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가정책의 영역 및 향후과제에 대한 제안 연구

        윤소영,유지윤,이강욱,김향자,노용구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5 No.2

        주40시간 근무제 확대 및 여가중시 패러다임의 변화로 여가정책에 대한 영역확보 및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정책의 비전과 목표 등의 기본적인 방향 제시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정책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여가정책의 업무 영역을 범주화하고 여가관련 정책의 동향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여가정책의 핵심영역 및 추진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여가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비전과 목표는 창조적 여가선진국 구현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국민여가참여 확대가 제안되며,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과 과제로는 국민의 여가 기본권 확립, 여가창조성 제고, 여가교육 및 복지제고, 여가산업 육성 등의 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제2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을 위한 여가산업 분야 정책 제안

        전성범(Sung Bum Chun),장찬희(Chan Hee Chang),김매이(May Kim) 한국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제1차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이후 여가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여가산업 관련 정책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가산업 범위의 조작적 정의를 위해 스포츠, 관광, 엔터테인먼트, 게임, 플랫폼 비즈니스 등 5개 분야로 산업을 분류하였다. 각 여가산업 세부 분야의 전문가들을 섭외하여 포럼단을 구성하고 포럼 의견 수렴의 과정을 거쳤다. 추가적인 전문가 면담, 여가산업 우수사례, 선행연구 등의 자료 수집과 분석을 진행하여 향후 5년간 도입할만한 여가산업 육성 정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정책은, 스포츠산업 하위에 국민체육센터/국민체력센터 지자체 연계 및 이력관리, 공공 체육시설 디지털화, 사회적 기업을 통한 공공 여가 및 스포츠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등 3개 정책; 관광 산업 하위에 누구나 워케이션, 둘레길 활성화, 둘레길 연계 및 거주지 주변 걷는 길 정보 구축 등 2개 정책; 엔터테인먼트 산업 하위에 한류 산업 및 관광의 내국인 연계 인프라 구축, 한류 산업 관련 종사자 지원/양성 및 아카데미 지원, 한류결합관광서비스 개발 및 다문화가정 해설사 양성 등 3개 정책; 게임 및 디지털 산업 하위에 성인 대상 온라인 게임 정책, 다양한 여가분야 산업의 게임화 지원, 게임 개발 여가활동 프로그램 제공 등 3개 정책; 플랫폼 비즈니스 산업 하위에 여가정보의 효율적 제공, 지역사회 여가플랫폼 구축, 플랫폼 비즈니스 규제 정립 및 완화 등 3개 정책으로 총 14개 정책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적절한 관련 부처 및 지자체와의 협업, 책임 부서에 대한 지원, 관련 인프라 구축, 법체계 정비 등 복합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new leisure industry related policies This study categorized the leisure industry into five areas, including Sport, Tourism, Entertainment, Games, and Platform businesses. Experts in each of these fields were invited to the forum and gathered their opinions. In addition, case study, expert interview, literature review were implemented for additional data. The study identified 14 policies across the five categories. Under sports, the policies include government-local cooperation for public sports centers, digitaliza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innovation in the delivery of public leisure and sports services through social enterprises. The tourism category proposed policies for the activation of walking trails, development of residential walking paths, and building an infrastructure for workation. The entertainment category included policies such as supporting the domestic market of Hallyu, developing Hallyu-combined tourism services, and training multilingual tour guid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games and digital industry, policies included supporting adult-targeted online games, providing game development programs for various leisure fields, and promoting gamification. Finally, platform business policies proposed efficient provision of leisure information, constructing a community leisure platform, and establishing and relaxing platform business regulations. This study recomme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consid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work with releva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to implement the policies, provide support to responsible departments, build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revis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 KCI등재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여가정책(2): 활성화 방안

        원형중 ( Hyung Joong Won ),김숙자 ( Sook Ja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4

