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이 일에 미치는 영향: 상이한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김성철(Sungchul Kim),김나정(Najung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1

        일터에서 긍정적인 인재의 특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열정은 개인 차원에서의 성과를 높일 수는 있으나 번아웃 등의 부정적인 효과도 낳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열정의 양면성에 초점을 맞추어 두 가지 형태의 열정 즉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을 독립변수로 채택하여 긍정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에 도달하는 매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에 소재하는 28개 기업에 근무하는 5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50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최종적으로 461부의 유효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표본의 구성은 서울, 경기, 부산을 포함한 국내 8개 지역에 소재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대기업부터 소규모 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외국계 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들도 설문에 참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두 종류의 열정 모두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를 하나 기여를 하게 되는 메커니즘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화열정은 학습지향성을 매개로 직무성과를 높이고 강박열정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직무성과를 높였다. 또한 번아웃에 대하여 조화열정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번아웃을 줄이는 역할을 하나 강박열정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여 번아웃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화열정은 모든 변수들과의 관계에서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나 강박열정 은 직무성과를 높이지만 동시에 번아웃으로 이어지는 스트레스 증가를 초래하는 부정적인 효과도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결과, 일터에서 열정의 양면성이 생기는 이유가 강박열정에 있음을 보여주며, 조화열정과 강박 열정이 직무 관련 변인에 상이한 영향을 주는 이유를 학습지향성, 직무스트레스 두 개의 매개요인으로 귀인하였다. 실무적 차원에서 열정이 높은 인재를 채용하고 육성하고자 하는 조직들에게 열정 정의의 구체화와 열정이 발현되는 메커니즘의 이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investigate the dualistic effects of passion and to examine varying mediators that lead to positive and negative work-related outcomes. Building on the literature o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e first examined the effects of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at work. Then, we studied how each of these passion affects work outcomes differently by identifying distinctive mediating mechanisms. 544 employees from 28 companies were surveyed, and of those, 5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461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empirical study. The sample is comprised of Korean employees working in domestic and foreign service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of varying sizes located in 8 regions including Seoul. Through the results, we were able to learn the following new insights on passion at work. The multiple mechanisms were foun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passion affects individual outcomes at work. Harmonious passion had positive effects on work outcomes because it increases learning orientation and decreases job stress. Obsessive passion, on the other hand,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work outcomes because it increased job performance as well as burnout through heightened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hed some light on how to manage talent in the workplace. As the positive effects of harmonious passion have been substantiated, each company should build a system for testing and evaluating the level of harmonious passion of its applicants in recruitment and for improving effectively the level of harmonious passion of its current employees. HR managers should also review whether their companies hav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r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their employees can freely display their harmonious passion.

      • KCI등재후보

        관광서비스종사자의 자아탄력과 열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기동 경기대학교 부설 관광종합연구소 2014 여가관광연구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ssion, self-ident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situational activities attending service employees.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or obsessive passion and self-ident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nalyzed. by the dualistic approach. The survey was carried out. for 500 employees working in a five-star hotel in Gangwon Province and 458 samp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self-identity positively inf1uenced both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revealed that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negatively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Lastly,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impacts on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n relation to .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ítment. 본 연구에서는 열정의 이원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연구하였다. 조화열정은 관광서비스 종사자에게 긍정적 영향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이끌 수 있지만,개인의 자아탄력성이 통제된 강박열정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서비스 종사자가 참여하는 서비스 활동 상황에서 나타나는 열정과 자아정체성,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즉 열정의 이원론적 접근(Vallerand etal,2003) 에 따라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이 자아정체성과 직무만족,조직몰입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열정의 이론적 접근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선행변수로서 적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자아탄력성과 열정과의 관계이다. 자아탄력성이 조화열정,강박열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그 정도는 조화열정,강박열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열정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이다. 조화열정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강박열정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관계이다. 직무만족은 정서적 몰입,계속적 몰입,규법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주며,규범적 몰입,정서적 몰입,계속적 몰입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으나,직무만족이 조직몰입의 유형 즉,정서적 몰입,계속적 몰입,규범적 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또 다른 의의는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업,계속적 몰입,규범적 몰입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열정(熱情)의 리더십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 정주영과 박태준

