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졸자의 취업목표 설정이 취업준비활동 및 공공기관 취업에 미치는 영향

        배성숙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2 기업경영리뷰 Vol.13 No.4

        In a situation where youth employment is deteriorating, the employment demands for public institutions of college graduat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setting-up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goals of college graduates on job preparation activities and employment in pub- lic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2019 Occupational Movement Path Survey (2018 GOMS) was used. At the time of the survey, 693 employed people in public institutions were verified utilizing SPS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etting-up employment goals, job preparation activities, and employment in public institu- 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etting-up employment goal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 teristics, pursuant to the types of universities and major fields demonstrates meaningful differences. Employ- ment prepar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etting-up employment goals demonstrated that the groups set-up employment goals have showed higher interest in license possession,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job experience while attending school, employment preparation-related activities. But the effect on 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in public institutions of setting-up employment goals was not verified. However, males,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people majored in ‘natural science-engineering-medicine’ showed higher probability of getting a job in a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addition, people who go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howed a meaningful effect on full-time employ- ment, but the people who got more work experience while attending in school showed more negative effect on full-time employment in public institution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etting-up employment goals 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was higher for males and for the ‘natural science-engineering- medicine’ major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career support of universities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major,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the group who set employment goals before college graduat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systematic career support plans for improving the employ- ment goal setting for college graduates were suggested. 청년 고용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대졸자의 공공기관 취업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졸자의 개인특성과 취업목표 설정이 취업준비활동 및 공공기관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9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8 GOMS)를 활용하였다. 조사 당시 공공기관의 취업자 693명을 대상으로, 취업목표 설정, 취업준비활동, 공공기관 취업의 차이를 SPSS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특성에 따른 취업목표 설정은 대학 유형과 전공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목표 설정에 따른 취업준비활동은 취업목표를 설정한 집단이 자격증 소지, 직업교육훈련 참여, 재학 중일 경험, 취업준비관련활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목표 설정이 공공기관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남성일수록, 수도권대학일수록, 자연공학의약계열일수록 공공기관 정규직 취업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직업교육훈련을 받은경우 정규직 취업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으나, 재학 중 일 경험이 많을수록 공공기관 정규직 취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업목표 설정이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일수록, 자연공학의약계열일수록 직장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의 진로지원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졸업전 취업목표를 설정한 집단의 직장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졸자의 취업목표 설정 제고를 위한 시사점과 체계적인 진로지원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채용선발 도구로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에 관한 비교 연구

        배성숙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8 기업경영리뷰 Vol.9 No.3

        Selection Aptitude Test and National Standard Vocational Ability Test are being used as the tools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enterprises to rule out the persons disqualified for a position as well as to secure the individuals fully qualified for a job. In the process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enterprises, through Selection Aptitude Test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Vocational Ability Test, can evaluate the personality, knowledge, skill, attitude, ect. of a candidate objectively and predict the organization-fit and job-fit of the person. As the enterprises set count on the results of Selection Aptitude Test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Vocational Ability Test in the stage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job-seekers also modifying job search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tools for getting a job. On the basis of these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s of enterprises that utilize the Selection Aptitude Test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Vocational Ability Test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how the evaluation tools are applied to the prediction of job performing abilities of a job-seeke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tried to apprehend procedural epitome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enterprises an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valuation questions and their application cases as well as by considering the precedent researches, tried to seek afte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s to provide assistance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the enterpri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referenc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study of employment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the tools of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enterprises.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부적격자를 배제하기 위한 채용선발 도구로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기업은 채용선발 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를 통해 지원자의 인성, 지식, 기술, 태도 등 자질과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조직적합성(organization-fit) 및 직무적합성(job-fit)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채용선발 단계에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의 결과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구직자 들도 취업을 위해 채용선발 도구에 맞춰 취업준비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채용선발 도구로 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가가 직무수행능력 예측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기업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채용선발에 대한 절차적 개요를 파악하고, 채용선발 도구로서 인적성검사와 NCS 직무능력평 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동시에 기업별 측정개념 및 적용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기업의 채용선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평가도구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기업의 채용선발 도구 활용에 대한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졸자의 구직활동이 일자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성숙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2