        현재 우리나라 노인들은 노후생활에 대한 대비도 부족했었으며 청장년기의 여가경험도 풍부하지 못한 세대이다. 또한 유교적인 전통사회에 익숙하며 가족 공동체 내에서 심리적·물질적 부양문제 해결을 실천했던 세대이다. 그러나 현재의 노인세대가 겪고 있는 가족문화나 사회문화·여가문화는 과거 선조들의 겪었던 내용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며 급변하는 사회변동에 맞추어 노화에 따른 적응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시급한 시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개발에 있어서는 노인부양의 사회적 책임, 사회구성원으로서의 노인에 대한 재조명, 노후생활에서 여가활동의 중요성 등이 주요 과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특히 여성노인과 관련된 전반에 관한 충분한 이해 없이는 고안된 정책은 실현가능성이 떨어지고 사회보장 부담만 증가시키며 나아가 노인여가의 전반적 문제로 인한 가족 전체의 삶의 질 저하에까지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형중(2005)은 여성노인 복지구현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통해 나누어진 총체적 건강만족, 가정생활만족, 여가생활만족, 노인문제의 여성문제화, 경제적 안정 등의 일반목표를 제시하였으며, 개인적 차원과 국가·사회적 차원의 부분목표를 제시하였다. 이중 국가·사회적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부분으로 ①여가연구의 활성화, ②관련법규의 정리 및 조정기능강화, ③여가시설·자원공급 시스템 구축, ④노인 여가시설·환경의 개발과 개선, ⑤여가시설·환경의 효율적 관리의 5가지 세부목표를 제시,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여가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존 여성노인의 여가정책이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이 되었었지만 그 구심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원형중(2005)의 모형은 여성노인의 정서요인과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정립에 대한 양적연구와 성공적 노화를 위한 여성노인의 요구분석을 위한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기반으로 정립된 모형으로서 보다 실질적인 활성화 방안 제시는 모형의 활용도 및 여성노인을 위한 사회기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학문적 노작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형중의 모형(2005)을 근간으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여가정책``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여가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으며, 여성노인의 여가정책이 노인복지와 통합적인 여가정책에 그 기반을 두어야 한다는 기본 전제 하에 일반적 노인복지와 여가정책을 동시에 탐색하여 그 해답을 구명코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복지정책과 여가정책의 대상영역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기본법과 현황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여성노인의 여가정책의 대안을 마련하는데 참고하기 위해 연구된 선진국의 사례는 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각각의 내용을 정책 대안별로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Contemporary Korean elderly appeared not to prepare properly for their aging life and did not have a plentiful leisure participation experiences due to Korean War and Japanese annexation when they were at youth and mid-life stage. In addition to this fact, they had been regarded as bread winners who were under obligations to support their family`s psychological and material lives under the traditional Confucius norms. However, unfortunately, their life at hand is quite different what they had envisioned and need to cope with ever changing life surroundingsin their elderly life sta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cial supporting system of the elderly economic life, pay special attention on social life system of the elderly and leisure life patterns of the elderly. In particular, policies those overlooked the general problems incurring with elderly women may add up the burden of social support system and end up with deterioration of overall family lives along with elderly lives in general. Won(2005) has provided a theoretical model requesting plans for both personal and governmental plans to meet the needs of Korean elderly women and has suggested general goals including family life satisfaction, leisure life satisfaction, women`s issue in elderly problems, and financial stabilization. In addition, he insisted 5 elements of strategic plans for optimal elderly life satisfaction procedures and they are revitalization of leisure research, straightening out of the related acts and strengthening of adjustment of the acts, system construction for leisure facilities and resource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for leisure facilities and resources of the elderl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leisure facilities and resour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is no scholastic agreement in terms of elderly research in spite of various approaches from different areas of specialization, Won`s model should become the center of scholastic interest in that the research model had been achieved through both epidemical (in-depth interview) and empirical methodologies and appeared to suggest the applicable model that could be used at hand.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s have provided more concrete strategic plans for leisure policy for optimal aging of the Korean female elderly. Primary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was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researchers` focus of literature review aims to find out the solution that bonds the elderly welfare and comprehensive leisure policy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 researchers` research work mainly based on arranging and developing leisure related policies. In addition, the researcher used foreign countries those have exemplary leisure policy for the elderly through internet usage and suggested strategic plans based on these endeavors.

