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 및 리더십이 놀이특성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곽경화(Kwak,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특성과 정서지능, 리더십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정서지능과 리더십이 유아의 놀이특성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255명으로 평균 월령은 69.34(SD=3.44)개월 이었으며, 2019년 5월 13일부터 6월 7일까지 4주간에 걸쳐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놀이특성’, ‘정서지능’, ‘리더십’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관계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놀이특성과 정서지능, 리더십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의 리더십은 놀이특성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서지능이 유아의 놀이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민감성이 놀이특성을 가 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표현능력,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주도성, 자발적 몰입이 놀이특성을 설명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유아 놀이특성의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인 지놀이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표현능력이, 언어놀이는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주도성이, 사회놀이는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민감성이, 정서놀이는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민감성이, 운동놀이는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주도성이 가장 강력하게 영 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 s play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and then find out the effect of young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on their play characteristics. Study subjects were 255 5-year-old children and their average age was 69.34 months(SD=3.44).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test tools of ‘play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through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 s play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Young children’s leadership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has a most powerful effect on play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s an additional predictor variable which also has effect on young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Regarding sub-variables, sensitivity, namely a sub-variable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could explain their play characteristics most powerfully, and self-awareness expressive ability, namely a sub-variabl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itiative and voluntary commitment, namely two sub-variables of leadership, were additional predictor variables which explained play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sub-areas of young children’s play characteristics, self-awareness expressive ability, namely a sub-variabl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has most powerful effect on cognitive play; initiative, namely a sub-variable of leadership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has most powerful effect on language play; sensitivity, namely a sub-variable of leadership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has most powerful effect on social play; initiative, namely a sub-variable of leadership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has most powerful effect on emotional play; and initiative, namely a sub-variable of leadership was a predictor variable which has most powerful effect on sport pla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도와 J도에 소재한 3년제와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335명 이었다.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에 대한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보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를 예측하는 강력한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중 목표선택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낙관적 태도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중 직업정보가 추가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학과만족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Study subjects were 335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 or 4-year universities in C-do and J-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udy tools of ego-resilience ,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 and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Second,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a more powerful positive predicting variable that predicting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was no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bu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among the sub-variab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goal selection, a sub-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 most powerful predicting variable, and it was followed by an optimistic attitude, a sub-variable of ego-resilience. In addition, occupational information, a sub-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nother variable that predic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Study findings show the fact that there are close 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satisfaction with an academic department.

