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 신경망을 이용한 인식단위 결합 기반의 인쇄체 문자인식

        임길택,김호연,남윤석,Lim, Kil-Taek,Kim, Ho-Yon,Nam, Yun-Se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0 No.7

        본 논문에서는 다중 신경망을 이용한 인식단위 결합 기반의 인쇄체 문자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문자영상은 한글 문자 형식 6가지와 한글 이외의 기타 문자 형식의 전체 7가지 형식으로 분류되어 인식된다. 한글 문자는 2단계의 MLP 신경망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다. 첫째 단계에서는 한글 문자를 자소의 조합 형태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인식단위로 나누고, 각 인식단위에서 추출된 방향각도 특징 벡터를 입력으로 하는 MLP 신경망으로 1차 인식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첫째 단계의 인식단위별 MLP 신경망 인식기의 인식양상 특징을 추출하고 다른 MLP 신경망에 입력하여 최종 한글 문자인식을 한다. 한글 이외의 기타 문자의 인식을 위해서는 단일 MLP 신경망을 사용한다. 인식 실험에서는 실제 우편물 50,000통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문자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는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cognition method of machine printed character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recognition units using multiple neural networks. In our recognition method, the input character is classified into one of 7 character types among which the first 6 types are for Hangul character and the last type is for non-Hangul characters. Hangul characters are recognized by several MLP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s through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we divide Hangul character image into two or three recognition units (HRU : Hangul recognition uni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fashion of graphemes. Each recognition unit composed of one or two graphemes is recognized by an MLP neural network with an input feature vector of pixel direction angles. In the second stage, the recognition aspect features of the HRU MLP recognizers in the first stage are extracted and forwarded to a subsequent MLP by which final recognition result is obtained. For the recognition of non-Hangul characters, a single MLP is employed. The recognition experiments had been performed on the character image database collected from 50,000 real letter envelope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 KCI등재

        통시적인 인식적 의무와 인식적 추구

        이주한(Joohan L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9 No.-

        인식적 의무는 전통적으로 믿음에 귀속되어 믿음을 규제하는 종류의 의무로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인식적 의무에 대한 이러한 전통적 견해는 믿음이 수의적이지 않다는 견해와 결합되어 역설을 낳는다는 비판에 직면한다. 본 논문은 이 역설 문제에 관한 하나의 대안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공시적인 인식적 의무의 행위 귀속을 근거로 이 역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던 기존의 대안 하나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노선에서 통시적인 인식적 의무 역시 그 담지자로서 믿음 대신 행위가 고려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논의에 따르면, 통시적인 인식적 의무는 어떻게 정식화되든 기본적으로 인식적 목표 달성을 위한 도구적 행위, 즉 인식적 추구 행위에 귀속되는 의무임이 드러날 것이다. 다음으로, 통시적인 인식적 의무의 행위 귀속성에 대하여 제기될 수 있는 주요한 반론 두 가지를 검토한다. 그 하나는 믿음은 간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통시적인 인식적 의무는 여전히 믿음에 귀속될 수 있다는 생각에 근거하고, 다른 하나는 인식적 추구 행위는 인식적 목표 달성을 위해 불충분하기 때문에 이를 촉구하는 의무는 인식적인 종류의 의무로 간주될 수 없다는 생각에 근거한다. 그러나 각각의 반론이 설득력을 갖지 않음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시적인 인식적 의무의 행위 귀속성을 토대로 인식적 의무주의 역설이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논의된다. Epistemic Duty has traditionally been understood as pertaining to belief and thus as governing and guiding it. This understanding, however, when combined with the idea that beliefs are not under our voluntary control, has been faced with the criticism that it generates a paradox. I aim to provide a solution for the paradox in this article. To this aim, I, first, review an attempted solution, which characterizes synchronic epistemic duty as pertaining to act and use this characteristic as a vital part of the solution. And then, in a similar vein, I characterize diachronic epistemic duty as pertaining to act in an attempt to provide another solution. Thus, from the discussion, it is revealed that diachronic epistemic duty, however it is articulated, pertains basically to instrumental acts for an epistemic aim, that is, to acts of epistemic pursuit. Then, I address two important issues that can be offered against the idea of diachronic epistemic duty’s pertaining to act. The first one concerns the thought that diachronic epistemic duty still pertains to belief, because belief can be controlled indirectly by instrumental acts. The second one has to do with the criticism that the diachronic duty at issue cannot be regarded as an epistemic kind, because the duty is not truth-conducive. It turns out that neither of them are convincing enough. Finally, I show how the idea of diachronic epistemic duty’s pertaining to act can be used for a solution to the paradox, with which I beg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조선 유학자들의 서예인식에 관한 연구