        이대희(Lee Dae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15 지방정부연구 Vol.19 No.1

        이 논문에서는 정주영과 박태준을 통해 열정의 리더십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사람은 현대 한국의 경제 발전 과정에서 확실하게 두각을 나타냈던 사람들이다. 열정의 리더가 갖추고 있는 장점을 똑 같이 공유하고 있던 두 사람은 각자 자기가 맡은 분야에서 최고의 성공을 이끌어냈다. 리더 개인으로서 이들은 내적인 열정의 에너지를, 긍정적 사고와 함께, 적극적으로 밖으로 표출했었다. 제반 여건이 어렵고,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낙담하지 않고 미래를 개척해 간 사람들이다. 수많은 어려움이 있었지만 끊임없는 도전과 함께 극복해 냈고, 끝내 성공에 도달한 사람들이다. 항시 희망을 잃지 않았고, 최선의 노력을 경주했다. 이들의 마음속에는 불타는 정열이 있었고, 이것이 긍정적 사고와 적극적 추진력으로 작용하였다. 정주영과 박태준은 자기가 하고자 하는 일, 목표로 정한 일을 반드시 달성해 내고야마는 열정의 지도자였다. 그들이 일군 현대, 포철은 열정의 리더가 어떤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다. 일과 관련되어 무엇보다도 창의적 사고와 적극적 추진력이 남달랐다. 기존 관행대로는 전혀 불가능한 것들을 이 두 열정의 리더는 창조적 대안을 만들어 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극복해 갔다. 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향해 항상 솔선수범하면서 앞장 섰고, 거기에 몰입하였다. 이들은 자신이 이끌어 갔던 조직도 자기와 같은 분신처럼 여겼고, 열정의 조직으로 만들었다. 조직원 모두를 자기와 똑 같은 열정의 조직원으로 만들고자 애를 썼다. 자신의 특징인 ‘열정’을 조직의 경영 철학으로, 구성원들의 행동 강령화하였다. 열정의 지도자와 함께 그들이 이끌었던 조직도 역시 열정의 조직이 되었다.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d the passion of leadership through Joo-young Jeong and Tae-joon Park. They were persons who stood out clearly during moder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ey had similar characteristics of passionate leadership and had succeeded in their field. As a leader they showed theirs inner energy of passion actively outward with positive thinking. In spite of hard condition and uncertain future, they did not discouraged and pioneered the future. There were so much difficulties but they tried to challenge and overcome eventually. They didn’t lose their hope all the time, and they tried to their best. They had burning passion in their heart, and this leaded positive thoughts and aggressive driving force to action. Joo-young Jeong and Tae-joon Park were the passionate leaders who had to accomplish goals being set and the thing they want. Hyundai and POSCO they established were good role models how passion leadership can make a good result. They showed wonderful creative thinking and enthusiastic driving force in their works. They took the lead of the work all the time and absorbed in it. They looked the company and organization they established upon as their alter ego, and made it as passionate ones. Passion leadership led and made their members passionate ones too.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김석일 ( Seok Il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9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생활체육참여자 336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과 내적동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열정과 끈기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처리는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t-test, ANOVA, 위계적 회귀분석, 3×3요인설계에 의한 다변량분산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과제성향이나 자아성향 모두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제성향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자아성향에서만 남성들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성별과 참여빈도에 따라 강박열정과 조화열정, 그리고 끈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강박열정(p<.05)과 조화열정(p<.05), 그리고 끈기(p<.001)가 높았고, 생활체육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강박열정(p<.01)과 조화열정(p<.001) 또한 높았다. 셋째,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을 저, 중, 고로 구분하여 과제성향과 자아성향 수준에 따른 열정과 끈기를 살펴본 결과, 과제성향이 높은 집단이 조화열정(p<.001)과 끈기(p<.05)에서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성향이 높은 집단 역시 조화열정(p<.05)과 끈기(p<.001)에서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성향은 강박열정(p<.05)과 조화열정(p<.001), 그리고 끈기(p<.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성향 역시 강박열정(p<.01), 조화열정(p<.01), 끈기(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세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goal orientation affects passion and persistence in life sport participants. Three questionnaires, the TEO in sport questionnaire, the passion scale, and persistence scale in TPQ were administered to 336 sport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PC+15.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participants in life sport showed higher score in goal orientation.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oriented to the goal orientation by gend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o the passion and persistence by gender and level of participation. male participants in life sport showed higher score i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o the passion and persistence. Third, the participants with high goal orientation showed high levels of harmonious passion and persistence.

