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 형성을 위한 비판적 고찰

        오채선(Chae Sun Oh),염지숙(Ji Sook Yeo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선행연구에서 언급하고 있는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의 기저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 가정이나 개념들로부터, 향후 영아보육교사 전문성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논쟁점을 이끌어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데 있어서 전문성 소유의 주체를 1982년 이후부터 유아교사라는 더 광범위한 대상에 포함시켜 논의하다가 2003년 이후 영아보육교사를 고유의 전문성 주체로서 다루어 연구하였다. 이때 영아보육교사를 전문성 소유 주체로서 구분한 것은 의미가 있었으나, 영아보육교사가 가져야 할 전문성의 개념이나 실체에 대한 담론이 더 많이 형성될 필요가 있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 전문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도구에서 용어만을 변경한 것으로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논하는 데 있어서,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전문성 인식의 책임이 개인에게 있으며, 학력과 지식이 실천과 당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기계론적인 논리가 내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ceding research in the area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assumptions which were carried by these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fant teachers as agencies have appeared in research since 2003. However, the concept of the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should have been more established. Secondly, the measurement instruments for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Lastly, these studies contained the mechanistic logic; infant teachers’ academic backgrounds and their knowledge were closely related to practice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s the personal responsibility.

      • KCI등재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김지은(Kim Ji Eun),안선희(Ahn Sun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보육교사로서의 직업동기, 영아발달지식, 전문성 지원환경, 보수에 관한 태도가 전문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충청북도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275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포함되었다. 연구대상 영아교사들에게 설문지를 우편으로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분석 결과, 영아교사들은 보육교사에 대해 어느 정도 소명의식이나 사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아발달지식은 미흡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영아교사는 근무하는 어린이집이 전반적으로 전문성을 지원한다고 인식하였고 자신이 받는 보수와 처우에 대해서는 만족스럽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영아교사들의 전문성 인식은 경력, 보육교사직의 동기, 보수에 대한 태도, 전문성 지원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보육 경력이 길수록, 보육교사직의 동기가 긍정적일수록, 보수와 처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전문성을 지원받는 환경이라고 지각할수록, 영아교사들은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특히 영아교사가 지각하는 전문성 지원환경의 수준이 전문성 인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ivations for child care work,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perception towar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wages on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75 infant-toddler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buk-do through mail. Data were analyzed by t-test, F-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fant-toddler teachers were likely to perceive the child care work as a personal calling. The mean scores of subjects on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were relatively low. Perceive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s for child care center were relatively good. But infant-toddler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wage and advancement. The length of work experience, motivations for child care work,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perception towar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wages predicte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mong variables, the perception towar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후보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근주(Lee Geun 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n recognition of specialty by infant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The objects of study were 207 infant teachers in southern area of Gyeonggi-do. A method of the study wa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a difference level of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t shows the older infant teachers are higher in development standard, health, knowledge.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of HR teacher in infant class has more developmental principles knowledge. And the infant teachers who has work experience in a infant nursery or corporation child care center has more knowledge of health and safe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ve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lso, infant teachers are older than normal childcare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of a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are Social needs, special organization, professional ethics, level of expertise, community service tendency, fairness, autonomy, socioeconomical status order. Many infants go childcare centers because of nuclear family and female workers. The results of study show infant teachers are socially needed. On the other hand, infant teachers think they are low socioeconomical status themselves. That’s because a long working hours and low salary of infant teachers. Third, a result of a Study on the analysis of hierarchy that exclude background variable and include recognition of specialty variable is follow. The infant teachers who has the higher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have higher recognition of special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ant teachers has learne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from the experience and age, reeducation, job training. Also,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influences to infant teachers’ recognition of specialty. 본 연구는 영아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남부지역 어린이집 영아반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중 영아발달지식 수준의 차이는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발달기준, 건강안전, 양육 지식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담임경력이 많을수록 발달원리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전담(가정어린이집)과 법인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건강안전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생활경험과 현장경험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아전담어린이집 교사 연령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차이는 사회적 필요성, 전문직단체, 직업윤리, 전문적 지식기술, 사회봉사성, 공정성, 자율성, 사회경제적 지위 순으로 사회적필요성이 가장 높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낮았다. 핵가족화 및 취업모의 증가로 영아들의 어린이집 이용수가 많아지면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사회적으로 매우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게 나타났지만 반대로 사회경제적 지위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긴 시간 근무환경과 낮은 급여체계 등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배경변인을 통제하고 전문성 인식 변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발달지식이 높을수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영아반 교사의 연령과 경력, 재교육 등 생활경험, 현장연수 등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을 습득하게 되며 영아발달 지식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 KCI등재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수정(Lee, Soo-jeong),곽경화(Kwack, Kyeong-hwa),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방법 광주와 전라남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영아반 담임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목적 및 취지를 설명 후 연구참여에 동의한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행복감, 전문성 발달수준, 교사-영아 상호작용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방법은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 및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식과 기술발달, 생태적 발달, 내적행복, 자기 이해 발달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예측하는 주요 변인이며,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도 보다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재교육과 정기적인 연수를 통해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전문성 발달수준을 높여줌으로써 영아들과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ddler teacher s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nd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was examined, and the effect of the toddler teacher s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on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was analyze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39 homeroom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For data collection,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rough a test tool for feelings of happines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for the collection metho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direct visits or mail.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examining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teacher-toddler interaction,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professionalism was observed. A high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happiness of toddler teachers and high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 the higher level of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 on teacher-toddler interaction. The independent factors such as knowledge, professional development, ecological development, inner happiness, and self-understanding development, affected self-leadership on teacher-toddler interaction teachers are high, teacher-toddler inter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the toddler teachers’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of the toddler is also positive.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high-quality interaction with toddlers should be provided by raising the level of happines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oddler teachers through various re-education and regular training.

