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음악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 대학 유아음악 교육과정 분석 및 현직 교사 인식 조사

        윤지영 ( Yoon Ji Young ),권오선 ( Kwon Oh Su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2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5 No.-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음악교육 관련 교육과정의 실태 및 이에 대한 현직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중 4년제 대학교 57개, 3년제 대학교 68개로 총 125개의 유아교육과를 대상으로 현행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음악교육 관련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음악교육 관련 교육과정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수집된 17개의 강의계획서를 각 과목의 목표 및 교수방법, 교육내용으로 분석하였으며, 현직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지는 각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구하고 문항에 따라 학력(2,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 4년제 유아교육과 졸업, 유아교육과 대학원 재학이상)과 각 항목별에 따른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서 시행되어지고 있는 유아 음악관련 과목은 통일되지 못하였고 산발적으로 학기가 배치되어져 있는 실정이고 유아음악교육에서 제시되어져야 하는 목표와 내용에서 다루어야 할 기본적인 부분이 각 대학(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에 따라 상당부분 제외되거나 협소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he perception of currently employ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mong all the universities in the country, 57 4-year universities and 68 3-year colleges, totaling 125 institutions were surveyed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106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cess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17 syllabi were collected from various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a, and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curriculum’s goal and teaching method, as well as content of its program.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currently employed teachers, a survey was devised and the results cross-analyzed according to each questions by means, percentages and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ticipant (2,3-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4-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more tha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d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lack in unified programs in the Universities in current early childhood music curriculum; programs were being placed in semesters sporadically; and the fundamental goal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music programs were either excluded or narrowly presented.

      • KCI등재후보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브랜드 교육프로그램 개발: 유아자유놀이전문가 모듈개발을 중심으로

        박선미 ( Park Sunme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누리과정 및 강원도 소재 S대학교 혁신사업에 따른 유아교육과 특성화인 유아숲교육을 반영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브랜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셀프브랜드 및 S대학교 2020유아교육과 교육과정개발과 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모형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재학생 대상 요구도 조사를 통하여 ‘유아자유놀이전문가’ 모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모듈을 전문가 2인의 검증과 학과회의 및 재학생설문조사를 통해 최종 완성하였다. ‘유아자유놀이전문가’는 유아숲교육 관련 교과목과 유아 및 유아교육 교사들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과 전공심화과정 유아들과 함께 하는 전공동아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9 개정누리과정으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된 유아교육 현장에서 전문성과 현장실무능력을 갖춘 교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주도성을 갖고 자기만의 특색을 갖춘 예비교사로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셀프브랜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elf-brand education program for those who are preparing to be teacher for children, reflecting the Child Forest Education specialized for children’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nnovation project by S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and 2019 revised Nuri course. In order to do this, a theoretical basis of model development was formed through contemplating precedent research on self-brand and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and education program of 2020 children’s education in S University, and a module for ‘children’s free activity specialist’ is formed through the survey on needs of the students. Formed module was finally completed through verification by two experts and department meeting and survey on the students. A ‘children’s free activity specialist’ is composed of subjects related to Child Forest Education and programs with children and teachers for children, as well as clubs within the major involving children in intensive major course. In the field of children’s education that changed rapidly by 2019 revised Nuri course, in order to develop as a teacher with expertise and practical capabilities in field, a self-brand education program is needed to aid future teachers to obtain self-directi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변화 : 유아교육학과 전공심화과정 학생을 중심으로

        박미현 ( Mi-hyeon Park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6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9 No.-

        이 연구는 유아교육학과 학사학위 전공심화 교육과정에서 개설된 생태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유아교사들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생태유아교육에 대하여 한 학기동안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변화한 인식으로 첫째, 유아들과 자연친화적으로 지내며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주기 위한 발문을 많이 하게 되었다. 둘째, 교사로서의 변화와 개인적 생활에서의 변화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새로운 생태교육의 시도로 신문을 활용한 텃밭 가꾸기, 자연과 관련된 활동, 식생활 교육에 대한 활동을 계획할 수 있었다. 넷째, 교사가 좋다고 느낀 활동을 유아들에게도 적용하여 생태유아교육의 가치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이처럼 현재 유아교사로 재직하더라도 생태유아교육은 꾸준히 직접 체험 해 보고 자연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을 때, 유아들과의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려는 의지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질 높은 생태유아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자연과 관련된 실제체험 활동을 통한 교사의 인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chan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le taking the newly established "eco-centered education" in the intensive major curriculum for bachelor's degre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regards to changed perception based on a semester-long theory education & practical training o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they asked questions for helping children realize the preciousness of life as they spent time with them in a nature-friendly way. Second, changes were found simultaneously both as teachers and in their personal lives. Third, they were able to plan activities on gardening using newspapers, nature related activities and dietary life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by trying new eco-centered education. Fourth, it was possible to take a glimpse at their willingness to draw out the value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pplying the activities that were perceived as good by teachers. Accordingly, changes were found in their willingness to plan and practice activities with children when they are able to consistently experience them directly and feel the preciousness of nature even though they currently work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accordingly implies the need for teachers' perception change that must come first through actual experiential activities related to nature to provide high-quality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보육 정책 관련 학술지 연구논문 동향 분석: 2005-2009