      • KCI등재

        대학교수의 학문열정 형성과정 연구: 이공계열 대학교수를 중심으로

        심은비(沈殷妃),오헌석(吳憲錫)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의 학문열정 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학문 분야에서의 전문성 개발 원동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열정이 높다고 인정되는 국내 대학교수 1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대학교수의 학문열정과 형성과정, 그리고 형성과정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대학교수의 학문열정은 ‘생존 열정’과 ‘실현 열정’으로 구분되었다. 생존 열정은 교수 초임기 학계에서 독립된 연구자로서 생존하기 위해 개인 연구에 모든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하며, 현재 진행 중인 연구 과정에서의 재미와 기쁨을 만끽하는 특징을 보였다. 반면, 실현 열정은 학계 선구자로 평생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학습하며, 높아진 영향력과 명성으로 책임감과 두려움을 느끼는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학문열정은 크게 세 가지 과정에 의해 형성되었다. 첫째, 지적 호기심을 해결하고, 학문적 영향력을 발휘하며, 학계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학문적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둘째, 학문활동의 의미를 지속적으로 형성하는 정당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셋째, ‘연구자’라는 단일한 역할 정체성에서 ‘연구자’와 ‘교육자’의 역할 정체성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교수들의 학문열정은 ‘생존 열정’에서 ‘실현 열정’으로 질적으로 변화하며, 주도적으로 형성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본 연구는 학계 최고 전문가인 대학교수의 학문열정 형성과정을 그들의 실제 경험을 분석하여 질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전문성 개발 원동력으로서 열정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 및 학계 구성원의 학문열정을 고취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river for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academia by looking at the formation process of scholarly passion of professor. In order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7 Korean professors recognized as highly passionate about their stud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cholarly passion of a university professor is divided into "survival passion" and "realization passion". Survival passion has shown the characteristic of focusing all of its time and energy on personal research to survive as an independent researcher in the initial stage. However, realization passion has shown the characteristic of constantly learning to realize a lifelong dream as a forerunner of academia. Next, scholarly passion was formed through three process: the process of satisfying academic needs-solving intellectual curiosity, exerting academic influence, recognition from academia-, the process of justifying academic activities by continuous meaning-making, and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role identities as teacher and researcher. Finally, two characteristics of scholarly passion process have been identified: a qualitative change from survival passion to realization passion and proactive form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scholarly passion formation process of the several leading experts in academia. Second, this study would provide not only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of the passion formation process as a driving for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lso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scholarly passion among members of academia.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열정에 따른 정서변화

        유진(Jin Yoo),김화경(Hwa Kyung Kim),정꽃님(Kon Nym Jung)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들이 참여하는 무용 활동에 있어 생성된 열정과 정서와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Vallerand 등(2003)에 의해 제안된 이원론적 접근인 조화로운 열정과 강박적인 열정이 각각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무용을 전공한 대학생 총 181명(남자 22명, 여자 159명)을 대상으로 무용열정과 정서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 검증은 기술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부분상관관계, 그리고 SEM을 이용하여 열정모형을 검증하였다. 상관관계 결과 열정은 긍정정서와 정적인 관계를, 부정정서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각각의 열정을 통제변인으로 한 부분상관관계 결과에서도 열정 모두 긍정정서와는 높은 정적관계를 보였고 부정정서와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특히 긍정정서는 강박열정과 더 큰 상관을 보여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조화열정과 더 높은 상관을 보인 것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SEM을 통한 모형검증 결과에서는 열정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정은 모두 긍정적 정서의 예측인자였고 부정적 정서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 dance activity-oriented passion and affect.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ors looked into the influence of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a dualistic approach suggested by Vallerand et al. (2003), upon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181 dance major university students (male=22 and female=159) was carried out to find out dance passion and affec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uch analytic methods a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dance model was tested with SEM.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pa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negative affect.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of which control variable is every passion shows that all the passion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affect,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egative affect. In particular, positive affect has bigger relationship with obsessive passion than harmonious passion, thus presenting different modality from most of preceding studies. The result of SEM-based model test shows that the passion model seems to be valid. All the passions are predictors of positive affect and have no influence upon negative affect.

