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족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지영( Ji-Young Rhee)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가족의사소통이 청소년이 지각하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의 중학생 31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지향적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과는 부(-)적, 순응지향적 의사소소통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화지향적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순응지향적 의사소통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대화지향적 가족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은 낮고, 순응지향적 가족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화지향적 가족의사소통이 스마트폰 과의존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순응지향적 가족의사소통이 스마트폰 과의존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들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이 경험하는 가족의사소통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자아탄력성이 가족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가족간의 건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개인심리요인인 자아탄력성이 증진된다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effect of family communication on adolescents' perceived dependence on smartphone. The results of the study of 311 middle school students in G-gu, Seoul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versation-oriented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ormity-oriented communication. Dialogue-oriented communication and self-resilie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and conformity-oriented communica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self-resili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of conversation-oriented families, the lower the level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of adolescent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communication of conformity-oriented families, the higher the level of dependence on smartphones of adolescents. Third, it was found that conversational family communication had an effect on reducing smartphone depend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formity-oriented family communication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in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se relationships. This means that although family communication experienced by adolescents can affect smartphone dependence, self-resilience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e.

      • KCI등재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와 고기능자폐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차이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사회적의사소통장애란 구어적·비구어적 수단을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자폐와는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한국의 사회적의사소통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들을 고기능자폐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 고기능자폐, 일반 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언어문제해결력검사, 교실환경을 구조화 한 상황에서 행동관찰, 마음이해 과제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문제해결력검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셋째, 교실환경을 구조화한 환경에서 행동관찰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SCDSCD, TD)·독단적(HFA>TD) 개시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 반응하기 측면에서는 친사회적(TD>SCD, HFA)·소극적(SCD>HFA, TD)·이탈적(HFA>SCD, TD)·독단적(HFA>SCD, TD) 반응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음이해 점수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HFA<SCD, TD).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와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의 차이를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현장에서 평가 및 중재 방향에 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certain the profiles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ol-aged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SCD) an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forty-five school-aged children with SCD, HFA, and TD. This present study used the Korean Test of Problem Solving, which is a behavior observation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small group classroom setting, as well as the test of theory of mind (ToM).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on the Korean Test of Problem Solving. Second, in the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classroom set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SCDSCD, TD), and assertive (HFA>TD) behavior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responsive among groups; prosocial (TD>SCD, HFA), passive (SCD>HFA, TD), irrelevant (HFA>SCD, TD), and assertive (HFA>SCD, TD) behaviors. Finall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eory of mind among groups (HFA<SCD, TD).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ildren with SCD showed similar communicative behaviors in initiations with TD children except prosocial behaviors. Interestingly enough the children with SCD seem to be very passive in responsivenes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guide the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CD. The findings of this paper wil lsupport the guideline of the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정연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 차원에서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시도로서 대학 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디지털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8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에 재학중이며 신입생 기초필수 교과목 수강자 중 자발적 참여자 226명을 대상으로 의사 소통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디지털 시민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차이검증, 상관분석,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라 디지털 시민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주목할만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모든 하위요인은 디지털 시 민성의 인지영역, 정의영역, 행동영역과 모두 정적이며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시민성 인지영역의 52%를 의사소통능력의 주도적 의사소 통 그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객관성이 설명해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영 역의 55%는 의사소통능력의 타인관점이해, 주도적 의사소통, 고정관념적 사고 극복 그 리고 비판적 사고 성향의 지적공정성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시민성 행동영역의 51%는 의사소통능력의 주도적 의사소통, 타인관점 이해 그리고 비판적 사 고 성향의 객관성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 기 위해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교양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강조되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digital citizenship of university students, as an attempt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s in digital citizenship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were no remarkably huge differences. Second, all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and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Third, 52% of the cognitive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was explained by leading communicat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objectiv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le 55% of the affective domain was explained by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 leading communication, and overcoming of stereotypical thinking of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llectual fairnes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lso, 51% of the behavioral domain of digital citizenship was explained by leading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others’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skills, and objectiv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oviding implications about how communication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uld be emphasized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중도장애아동의 가족을 위한 중재 및 지원전략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2

