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SG측면에서의 법인격 부인과 법인관계인(자연인)의 책임에 관한 연구

        김동한,권용만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1 벤처혁신연구 Vol.4 No.3

        Although management decisions centered on the board of directors and directors must be made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ESG management, the company's management is not obligated to make decisions considering ESG factors. A Korean corporation(company) is an established organization for commercial or other profit, and the purpose of treating a legal organization as a corporation is to easily handle the legal relationship of a group (corporate's property) and individual property of a group member, but legal person such as rights to "harm public rights" or "defend fraud". Criminal liability for illegal acts of a corporation, but the liability of a corporation (natural person) for illegal acts of a corporation is recognized within a limited range, but the criminal liability of a corporation (natural person) is limited. A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 corporation is great, limiting the responsibility of a corporation-related person (natural person) to civil responsibility will halve its effectiveness if considering the impact on the corporation's national economy. Objective requirements such as the completeness of control, hybridization of property, infringement of creditors' rights, and small-capitalization, and the subjective intention of abusing the company system to avoid legal application to controlling shareholders should be denied. Despite the increasing influence on corporate society, such as large-scale projects and astronomical business profits, corporate officials (natural persons) are forced to be held liable for negligence and intentional liability within a limited range. In such cas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riminal responsibility separately from civil responsibility to legal persons (natural persons) in consideration of the maturity of capitalism in Korean society and the economic status of the world. In Korea, the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of corporate denial are strict, but the United States says that it is sufficient to have control or fraud. Therefore, it is not about civil responsibility, but about criminal responsibility of a legal person (natural person), so if fraud is recognized, it can strength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SG경영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배구조에 있어서 이사회와 이사를 중심으로 한 경영상 의사결정이 이루어 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경영진이 ESG요소를 고려한 의사결정을 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 법인(회사)은 상행위나 그 밖의 영리를 목적으로 설립 단체로, 법률상 단체를 법인으로 취급하는 목적은 단체의 법률관계를 간편하게 처리하려는 것과 법인의 재산과 단체구성원의 개인재산을 구분하여 단체 재산을 독립된 주체의 재산으로 하기 위한 것이지만, 법인에게 주어진 자연인에게 권리와 같은 법인격은 ‘공공의 권익을 해’하거나, ‘위법을 정당화’하거나, ‘사기를 비호’하거나, ‘범죄를 옹호’하기 위하여 이용되었을 때에는 단체에게 주어진 인격 즉, 법인격을 부인하고 법인관계인(자연인)의 책임을 확대하여야 한다. 법인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민사적 책임을 지고 있으나, 위와 같이 법인격이 부인된 상태에서의 법인의 불법 행위에 대하여 법인 관계인(자연인)의 책임은 민사적 책임은 인정되고 있으나, 법인 관계인(자연인)의 형사적 책임에 대한 것은 제한 된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법인의 사회적 책임이 지대한 만큼 법인 관계인(자연인)의 책임을 민사적 책임에 국한한다는 것은 법인의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한다면 그 실효성이 반감된다고 할 것이다. 지배의 완전성, 재산의 혼융, 채권자의 권리침해, 자본의 과소성과 같은 객관적 요건과 회사의 법인격이 지배주주에 대한 법률적용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함부로 사용되거나 채무면탈이라는 위법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회사제도를 남용하려는 주관적 의도가 있다면 회사의 법인격 부인을 하여야 할 것이다.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막대한 규모의 사업이 진행되고 그로 인한 사업수익도 천문학적인 숫자에 이르는 등 기업의 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증가하여 그 사회적 책임의 정도가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사적 책임으로 그 책임이 제한되는 경우에 피해에 비하여 피해자가 입은 손해에 대한 책임을 회복할 수 없는 경우에 법인관계인(자연인)에게 기존의 형사적 제재로는 과실 책임과 제한된 범위 내에서 고의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는 한계에 이르고 있다. 그러한 경우에 우리나라 사회의 자본주의 성숙도, 세계에서 차지하는 경제적 위상 등을 고려하여 법인관계인(자연인)에게 민사적 책임과는 별도로 형사적 책임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법인격 부인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이 엄격하지만 미국은 지배 혹은 사기(fraud)만 있으면 족하다고 하고 있다. 그러므로 법인격 부인에 있어서 민사적 책임에 관한 것이 아니라 법인관계인(자연인)의 형사적 책임에 관한 것이므로 지배주주의 법인의 지배 혹은 채권자에 대한 사기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입법을 통하여 그 행위자를 형사적으로 처벌하는 것이 법인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 기업 재무비율 분석을 토대로 기업가치 및 법인세가 신용평가에 미치는 영향

