a failure to understand the cognitive system of the target language. As such, problems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yntactic and cognitive units require long-term instructional planning.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method of teaching by intervening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Chinese third-person pronouns from the introductory stage of encountering “Ta” for the first time. In translating Chinese into Korean as the most realistic teaching method currently available, I would like to suggest a method of actively exposing Korean third-person pronouns and correspondence methods commonly used in Korean discourse - nouns and omissions.

      • KCI등재

        15세기국어 대명사 체계 설정; 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양영희 배달말학회 2007 배달말 Vol.40 No.-

        필자는 그동안 중세국어 인칭대명사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일련의 소박한 작업들을 수행해 왔다. 그 과정에서 재귀대명사의 정의를 임의로 한정시키는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와 함께 일반적으로 3인칭대명사는 비인칭성이 강한 만큼 굳이 그것을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에 직면하곤 하였다. 이에 여기서는 이 같은 문제점들을 직시함으로써 필자의 평소 생각을 좀더 세밀하고 정치하게 다듬어 보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기존 재귀대명사로 간주했던 형식이 당대에는 일관되게 3인칭 사람만을 지시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여 그것을 3인칭대명사로 귀속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후, 경우에 따라 재귀적 기능을 지니는 용례를 수용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논란이 되어왔던 지시대명사와 3인칭대명사의 관계는, 일단 대명사를 인칭대명사와 비인칭대명사로 나누고, 3인칭 가운데에서도 사람을 지시하는 경우는 전자의 하위 범주로 놓고, 사물이나 장소를 지시한 경우는 후자에 포함시키기로 하였다. 이상을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 KCI등재

        日韓両言語の通時的変遷に関する社会言語学的研究

        민승희(Min, Seung Hee)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60

        한일인칭대명사를 대상으로 通史적 관점에서 대조 고찰하였으며, 변천양상 변화에 있어서 2인칭대명사 체계의 단순성과 다양성, 인칭과 수, 성별관계, 변화 방향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일본어 2인칭대명사는 시대별로 어휘수가 풍부하고 복잡다양하게 발달하였다. 이에 비해 한국어 2인칭대명사는 상대적으로 어휘 면에서 단순한 양상을 보인다. 두 번째로 양국어의 2인칭대명사는 접사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복수를 나타낸다는 점, 영어의 『we』 『they』와 같은 유표형 2인칭대명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세 번째로 일본어의 2인칭대명사에는 성별이 현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한국어에서는 일본어보다 상대적으로 성별이 인칭대명사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네 번째로 일본어의 경우, 시대별로 새로운 인칭대명사가 빈번히 생성되었지만 한국어는 前시대의 인칭대명사가 다음 시대에도 이어져 사용되는 차이를 보인다. This study compares second person pronouns in Japanese and Korean. First, the vocabulary of second person pronouns is very extensiv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Japanese. But this vocabulary is not extensiv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Korean. Second, second person pronouns in Japanese and Korean are not sensitive to number. Finally, in Japanese, gender is reflected in second person pronouns, but gender is generally not reflected in Korean.

      • KCI등재

        3인칭대명사 그에 관한 소고

        박재희 ( Jae Hee Bak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1

        본고에서는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이는 ‘그’의 기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20세기 초에 김동인을 비롯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그’를 3인칭대명사로 쓰게 되면서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설명하여 왔다. 그러나 인칭대명사가 문법 범주에 가깝다는 점과 폐쇄류(closed-class)에 속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그’가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된 것이 일개인의 노력에 의한 결과가 아니라 20세기 초 언중들의 필요와 동의에 따라 선택되어진 결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지시대명사 ‘이, 그, 뎌(현대 국어 ‘저’)’ 중에서 ‘그’가 20세기 들어 인칭대명사로 선택된 까닭을 (i)한국어에서 대명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휘들의 특성과 (ii)개화기에 나타난 서사체서술 방식의 변화를 들어 설명하였다. 즉 한국어에서 대명사는 화맥적 상황(화자와 청자가 전제된 상황)과 문맥적 상황에 따라 구분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국문 서사체 서술 방식이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한 ‘-라’ 종결어미 문장에서 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그’, ‘이, 그, 저’, 3인칭대명사, 언중, 문맥적 상황, 화맥적 상황, 서술 방식, 현대국어사건 서술 중심이 ‘-다’ 종결어미 문장으로 변환되었고, 이에 따라 화자와 청자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3인칭 대상을 지칭할 수 있는 대명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호응하여 15세기 이래로 화자와 청자를 중심으로 한 서사체 서술 방식에서 3인칭대명사로 쓰여왔던 ‘이, 그, 저’ 중에서 가장 중립적인 성격을 지닌 ‘그’가 선택되어 언중들의 동의를 얻어 현대 국어에서 3인칭대명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origin of ‘ku’ as a 3rd person pronoun in the comtemporary Korean. In the previous studies,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hen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Dong-In Kim started with using ‘ku’ as a 3rd perosn pronoun in their writings. Unlike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pronouns which are included in closed-classes and close to a grammatical category rather than lexical categ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paper insisted that the reason that ‘ku’ came to use a 3rd person pronoun in Korean was not because the efforts of certain writers but because commonly used by normal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articular, ‘ku’ was selected a 3rd person pronoun in three demonstrative pronouns ‘i, ku, tye( ‘je’ in the modern Korean).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based on two reasons. First reason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nouns and second reason is the change of narrative methods in the early 20 century from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speaker-hearer oriented situation) to the context- focused situation. In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the demonstratives ‘i, ku, tye (je in the comtemporary Korean)’ or ‘a unified forms with demonstratives and nouns’ are commonly used as pronouns but in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these forms cannot be used pronouns. The narrative style in Korean was dramatically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instance, the ending maker ‘-r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discourse-focused situation were less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Instead, the ending marker ‘-da’ which is commonly used at the context-focused situation were more used from the same times. The change of writing style caused people to find a new 3rd person pronominal word. Thus, among ‘i, ku, tye(je)’, this paper proposed that Korean people selected ‘ku’ as a new 3rd person pronoun because it contained a neutral meaning.