        본 연구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중도장애아동의 지원에 대한 연구 중 가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 교육이나 가정에서의 의사소통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가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포함될 요소를 고찰하는데 있다. 아동의 의사소통 문제는 어머니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 모두의 생활과 연관되어 가족 전체의 삶 속에서 어머니 뿐 아니라 가족 전체의 구성원들에게 어려움을 주게 된다. 이에 이들의 가족을 위한 지원은 아동이 가진 문제에 따른 개별적인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가족 지원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 또는 완화시켜 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부모교육을 통한 가족지원의 방안을 강조하여 앞으로 국내에서의 부모교육을 통한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가족지원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부모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관련 지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의 전략과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의 촉진자로서 가족 역할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researches performed from 1990 until present about the intervention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or communication instruction at home to promote the abilities of family of a child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is study aimed at considering the components to be included in the program to support the family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The children's communicative problem may give a difficulties to all family members as well as to a mother within the whole families' life. Therefore, for the assistance to these families,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solve or moderate the communication problem by providing the individualized family assistance services after considering the individual needs accompanied by the child own problem. This stud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and the support plan for the family by parents' education service, suggest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afterwards in providing the assistance services to the family of a child with communicative disabilities through a parents' education program within the nation. And it also presented the content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rategies and methods in order to apply the knowledge related to communication to the parents, and not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family as a promoter for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a child.

      • KCI등재

        원효의 화쟁회통 담론범례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윤리교육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며, 오늘날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관건이 되고 있다. 매체기술의 발전이 미약한 과거에는 의사소통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근대이후 과학기술의 발달로 시공의 제약을 극복하고 언제 어디서나 매체에의 접근이 가능해짐으로 의사소통이 보다 다양하게 되었다. 이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있는 타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여론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윤리교육에서도 청자와 화자의 상통, 주관과 객관의 상화를 통하여 차이를 아우르는 의사소통 범례가 중시되고 있다. 인터넷 글쓰기에 나타난 의사소통 방안의 개선도 윤리교육 현장에서 고려할 문제이다. 바른 언어를 파괴하면서 새로운 인터넷 언어를 창조하는 과정에서 계층 간, 세대간, 가족 간의 갈등을 더욱 조장하기에 의사불통이 심화되고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의사소통을 파편적이고 왜곡되고 단절적이며 자기중심적으로 바꾸어 놓아 타자지향의 윤리교육이 요청된다. 의사소통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족 간, 지역 간, 계층 간, 민족 간, 국가 간, 세대 간의 갈등과 간격을 더욱 역설적으로 멀어지게 하기에, 다툼의 여지를 인정하는 새로운 담론범례가 요청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 매체의 발달을 감안하면서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멀리 느껴지는 한자문화권의 의사소통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원효(607-676)의 화쟁회통의 담론범례를 오늘의 윤리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때, 청화상통(聽話相通), 주객상화(主客相和), 일심상달(一心相達)의 의사소통의 범례를 마련할 수 있다. 서구중심의 이항 대립적 사유체계가 지난 세기 동안 세계를 지배한 결과 갈등과 대립이 화해되지 못한 채, 의사불통이 누적되었다. 이러한 대립구도가 한자문화권에서도 계속 유지되기에, 상생범례 관점에서 담론범례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 화쟁회통 의사소통 범례는 이항대립의 한계를 넘어선 사유체계이다. 원효가 제시한 화쟁회통의 의사소통 범례는 매체기술이 발전된 오늘날에도 청자와 화자, 주관과 객관, 일심상달의 범례를 통하여 다문화사회에서 갈등을 대화, 협력, 개신의 방안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원효의 화쟁회통의 의사소통 범례를 통해 전통윤리가 살아 숨 쉬는 한자문화권에서의 심층적 담론범례를 모색하고자 한다. The technology of modernized society has deepen the conflicts of sinosphere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onhyo`s discourses, because he is not telling us materially the contents of whatever a certain Buddhistic doctrine is, but formally the way of thinking to view simultaneously the various contents of Buddha`s doctrines. This way of thinking is close to the method of inter-twining Buddhistic doctrines. The reason of inter-twining is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world as it is. This method is useful to develope the communication of sinosphere communication. In twining the facts in the world, we can see the world in a form of complete combination. Such a world is called Mahayana. And the way of thinking in this form is called by him Hwajaeng of which the significance is interpreted as twining strifes. He names this way of twining as completely combining all kinds of doctrines. The principle of perfect combination is succinctly expressed as accomplished by the taste of them. They had pursued to European city women so that the new women who educated and westernized women had been born in those countries. They tried to show their advancement of their country to western countries. In this situation of resistance of imperialism, the discourse of women was easy to be used for the ideology of nation. So the modernistic adoration of motherhood was began by the new intellectuals. This ideology of maternity contributed to divide the women to dual status such as wise and good mother/prostitute, saint/devil. The trial of new women which pursued to new sexuality was excluded completely. The repressive situation of women has been continued in the Sinosphere communication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The patriarchy system has been represented itself in the different way but it can be widespread communicated by paradigms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 KCI등재