      • KCI등재

        가족여가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연구: 야외레크리에이션 활동 대상자를 중심으로

        송성섭,김용찬,김민규 여가문화학회 2015 여가학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가족 응집의 기능과 사회문제 해결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가족여가문화 확산을 위해서 야외레크리에이션 참여자를 중심으로 수요조사를 통한 정책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수요자 중심의 우선순위를 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연구방법 설계를 적용하였다. 우선 질적연구를 활용하여 가족여가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요인을 도출하였고, 이후 양적연구의 일환인 우선순위 산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여가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요인 중에 최우선 순위는 현실적인 가족여가지원 정책으로; 둘째, 2순위는 가족여가를 위한 인프라 구축으로; 셋째, 3순위는 가족여가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으로; 넷째, 4순위는 교육적 효과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프로그램 개발로; 다섯째, 5순위는 친환경 야외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정책 개발로; 여섯째, 6순위는 안전 관련 정책의 개선으로 산정되었다. 그간의 여가정책은 여가선용을 위한 촉진적 개입전략을 활용하는 분배정책이 일반적이었다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정책요인들은 분배정책은 물론, 재분배정책과 규제정책이 적절하게 활용되었기 때문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여가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시, 관련 연구들 간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연구진보와 학계, 정계,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 Policy Research for Diffusion of Family Leisure Culture : focusing on persons with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 KCI등재

        참여정부 문화비전에 나타난 여가정책에 관한 연구

        김영순,신규리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5 No.1

        여가를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한국은 시민들에게 틀에 박힌 정형화된 여가를 수동적으로 수혈 받는 수혜자가 아닌, 능동적 여가 창조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검토가 필요한 때이다. 즉 여가인식, 여가교육, 여가활용, 여가소비, 여가권리 등 시민들의 올바른 여가의 향유를 위한 문제들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의 총체적 진단과 이러한 진단을 통한 제반여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정부는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여가권(leisure right)’을 가능케 하는 조건을 여가정책을 통해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정부 ‘문화비전’에 드러난 여가에 관한 정책의 기본 방향과 현재 수행되고 있는 여가문화정책을 살펴봄으로써 도출된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향후 여가정책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독립적인 하나의 정책영역으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여가정책, 여가의 개념 난립으로 인한 여가의 정책적 범위설정의 어려움, 정책 평가시스템의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으며, 향후 여가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문화경영학 프로세스 도입을 통한 여가정책의 집행내용 평가, 2) 건전한 여가문화 형성을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 작업, 3) 여가정책의 정책적 범위에 대한 재 포지셔닝 작업, 4) 정부차원의 문화정책의 기조방향과 실제 수행되는 여가정책간의 조응성 도출, 5) 정부부처에 산재해 있는 여가정책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정책 연구 및 수행 기관 설치 등이다.

      • KCI등재

        여가정책의 중요성 인식에 대한 연구: 지역규모를 중심으로

        신아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3 문화정책논총 Vol.3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규모가 여가정책의 중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여가정책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 고, 2022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활용하여 지역규모가 여가정책 중요성 인식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여가정책은 크게 여가여건에 대한 지원, 특정 집단의 여가에 대 한 지원 그리고 여가와 관련된 법적 제도에 대한 지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정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정책 분야는 여가여건에 대한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가여건 중 여가시설의 다양성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다. 또한 정책분야를 막론하고 지역규모가 커질수록 여가정 책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여건과 관련된 정책에서는 대도시 가 읍면지역에 비해 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여가 전문인력에 대해 중요하게 평가했 다. 이는 도시의 여가여건이 우수하더라도 정부의 역할 증대를 기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특정 집단에 대한 정책의 경우 소외계층 여가생활 지원에 대해서는 대도 시일수록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지만, 동호회 육성 및 지원에 대해서는 지 역규모가 중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법적 제도에 대한 정책에 대해서는 지역규모가 커질수록 여가 관련 법규 및 제도와 공휴일 및 휴가 의 법적 보장에 대해 더욱 중요하게 평가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규모에 따라 여가정책 중요성 인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밝히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This study analyzes and identifies the effect of regional scale on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y. This study reviews existing discussions on leisure policies that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and analyzes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in 2022 to examine the effect of regional size on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i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leisure policy area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was support for leisure conditions, and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he diversity of leisure facilitie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policy area, as the size of the region grows, the importance of leisure policy is greatly recognized. Second, in the policy on leisure conditions, large cit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isure facilities, leisure programs, and leisure professionals compared to towns and villag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expecting an increase in the role of the government even if the urban leisure conditions are excellent.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size and policies for specific groups, in the case of leisure life support for the underprivileged, the importance was higher in large cities, and in the case of club development and support, regional size did not af fect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Lastly, regarding the policy on legal systems, the larger the regional scale, the stronger the importance of leisure-related laws and systems and the legal guarantee of public holidays and vacations. Various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herein.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가정책 개발