      • KCI등재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백승선(Baek, SeungSeon),정설희(Jeong, Seol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표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 42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3째 주부터 6월 4째 주까지 총 15주에 걸쳐 전체 연구를 수행하였 으며 이 중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의 실험처치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을 처치하고, 비교집단에는 미적요소에 기초한 명화 감상활동을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용 ‘창의성 검사도구’와 ‘그리기 표상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자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적 사고전략에 기초한 명화감상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과 그리기표상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하위요인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 5세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과 그리기표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체와 방법으로 명화감상 활용의 가능성과 시각적 사고전략의 의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Fo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42 5-year-old children for the 15-week period from the third week of March to the fourth week of June, 2018. For 8 weeks during the period, 16 sessions of experiment (twice a week) were conducted.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carried out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whereas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carried out aesthetic element-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In order to test the effect of research, this study used ‘Creativity Test Tool’ for young children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cale.’ In order to analyze collected data, ANCOVA was conduc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carried out the visual thinking strategy-based art appreciation activity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In the sub-variables,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5-year-old children to promote their creativity and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by visual thinking strategy with art appreciation activ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심재연(Shim, Jae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과 1~4학년 학생 345명이었다.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교사효능감’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 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공감능력, 자아탄력성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보다는 공감능력이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 강력한 정적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공감능력 중 정서적 공감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효율성으로 나타났으며, 공감 능력 중 인지적 공감이 추가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teacher efficacy. Study subjects were 345 1~4 year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J-do. Data were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empathic ability’, ‘ego-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empathic ability and ego-resilience. Second,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teacher efficacy, empathic ability was a more positive and powerful predictor variable that predicting teacher efficacy than ego-resilience. Third,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 of sub-variabl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ic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teacher efficacy, emotional empathy, a sub-variable of empathic ability, was a most powerful predictor variable, and it was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 efficacy, a sub-variable of ego-resilience. On the other hand, cognitive empathy, a sub-variable of empathic ability, was an additional predictor variable that predic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eacher’s teacher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백승선(Baek Seung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의 현장적용을 위해 현 시점에서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1월 16일부터 12월 4일까지 C도와 J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0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배포된 280부 중 회수된 설문지를 검토하여 26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메이커스페이스 이해도,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연령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이해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경력, 연령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을 위한 환경, 현장적용, 교사의 전문성 및 참여도 신장에 대한 요구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환경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연령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및 참여도 신장에 대한 요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메이커스페이스의 인식 교육이 우선되어 유아교사의 이해를 도와야 할 것이며, 더불어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의 현장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교사교육 및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about makerspa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field application of makerspace at this point.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0 at first, but only 260 teachers who are working in the different kindergartens and nursery schools in C and J province, decided to conduct a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16th of November to 4th of December.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ted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were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difference,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verifi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he makerspa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understanding of the makerspac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operation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akerspace according to the a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operating a makerspa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and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maker space, the demand for the environment for the operation of makerspace, field application, the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tion of teachers was high. It wa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demands for the makerspace operat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the height of the teacher s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tion. In conclusion,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of makerspa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promote teachers’ understanding.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practical teacher training and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field application of makerspace operation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심재연(Shim, Jae-Ye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간의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재학중인 학생 338명이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 검사도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학과만족도, 행복플로리시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으며, 이들 변인 간에는 유의미한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는 행복플로리시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예비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미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일반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추가적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학과만족도의 하위요인인교과만족이 행복플로리시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경험을 통하여 행복플로리시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원양성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n their happiness flouris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8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3-year or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Data was collected using test tool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happy flourishing.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epartment satisfaction, and happiness florishing of the participants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appiness florishing and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an additional predicting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flouris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help teachers increase their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experiencing various opportunities to happiness flourishing.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백승선(Baek, Seung-Seon),최진숙(Choi, Jin-Suk),곽경화(Kwak, Kyeong-Hw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참여태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라북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부모 2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 전체 및 하위요인인 민감하게 놀기, 반응적으로 놀기, 즐겁게 놀기는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는 부모의 인식에 따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의 하위요인 중 민감하게 놀기와 반응적으로 놀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의 놀이참여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자아존중감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놀이참여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Also this study is to debunk how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For this study,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250 children who aged from 3 to 5 and 500 their parents who were registered to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North Jeolla province. As a result, first, sensitive playing, responding playing, fun playing that are part of or whol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were related to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Second, Depending on the parents perceptions, the parent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created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ird, the gradual returning analysis shows that as cause elements, sensitive playing and responding play that are part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influence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self-esteem.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parent education that would support to know how to participate in play and the importance of parent s attitude of play participation.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에 관한 연구

        백승선(Seung-Seon Bae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학습공동체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의 의미에 대해 탐색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메이커 교육 및 메이커스페이스에 관심이 있는 전북 지역의 유치원 교사 8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고 대학교수 1명이 촉진자로 참여하였다. 2022년 1월부터 8월까지 총 16회의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을 운영하였다. 그 과정에서 수집된 교사학습공동체 토의 및 협의 자료, 연구참여자들 면담자료, 연구참여자 저널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스페이스 개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창의적인 공간으로 교실을 재구성하기 위해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고, 공간 간의 통합을 통한 실용적인 공간을 구성하며 배움을 실천하였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메이커스페이스 실행 경험을 공유하며 유아교사의 성장과 변화를 이끌어 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상호 협력학습을 실천하며 교사의 성장과 변화 가능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유아교육기관 내에 메이커스페이스를 구성하여 실행하는 경험을 통해 창의적인 놀이공간 구성을 내실화하는데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makerspace in kindergarten through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s. Methods For this, a teacher-learning community was formed for 8 kindergarten teachers in Jeollabuk-do who were interested in maker education and makerspace, and one university professor participated as a facilitator. A total of 16 teacher learning community meetings were held from January to August 2022.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y collecting various data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y discussion and consultation data collected in the process, interview data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 participant journals.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occurred toward to maker education and makerspace concept. Second, teachers and young children made it together to reconstruct the classroom as a creative space, and they practiced as they had been taught by constructing a practical space through the integration of space. Third, sharing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makerspace through learning community led to teachers’ growth and change.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the possibility of teachers’ growth and change by practicing mutual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participating the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s,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of creative play spaces through the experience of organizing and implementing of makerspace in kindergarten.