        상급 종합병원 내 의사,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유미자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전문 의료인인 의사와 간호사간 의사소통 인식 정도와 의사소통에 대한 세부 영역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C시의 종합병원 의사, 간호사 37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수집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ANOVA, Scheffe test,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와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가 인식한 의 사소통과 간호사가 인식한 의사소통 세부영역 중 개방성(t=9.91), 직종 간 상호이해(t=5.25), 만족도(t=8.13)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소통 세부영역에서 간호사와 의사 그룹 모두 의사소통 세부영역과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 가 있었다. 간호사는 개방성(r=.72, p< .001), 직종 간 상호이해(r=.71, p< .001)가 의사소통 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는 직종 간 상호이해(r=.79, p< .001), 적시성(r=.73, p< .001)이 의사소통 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안전을 보장하고 양질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사, 의사 직종 간 상호이해, 개방성 등 취약부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 awareness between doctors and nurses, who are professional medical professionals, and the detailed areas and satisfaction of communic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72 doctors and nurses at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C city from March to May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wareness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doctor and nurse groups. Specifically, out of the detailed areas of communication recognized by doctors and nur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enness(t=9.91),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t=5.25), and satisfaction(t=8.13)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tailed areas and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both groups, showing that nurses have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openness(r=.72, p<.001),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r=.71, p<.001) and similarly, doctors also have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r=.79, p<.001), timeliness(r=.73, p<.001). Therefore, these result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mmunication program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weak areas such a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ccupations and openness in nurses and doctors in order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provide quality medical care.

      • KCI등재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 -가천대학교 의사소통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박미희 ( Park,Mi-hee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이 글은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천대학교 의사소통센터에서 주관하는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과 운영 방향을 살펴보았다. 실질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발신자에게 요구되는 역량뿐 아니라 수신자에게 필요한 능력을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또한 단발성의 프로그램 운영을 지양하고 학습자가 의사소통 과정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개인별 의사소통 능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의사소통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의사소통의 본질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데 있다. 이러한 의사소통 과정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단순히 잘 쓰고 잘 말하는 것만으로 의사소통 역량을 갖췄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인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다양한 방식은 물론 의사소통 과정에서 요구되는 여러 요인들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how to operate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ituation and direction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enter of Gachon University were examined. In order to increase the pract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not only the ability required of the caller but also the ability necessary for the receiver must be handled integrally. In addition, the program sh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so that learner can practice the communication process sufficiently by stopping the single program oper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managing 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it can not be said that it is equipped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simply by writing well and talking wel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onsidering various factors of communica tion as well a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 KCI등재

        언어치료 전공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신명선,김시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4

