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취업유형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긍정적 심리변인, 양육변인 차이 연구

        임현주 ( Lim Hyun Ju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취업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어머니와 유아의 긍정적 심리변인(자아존중감, 행복감), 양육변인(양육효능감, 양육분담)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가 2017년에 일반에게 공개한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월령 72∼79개월의 유아와 그 유아의 어머니 1,620쌍이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은 빈도분석하였으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어머니의 취업유형에 따른 어머니와 유아의 긍정적 심리변인, 양육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하고, scheffe사후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심리 중 자아존중감은 정규직, 고용주 어머니가 전업모와 비정규직의 어머니보다 높았으며, 행복감은 고용주가 가장 높았다. 유아의 심리 중 자아존중감은 정규직 어머니의 자녀가 비정규직 어머니의 자녀보다 높았으며, 행복감은 고용주 어머니의 자녀가 가장 낮았다. 양육변인 중 양육효능감은 고용주 어머니가 비정규직 어머니보다 높았으며, 양육분담은 전업모가 가장 적게 받고 있었다. 즉, 어머니의 취업유형은 어머니와 유아의 긍정적 심리, 양육변인의 영향 변인에 해당하였다. 이에, 어머니 취업의 안정성은 어머니와 유아의 심리와 양육변인의 긍정적 영향변인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mother’ and children’s positive psychology and parenting variables according to a function of types of mothers’ employment status type. The data of 1,620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7) was used for this study. It was analyzed with methods of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ing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self-esteem of regular employed mothers and owner mothers was higher than ones of homemaker mothers and irregular employed mothers. Moreover, the happiness of owner mothers was highest than the happiness of regular employed mothers, irregular employed mothers, homemaker mothers. Second, the self-esteem of child’s of regular employed mothers was higher than ones of irregular employed mothers. Moreover, the happiness of child’s regular employed mothers, irregular employed mothers, homemaker mothers was higher ones of owner mothers. Thir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variables as a function of the types of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parenting efficacy of owner mothers was higher ones of irregular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shared parenting of regular employed mothers, irregular employed mothers, owner mothers was higher ones of homemaker mothers.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이 남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정신화의 조절효과

        강지현 ( Kang¸ Ji H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정신화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서울의 4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1~6학년 학생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정신화,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우울과 정신화, 아동의 문제행동이 아동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여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우울과 정신화 수준간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어머니의 정신화 수준과 아동의 내재화 및 남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끼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신화가 갖는 조절효과는 남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남아에게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끼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신화가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여아에게서는 어머니의 우울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끼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정신화가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우울과 아동의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 정신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연구의 제한점과 이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mentalization in the correlation of maternal depression on their child behavior problem. The study was conducted on 809 persons; the mothers of the first to sixth graders attending four elementary s cho os l in Seoul,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ternal depression, maternal mentalization on child’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s: first, the level of boy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girl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 ro blems. Wherea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mentalization level, and a significant negative c o rrelation between maternal mentalization level and child's internalizing problems and boys’ externalizing problems. Third, in the influence of maternal depression on child behavior problem,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mentalization were different for boys and girls. In other words, in boys, maternal mentalization showed a protective effect in the influence of maternal depression on internalizing problems, whereas in girls, maternal mentalization in the influence of maternal depression on externalizing problems showed a facilitating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 o nfirm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on the child behavior problem and a ls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maternal mentaliz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depression and the child behavior problem. Finally, future studies are encouraged based o n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어머니 역할지능에 대한 남녀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정서지능의 상호작용 효과