        장지훈(Jang, Ji-hoon)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본고는 조선 유학자들의 학문성향과 서예인식의 관련성을 조명한 글이다. 즉, 학문사상적 관점에 따른 서예본질에 대한 이해와,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지향하는 서예심미관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조선의 道學者는 서예를 理氣心性論과 연계지어 이해한다. 퇴계 이황은 성리학적 심성론에 기인하여 궁극적으로 ‘敬’의 자세로 일관하면서 유가의 도통관인 心法을 서예의 본질로 상정했다. 우암 송시열 또한 서예의 心法을 본질로 삼으면서도, 心法을 구현하는 심미관을 ‘直’에 두었다. 도학자들은 대체로 서예는 心法의 구현임을 인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人正則書正의 윤리적 서예관을 형성하였다. 조선의 實學者는 서예를 우주론적 관점에서 易理的으로 이해하거나, 사실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自得, 實心, 眞등과 연계지어 인식한다. 옥동 이서 는 퇴계의 서예관을 계승하면서도 서예의 본질을 『周易』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적으로 접근한다. 이계 홍양호는 貴古淺今의 사유에서 벗어나 易理로써 서예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善變을 도모한다. 박지원 또한 變易의 사고를 바탕으로 서예는 習俗을 벗어나 자기만의 새로운 형식과 감성의 표현임을 인식했다. 다산 정약용은 서화에 있어서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관념적 풍조를 병폐로 여기고, 원형에 대한 사실적인 표현과 시대정신을 담아낼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실학자들의 서예인식은 기존의 理중심적 심미관에서 氣중심적 심미관으로 전향된 것이라 하겠다. 조선의 陽明學者는 학문의 근원을 良知에 두고, 서예에서 주체적인 心의 발현을 강조한다. 원교 이광사는 기존의 도덕적 心法에서 벗어나, 서예란 자기진정의 眞法을 구현하는 것임을 천명했다. 한편 老莊的사유를 견지한 창암 이삼만은 서예란 모든 法의 극치를 넘은 無法의 단계, 즉 自得의 절대자유 경지를 지향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양명심학·노장적 사유는 기존에 지배적이었던 윤리적 서예인식에서 이미 벗어나 眞情主義심미관을 지향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조선 유학자들은 학문사상과 서예를 연계지어 이해함으로써 서예의 윤리성·예술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피력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의 서예가 획일화되지 않고 다양한 인식과 심미관을 전개해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illuminates the relevance of the academic propensity of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the recognition of calligraphy. In other words, I understood what the calligraphic essence of the calligraphic viewpoint is and the calligraphic aesthetics of the calligraphy based on that perception.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understand calligraphy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y of mind and mind. Due to the neo-philosophical theory, Toegye Lee Hwang has assumed the essence of calligraphy, which is the conduit of Yuga, which is ultimately consistent with the attitude of “respect”. Wuam Song Cheol also puts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its essence, while putting the aesthetics that embody the essence into a ‘straight’. The doctors generally recognized that calligraphy was the embodiment of the law of mind, and as a result, they formed the ethical calligraphy of the people’s righteous sentence. The practitioners of Joseon recognize calligraphy from a cosmological point of view as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r in connection with self-interest, essence, and truth based on realistic spirit. Although Okdong Isa succeeded the calligrapher of Toegye, he approaches the essence of calligraphy in a metaphysical way in terms of 『周易』. Leegye Hong Yang-ho is abl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alligraphy as a reason for deviating from the thought of the present. Park Ji-won also recognized that calligraphy is a new form of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the thought of mutation. Dasan Jung Yak-yong emphasizes overly idealistic and ideological trends in the paintings as a sickness and a realistic expression of the original and the spirit of the times. The calligraphers’ perception of calligraphy has been shifted from the existing science-centered aesthetics to the energy-centered aesthetics. The Yangmyung scholar of Joseon places the source of learning in good conscience and emphasizes the manifestation of subjective mind in calligraphy. Lee Kwang-sa stated that calligraphy is a realization of the true law of self-calmness. On the other hand, Chanam Lee Sam-man, who maintained the old-fashioned reason, regarded the calligraphy as the absolute level of selflessness which is beyond the extreme of all laws. Such a bilingual study. It is said that the tentative reason is to deviate already from the prevailing ethical calligraphy recognition and to aim for the emotionalism aesthetic. In this way, Joseon Confucian scholars can understand the ethics of calligraphy by linking academic thought and calligraphy. Expressed various views of artist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Korean calligraphers have not developed uniformity but developed various perceptions and aesthetics.