        신은미 ( Shin Eun 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과 유아교육법이 시행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유아교육 및 보육 관련 정책들에 대한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 및 보육의 정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등재학술지인 「유아교육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유아교육학논집」, 「한국영유아보육학」, 「아동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 15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5년 동안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과 관련된 연구는 숫적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다음 2006년, 2008년, 2005년, 2009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아직까지 영유아 교육과 보육에 관한 정책 연구가 시기적 또는 사회적 요구나 시책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영유아 교육 및 보육 정책 관련 연구들을 주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 및 보육 정책 일반에 관한 연구, 교육 및 보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유치원 평가 및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관련된 연구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효과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 제안에 처방적인 연구보다는 정책을 주도하는 학문적 토대 형성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olic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to provide research data for improvement policy and progr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studies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Journal of Child Studies」. The 150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umbers of year ranges and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studies have increased since 5 years recently. The number of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were affected by timely or socially needs and government`s policy. Many of policy studies were fulfilled for 2 years, 2007 and 2006. Also, a large number of study subjects were about rational and general policy towar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ess,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urriculum, and the childhood education center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y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is important. ecause study of policy is a foundation of leading government`s policy and helps government carry out policy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아 숲교육의 의미

        허수향 ( Heo Soohya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 숲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여 한국 유아교육에서 숲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숲교육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바탕으로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돕는 교육으로 자연물을 놀잇감과 교구로 활용하고 숲 자체를 유아교육기관으로 삼아 진행된다. 즉 유아에게 있어 최고의 교사가 자연이고, 유아가 자연과 마음껏 교감하고 놀이하는 그 자체가 배움이고, 삶이고, 교육이다. 유아의 숲놀이는 유아의 신체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생명존중사상, 예술적 경험, 언어능력, 창의성발달 등 전인적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전세계를 뒤덮은 코로나19는 학교현장의 변화를 가져왔다. 비대면 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생태학적 관점의 교육으로 특징을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특징은 유아숲교육의 가치와 맞닿아있다. 유아 숲교육의 가치인 생명과 자연존중 사상이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 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 목표에 자연과 인간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명시되어 있고 야외인숲놀이를 통한 거리두기, 유아중심 자유놀이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 숲교육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절한 유아교육임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fores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the post-Corona era and outlin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forest education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est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develop their whole body based on harmonious relations with nature, and is conducted using nature as a play and teaching tool, and using the forest itself as an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best teacher for infants is nature, and it is learning, life, and education for infants to communicate and play with nature to their fullest. The forest play of infants is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It is an education that improves emotion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vides universal education such as life-respecting thoughts, artistic experiences, language skills,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e Corona19, which covered the world,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school scene.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in the post-corona age with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The value of forest education for infants, life and respect for nature, are specifi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goal, which is a state-level infant education course, and learners-oriented education is realized through outdoor forest play and infant-centered free play.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forest education for infants was appropriate for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후보

        다문화적 관점으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프로그램 탐구 : 또래 지원 활동을 중심으로

        김지현 ( Kim Ji Hyu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4 No.-

        이 연구는 어린이집의 만 5세 장애유아 통합반에서 통합교육 프로그램인 ‘또래 간 조력을 통한 장애아의 극놀이 참여활동’을 개발하여 실시해보고 다문화적 관점으로 그 과정을 분석해 봄으로써 어린이집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의미와 통합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장애유아 통합교육은 소수자인 장애유아들이 일반학급 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학급의 일원으로서 정체성을 갖도록 하는 내용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장애유아들이 학급에서 차별받지 않고 동등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일반유아는 학급의 다수자로서 장애유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장애를 편견이 아닌 다름의 시각으로 인식하고 서로 존중하는 태도를 갖도록 하며 더 나아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aning of disability inclusion education and the basis for management of inclusion curriculum with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inclusion education which is dramatic activities through the peer support activities. Subjects were 5-year-olds children in the disability inclusion class at the day care center Disability inclusion education needs to be organized to help for the minority, disability children adapted for the culture of normal class, at the same time for keeping a identity as a member. In addition, the disable children can participate the class activities without distin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disability inclusion education that normal children as a majority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disable children and accept them not a bias but a difference, respect each other, build up their ability to give a practical help for the disable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사회교육에의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입

        임수진 ( Lim Soo Jin ),이혜원 ( Lee Hye Wo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1