      • KCI등재

        유치원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이동기하능력과 공간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백승선(Baek, SeungSeon),최진숙(Choi, Ji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유치원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연령에 따른 이동기하능 력과 공간능력의 발달 차이를 알아보고 이동기하능력과 공간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유치원 만 5세반과 초등학교 1학 년에 다니는 아동 62명씩 총 124명을 선정하여 2018년 4월 9일부터 5월 31일까지 최연, 이정욱(2006)이 고안한 이동기하능력 검사도구와 홍혜경(2001)이 개발한 공간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과 Pearson의 상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만 5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이동기하능력과 공간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달하게 되며, 이동기하능력과 공간능력 간의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ge-based development of motion geometry ability and spatial ability in 5-year-old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first-year students, and then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bilities. For this, 62 5-year-old kindergarten students and another 62 elementary school first-year students were sampled from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n Jeollabuk-do. In order to test collected data, this study used both the motion geometry ability test developed by Choe Yeon and Lee Jeong-Uk (2006) and the spati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Hong Hye-Gyeong (2001).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Motion geometry ability and spatial ability in 5-year-old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first-year students increased gradually as they grew older.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ion geometry ability and spatial ability. Study findings seem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linked education of geometry learning for 5-year-old kindergarten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first-year students. And since motion geometr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an develop their spatial ability, early childhood mathematical education must include motion geometry activities.

      • KCI등재

        정밀한 선형 횡변위 측정용 elongated circular 격자의 자체결상을 이용한 무아레 무늬의 신호처리법

        이상일,백승선,조재흥,Lee Sang Il,Baek Seung Sun,Jo Jae Heung 한국광학회 2004 한국광학회지 Vol.15 No.5

        직선격자와 원형격자의 혼합형태인 EC(Elongated circular) 격자의 무아레 무늬로 수 $\mu\textrm{m}$의 선형 횡변위를 보기 위하여 자체결상법으로 무아레 무늬를 형성하고 이를 신호처리하여 횡변위를 정밀하게 측정하였다. CCD 카메라로 측정한 무아레 무늬의 직선격자 부분을 고주파 필터링(filtering)과 스무딩(smooothing) 및 2차함수 피팅(fitting)하고, 이 결과의 1차 미분으로부터 영점교차의 위치를 세어서 직선격자 부분의 밝은 무늬의 위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EC격자의 원형격자 부분에 의한 무아레 무늬는 고주파 필터링과 스무딩으로 구한 결과의 1차 미분에서 나온 영점교차 개수로부터 원형격자의 밝은 부분의 개수를 셈으로써 선형 횡변위의 EC격자 피치에 대한 정수배의 선형이동량을 정확히 계측하였다. 이 결과 80 $\mu\textrm{m}$ 이하의 횡변위에 대해서 지금까지 무아레 무늬로부터 가시적으로 구한 선형 횡변위량보다 훨씬 정확한 3% 이하의 정확도로 횡변위를 구할 수 있었다. We obtained precise linear transverse displacements from the results of signal processing on moire fringes measured by the superposition of a fixed self-imaging elongated circular(EC) grating and a moved EC grating. The linear displacement less than one pitch of the moving EC grating was calculated from the position of a bright moire fringe generated on the linear grating part of the EC gratings. The moire signals were high-frequency-filtered, smoothed, curve-fitted, and first-differentiated moire signals in sequence. Also the linear displacement created by movement by the unit of integer times of a pitch was readily measured by the count of the even number of zero-crossing points corresponding to bright moire fringes obtained by the above same processing without curve fitting. Then we can measure linear transverse displacements with the accuracy of better than 3 %, which are more accurate values than those by the traditional visual method within the displacement of 80 ${\mu}{\textrm}{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