      • KCI등재

        일반논문 : 상대경계의식(商代境界意識)과 경계(境界)의 출입(出入)

        송진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용봉인문논총 Vol.43 No.-

        지리상에 형성된 정치적 경계는 해당 시기 공간인식이나 공간지배의 성격을 반영하며, 경계 출입의 관리는 실제적인 공간지배의 원리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특히 경계를 출입하는 사람의 이동은 서로 다른 세계를 넘나드는 행위로서, 경계를 출입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와 그 형식은 한 사회에 존재하는 他界와 ‘他者’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본고는 영역국가 등장 이전 中國古代공간인식과 공간지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商代경계인식과 경계를 출입하는 사람의 이동 문제를 검토한 연구이다. 商代정치적 중심지는 특정 지역에 정착되지 않았다. 그렇다고 商王이 일정한 구역을 자신의 근거지로 삼아 중시하는 인식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갑골문에 왕이나 왕실에 속한 사람이 商邑을 출입할 때 그 시기·장소 등 출입에 관한 세부 사항을 신의 뜻에 따라 결정하였던 이유는 조상신의 보호가 있는 내부 공간을 벗어날 때 생기는 두려움을 극복하고 외부에서 부정한 요소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야 했기 때문이었다. 갑골문에 보이는 商代國의 경계는 조상신과 교통하는 신령한 공간인 종묘-궁전의 출입문과, 水와 같이 조상신의 가호가 미치는 商邑의 외연으로 구분되며, 모두 신의 교통이나 가호를 기준으로 형성된 관념상의 경계였다. 외부 세계에 대한 경계의식으로 인해 商代사람들은 외부의 부정한 요소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외부인 혹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대상에 대해 일종의 정화의식을 행하였다. 商王이 귀환하기 전이나 빈객이 종묘를 방문했을 때 饗을 행하였던 것은 외부에서 온 사람들이 성소나 성역에서 조상신을 대면하기 위해 정화의 절차가 필요하였기 때문이었다. 賓客에 대해 술을 사용한 饗을 행하는 의식은 조상신이 임하는 종묘나 조상신의 가호가 미치는 商邑을 출입하기 위한 일종의 통과의례에 해당하였다. 요컨대 商代공간지배는 궁묘를 중심으로 형성된 주술적 권위에 근거하였고, 주술적 지배의 한계로 인식되었던 경계를 출입하기 위해서는 饗과 같은 통과의례가 필요하였다. 地理上形成的政治境界反映了有關時期的空間認識或者空間支配性格,而境界的出入管理則是可以確認實際空間認識、空間支配原理的重要線索。尤其是,由於人員出入境界的移動是進出互不相同世界的行爲,出入境界所需要的程序和形式反映出壹個社會對其他地區和“他者”的認識。從這點來看,本文爲了確認戰國時代以前的中國古代空間認識和空間支配性格,以商代境界認識和出入人員的移動問題爲分析對象,進行考察。商代宗廟和宮殿位於都城的中心,這些宗廟和宮殿是政治上的核心空間。宗廟和宮殿是祖神和氏族共同體通過占蔔和祭祀進行交通的神聖空間,同時也是國家大事的政治中心地。甲骨文上所見的“大邑”、“天邑商”、“商”是位於四方·四土中的地區,實際上就意味著商王的政治中心地。尤其是,因爲在宗廟裡進行的祖神交通能得到加護,有宗廟的商邑是得以避免災禍的安全空間,同時被認識爲是壹種흔神聖的空間。根據甲骨文的記載,商王隨時移動管理服從商邑或同盟的成員。不屬於商王室的成員也通過貢納或朝見訪問商邑。商王出入商邑的時候,仔細地推算移動日期和場所,確認吉兇與否,出入商邑的其他成員亦同。商王出入商邑也屬於占蔔對象的原因是商邑位於神的影響力之下,而不是受商王影響。商邑郊外被認爲是每個不同的神所掌管的空間,包括商王在內,人員從外地進來的時候,爲防止不吉利的要素進入內部,這些可以通過占蔔來抉定。這點意味著商人認識宗廟和商邑的邊緣是壹種境界。根據甲骨文的記載,接賓程序上所見的共同點就是對主賓的饗。饗是壹種對外部人或者從外部進來的人員進行的淨化儀式。商代的饗,像進行宗廟儀禮之前的齋戒程序壹洋,具有用喝酒來除掉不淨的意思。就像商王在儀式擧行之前進行관禮齋戒壹洋,賓客門也在訪問宗廟以後進行了饗。因爲商代的空間支配根據於以宮廟爲中心形成的呪術權威,在出入被呪術支配限界的境界時,壹定要通過儀禮而行之。