        김경식,한승진,이연주,한승백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actical leisure policy based on Big Dat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pecific recreational policy tasks that you have seen over the past decade based on keywords from leisure-related big data analysis? Second, what are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the Big Data Based Leisure Policy? Methods : First, a total of 134 leisure related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big data analysis. Second,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we conducted a third-round expert meeting and a second-round Delphi expert survey. Third, we analyzed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policy factors through IPA analysis. Conclusions :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dentified six policy categories ('Programs, 28', 'Facilities, 19', 'Industries, 14' 'Infrastructure, 8', 'Laws and Institutions, 8',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 A total of 79 policy factors were developed. Finally, based on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IPA analysis method,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leisure policy development. First, leisure policy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ople's life is required. Second, support for eco-friendly leisure programs and facilities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eisure program that uses ICT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urth, system maintenance policy for leisure activation is required. Fifth, integrated and convergent leisure content is required. Sixth, Customized support for recent leisure activities is required. Seventh, environment maintenance of existing leisure facilities is required.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실사회에서 요구하는 실질적인 여가정책을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10년간의 여가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키워드를 바탕으로 어떠한 여가 정책 세부 과제들이 나타나는가? 둘째, 빅데이터 기반 여가정책의 세부 과제에 대한 중요도와 시급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 달성 위해서 이 연구는 첫째, ‘여가’와 ‘레저’를 키워드로 지난 10년간 신문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총 134개의 여가 관련 주제어와 주제어군을 도출하였다. 둘째, 이렇게 추출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3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와 2차에 걸친 델파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IPA 분석을 통해 정책 요인의 중요도와 실행가능도를 살펴보았다. 결론 :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6개(‘프로그램, 28’, ‘시설, 19’, ‘산업, 14’ ‘인프라, 8’,‘법과 제도, 8’, ‘인력개발, 2’의 정책 범주에 총 79개 정책요인을 개발하였다. 각 점책 범주별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범주의 경우 사회문화적인 트렌드를 반영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도출되었다. 둘째, 여가 정책 시설/인프라 요인에서는 대규모 건설을 지양하고 복합적, 소규모 리모델링 위주의 정책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셋째, 여가 정책 법/제도 요인에서는 여가활성화를 방해하거나 저해하는 법령 또는 규제를 제한하는 방안이 도출되었다. 넷째, 여가 정책 산업/인력 요인에서는 국내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사업체에 대한 지원에 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IPA 분석 방법으로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여가 정책 개발을 제언하였다. 첫째, 국민 삶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여가 정책이 필요하다(Life-balanced). 둘째, 자연 기반 여가 프로그램과 시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Eco-based). 셋째,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ICT 활용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ICT-connected). 넷째, 여가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정비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여가 콘텐츠가 필요하다(Convergence). 여섯째, 최근에 나타난 여가 활동을 맞춤형 지원해야 한다(Recent phenomenon). 일곱째, 기존 여가 시설에 대한 환경 정비가 필요하다(Environment).