        유준수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19 벤처혁신연구 Vol.2 No.2

        In the context of today's business environment, not only is the nation or company's credit rating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our recent society, but it is also becoming important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Likewise, at this point of time when the importance and reliability of credit evaluation are becoming important at home and abroad, this study analyzes financial ratios related to corporate profitability, safety, activity, financial growth, and profit growth to study the impact of financial indicators on enterprise value and corporate taxes on credit evaluation. To proceed with this, the financial ratio of 465 companies of KOSPI securities listed in 2017 was calculated and the impact of enterprise value and corporate taxes on credit evaluation was analyzed. Especially, this further study tried to derive a reliable and consistent conclusion by analyzing the financial data of KOSPI securities listed companies for eight years from 2011, which is the first year of K-IFRS introduction, to 2018. Research has shown that the significance levels among variables that show the profitability, safety, activity, financial growth, and profit growth of each financial ratio were significant at the 99% level, except for the profit growth. Validation of the research hypothesis found that while the profitability of KOSPI-listed companies significantly affects corporate value and income tax, indicators such as safety ratio and growth ratio do not significantly affect corporate value and income tax. Activity ratio resulted in significant effects on the value of enterprise value but not significant impacts on income tax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nterprise valu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pany’s credit and corporate income taxes, and that corporate income taxes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rporate credit evaluation, and this also shows that there is a mediating function of corporate tax. And as a result of further study, when looking at the financial ratio for eight years from 2011 to 2018, it was found that two variables, KARA and LTAX, are significant at a 1% significant level to KISC, whereas LEVE variables is not significant to KISC.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credit rating score and financial score cannot be said to be reliable indicators that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can normally obtain, compared to ranking criteria for corporate bonds or corporate bills directly related to capital procurement costs of enterpris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edit rating score and financial score reflecting financial indicators such as business cash flow or net assets market value and non-financial indicators such as industry growth potential or production efficiency. 오늘날 경영환경은 국가의 신용도나 기업의 신용등급이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 거래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국내외에서 신용평가의 중요성 및 신뢰성이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수익성, 안전성, 활동성, 재무성장성, 손익성장성의 재무비율을 분석하여 그 재무지표들이 기업가치 및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더불어 기업가치 및 법인세가 신용평가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도 코스피 유가증권상장기업 465개 기업을 대상으로 해당 기업의 재무비율을 계산하여 기업가치 및 법인세가 신용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추가 연구를 통해 K-IFRS 도입 첫해인 2011년부터 최근까지인 2018년까지의 8년간 KOSPI 유가증권 상장기업의 재무자료를 시계열 분석하여 신뢰성 및 일관성있는 결론을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 각 재무비율인 수익성, 안전성, 활동성, 재무성장성, 손익성장성을 나타내는 변수들 간의 유의수준도 손익성장성을 제외하고는 99%에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가설의 검증 결과 코스피 유가증권상장기업들의 수익성은 기업가치 및 법인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안전성과 성장성은 기업가치 및 법인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였다. 또한 활동성은 기업가치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나 법인세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와 더불어 기업가치가 기업신용도 및 법인세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법인세도 기업신용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법인세의 매개효과 기능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가 연구 결과 2011년부터 2018년까지 8년간의 재무비율을 살펴보면 KARA와 LTAX 두 변수는 KISC에 1% 유의수준에서 유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LEVE 변수는 KISC에 유의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기업들의 신용지표로 세무상 정보의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현실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법인세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재무 정보를 확인하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기업의 세무 자료가 자세히 공개되지 않는 상황에서 재무자료를 통한 세무정책 수립에도 많은 유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벤처기업을 둘러싼 외부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다인,김대진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서 수집된 국내 벤처기업 데이터를 통해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과 내부역량,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위험과 고성과를 특징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기업역량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들과 결합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성과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벤처환경수준으로 대변되는 인프라 수준과 실제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의 경우 기업역량, 종속변수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환경수준은기업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벤처기업확인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의 경우기술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재무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부역량이 벤처환경수준 및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벤처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에서 역량, 성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기업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시사점을 갖는다. 아울러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내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기 때문에 추후 개편된 벤처기업확인제도에 해당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경우 벤처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소들에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venture environment,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nternal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actual data of domestic venture companies collected in the Venture Business Precision Surve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level of venture infrastructure did not affect the company's capabil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corporate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but had no effect on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internal compet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confirming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to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using data from actual venture companies,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rporate competency. In addition, sinc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on the internal performance, if the process is introduced in the later reorganized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A more precise check is expected.

