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国語学」と「日本語学」について

        齊藤明美(사이토아케미)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3 No.-

        일본에 있어서 1944년 봄에 결성된 「국어학회」가 60해를 맞이한 2004년 1월1일에 「일본어학회」라고 명칭을 바꾸었다. 또 「국어학회」설립 후, 조금 뒤인 1948년 10월에는 「국어학회」의 기관지로 『국어학』이 간행되었고, 이것은 통권 220호 (2005년 1월)부터는 『일본어의 연구』라는 이름으로 간행되고 있다. 학회명을 「국어학회」에서 「일본어학회」로 변경하고, 학회지명을 『국어학』에서 『일본어의 연구』로 변경한 것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그 논의를 통하여 일본에 있어서, 일본어 연구의 실상과 문제점이 밝혀짐과 동시에, 현대 일본에 있어서 「국어학」과 「일본어학」이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가 밝혀졌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일본에 있어서 「국어학」과 「일본어학」이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와 개념에 대해서, 그리고 국어학회의 결성 및 학회명 변경에 따라 행해진 논의를 중심으로 언급한 것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 냉전과 군 ‘위안소’의 연쇄

        임우경(Im, WooKy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22 일본문화연구 Vol.- No.81

        본 논문은 전후 일본, 한국, 대만에서 잇달아 설립됐던 군 위안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2차 대전 후 유독 동아시아에서 성매매근절이라는 국제적 흐름을 거스르는 군대 성매매업소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맥락을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동아시아 군 ‘위안소’의 연쇄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소’ 제도의 부활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본의 패망 이후에도 철저한 일제 청산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더 중요한 원인은 전후 동아시아 냉전질서 구축과정에서 찾아볼수 있다.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 중국의 국공내전과 국민당의 대만 패퇴 등 한반도와 중국 양안의 분단 및 전쟁이야말로 전후 동아시아 군 위안소의 연쇄를 발생시킨 가장 직접적인 배경이었다. 일본군 ‘위안소’는 전후 일본의 미군 특수위안시설협회로, 한국의 한국군특수위안대와 연합군위안소로, 대만의 국군특약다실로, 그리고 아시아 각지의 미군기지촌으로 부활했다. 그렇게 보면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 편으로 군 위안소 연쇄의 역사였다고 할 만하다. 군 위안소 연쇄의 역사는 동아시아에서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 전쟁이 전후로도 이어졌다는 것, 즉 서구에서 ‘긴 평화의 시대’로 일컫는 냉전시대에도 전쟁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다. 아직도 오키나와나 한국 등에 남아 있는 기지촌은 그 전쟁이 21세기에 들어선 지금까지도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것이 일본군 ‘위안소’ 문제를 어느 일국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라는 지역적 차원에서, 그리고 식민주의 문제만이 아니라 냉전의 문제로도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This paper briefly examined the series of contexts in which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did not disappear and revived even after the war.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center” was revived as Japan"s US military special comfort facility association after the war, Korea"s Korean military special comfort zone and allied comfort center, Taiwan"s military special contract tea room, and U.S. military base villages in various parts of Asia.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as, on the one hand,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omfort center chain.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omfort center chain is a disproving that the war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colonial and imperialist wars in East Asia, that is, even in the Cold War era, referred to as the “era of long peace” in the West. Base villages that still remain in Okinawa and Korea show that the war has not ended until now in the 21st century. This is why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problem should be viewed as a historical problem at the regional level in East Asia, not at any one-national level.

      • KCI등재
      • KCI등재

        日本語教育における「正しい日本語」観の内実

        鄭京?(정경희)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일본어학습자의「일본어인생」이라는 라이프히스토리를 통해서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교육의 문제점과 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출발했다. 특히 본 논문은 5명중4명의 인터뷰에서 공통으로 부각된 「선택」에 주목해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일본어학습자가 이야기하는 「선택」의 실태로부터,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바른 일본어」관의 문제점이 밝혀졌다.「바른 일본어」관이란,「적절한 일본어」「자연스런 일본어」「일본인다운 일본어」등과같이 당연하다고 인식되어 있는「생각」으로, 그러한 「바른 일본어」관은, 일본사회와 일본어교육에 만연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바른 일본어」관의 문제점은 일본어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특히 「일본인다운 일본어」를 쓰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게 해, 그로인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자신이 없어서 말하지 못하고, 고민하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일본인의 일본어」, 「외국인의 일본어」라고 하는 대립적인 생각을 극복하고, 「자신의 일본어」라고 하는 개념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하프, 또 하나의 일본인론 - 현대 일본 인종주의의 ‘전후적’ 기원 -