      • KCI등재

        대승기신론소ㆍ별기에 나타난 인식론의 유아교육적 의미 연구Ⅱ

        권은주(Kwon, Eun-Joo),신양재(Shin, Yang-Ja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3

        본 연구는 『대승기신론소?별기』를 인식론적 관점에서 인식 과정과 원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이 갖는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았다. 우선 『대승기신론소?별기』에 나타난 인식 과정은 삼세육추(三細六?)의 9상(相)의 선험적 형식으로 전개되는데, 아라야 식의 삼세(業相, 轉相, 現相)과정에서 인식주관과 객관이 분화되고 육추(智相, 相續相, 執取相, 計名字相, 起業相, 業繫苦相)과정으로 전변하여 인식을 낸다. 그리고 인식은 분별성(分別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 원리로 구성된다. 즉 인식은 나와 나의 주변 대상에 대해 호오의 분별로 분화되어가고, 자기의 내인(因)만으로는 생기기 어렵고 반드시 다른 외적 계기(緣)를 조건으로 하여 전개된다고 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삼세육추의 인식 형식은 소통가능한 공통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유아교육사태에서 지식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식구성에 있어서 자아의 주관성, 호?오?고?락의 감정수반, 몸을 통한 체험, 훈습, 그리고 외연으로서 교육과 교사 등의 유아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aeseung Kieshin non So Byelkie. The analysis on this Buddhist literature is focused on the process and the principles of knowing.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process of knowing is three unconscious phases and six conscious phases of the transformation of mind. In three unconscious phases, mind functions as condition of the appearance of phenomenon and triggers cognitive process. In six conscious phases, the mind works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introspection and evolves cognitive processes as a consequence of experiences. Then, by the process of impressions, perceptions, naming, and volitions, knowledges on self and objects are constructed in mind. Also, the principles of knowing are differentiation and dependent origination.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works by feelings of pleasures and pains. The principle of dependent origination forms concepts the way that something exists only in and through dependence on another thing. The implica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at without learner"s subjectivity, there can be no knowing objects. Thus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consider important preschoolers" subjectivity, feeling such pains or pleasure, physical experiences, perceptual context of learning, and teacher as outer efficacy.

      • KCI등재

        ‘교육인식론’의 성립조건에 관한 탐구

        이상오(Lee, Sang-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전통학문으로서의 철학의 위기는 ‘인식론’의 위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왜냐하면 철학의 역사는 인식론의 역사와 함께 하여 왔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교육철학의 위기역시 교육인식론의 위기와 다르지 않다. 지금까지 교육철학은 ‘철학적 인식론’ 내지 ‘전통적 인식론’의 범주하에서 연구결과들을 축적시켜 왔다. 그러나 ‘교육인식론’이란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 즉 ‘교육인식론’의 가능성에 대해서 - 명확한 이해를 얻기는 여전히 불안하다. 따라서 만약 우리가 교육인식론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교육인식론의 성립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는것이 순서일 것이다. 철학적 인식론은 '지식에 관한 이론'(the theory of knowledge)이다. 이런맥락에서 본다면, 교육인식론은 ‘지식교육’에 관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학은 이론학이면서 동시에 실천학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교육학은 교육실천과의 교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이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육인식론의 성립조건은, 첫째, 지식은 속성상 변증법적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며, 둘째, 따라서 지식교육은 일방적 지식전달이 아니라 대화, 토론, 담론 등 의사소통의 과정을 통해서 가능한 ‘반성적 지식의 교육’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런 조건의 충족을 통하여 교육인식론의 윤곽도 서서히 드러날 것이다 The crisis of philosophy as a traditional science depends on the crisis of the epistemology. The reason is that philosophy has been developed with the epistemology historically. In this aspect, the crisis of educational philosophy may not be different from the crisis of educational epistemology. So far, educational philosophy has also accumulated the researches under the category of philosophical or traditional epistemology. Hence, educational philosophy is to be restored through the formation of philosophical or educational epistemology. However, it is uncertain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 the scientific identity of educational epistemology - with the outputs of preceding research.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tudy the formative condition of educational epistemology first of all, if we would talk about what educational epistemology is. Epistemology is the theory of knowledge. So, educational epistemology should deal with the theory of knowledge education as the theme. As a result, the potential of 'genuine' knowledge education may be revealed if the formative condition of educational epistemology is to be clear. In short, the formative conditions of educational epistemology are as follows: 1) to recognize that knowledge is being formed through the dialectic process essentially, 2) to understand the methodic problem in knowledge education. Neither knowledge-delivery-education nor cramming education, but the forms of dialogue, discussion and feedback (critic, reflection) being actualized in the intermediation of knowledge are very proper methods of genuine knowledge education to realize educational epistemology, which leads to education of reflective knowledge. This logic depends on the concepts of 'epistemological errors' and 'epistemological reflec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생의 진로 인식에 대한 연구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4