      • KCI등재

        벤처기업을 둘러싼 외부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다인,김대진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에서 수집된 국내 벤처기업 데이터를 통해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의 혜택과 내부역량,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고위험과 고성과를 특징으로 하는 벤처기업의 기업역량에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들과 결합해 달성할 수 있는 성과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성과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벤처환경수준으로 대변되는 인프라 수준과 실제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매개변수의 경우 기업역량, 종속변수의 경우 재무성과와 기술성과로 구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벤처환경수준은기업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벤처기업확인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역량의 경우기술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재무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부역량이 벤처환경수준 및 벤처기업확인제도 혜택과 경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한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벤처기업의 데이터를 활용해 환경에서 역량, 성과로 이어지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기업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시사점을 갖는다. 아울러 벤처환경수준과 벤처기업확인제도에 대한 환경적 요소가 내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기 때문에 추후 개편된 벤처기업확인제도에 해당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경우 벤처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소들에대한 보다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venture environment,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verification system, internal capabil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actual data of domestic venture companies collected in the Venture Business Precision Survey.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level of venture infrastructure did not affect the company's capabilities, but it was found that the venture company confirm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In the case of corporate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but had no effect on sales performance.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internal competen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benefits of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and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s of confirming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to competency and performance in the environment using data from actual venture companies, and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corporate competency. In addition, since we confirmed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venture environment level and the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on the internal performance, if the process is introduced in the later reorganized venture business confirmation system,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A more precise check is expected.

      • KCI등재

        혁신촉진요인과 혁신저해요인이 기술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정부 지원의 조절효과

        전영준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5 벤처혁신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혁신을 촉진하는 요인과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이 기업의 기술적 혁신(제품혁신 및 공정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혁신 촉진 요인 및 혁신 저해 요인과 기술적 혁신 사이에서 조절 변수로서 가지는 조절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격년 단위로 발표하는 한국기업혁신조사(Korean Innovation Survey: KIS)-(제조업)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프로빗 모형(Probit Model)을 통해 주요 변수 간 영향관계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혁신을 촉진 하는 요인들은 전반적으로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혁신 저해 요인의 기업의 역량을 저해하는 요인은 제품 혁신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외의 요인들은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반면 공정혁신에는 혁신을 저해하는 요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셋째, 정부의 지원은 직접적으로는 기업의 기술적 혁신에 미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혁신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요인과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 정부의 지원은 기업의 기술적 혁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무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factors that acceleration innovation and factors that hindrance innovation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enterpris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ous government suppor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novation acceleration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cess innovation and product innovation as a whole. Second, among the factors that hinder innovation, the factors that hinder enterprise competency were found to hinder product innovation. Other factors were found to not hinder.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all factors that hindrance innov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cess innovation. Third, government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no direct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However, when interacting with innovation acceleration factors or innovation hindrance factors, government suppor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enterprise technological in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네덜란드의 혁신클러스터정책과 시사점