      •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 연구

        투에이 수 흘랑(HTWE SU HLAING )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3 高凰論集 Vol.72 No.-

        이 글은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에 대응하는 미얀마어 표현을 대조분석함으로써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을 위한 참고 자료를 구성하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어의 인칭 대명사 사용이 화자와 청자 간의 연령, 사회 계층, 화자와 청자의 관계 등 사회 변인에 따른 인칭 대명사 표현이 다양하게 한다. 이에 특히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이 상대를 높낮춤의 표현으로 사회적인 상황에 맞게 다양한 사용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사회문화적인 이인칭 대명사 표현의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어와 미얀마어는 이인칭 대명사의 표현이 상대에게 높임의 표현과 낮음의 표현,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른 표현이 공통적이다. 그리고 화자와 청자 간의 사회적 상황에 따라 상대를 경칭의 표현으로 부르는 말이 되고 낮추어 부르는 말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 유사하다.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에 구어체에서 쓸 수 있는 이인칭 대명사의 경칭 사용, 성별 구별의 사용이 존재하지 않으며 구어체와 문어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미얀마어에서는 성별 구별의 이인칭 대명사 사용의 표현, 구어체와 문어체의 이인칭 대명사 표현이 따로 존재한다. 그리고 외래어 용어의 이인칭대명사 표현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사회적 상황에 따른 표현으로 한다. 불교 신자인 스님들의 종교적인 사회에서 빨리어(parli)용어 표현하고, 사회 계충을 높여 보이려고 하는 중년 교육 정도의 사회에서는 영어의 이인칭 대명사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도 한다. 이런 차이점에서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사회적인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이인칭 대명사의 다양한 표현을 비교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이인칭 대명사의 순수 언어 사용의 표현을 비교 및 분석 후 사회 변인에 따른 한국어 이인칭 대명사와 대응되는 미얀마어 표현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차이점과 대응 양상을 이해하는 것은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어와 다른 한국어의 이인칭 대명사의 특징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다. This article aimed at constructing reference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yanmar Korean learners by comparatively analyzing Myanmar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The use of personal pronouns in Korean varies the expression of personal pronoun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such as the ag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ocial cla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particular, since the expression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is an expression of exalting and lowering the other person, it is necessary to study sociocultural second-person pronoun expressions that are helpful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Korean and Myanmar, the expressions of second-person pronouns have in common the expressions of highness and lowness to the other person, and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reover, it is similar in that it is a word that calls the other person as an expression of honor or a word that calls the other person down depending on the social situ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 the expression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there is no use of honorifics and gender distinctions of second-person pronouns that can be used in spoken language, and there is no separate expression of second-person pronoun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On the other hand, in Myanmar language, there are separate expressions of using second-person pronouns for gender distinction, and second-person pronoun expressions i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it is also used as a second-person pronoun expression of a loanword, which is an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In a religious society of Buddhist monks, parli terms are expressed, and in a society with a middle-aged education that tries to raise the social class, it is expressed using English loanword in secondperson pronouns. In light of these differences, this article will compare various expressions of second-person pronouns used in accordance with social situations in Korean and Myanmar. In this study,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imple language use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and Myanmar, it will be examined at Myanmar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Korean second-person pronoun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Understanding these differences and correspondence patterns is expected to help Myanmar Korean language learners understand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person pronouns in Korean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mother tongue.