        이 연구는 진로 인식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의 진로인식과 관련변인 등을 측정하여, 초등학교 진로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 정도를 측정하고, 그것과 관련된 변인들과 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충남에 소재하는 시, 군에 재학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664명(남학생 333명, 여학생 331)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 분석, t검증, 변량분석, 상관분석 등의 통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의 진로 인식 수준이 남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이 높은 집단이 학년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신의 성적이 상위권이라고 인식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광역시에 소재하는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시·군 지역에 다니는 학생에 비해 진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 집의 경제적 수준이 상이라고 생각하는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집의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의 자기 진로 인식 수준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의 학력이 높은 학생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진로인식이 성별이나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의하여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에서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시, 군 단위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에 대한 진로교육을 강화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부모의 학력이나 자신의 학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학생들에게 자신의 진로에 대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진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gender, socioeconomic family environment, academic achievement, school grades, place of schools, dual-career families, parents' academic background, school area, in an effort to lead their career awareness in the right direction. Career Awareness Scale was made of 1) self-assessment 2) job awareness 3) career preparation 4)occupational preferences. The questionnaire has been answered by 664 students in 4th, 5th, 6th grades in Daejeon and Chongnam.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female students had more career awareness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higher the students on higher grades status the higher score obtained on scale of the career awareness inventory. Third, the highe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tatus the higher score obtained on scale of the career awareness inventory. Fourth, students who lived in metropolitan area, had more career than those lived in city or county. Fifth, it is not an essential factor to influence students' career awareness whether dual-career families or not. Sixth, the higher the student‘s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score obtained on scale of the career awareness inventory. Seventh, the students whose parents are high-educated are shown higher career awareness than ones whose parents are low-educated. Teachers should develop special programs for career awareness and apply them at educational fields.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choose future careers for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and for schools and parents to guide them appropriat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way to use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Path analysis'.