        Purpose : This research is looking for students'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factors, whose major is speech-language therapy. The result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Also, it will help the stud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school field. Method : It is subject to undergraduate who are majoring in speech-language therapy and studying in Pusan and Daegu. We analyzes 405 peoples' questionnaire. Result : First,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importance is average on 3.79. Recognition of performance is average on 3.62. It is also the highest in the interpretation ability section. Second,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ability have no importance difference in region, gender and age. For grade, second grade is higher than 4th grade. Third, subfactor of communication needs continuous maintenance because of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ubfactor includes nonlanguage, interpretation and message conversion ability. The factors which include articulation, voice, fluency, language and self presentation ability need improvement because they low performance, though they have high importance. The fourth,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s related on physical condition,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ir own communication skills, not age and academic grades.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is related on physical condition, personal relationship, academic grades and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s : In summary, the education for the factor which has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is needed, which includes articulation, voice, fluency, language and self presentation ability. For this, the education is proposed based on contents of best-practice education. From this research, it is looking forward to making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of students majoring in speech therapy in school field 목적 : 본 연구는 언어치료 전공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인식을 중요도와수행도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 결과로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학교 현장에서언어치료 전공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부산 및대구에 소재한 언어치료 전공 1-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405명의 설문지를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의사소통 중요도 인식 평균은 3.79, 수행도 인식 평균은 3.62로해석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지역, 성별, 연령에 따라서는 의사소통능력 중요도와 수행도에서모두 차이가 없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2학년이 4학년보다 의사소통능력의 중요도가 유의하게높았다. 셋째, 중요도도 높고 수행도도 높아서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의사소통 하위요인은비언어능력, 해석능력, 메시지 전환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가 낮고 수행도도 낮아서 우선순위가낮은 요인은 역할수행능력과 목표설정능력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가 낮아서 개선노력이 필요한 요인은 조음능력, 음성능력, 유창성능력, 언어능력, 자기제시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사소통 중요도는 연령이나 학업성적과는 상관이 없었으며, 건강상태, 대인관계, 자신의의사소통능력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수행도는 건강상태, 대인관계, 성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중요도는 높게 인식하지만 수행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요인인 조음능력, 음성능력, 유창성능력, 언어능력, 자기제시능력에 대한 향상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의사소통유형별 문제발생정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차이 비교

        이광성(Lee, Kwang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은 초등학교 전반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지역별, 지역학교별로 의사소통유형별 문제발생정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실제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와 J도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 898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유형별 문제발생정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배부ㆍ회수하였고,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유형별 문제발생정도를 대화문제 발생정도, 발표문제 발생정도, 토론문제 발생정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니 지역별, 지역학교별로 차이가 있었다. 지역별로는 G광역시가 J도보다 대화문제 발생정도, 발표문제 발생정도, 토론문제 발생정도 등이 모두 낮았고, 지역학교별로는 G광역시에 있는 학교가 J도에 있는 학교보다 대화문제 발생정도, 발표문제 발생정도, 토론문제 발생정도가 대체로 낮은 편이었다. 둘째, 의사소통능력도 지역별, 지역학교별로 차이가 있었다. G광역시 지역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점수는 J도 지역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점수보다 높았다. 지역학교별로도 G광역시에 위치한 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점수도 J도 지역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점수보다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J도 교육청, 학교 그리고 교사들은 의사소통유형별 문제발생정도와 의사소통능력의 지역적 격차를 인석하고 학교생활과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J도 학생들도 발표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더욱 많이 가져야 한다. 또한 폭넓고 수준 높은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xperiencing problem of communication style and communication ability, especially the difference between ‘G’ metro-politan elementary school and ‘J’ province elementary scho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xperiencing problem of communication style(e.g. the degree of experiencing problem of conversation, the degree of experiencing problem of presentation, the degree of experiencing problem of discussion) betwee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between ‘G’ metro-politan elementary school and ‘J’ province elementary school.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of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between G metro-politan elementary school and J province elementary school. Therefore, we must reduce the difference of region in the degree of experiencing problem of communication style and communication ability with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Also we must try to develop a curriculum and program for cultivating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카카오톡 메신저의 소통 양상과 사회언어학적 특성