      • KCI등재후보

        베트남어에 나타난 친족명사의 인칭대명사化와 번역전략 적용에 대한 연구

        구본석 한국베트남학회 2019 베트남연구 Vol.17 No.2

        베트남어에는 인칭대명사로 전용(專用)되는 tôi, tao, chúng tôi, chúng ta, chúng mình, mình, chúng tớ 등과 같은 1인칭 인칭대명사, mày, chúng mày, mi, người 와 같은 2인칭대명사 nó, hắn, y thị, chúng nó, họ, chúng 과 같은 3인칭대명사가 있다. 이밖에도 친족명사, 직업명사 등을 ‘인칭대명사화’하여 사용함으로써 베트남어의 표현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하고 있다. 특히, 친족명사는 ‘인칭대명사화'하여 사용되는데 언어활동에서 가히 압도적이라 할 만큼 높은 사용 빈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활동에서 이처럼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친족명사에 주목하고 이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심도있는 탐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구조주의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근거로 베트남 친족명사의 특징과 친족명사가 ‘인칭대명사화’하여 사용되게 된 역사적 배경도 고찰해 보았다. 이에 더해 일상의 언어활동에서 인칭대명사로 통용되고 있는 ông, bà, bác, chú, cô, anh, chị, em, cháu 등의 친족명사가 통상적인 대응관계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사용되면 문장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 지를 번역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출발어와 도착어가 서로 비슷한 문화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할지라도 출발어의 문화적 요소가 도착어 독자들의 추측과 추론의 범주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자국화 번역전략과 Vinay & Darbelnet의 번역전략 중 간접번역전략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베트남어의 인칭대명사와 인칭대명사로 사용되는 친족명사는 베트남인들이 수천 년에 이르는 긴 시간 동안 축적하며 만들어 온 베트남 문화가 응축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베트남과 베트남인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베트남어의 인칭대명사, 친족명사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본 연구가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국어 3인칭 대명사 '그' : 프랑스어·영어와 비교연구

        김경석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Dans cet article, nous avons essayé de trouver l'adéquation descriptive sur la distribution du pronom ‘kɨ’ en coréen, en le comparant avec l'équivalent en français et en anglais. Cet élément, qui dérivait du démonstratif, était fabriqué pour traduire le pronom de 3e personne 'he' en anglais sous l'influence de la grammaire occidentale. Mais son emplois ne parvient pas encore à un niveau stable, parce que, tout en étant considéré comme un représentant en 3e personne, il est nettement distingué des pronoms de 3e personne en français et en anglais en ce qui concerne la distribution et l'interprétation structurale : il n'est presque pas utilisé dans la lagnue parlée ; il a diverses contraintes en distribution dans la langue écrite ; il n'a pas de substantif qu'on peut interpréter comme un antécédent potentiel dans une même proposition ; il peut être qualifié par l'adjectif et se comporter comme le nom dans la réalisation du Cas ; finalement, il n'a pas de flexion morphologique. Ces phénomènes n'éprouvent de la difficulté à expliquer que dans la théorie syntaxique. Le coréen doit comprendre diverses formes honorifiques et de modestie. On emploie aussi des substituts tels que le pronom réfléchi, le substantif même et le pronom nul : celui-ci n'est pas autorisé par l'accord des traits grammaticaux entre sujet et verbe mais par le contexte et/ou la situation entre interlocuteurs. En plus, il s'agit de l'absence du système des articles en coréen : un substantif conduit à avoir des caractéristiques définies et/ou spécifiques selon l'intention du locuteur ou le contexte sans aucun déterminant. En conséquence, le pronom 'kɨ' en coréen, qui se distingue complètement de ses équivalents du français et de l'anglais, est un élément grammatical dont il est difficile à expliquer les comportements au moyen de la théorie du liage, surtout en ce qui concerne la relation de coréférence avec son antécédent potentiel. Dernièrement, il nous reste une mission future à rechercher une explication synthétique qui y applique des cirtères rigoureux de la morphologie, de la syntaxe et de la pragmatique après avoir établi une relation du pronom de 3e personne avec ceux des 1ère et 2e personne en coréen. 서양문법에서 ‘대명사’는 대체로 ‘명사를 대신하는 품사(pro + nom)’로 정의되어 왔다. 명사와 동사를 구분하는 다양한 준거 중 기능적 측면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 그런데 국어의 대명사는 프랑스어나 영어의 등가물과는 상당히 구분되는 특징들을 갖는다. 첫째, 국어의 인칭대명사는 프랑스어나 영어와는 달리 특정한 인칭에 대한 대표적 형태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나, 우리, 너, 그(들), 그녀(들)’ 등은 다른 품사에서 유래한 ‘소자, 소녀, 소인, 짐, 본인, 자네, 그대, 당신, 임자, 자기, 이쪽에서, 여기서, 그쪽에서, 거기서, 그 곳, 댁’이나, 지시사 ‘이, 그, 저’와 결합한 ‘이/그/저 + 어른/분/양반/애/사람/ 남자/여자/것/치/자/놈’ 등이 다양한 경우에 서로 경합하거나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둘째, 프랑스어나 영어의 인칭대명사는 격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나, 국어의 대명사는 형태적으로 명사와 동일한 곡용을 하는, 다시 말해서 격조사에 따라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기능이 결정되며, 글말에서는 목적어 대명사가, 입말에서는 주어와 목적어 대명사가 모두 자주 생략되거나 음성적으로 실현되지 않는다. 셋째, 프랑스어나 영어의 인칭대명사는 입말과 글말에서 분포상의 차이가 없으나, 국어에서는, 대우법에 따른 제약 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입말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형태들이 존재한다. ‘그대’는 문어체적 2인칭 대명사로, 편지 글이나 시 등에서 멋스러운 어감을 가지는 대명사로 사용된다. 3인칭 대명사인 ‘그’와 ‘그녀’ 역시 일상 언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고 소설이나 문어체 글에만 쓰이고, 구어체에는 3인칭 사람을 지칭하는 대표적 인칭 대명사가 없으며 지시사 통합형이 대명사의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넷째, 국어 화자는 대명사의 빈번한 사용에 상당한 거북함 혹은 어색함을 느낀다. 국어의 인칭 대명사는 주의를 환기시킬 경우나 애매한 경우가 아니면, 흔히 외형적으로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프랑스어와 영어는 절마다 주어를 가져야 하지만 국어에서는, 극단적인 경우 한 문단 안에 주어가 하나 있으면 충분할 때가 많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어에서는 형용사가 대명사를 수식하여 ‘아름다운 그녀’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지만, 프랑스어와 영어에서 형용사가 대명사를 직접 한정하는 ‘*jolie elle / lui’ 이나 ‘*pretty he / him’ 등은 불가능하다. 통사론 분야에서, 특히 생성문법에서, ‘그’를 서양어의 3인칭 대명사와 유사한 결속이론(Théorie du liage)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선행사와 공지시 관계를 통한 구조적 해석의 문제를 다루었으나, 통사론적 방법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제약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각 대명사가 독특하게 지니는 대우적 특질과 대명사의 지시성 외에 화용적 특성이나 문체상의 제한 등을 들 수 있고, 대명사에 국한되는 문제는 아니나 주어 혹은 목적어의 빈번한 생략 및 서양어의 일반적 특징인 관사의 부재 등이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각 상황에 따라 대명사의 출현이 제한되고 어떤 대명사는 그 위치에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어와 영어의 3인칭 대명사의 국어로의 번역을 중심으로 국어의 3인칭 대명사 ‘그’의 분포와 활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입말에서는 물론이고 글말에서도 사용되기 어려운 제약을 제시한 후, 국어가 지니고 있는 종합적인 특징 ...