      • KCI등재

        인식의 매체성과 인식의 해석학: 카시러 문화철학의 매체이론적 재구성

        노영환,최성환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8

        ‘철학적 문제로서의 인식’은 고대 그리스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철학의 핵심적인 주제 중의 하나였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인식’이라는 주제는 유럽의 현대철학에서 확고한 지위를 상실한 것처럼 보인다. 한편으로 세계에 대한 참된 인식을 제공해주는 방법론적 학문의 위상은 물리학으로 대표되는 자연과학의 영역들로 이전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인식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물음은 인식론의 한계를 비판 및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현상학, 해석학과 같은 분과 영역들에 포섭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로부터 인식 그 자체에 대한 물음을 포기하는 결말로 나아가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인식이 삶, 세계, 그리고 사회를 인간과 잇는 근본적인 ‘매개항’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그것은 신화, 언어 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들의 복합적인 체계로 구성된 통일적인 활동, 즉 넓은 의미의 ‘인식함’(Erkennen)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카시러의 문화철학에서 드러나는 ‘인간인식의 매체이론적 전회’에 주목한다. 이 글은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인식론의 문화철학적 이행 및 구조적 확장’과 ‘상징적 매체를 통한 인간이해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먼저 첫 번째 부분에서는 카시러의 문화철학이 전통적인 인식론을 비판하고, 이로부터 인식원리의 구조적 확장을 성취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데카르트로 대변되는 근대 인식론에서 출발해 칸트의 인식비판을 거쳐, 문화비판으로 나아가는 카시러의 문화철학적 이행을 추적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인식론의 기본적인 구조와 핵심개념들의 구도가 카시러의 문화철학에서 이해개념과 함께 어떻게 확장하는지 조망한다. 그러나 그의 문화철학이 수행하는 인간인식의 매체이론적 전회는 인식론의 구조적 확장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이 글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문화철학적 확장을 기본적인 출발점에서부터 폭넓게 조명하고자 시도된다. 구체적으로 이 확장은 ‘인간성’(Humanität)을 새롭게 규정하는 ‘인간학적 전회’에서 출발하여, 인간이해의 본질적인 특징인 ‘매체성’(Medialität)에 주목한다. 그 다음에는 이러한 전회를 통해 드러나는 매체적 인간이해의 두 특징인 ‘근본적인 의미성’과 ‘자유의 문제’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인식론의 ‘핵심개념들’이 어떤 구도 위에서 새롭게 재편되는지 다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카시러의 문화철학에서 드러나는 인간인식의 매체이론적 전회가 인식의 문제를 인간이해라는 ’문화적 사태‘ 속에서 탐구하려는 시도임을 밝힌다. 그 결과, ’인식‘의 문제는 문화적 사태로 드러나는 다양한 근원현상들과 그것들의 상징적 본성을 해석(Auslegung)하는 ’인식의 해석학’(Hermeneutik der Erkenntnis)의 문제로 새롭게 변형된다. “Knowledge as a philosophical problem” has been one of the core themes of philosophy since ancient Greece, but knowledge seems to have lost its central position in contemporary European philosophy. On the one hand, the status of methodological scholarship that provides true knowledge about the world has been transferred to the sciences, as in physics, while on the other,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are embraced by branches of philosophy, such as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that emerged to criticize and overcome the limits of modern epistemology. However, we should not relinquish the question of knowledge itself; If knowledge functions as an “intermediate dimension” that connects humans with life, the world, and society, it rests on the complex system of various media, including mythos, language, and technique, etc. that is “knowing”(Erkennen) in a broad sense. Starting here, this paper aims at the medium-theoretical turn of human knowledge which is disclosed in E. Cassirer’s philosophy of culture.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cultural philosophical transition of epistemology and its structural expansion and human understanding through symbolic media. The first part will examine how Cassirer’s philosophy of culture criticizes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accomplishes structural expansion of the principles of knowledge by tracing his philosophical transition from modern epistemology represented by Descartes to Kant’s critique. Through this, how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the composition of its core concepts are expanded with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will be viewed via Cassirer’s philosophy of culture. However, the medium-theoretical turn of knowledge that Cassirer outlines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al expansion of epistemology, and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provides a broader overview from the starting point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humanistic turn” is discussed through a new definition of “humanity” (Humanität) which focuses on “mediality” (Medialität),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human understanding. Next, it deals with essential meaningfulness and the problem of freedom as two key elements of mediated understanding, before finally consider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re concepts of traditional epistemology can be reorganized.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medium-theoretical turn of human knowledge revealed in Cassirer’s philosophy of culture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roblem of knowledge in the cultural facts of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the problem of knowledge is newly transformed into a problem of hermeneutics which interprets (auslegen) cultural facts as primary phenomena and their symbolic nature.