        강연임(Gang Yeon im)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2 No.-

        이논문은카카오톡메신저에나타나는의사소통양상을살피고, 카카오톡메신저의사 소통의사회언어학적특성과효과를고찰한것이다. 스마트폰이보편화되면서카카오톡메신저를활용한의사소통이중시되고있다. 카카오톡메신저의사소통은면대면의대화나 기존문자메시지소통과는다른양상을보인다. 그것은언어적장치외에비언어적장치를 적극적으로활용하여소통의새로운패러다임을구축했기때문이다. 그래서카카오톡메신저를 활용한 의사소통에서 다양한 사회언어학적인 기능과 특성을 살필 수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소통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기능으로, 먼저카카오톡 메신저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가 심리적으로 안정된 거리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화자의 발화에 대해 청자는 긍정이든부정이든 응답에 대한시간적 여유를 가질수 있으며 그로 인해감정적마찰도 유보할 수 있다. 또한 유희적인 조어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언어적인 생략과 축약·첨가와 비언어적인 그림과기호를활용함으로써 재미있는의미표현이가능하다. 특히 그림과여러가지기호의활용은화자의발화감성을더적극적으로드러낼수있다. 그림의 경우 화자의 자아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대리만족을 얻을 수도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 의사소통의 효과로, 우선 긍정적인 면은 여러 제약에서 벗어난 효율적 의사소통 담보, 정보의 시각화에 의한 발화의미의 강화, 그리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 한긍정적대인관계형성등을들수있다. 한편카카오톡메신저의사소통의부정적인면은 청자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의사전달, 무의미한 대화의 지속, 그리고 어문규범 일탈 표현의 남발 등을 들 수 있다. 카카오톡 메신저 의사소통은 매체의 발달과 함께 앞으로 그 쓰임도 점차 다변화될 것이다. 소통의 방법과 양상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 상황을 감안하면 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한 의사소통의 특징과 기능을 시차를 두고 다시 한 번 검토해야 하겠다. As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 is receiving attention, the way and aspect of conversation is also being taken notice of. There are various kind of conversation nowadays since the media is advanced. However, like good packaging is also important as much as the contents, the form of conversation is important for true conversation. In this paper, the aspect of conversation and sociolinguistic characteristic aiming ‘Kakao-talk’ is being examined. And basing on this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by ‘Kakao-talk’ is looked at. Hoping that ‘Kakao-talk’ becomes positive material for conversation, the summary of discussion will replace conclusion. Firstly, the used aspect of ‘Kakao-talk’ conversation can be divided into the lingual aspect and nonverbal aspect. In the lingual aspect, it uses noun expression which is based on ellipsis. On the other way, final consonant is frequently used based on addition. In nonverbal aspect, th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emoticons and symbolic usage of letters stand out. Secondly, the sociolinguistic function of ‘Kakao-talk’ conversation is examined. ‘Kakao-talk’ conversation attend in maintaining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Maintaining reasonable distance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can prevent the emotional damage, therefore minimizing conflict causation. Also there is amusing language coinage. Abbreviation, consonant and neologism and make conversation participants share interesting vocabulary. It can also activate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emoticons and various symbols, speaker can express one’s emotion in detail. Lastly, there is self image creation function. Through emoticons and symbols one can embody ideal image and propose it to the society, and get vicarious satisfaction. Thirdly, the effect of ‘Kakao-talk’ conversation can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aspect. The positive aspect of ‘Kakao-talk’ is effective conversation can be guaranteed without limits, reinforcement of utterance meaning by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nd positive personal relationship can be built through smooth convers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affect of ‘Kakao-talk’ is unilateral conversation which does not consider listener, meaningless conversation, and overusing expression which is against a norm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