      • KCI등재

        중세국어 3인칭 대명사의 존재와 기능 검증

        양영희 全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2004 용봉인문논총 Vol.33 No.-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the Third Person Pronoun in the Middle Age Korean Yang Young-Hee TIùs study defined ‘Jagya, Janae, and Jeo’ recognized reflexive pronouns as the third person pronoun and proved that the third person pronoun existed in the Middlle Age Korean, too. The logical process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tressed the referents of these pronouns are the third person. In this process, this study demonstrated ’reflexive pronouns' could not be equal to 'personal pronouns'. In other words, ’reflexiveness’ of ’the reflexive pronoun' is naturally accompanied when’ the third (second) person pronoun' refers to the subject of a sentence, so it can be regarded as a usage of the personal pronoun, not an equal gramrnatical category with the personal pronoun. From this context, the author carne to present an equality of ’the reflexive pronoun : the third person pronoun = part : whole.'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functions of the third person pronoun in the Middle Age Korean into ’reference of the third person,' 'reflexiveness,’ and ’the degree of the honorific.' ’Reference of the third person‘means that in the sentential context(discourse) including a sentence, or in the conceptual context, ’Jagya, Janae, and Jeo’ refer to the third person pronoun, ‘reflexiveness’ means their function of referring to only the third person subject of a sentence, and ‘the degree of the honorific’ indicates that they judge the degree of the honorific of the referent and select the pronoun. ’Reference of the third person‘ and ’reflexiveness’ are their common function and ‘the degree of the honorific’ is a unique function. If this argument has a point, the personal pronoun of the Middle Age Korean is estirnated to be more secure system than expected. It is considered more reasonable that it is understood as the system of ’the first ․ second ․ third person pronoun' than that of ’the first ․ second person pronoun, the reflexive pronoun.' It is because it is unreasonable that the pronoun referring to the third person didn't exist in the Middle Age Korean, however different it is from present-day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