      • KCI등재

        인식론적 수반과 자연화된 인식론

        이종왕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어떻게 믿음이 참이 되기 위해서 정당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기여를 어떻게 인식론적 용어들이나 속성들이 이 세계에 닻을 내리고 있는가에 대한 논점을 심도 있게 검토하면서 달성하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장은 인식론적 정당화의 어떤 이론과도 중립적인 위치를 차지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필자는 먼저 인식론적 속성들이 자연적인 속성들에 의해 결정되고 또는 그들 위에 의존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김재권에 의해서 확립되었던 수반(supervenience)개념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검토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인식론적 수반(epistemic supervenience)개념의 가능성을 도덕수반(moral supervenience)개념에 대한 김의 기술적인 논변을 이 인식론적 수반이란 개념에 응용함으로써 발전시키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서 필자가 의지해서 보이고자 하는 하나의 개념은 바로 자연적 속성들이 인식론적 속성들을 비대칭적으로(asymmetrically)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참의존(genuine dependency) 개념이며 이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개념은 저명한 철학자인 폴란드에 의해서 구성되었다. 이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필자는 용어 "정당화된(justified)"을 분석하면서 검토할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 필자는 도덕적인 속성들의 경우처럼 이 "정당화된" 더 나아가서 인식론적 속성들이 사실/가치의 간극(fact-value gap)의 문제에 연루되어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바로 평가적인 속성들(evaluative properties)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인식론적 속성들과 도덕적인 속성들 사이에 유추관계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 두 부분에서는 주로 인식론적 수반개념을 확립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그래서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인식론적 수반의 경우가 가치론(value theory)에서 문제가 되는 수반의 경우와 유사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인식론적 속성들이 자연적인 속성들에 강하게 수반한다는 것을 김의 도덕수반에 대한 기술적인 논의를 응용하면서 주장할 것이다. 그렇게 한 후 필자는 만약 인식론적인 것들과 자연적인 것들 사이에 참의존 관계가 존재한다면 이것이 바로 자연화된 인식론(naturlaized epistemology)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라 주장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or in what way beliefs must be justified in order for them to be true; the understanding of how epistemic terms or properties are anchored in the world is examined. Hence the claim of this paper is neutral with respect to any doctrine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particular, in claiming that epistemic properties are determined by, or dependent upon, natural properties,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espoused by Jaegwon Kim is presented and examined. Furthermore,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concerning epistemic superveninece is develped, by applying Kim's technical claim about moral supervenience to the possibility of spistemic supervenience, in a way that shows that natural properties strongly and asymmetrically determine epistemic properties. This paper consists of four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 examine the term "justified" by analyzing it. In the second section, I claim that, like the case of ethical properties, the term "justified," and furthermore, epistemic properties, are committed to the matter of fact-value gap because they are evaluative properties; in so doing, it is claimed that there is an analogy between epistemic properties and moral properties. In the final two sections, I concentrate on the concept of epistemic supervenience: In the third section, I hold that the case of supervenience is analogous to the case of supervenience in value theory, and, in the final section, after claiming that epistemic properties strongly supervene on natural properties by applying Kim's technical claim about moral supervenience to epistemic supervenience, I argue that, if the so called genuine dependency exists between the epistemic and the natural, then it is possible that it vindicates naturalized epistemology.

      • KCI등재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배성숙,장석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1

        최근 심화되고 있는 청년실업의 여파로 정부, 기업, 대학 등의 관계기관은 청년실업 해소 및 일자리 창출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는 한정적이며, 장기간 경기침체에 따른 청년실업률 급등이 20년 전 일본의 상황과 유사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조직지원인식과 취업준비활동이 좋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3 GOMS 5,380부를 활용하였으며, 일본은 2016년 3월 대학생 대상 설문지 256부를 회수하여, 총 5,636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지원인식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과 일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영향관계는 한국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 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계열의 조절효과는 한국과 일본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지원이 대학생들의 좋은 일자리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복지향상과 교육만족을 위한 지원 및 지원제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취업준비활동과 좋은 일자리 인식은 한국과 일본의 사회구조나 복지 및 임금 등의 격차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한다면 청년층의 좋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도 변화될 것이다. Due to the recent deepening youth unemployment aftereffect, government, companies and universities seek a youth unemployment resolution method and jobs creating measures. But there are indications that the Good Job the university students prefer are limited and sudden rise of the youth unemployment rate mirrors the situation in Japan 20 years ago. Thus,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this research attempted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ffect their Awareness of Good Job. To achieve the goal, 2013 GOMS 5,380 copies provid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re used in the case of Korea and total 5,636 copies within 256 questionnaires targeted to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re used in the case of Japa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awareness of Good Job showed a positive influence both in Korea and Japan.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awareness of Good Job showed a meaningful effect in Korea whereas it showed no effect in Japa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awareness of Good Job,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major field of study didn’t show any effect either in Korea or Jap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it is verified that the support of univers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Good Job, it seems that universities need to intensify the support for the students’ welfare enhancement, education satisfaction and the structural support system. Second, the gap of attitude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awareness of Good Job between Korea and Japan occurred due to the levels of social structure, welfare and wage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if measures of policy to resolve the welfare and wage gaps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er enterprises are enacted, the awareness of younger generations to the Good Job will show a correspond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