        김영우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정책을 통해 네덜란드 경제의 성장동인을 찾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물류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네덜란드는 1990년대 지역 클러스터를 만들면서 첨단 허브 국가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고 작은 나라임에도 세계 수출의 7위를 차지하는 등 혁신국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바탕에는 혁신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 접근법으로 ‘지역 혁신 시스템(Ration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을 도입하고 지역의 특색을 살린 산학연 모델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는 적절한 중앙정부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제시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학연 모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혁신 클러스터의 활성화이다. 둘째, Top 9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육성정책과 미래산업 전략을 활성화하고 있다. 셋째, 산학연 협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넷째, 스타트업의 창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네덜란드는 2019년 설립된 TechLeap은 네덜란드의 기술 생태계를 정량화하고 가속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자본, 시장 및 인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술 기업이 확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네덜란드를 미래의 기술 선도기업들을 위한 보금자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첨단농업과 물류국가로 알려진 네덜란드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하는 물류의 항구에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항구(brainport)’로 확장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물류 국가에서 산업화에 성공했지만 최근 지역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중앙정부의 비전 제시와 지역의 특화산업을 연계한 산학연 클러스터 모델이 가장 큰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혁신정책은 혁신 클러스터 생태계를 중심으로 지역을 개발하고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산업을 위한 투자를 통해 유럽의 ‘디지털 관문’으로서 역할에 보다 충실할 것으로 전망된다. ​

      • KCI등재

        COVID-19 재정지원정책과 기업가정신이 중소기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워크 도입 유무에 따른 비교 연구

        전영준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2 벤처혁신연구 Vol.5 No.4

        COVID-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경제는 악화되었으며 국내 역시 큰 타격을 받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들이 겪고 있는 자금난 해소를 위해 전례 없는 COVID-19 관련 재정지원 정책을 시행하였다. 또한, 정부는 COVID-19 확산이 지속되자 비대면 접촉을 권고했으며 그에 따른 지침과 방안을 내세움에 따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조직들은 비대면 형태의 업무방식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COVID-19 관련 재정지원 정책이 중소기업의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같은 외부적인 지원도 중요하나 내부적 역량 역시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업가정신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더하여 비대면 형태의 업무방식이 활성화됨에 따라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과 도입하지 않는 기업 간 비교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수집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기업혁신조사-2020년 (제조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을 위해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해 표본에 대한 선택편의를 줄인 이후 스마트도입 기업과 도입하지 않은 기업 간 집단을 분류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가정신의 경우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중소기업의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COVID-19 재정지원정책의 경우, 금융지원은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기업에게만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이외에 지원정책은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제품혁신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은 스마트워크 도입 여부에 상관없이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COVID-19 관련 재정지원정책은 지원유형에 따라 혼재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업과 정보통신업 비교

        최민석,황찬규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연구개발 종사자의 혁신행동은 신제품 또는 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의 개선 등 효율화를 통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연구개발 종사자들은 높은 전문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업무를 진행하는 경향이 높기 떄문에 외부로부터의 지시나 요구보다는 스스로의 동기부여에 의해서 혁신행동이 발현될가능성이 높다.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연구개발 (R&D) 종사자를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 및 정보통신 (ICT) 기업 연구개발 종사자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랜덤표집 방식으로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확보한 209건의 데이터에 대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및요인간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제조업과 ICT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 째, 제조업과 ICT 모두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 째,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 자연보상 전략 및 건설적사고 전략 모두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의경우 자연보상 전략과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친 반면, ICT의 경우에는 행동지향 전략과 자연보상 전략이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행동지향 전략과 ICT의 건설적사고 전략은유의하지 않았다. 넷 째,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조업과 ICT 모두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의 경우가 ICT보다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직무만족의매개효과 분석 결과, 제조업의 경우 건설적사고 전략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적인 매개효과가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ICT의 경우에는 셀프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인에 대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제조업과 ICT업 간에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의 작용 메커니즘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는 각 산업의 특성과 연구개발 조직 특성을 고려하여 조직 내의 리더십, 직무설계, 그리고 직무만족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직의 전략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among R&D practitioners in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dustries. To accomplish thi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random sampling methods and collected data from 209 respondents. We emplo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0.0 software to analyze the data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in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econ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ird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ought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hile in the ICT sector, behavioral-oriented strategy and natural reward strate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ourthly,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both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with manufacturing sector having relatively greater impact than ICT sector. La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dicate tha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nly a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significantly influences, show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However, in the ICT sector, no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were observed for any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These research findings highlight differences in the mechanisms of action of self-leadership on innovative behavior and its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manufacturing and ICT sector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culture towards promoting leadership, job design, and job satisfa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