      • KCI등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의 감춰진 린치핀 :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

        김상철,정병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1

        열정이 기업가정신의 중요한 부분이며 창업가, 종업원 및 스타트업의 의도와 행동,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경험적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열정은 스타트업을 시작하는 창업가가 극복해야 하는 노력과 도전을 고려할 때 기업가적 맥락에서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창업가 열정, 액셀러레이터 창업가와 매니저 열정이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창업 자기효능감이 이 영향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설문조사는 액셀러레이터 보육 프로그램을 마친 스타트업 창업가로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설문자는 총 330명이었다. 실증 분석결과 스타트업 창업가 열정, 액셀러레이터 창업가와 매니저 열정은 모두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열정의 영향력은 스타트업 창업가>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액셀러레이터 매니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창업 자기효능감은 스타트업 창업가 열정 및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과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성과 간에 각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액셀러레이터 매니저 열정과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성과 간에는 유의한 매개 역할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액셀러레이터 창업가와 매니저의 열정이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처음으로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액셀러레이터 창업가와 매니저의 열정은 보육 스타트업의 창업성과를 창출하는 데 감춰진 핵심(lynchpin) 요인일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액셀러레이터 창업가 열정은 보육 스타타업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므로 스타트업이 액셀러레이터를 선택할 때 이 사실을 인지하고 이들의 열정 평판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

      • KCI우수등재

        음악재능 청소년의 열정이 성취목적과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도희,정재우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음악재능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열정, 성취목적, 유능감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열정(조화열정,강박열정)이 성취목적(숙달목적,수행접근목적,수행회피목적)과 유능감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예술계 고등학교 재학생들 중 650명의 음악전공 학생들이며,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51명을 제외한 59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열정의 하위 요인들인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은 숙달목적, 수행접근목적 및 유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조화열정만이 수행회피목적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열정은 성취목적을 거쳐 유능감에 영향을 끼쳤는데 ,구체적으로 조화열정은 숙달목적과 수행접근목적을 거쳐 유늘감에 영향을 끼쳤는데, 구체적으로 조화열정은 숙달목적과 수행접근목적을 거쳐 유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반면에 강박열정은 숙달목적을 거쳐 유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 결과, 열정의 두 하위 요인 모두 유능감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나, 강박열정에 비해 조화열정이 유능감 증진에 더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음악재능이 뛰어난 청소년들은 강박열정보다는 조화열정을 지닐 때, 전공활동에 몰입함으로써 새로운 전공지식의 향상은 물론 이로 인한 희열감을 더욱 많이 느끼게 되며, 더 나아가 이들의 유능감이 보다 많이 향상된다 하겠다.

      • KCI등재

        강박열정과 조화열정이 일터에서의 직무성과와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상이한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김성철(Sungchul Kim),김나정(Najung Kim) 한국인사관리학회 201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3 No.3