        새로운 시대, 사회의 변화는 교육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한다. 유아사회교육은 자기조절능력을 기르고 사회의 현상과 문제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민주적인 시민을 양성하는 데 중요한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사회교육의 내용은 기본생활습관을 중심으로 사회성 발달에만 치우친 기존의 접근에서 벗어나 사회현상을 인식하고 이를 유아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에 적합한 유아사회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식의 구성과정에 대한 이해, 시간과 공간에 대한 재개념화, 교사역할에 대한 재개념화를 새로운 이해가 요구되는 요소로 설정하고, 이와 유아사회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A new age and the change of society meet the needs of new paradigms in the education. This study will make a discussion what we should do for the enhance of the preschool social education in the stream of times and will give a fine of standard and a appropriate model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in the 21st centu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ill have to develop self-regulations and will have to cultivate the democratic citizens who can solve the social problem and consider the social phenomenon with critic. And it is based on fundamental notions for the social sciences. They don't have to reflect the existing approach makes too much social usage. This study based on the introducing suppositions will create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teacher-children, time and space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for the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 양성교육에서의 효율적인 수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류은미 ( Ryu Eun Mi ),마혜진 ( Ma Hye Ji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교육에서의 전공교과목 강의 운영시 구성주의 교수법 적용 실태와 예비유아교사가 구성주의 교수법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강의 운영시 적용된 구성주의 교수법은 전문적 지식 전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예비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수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안내자 및 조언자가 가장 높았다. 대학 유형에 따른 강의 운영시 구성주의 교수법 적용 실태와 구성주의 교수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모두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가 2, 3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강의 운영시 구성주의 교수법 적용 실태와 구성주의 교수법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모두 4년제 대학의 3, 4학년과 3년제 대학의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가 2, 3, 4년제 대학의 1,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vist teaching conditions when progressing major class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how much do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cognitivist teaching. To manifest this purpose, we surveyed 23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s at Seoul and Gyeong-gi province(colleges or universities생략?). As a result, teaching specialized knowledge was the most used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 when progressing classe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 as a guide and advisor. Classifying into college categori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four-year-course colleges resulted higher application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significance of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 than two-year-course college teachers. Analyzing the results into college year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t four-year-course colleges and third year students at three-year-course colleges reached higher application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significance of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 than teachers who ar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at two·three·four-year-colleges.

      • KCI등재후보

        유아 교육 현장에서 역사 인물 탐구에 대한 연구: 위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최경애 ( Choi Kyung-a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0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 역사 교육의 한 방법으로 인물 교육의 가치와 방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과정에 통합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문헌 연구와 더불어 만 5세반의 위인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이루어졌다. 역사 인물 교육의 방향에 대한 문헌연구 결과, 역사인물 교육을 유아교육과정과 통합하여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와 유아가 자연스럽고 구체적으로 역사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첫째, 역사 인물 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대한 학문적 탐구가 필요하며, 둘째, 현재와 같은 주제중심의 교육과정 전개 방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활동 유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넷째, 영웅 중심, 업적 중심의 이야기 전개에서 벗어나 역사 인물의 평범하지만 본받을만한 인물적 특성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도와야할 것이다. D유치원 만 5세반 2개 학급에서 역사인물 프로젝트를 적용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핵심적인 문제 세 가지를 중심으로 역사인물을 유아교육과정에 통합하고 조직하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첫 번째는 역사인물과 교육주제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의 문제이며, 두 번째는 많은 역사인물중 학급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인물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세 번째, 역사인물에 대한 프로젝트를 다른 주제처럼 자연스럽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전개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이다. The study aims on exploring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igur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how 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planned, developed, and constructed their project while they were studying historical figures. The problem of the research on historical figures was discussed; the insufficiency of the concepts and the contents about historical figures, the limited theme, the activity centered on teachers, biased stories focusing only on heros.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igures is very well integrated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figure project, the teacher succeeded on 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solved three questions; integrating curriculum, selecting historical figures, teaching and learning centered on children. As a result, 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constructed their knowledge and viewpoint on the biography project. Especially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history education changed, increasing the interaction centered on children, the diversity of activities, and self-confidence. There are many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such as storytelling, role play, doll play, field trip to museums and historic sites, lending biography books, and parents-participant programs, etc.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수행된 질적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 실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실시한 9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 그리고 Soilemezi와 Linceviciute(2018)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종합, 개념화, 범주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교사와 유아 모두 긍정적 경험의 메시지, 상호 작용의 재발견의 의미가 담겨졌다. 둘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이야기나누기와 인성 교육으로 실제화 되고 있었다.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여전히 시범적인 실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므로 이후 유아교육과정의 다원화를 위한 대안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19개정 누리과정의 실시와 관련하여 각각의 교실문화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에서 실제화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qualitative meta-synanalysis conducted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meaning of narrative was derived by conducting qualitative meta-syn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and Soilemezi and Linceviciute (2018) by selecting 9 qualitative studies on the topic of 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The work of synthesizing, 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both, and reality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urriculum contained a message of positive experiences and rediscovery of interactions for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econd,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was practiced through storytelling, character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narrative curriculum is still a pilot rea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