      • KCI등재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호현,박형준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정부의 R&D 지원과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이 벤처기업의 혁신, 즉 혁신역량 및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델링(PLS-SEM) 방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R&D 지원의 수혜 여부는 벤처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D 지원은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은 기업의 혁신역량 강화에 정(+)의 영향을미치고,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은 정부의 R&D 지원및 벤처기업의 스톡옵션제도 활용과 기업의 혁신성과 사이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벤처기업의 혁신에 있어서 정부의 R&D 지원과 스톡옵션 제도의 활용이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혁신의 프로세스에서 벤처기업의 혁신역량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벤처기업에 대한 R&D 지원의 기조를 꾸준히 이어나가면서 동시에 기업의 역량강화를 지원하는 다면적 정책수단을 투입할 필요가 있으며, 스톡옵션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와 정책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on the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that is, innovation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method using the data from the detailed survey of venture companies conducted on domestic venture confirmation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enefit of government R&D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strengthening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and R&D support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Next,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einforcement of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significantly mediate between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s by venture companies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companies.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government's R&D support and the use of stock option systems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 innovation of venture companies, and also show that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venture companies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ance of R&D support for ventures and at the same time to introduce multi-faceted policy measures to support corporate capacity building, and legal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and policy support to revitalize the stock option system need to be continuously provided.

      • KCI등재

        혁신지향적 벤처기업의 ESG 경영과 성과

        이양수,박소연,최규선,현병환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5 벤처혁신연구 Vol.8 No.2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이해관계자 요구에 따라 벤처기업에서도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아우르는 ESG 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혁신지향성이 ESG 경영 활동과 경영성과(재무적 성과,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전·세종·충청 지역 벤처기업 301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혁신지향성은 ESG 경영의 모든 차원(환경경영, 사회적책임, 지배구조)에 정(+)의 영향을 미쳐 가설 H1~H3 모두 채택되었다. 또한 혁신지향성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어 H10~H11 가설 또한 지지되었다. 한편 ESG 경영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일부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지배구조 관련 ESG 활동만이 재무성과를 유의하게 높였고 사회적 책임 활동만이 비재무성과를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벤처기업의 경우 한정된 자원 하에서 지배구조 개선이나 사회공헌 활동과 같은 분야에 집중할 때 각각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 측면에서 가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요컨대 본 연구를 통해 혁신지향성이 높은 벤처기업이 ESG 경영을 활발히 수행하고 그 결과 일부 ESG 활동을 통해 기업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또한 이러한 실증 결과를 토대로 벤처기업의 ESG 경영 전략 및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지향성과 ESG 경영의 연계성을 규명함으로써 벤처기업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 및 관련 학술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line with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stakeholder demands,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encompassing environment, society, and governance is increasing in venture compani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the innovation orientation of venture companies o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non-financial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venture companies in the Daejeon, Sejong, and Chungcheong regions,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novation orientation of venture companie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dimensions of ESG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and governance), and hypothesis H1~H3 was all accepted. In addition, innovation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hypothesis H10~H11 was also supported. Meanwhile, the effect of ESG management activities on management perform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some factors. In other words, only ESG activities related to governance significantly increased financial performance, and only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howed the effect of increasing non-financial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case of venture companies, when they focus on areas such as governance improvement 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under limited resources, they can achieve visible effects in terms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respectively. In short, this study empirically revealed that venture companies with high innovation orientation actively perform ESG management and, as a result, can increase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some ESG activities. In addition,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ESG management strategies and policies of venture companies and discus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strategies for venture companies and related academic research by clarifying the link between innovation orientation and ESG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