        박이진(Lee jin, Park)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7

        본고는 일본인론과 함께 등장한 하프 담론에 주목하여 현대 일본사회의 인종주의적 특징과 그 굴절 과정을 규명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1952년 ‘혼혈아논쟁’ 이후 등장한 혼혈아문제가 정부정책에 의해 외부화되는 프로세스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혼혈아문제의 종언에 이어 유행한 하프 담론이 일본인론의 전제가 되는 단일민족론을 지지하는 또 다른 일본인론으로 기능하였음을 살펴보았다. 하프 담론이 또 다른 일본인론의 기능을 하고 나아가 인종주의적 계층화로까지 확대되는 구도는 혼혈아에 대한 정부정책이 시작된 시점부터 내재되어있던 문제였다. 현대 일본인종주의의 ‘전후적’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정부정책이 종언되며 혼혈아문제가 더 이상 사회문제화 되지 않게 되었지만 1960년대 중후반에 단일민족 신화 위에서 활기를 띠게 된 일본인론은 엄연히 새로운 형태의 인종화전략이었다. 결국 혼혈아문제는 사회 표면적으로 비가시화되었을뿐 끝나지 않은 미해결의 상태로 오히려 심연 속으로 더욱 파고들어 일본적 인종주의와 결합되게 된 것이다. Focusing on the harp discourse that appeared with Nihonjinron(the theories of Japanese cultural or racial uniqueness),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racist characteristics of modern Japanese society and its refraction process. As a research method, the process of externalizing the mixed-race children problem, which emerged after the “mixed-race children debate” in 1952, was examined by government policy. It was also examined that the half-discourse, which began to become popular after the mixed-race child problem was over, functioned as another Nihonjinron that supported the monoethnic theory, which is the premise of Nihonjinron. The structure of the half-discourse functioning as another Nihonjinron and further expanding to racist stratification was a problem that was inher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government policy for mixed-race children. It can be said to be the “postwar” origin of racism in contemporary Japan. Although the government policy was ended and the mixed-race child problem no longer became a social issue, Nihonjinron, which became active on the myth of a single ethnic group in the mid- to late 1960s, was a distinctly new type of racialization strategy. In the end, the mixed-race child problem has become invisible on the surface of society, but it is unfinished and unsolved. Rather, it penetrates deeper into the abyss and is combined with Japanese racism.

      • KCI등재

        식민지 일본인의 문화 혼종 극복의 장으로서 『관광조선』

        서기재(Seo, Gi Jae)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한국 최초 관광잡지인 『관광조선』을 출간한 재조일본인의 출간 의도와 동시기 발간된 『모던일본 조선판』의 관련성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관광조선』은 식민지 시기 말기 조선 여행에 대한 문화적 요소를 종합하여 담은 잡지이다. 재조일본인들은 그전 수많은 조선 여행안내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담은 『관광조선』을 출간한 것이다. 이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본 연구가 주목하는 것은 같은 해 일본에서 발간된 대중잡지 『모던일본 조선판』이다. 양 잡지는 형식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면에 있어서도 동일 인물들의 글이 각각 다른 형태로 게재되어 있다. 양 잡지는 ‘조선’과 ‘여행’을 중심축에 두고 서로 보완적 성격을 띠며 각자의 색을 드러내고 있다. 식민지 말기 재조일본인은 거리적, 심정적으로 열도 일본과 멀어지고 있다고 느끼는 가운데, 일본 대중이 향유했던 잡지의 형식과 내용을 공유하는 형태로 ‘조선’을 부각시키고, 조선에 있는 ‘일본인’을 부각시키는 작업을 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조선에 대한 재인식의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purpose of Tour Joseon, the first travel magazine in Korea, published by people of Japanese origin residing in Korea. Its relationship with the contemporary magazine, Modern Japan Korean edition, is also examined. The magazine Tour Joseon was published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and contained information about Korean tourism and culture. Many previously existing tour guides on Korea had been published, yet Tour Joseon had a new form and content. To explain the novel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magazine, this study will review Modern Japan, a popular magazine in Japan printed during the same year that Tour Joseon was established. Both magazines share structural similarities and contain many articles written by the same writers, who contributed to both magazines.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had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distanced themselves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by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These settlers aimed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ulture of mainland Korea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publishing a magazine that people of Japanese origin would enjoy. In this study, we will discover their process of understanding Korea through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magazine.

      • KCI등재

        戰後の日本語育における政策の變遷 -政策文書の分析を通して-

        타나가리나 동아시아일본학회 2006 일본문화연구 Vol.19 No.-

        전후의 일본어 교육은 일반적으로 「국제교류를 위한 일본어 교육」, 「경제협력을 위한 일본어 교육」이라고 일컬어지는 것이 많다. 그렇지만, 전후의 일본어 교육에도, 전쟁 전과 같이, 「일본어」와 「일본 문화」, 「일본」, 「일본인」 등의 정보를 고의로 연결시켜 철저히 가르치려고 하는 「동화」적인 측면에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그렇지만, 일본어 교육 관계자에 의한 연구는 여전히, 문법이나 어휘, 또, 그러한 습득 과정에 주목한 연구가 주류이며, 이 점에 있어서의 논의가 충분히 실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후부터 오늘까지의 정책 문서(국제 교류에 관한 간담회, 대외 경제협력 심의회, 중앙 교육 심의회, 동남아시아 유학생 간담회, 21 세기에의 유학생 정책 간담회, 일본어 교육 추진 대책 조사회 등)를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일본어 교육과 관련이 있는 정책의 변천과 그 변천 안에서, 일본어 교육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해 왔는지, 또, 일본어 학습자는 어떠한 역할에 있었는지를 분명히 하고자 했다. 분석의 결과, 전후 초기의 1950년대에, 일본어 교육은, 제2차 세계대전 시에 생긴 「일본」, 「일본 문화」, 「일본인」에 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시키고, 「오해」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려져, 유학생은 국가간의 「중개역」으로서 자리매김 되어졌다. 또, 1960~1970년대 말의 시기에는, 「일본어」의 학습에는 「일본」, 「일본 문화」, 「일본인」에 대하 올바른 이해가 필요요건으로 밝혀져 유학생은 그 「수용자」로 여겨졌다. 게다가 1980년대 이후는, 일본 사회를 활성화 시키는 「교류자」로서 자리 매김되었다. 그리고 거기에 관련되어 있는 것이 일본어 교육이라고 평가되었다. 향후는 이러한 정책의 변천이 어떠한 요인으로부터 기인하는지를, 당시의 사회 상황 등의 더 넓은 문맥과 대조해 밝혀 가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