      • KCI등재

        청소년의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 정책연구

        김민규,서정은 여가문화학회 2015 여가학연구 Vol.13 No.3

        This study aims to draw weighted value of political factors through AHP on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on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of adolescents which can cure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by promoting proper functions of leisure behavior, preventing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and restraining adverse effect and then, it aims to suggest which policy has to be preferentially implemented in the future. To this end, it conducted calculation of priority order utilizing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model on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of adolescents developed by Kim, Min-kyu and Park, Soo-jung(2015). Analysis result shows that policy has to b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as for class 1; second, a policy to improve perception as for group intervention strategy and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of Class 2; third, relative importance in lower class of group intervention strategy and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of Class 2; four, a policy for development of a policy as for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in Class 2; fifth, a policy to develop use plan of public education as for establishment of priority over intervention policy in Class 3; sixth, a policy to set up administrative system between institutions as for relative importance of R&D in Class 3 as for establishment of priority over intervention strategy on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seventh, a policy to establish college department as for relative importance of intervention strategy to raise specialized manpower in Class 3 to calculate priority over intervention strategy on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eighth, a policy for campaign using celebrity as for relative importance of intervention strategy of perception improvement in Class 3 to calculate priority over intervention strategy on service communication system.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 help as basic data for policy development, political projec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academic field. 본 연구는 여가활동의 순기능을 촉진하여 여가행위중독을 예방하고, 역기능을 억제하여 여가행위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 정책 요인에 대해서 AHP를 통해 가중치를 도출해 보고 향후 어떠한 정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김민규와 박수정(2015)이 개발한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 모형의 정책요인들을 활용한 우선순위 산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 1은 서비스 전달체계 정책이, 둘째, 계층 2의 집단별 개입전략과 서비스 전달체계 전체의 상대적 중요도는 인식개선을 위한 정책이, 셋째, 계층 2의 집단별 개입전략 하위계층의 상대적 중요도는 여가지속프로그램 교육 개입을 위한 정책이, 넷째, 계층 2의 서비스 전달체계 하위계층의 상대적 중요도는 정책개발을 위한 정책이, 다섯째, 서비스 전달체계 개입전략별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계층 3의 정책개발 개입전략의 상대적 중요도는 공교육 활용방안 개발을 위한 정책이, 여섯째, 서비스 전달체계 개입전략별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계층 3의 연구개발 개입전략의 상대적 중요도는 기관 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이, 일곱째, 서비스 전달체계 개입전략별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계층 3의 전문인력 양성 개입전략의 상대적 중요도는 대학학과 설립을 위한 정책이, 여덟째, 서비스 전달체계 개입전략별 우선순위 산정을 위한 계층 3의 인식개선 개입전략의 상대적 중요도는 celebrity 활용한 캠페인을 위한 정책이 최우선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책개발 및 정책사업 개발, 학문 영역의 확장에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청년세대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인식, 여가정책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1년 국민여가활동조사 패널자료

        김지혜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세대의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여가인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최근 경기침체와 청년실업 등으로 청년들에 대한 정책과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이나 청년들을 위한 여가 정책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실태, 여가환경 등에 대한 2020국민여가활동조사 패널자료(조사기간: 2020년 9월7일에서 2020년 11월 16일)에서 청년세대(20~39세) 표본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패널자료의 측정도구는 7점 리커트식 척도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수집되었으며, SPSS2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공여가시설만족과 여가인식, 여가정책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둘째, 공공여가시설만족과 여가정책 간에 여가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들과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세대의 공공여가시설체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여가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여가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여가정책은 청년 개인의 삶의 질과 행복수준을 제고하고 국민의 여가문화 향유 증진 및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탈산업사회에서 직장인 여가문화의 가치 변화와 의미: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손동기 한국유럽학회 2016 유럽연구 Vol.34 No.4

        Recently finding a work-life balance is a challenge that all workers face. In particular, the wage laborers consider leisure life as a significant role in overall individual’s happiness more than the economic benefits. The quality of cultural policy for wage laborers provided by their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are able to influence worker’s productivity as well as their job satisfaction, loyalty toward a company and job stability. So Public or private leisure service providers have become increasingly conscious of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provision as a result of increasing demands. But it doubt that these leisure services policy has answered in Korea. Because Korean cultural policy is often referred to as supply side policies. So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ase of french experiences and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o Korea. 최근 직장인들의 여가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다양한 여가문화를 즐기려는 수요가증가하고 있다. 노동중심의 삶에서 벗어나 경제적 이익보다는 일상에서의 여가를 통한행복을 추구하는 삶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개인적인 일과 삶의 균형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삶의 질 향상을 꾀할 뿐만 아니라 기업 측에서는 생산력향상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기업들의 직장인들을 위한 여가문화의 지원에대한 정책에 대한 과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공급자 중심에서 문화정책 혹은 여가정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때문에 정책의 대상이 되는 직장인들의 여가에 대한 다양한 욕구가 반영이 잘 되고 있지 못하고, 이로 인해서 여가정책의 실효성이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동시간 감소(Réduction du temps de travail)를 큰 축으로 하는 근로환경 개선(Améliorer les conditions de travail)뿐만 아니라 개인의 다양한 문화적취향(le goût)을 존중하는 정책을 통해 직장인들의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프랑스의 사례에 주목했다. 특히 산업사회에서 탈산업사회로 넘어 오는 과정에서 여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정책의 변화가 프랑스 사회에서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살펴봤다. 이를 통해서 아직 기업 여가문화가 성숙하지 못한 한국의 직장인들을 위한 여가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