      • KCI등재후보

        영아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박주현,김정희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18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3 No.3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권리와 의무 대해 실제수준과 기대수준을 조사하고 영 아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 적이 있다. 본 연구 도구는 송순옥(2016)과 김정미(2017)의 설문지를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으며,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영아 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8일부터 12월 29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신뢰도 검증과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영아교사의 권리에 대한 실제수준과 기대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권리에 대한 인식은 실제수준이 기대수준에 비해 낮게 나타나 영아교사의 권리는 실 제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영아교사의 의무에 대한 실제수준과 기대수준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의 무에 대한 실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자발적인 의무 이행이 이루 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영아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아교사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 중 의무에 대한 인식만 돌봄의 상호작용, 영아발달과 보육과 정, 교사-부모-지역사회와의 관계, 전문성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 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level and expectation level of the rights and duties of infant class teachers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infant teacher’s rights and obligations on their professionalism. This research too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questionnaires Song Soon-ok(2016) and Kim Jung-mi(2017).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our study question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was conduc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level and expectation level of the rights and duties of infant teachers. The perceptions of infant teachers' rights and obligations were both lower than expected levels. This shows that the actual level does not meet expectations.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expected level of the duties of the infant teachers,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addition, the voluntary obligation was fulfilled as the actual recognition level of duty was high.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perceptions of infant teacher’s rights and duties on professionalism showed that only perceptions of duty are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care, infant development and child care process, teacher-parent-community relations.

      • KCI등재후보

        영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 및 영아발달지식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이정미 ( Lee Jung-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4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7 No.-

        본 연구는 영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문성발달수준 및 영아발달지식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원시에 소재한 보육교사교육원 영아보육전문과정 교육에 참여한 132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의 점수가 평가되어 영아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에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영아 발달지식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영아발달 지식은, 언어발달,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순으로 점수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의 점수가 평가되었다.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이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에 비해 상호작용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영아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상호작용은 모두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이 높은 교사가 영아와 상호작용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발달지식과 상호작용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와의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재교육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에 대한 발달 영역을 중심으로 좀 더 심도 있는 교육을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발달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with teacher-infant interactions. Subjects of study were 132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 in Child Care Teacher's Education Center in Suw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pertise of the infant development is overall above average. Second, their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s overall low. Th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s scored as followings. Language development has the highest score, physical development is second, recognition is third and social/emotion development is last. The Third, their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overall above average. It turns out that the teachers in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have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etter than those in private child care centers do. Fourth,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expertise of infant development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infant teachers. The study shows that those with the higher teacher's expertise of the infant development have better interaction with infants. It shows that the teacher's infant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does not have a clear correlation with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At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action with infants, teacher-infant requires the in-depth education for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acher's expertise of the infant development levels.