        일터에서 긍정적인 인재의 특성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열정은 개인 차원에서의 성과를 높일 수는 있으나 번아웃 등의 부정적인 효과를 낳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열정의 양면성에 초점을 맞추어 Vallerand와 동료들이 제시한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을 선행변수로 채택하여 긍정적 결과 와 부정적 결과에 도달하는 매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544명 사무직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461개의 유효 설문 결과를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은 서울, 경기, 부산을 포함한 국내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근무하는 구성원들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두 종류의 열정 모두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를 하나 기여를 하게 되는 메커니즘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화열정은 학습지향성을 매개로 직무성과를 높이고 강박열정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직무성과를 높였다. 또한 번아웃에 대하여 조화열정은 직무스트레스를 낮추어 번아웃을 줄이는 역할을 하나 강박열정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여 번아웃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화열정은 모든 변수들과의 관계에서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나 강박열정은 직무성과를 높이지만 동시에 번아웃으로 이어지는 스트레스 증가를 초래하는 부정적인 효과도 갖고 있음이 드러났다. 연구결과, 일터에서 열정의 양면성이 생기는 이유가 강박열정에 있음을 보여주며,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이 직무 관련 변인에 상이한 영향을 주는 이유를 학습지향성, 직무스트레스 두 개의 매개요인으로 귀인하였다. 실무적 차원에서 열정이 높은 인재를 채용하고 육성하고자 하는 조직들에게 열정 정의의 구체화와 열정이 발현되는 메커니즘의 이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to investigate the dualistic effects of passion and to examine varying mediators that lead to positive and negative work-related outcomes. Building on the literature o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we first examined the effects of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sequences at work. Then, we studied how each of these passion affects work outcomes differently by identifying distinctive mediating mechanisms. Through the results based on 461 employees across 28 companies, we were able to learn the following new insights on passion at work. The multiple mechanisms were found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passion affects individual outcomes at work. Harmonious passion had positive effects on work outcomes because it increases learning orientation and decreases job stress. Obsessive passion, on the other hand, ha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work outcomes because it increased job performance as well as burnout through heightened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hed some light on how to manage talent in the workplace. As the positive effects of harmonious passion have been substantiated, each company should build a system for testing and evaluating the level of harmonious passion of its applicants in recruitment and for improving effectively the level of harmonious passion of its current employees. HR managers should also review whether their companies hav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r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their employees can freely display their harmonious passion and benefit from high level of learning orientation and low level of job stress.

      • KCI등재

        무용 열정의 이원론적 모형 분석

        유진 ( Jin Yoo ),정꽃님 ( Kon Nym Chu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1

        최근 열정은 정체성에 대한 활동의 내면화 과정에 따라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으로 새롭게 개념화되고 있다. 이 이원론적 접근은 조화열정과 강박열정이 각각 적응적 패턴과 부적응적 패턴에 연관된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 열정의 이원론적 접근에 따라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 230명을 대상으로 무용열정의 선제적 모형과 결과적 모형을 구축하여 각 모형들의 구조적 타당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선제적 모형은 목표성향, 무용태도, 무용열정의 인과성으로 구성되었으며, 결과적 모형은 무용열정, 무용연습, 정서의 인과성으로 구성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SEM) 분석결과는 열정의 이원론적 접근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선제적 모형에서 과제목표는 무용태도와 조화열정의 예측인자이며, 무용태도는 열정의 직접적이고 강력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자아목표 역시 강박열정의 예측인자로 나타났지만, 무용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는 못했다. 결과적 모형에서 조화 및 강박열정은 모두 정서의 예측인지이지만 무용연습은 정서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했다. 특히, 강박열정이 조화열정보다 무용연습에 긍정적으로 연관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열정의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논의했다. Passion has been new conceptualized as two types of passion through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activity in one`s identity. This dualistic approach predicts that harmonious passion typically leads to adaptive outcomes and obsessive passion leads mainly to maladaptive outcome. Based on the dualistic approach, this study established antecedent and consequence passion models in dance, and examined structural validity of these models with 230 dancers. The antecedent model involves causal relationships among goal orientation, dance attitude, and dance passion, and the consequence model involves relationships among dance passion, dance practice, and affect. The results of SEMs supported in part the dualistic approach of passion. In the antecedent model, task goal was a positive predictor of dance attitude and harmonious passion, dance attitude was a direct predictor. Ego goal was a predictor of obsessive passion, but did not predict dance attitude. In the consequence model, while both types of passion were positive predictors of affect, dance practice did not predict affect. Obsessive passion was associated dance practi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some theoretical framework of passion i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