        Recently, university graduates have done various job-searching activities in the situation that labor-market in Korea has been shrunk. These job-searching activities are exerting positive or negative influences on the labor-market. Whereupon, this research tried to investigate how job-searching activities of university graduates affect on job satisfaction level, using 2019 GOMS data.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8,062 persons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preparation of job search activities, job searching ativities, routes of job seeking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leves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among the job hunting experiences, gender, school location, job employment type, work experience while attending school, experience of language study abroad, experience of vocational education, certificate possession, and job-related preparation activities. Second, in the route of job search, it was confirmed that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more likely to find jobs using official channels than graduates of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and regular workers were more likely to obtain job information using official channels than non-regular workers. Third, job search activities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lev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job search activities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job search activitie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university graduates' job search activities were derived 최근 고용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대졸자들이 취업을 하기 위해 다양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직활동은 노동시장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9 GOMS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졸자의 구직활동이 일자리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4년제 대졸 취업자 8,062명이며, 대졸자의 취업준비활동, 구직활동, 구직경로, 일자리만족도의 차이를 SPSS 21.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활동 여부와 성별, 학교소재지역, 일자리 고용형태, 재학 중 일 경험, 어학연수 경험, 직업교육훈련 경험, 자격증 소지, 취업준비관련 활동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직경로는 수도권대학 졸업생들이 비수도권대학 졸업생들에 비해 공식적 경로를 활용해 일자리를 구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규직 취업자들이 비정규직 취업자들에 비해 공식적 경로를 이용해 일자리 정보를 얻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구직활동은 일자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직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이 구직활동에 참여한 집단에 비해 일자리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자의 구직활동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변천별 사회과 평가의 실제 : 초등학교 사회과 평가를 중심으로

        배성숙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9 사회과교육 Vol.- No.32

        우리 나라에서 사회과교육이 시작된 이후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진 사회과 평가는 교육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하여 왔는지를 알아보고 개선해야 할 점을 찾아 오늘의 사회과 평가에 적용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작업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 목표와 평가 지침을 준거로 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시된 평가 실태를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변천을 초기 사회과 시대(교수요목 및 제1차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정착 시대(제2차 교육과정과 제3차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의 성숙·갈등 시대(제4차 교육과정 및 제5차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의 본질 추구 시대(현행 제6차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고 교육 현장에서 실시된 평가지를 수집하여 행동 영역별 목표의 성취 정도를 분석하여 보았다. 또한 생활기록부와 생활통지표에 평가 결과를 기록하는 방법을 통해 행동 영역별 목표 반영 정도와 평가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교육 관련 서적에 게재된 자료를 수집하여 당시의 사회과 평가 실태를 살펴보았다. 우리 나라의 사회과 평가는 문제점을 개선해 가면서 초기의 지식 영역 중심의 지필 검사 위주로 하는 양적 평가에서 벗어나 현재는 고등사고력과 창의력을 평가하는 과정 중심의 수행 평가로 전환하는 단계로 변화하고 있다. It is necessary that we grasp improve, and apply to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achieved the goals of social studies. To grasp development process of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this study analysized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Korean Curriculum is considered, divided into four part; 1)The syllabus of Lectures and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2)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3)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4)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The Evaluational materials as paper tests and report cards etc,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 found that the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in Korea enforced paper test with the goal of knowledge in early days, but performance assessment that evaluates learning process these days. In conclusion, The evaluation is developed process-based assement that emphasizes High-order thinking and creativity.

      • KCI등재후보

        인재우대정책과 의사소통제도가 대졸 신입사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배성숙 K기업경영연구원 2023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7 No.3

        Recently, amid the increase in interest in corporate human resource managemen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mpact of talent preferential policies and communication system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college graduate employe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e Korea Vocational Competency Research Institute's Human Capital Enterprise Panel Survey II (HCCPII) Wave data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ults of actual proof analysis of 1,378 new college graduate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mployment career in a company are as follows. First, talent preferential policies and communication system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college graduate employe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alent preferential policy and communication system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new college graduate employees. Third, job satisfaction of new college graduate employe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lent preferential policies and communication system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measures to improve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job satisfaction of new college graduate employees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 KCI등재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이 대졸 청년 재직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배성숙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3 혁신기업연구 Vol.8 No.2

        Recently, in the situation of deepening of highly educated youth unemployment, early resignation and voluntary turn over of young college graduates who have succeeded in getting jobs through strenuous efforts are being on the rise as social problems. Whereupon, this research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orking in companies. For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II (HCCP II) Wave data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it was confirmed that women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 than men in terms of gender, and non-regular workers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 than regular workers. Second, among organizational cultures, adhocracy culture and clan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hierarchical cultu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arket culture did not a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und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turnover intention of college graduate youth employees was understood, and the need for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organizations and members can grow together and the direction for job satisfaction were suggested. 최근 고학년 청년실업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대졸 청년 재직자의 조기퇴사와 자발적 이직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에 재직 중인 대졸 청년층을 대상으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Ⅱ(HCCPⅡ) Wave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졸 청년 재직자의 이직의도 차이는 성별은 남성보다 여성이 이직의도가더 높게 나타났고, 고용형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의 이직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문화 중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는 이직의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위계지향문화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시장지향문화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이직의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졸 청년 재직자의 이직의도를 이해하고, 조직과 구성원이 동반성장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필요성 및 직무만족을 위한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