      • KCI등재

        영아 교사의 그릿과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최정애,방은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 교사의 그릿과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3년 6월 9일부터 6월 23일까지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교 사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분석,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 첫째, 영아 교사의 그릿과 전문성 인식, 교사-영아 안정 애착성의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교사의 그릿과 전문성 인식이 교사-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본 결과, 영아 교사의 그릿, 요인 중에서는 열정과 흥미 요인이, 전문성 인식 요인 중에서는 교수 능력, 의사소통 능력, 전문성 신장 능력이 교사-영아의 애착 안정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에 서 영아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이 교사-영아 애착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 과가 교사-영아 애착 안전성 형성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영아 교사의 그릿과 전문성 인식 증진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체계적인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ant teachers' grit and professionalism on the security of teacher-infant attachment. For this purpose, we used survey data from 310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rom June 9 to June 23, 2023,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Research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it and expertise of infant teachers and the variables of teacher-infant secure attach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the infant teacher's grit and recognition of expertise on the stability of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the infant teacher's grit, passion and interest factors, and among the expertise recognition factors, teach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expertise. Stretching a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tability of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and among them,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infant teacher was analyz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stability of the teacher-infant attach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preparing systematic support measures to increase the grit and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which are important variables in forming the safety of teacher-infant attachmen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영아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박영희,서현아,최남정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혁신연구 Vol.22 No.2

        핵가족화와 취업모의 증가 등의 특징을 가지는 현대사회에서는 어린 연령의 영아를 대상으로 하는 보육 및 교육의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영아의 보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영아교사의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의 영아교사에 대한 교직전문성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및 2, 3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영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하위 요인 중에서 사회적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았다. 예비유아교사의 변인에 따른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학력과 교육실습경험 따라 전문성 인식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보육실험 경험과 자원봉사 경험에 따라서는 전문성 인식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 관련요인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강화 및 일원화, 양성과정 및 자격증의 쳬계적인 관리의 필요성, 재교육의 필요성, 근무시간과 급여수준 등 근무여건에 대해 제고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아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 모색과 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영아교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개선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professionalism of infant givers and to find out how to promote professionalism of infant giv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build professionalized environment toward infant givers.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up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professionalism of infant givers was high in the perspective of societal needs.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professionalism of infant givers was low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toward infant e givers was influenced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d student teaching in daycare.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aregivers should be systematically controlled 4-year program with nationally certified exam. In addition, they recognized certifications for caregiv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should be unified in the governmental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raining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work hours, salary, and balance between needs and supply in the number of teachers.

      • KCI등재후보

        영아교사의 민감성과 보육교사직 헌신도가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신희이,문혁준 육아정책연구소 2012 육아정책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를 하여 영아교사가 전문성을 갖고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와 인천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 413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민감성, 교직헌신, 전문성 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영아교사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직헌신, 전문성 발달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에 따라서는 영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민감성, 교직헌신, 전문성 발달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영아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성 발달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격증 취득기관에 따라서는 4년제 대학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 교직헌신, 전문성 발달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근무시설유형에 따라서는 국공립·법인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와 직장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교직헌신, 전문성 발달에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전문성 발달 전체’와 ‘자기이해의 발달’과 ‘생태적 발달’에서는 교직헌신이, ‘지식과 기술의 발달’에서는 교사의 민감성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fant teacher's sensibility an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on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A survey was conducted of 450 infant teachers. Data were analyzed by ANOVA, Scheff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Infant teacher's level of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wa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type of facilities. Infant teacher's professionalism wa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years of experience, and type of facilities. Of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sensibility,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profession was the best predictor of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Korean childcare policy and system.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바람직한 전문영아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개인변인에서는 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환경 변인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과 보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개인변인에서 학력과 교사연수와 재교육,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수준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기관과 보수, 학급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근무시간과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perceived. The data collected from 349 infant educare teachers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s tool of check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 used modified scal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by Kim YuJin(2003), Shin JangMi(2007), Wi SookHee(2008),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Ju, Jo BuGyeong(2004). We fou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as age, experiences, marital status,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on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working facilities, salary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teacher training,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xperienc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facilities, salary, number of classes).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timulates bet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