        정현윤,김희화 인지발달중재학회 2017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temperamen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ng intelligence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69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5 year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Busan.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Th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indicated that adaptability, physiological regularity and reactivity of child’s tempera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However, the temperament of activity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ing intellig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egardless of the child’s gender. Second, the interactions between adaptive temperament for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a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active temperament for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a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 in case of male children, bu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hysiological regularity temperament on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was not significant. In case of female children, the interactions among adaptive temperament, physiological regularity temperament, reactivity temperament, a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mother’s parenting intelligence were found to significant.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 정서지능과 어머니 역할지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정서지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어머니 역할지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 표집을 위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 4, 5세의 남녀 유아 269명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유아의 기질 하위요인과 어머니 역할지능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남녀 유아의 기질 중 적응성, 생리적 규칙성, 반응성은 어머니 역할지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성 기질은 어머니 역할지능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지 않았다. 또한, 남녀 유아의 어머니 정서지능과 어머니 역할지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에 상관없이 어머니 정서지능은 어머니 역할지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아의 경우, 어머니 역할지능에 대한 적응성 기질과 어머니 정서지능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고, 어머니 역할지능에 대한 반응성 기질과 어머니 정서지능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였으나, 어머니 역할지능에 대한 생리적 규칙성 기질과 어머니 정서지능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여아의 경우, 어머니 역할지능에 대한 적응성 기질, 생리적 규칙성 기질, 반응성 기질 각각과 어머니 정서지능의 상호작용 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예,박윤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9차년(2016년)도 자료인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464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및 아동의 학교적응에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및 아동의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중 분위기제공 및 친구관계에서 성적중시는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중 친구관계에서 성적중시를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추후 연구를 통해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탐색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ninth child study panel data 1464 7-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mother'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x of the child. The girls were higher than the boy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 's academic concer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inally, it was found that mother's academic concern and mother-child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particular, mother’s concern in providing an atmosphere and friendship affects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ll of the mother's academic concern, except for friendship,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ther-child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and further research on this would require a structural search betwee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서석원 ( Seok Weon Seo ),이대균 ( Dae Ky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 영아의 정서성 기질 및 어머니의 우울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월령이 24개월 이상 31개월 이하인 영아 1,802명과 해당 영아의 어머니이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0)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AMOS 18.0으로 통계처리 하였는데 최종모델의 적합도는 RMR=.004, GFI=.999, AGFI=.989, NFI=.998, IFI=.999, TLI=.988, CFI=.999, RMSEA=.035로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 그리고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의 우울을 매개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었으며 직접적으로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인이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and mother`s depression on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2 children aged from 24 to 31 months and their mothers. The data were from the third year research results by the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2010). A path analysis was implemented by AMOS 18.0. Results reveal that the fitness of the model is excellen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s, and the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it as well via the mediation of mother`s depression. In particular, while mother`s 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stress, it also was a mediation variable for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and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on parenting stress, thus rendering it the stronges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어머니>에 나타난 기억의 형상화 -김명곤과 이윤택의 연출 비교를 중심으로-

        김숙경 한국극예술학회 2013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1

        본고는 기억의 형상화 양상에 주목하여 <어머니>의 고유한 특성과 한계를 재조명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김명곤과 이윤택의 연출 비교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함으로써 희곡분석 중심이던 <어머니>의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였다. 극작가 이윤택은 희곡 <어머니>에서 기억의 형상화를 위해 이질적인 시공간을 해체시키고 있다. 이 작품에서 시공간의 해체는 ‘혼재’의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이질적인 시공간들, 다시 말해, 어머니가 구술하는 시점인 현실의 시공간, 기억의 대상인 과거의 시공간, 그리고 저승의 시공간 등이 어떤 경계나 분리 없이 동시에 공존하는 것이다. 김명곤과 이윤택은 시공간 해체의 무대화에 있어 ‘무대영역 활용’, ‘인물 해체’, ‘시선 처리’ 등의 관점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무대영역 활용에서 김명곤은 빈 공간의 원리를 활용하여 두 시공간의 이질성을 최소화시킨 섞임을 연출한다. 또한 극의 처음부터 일정한 양상으로 시공간을 해체한다. 반면, 이윤택은 두 시공간의 이질성을 극대화시켜 낯설고 과감한 섞임을 시도하며, 극이 진행되면서 시공간 해체 양상도 ‘확대되는’ 느낌으로 연출하고 있다. 둘째, 인물 해체에 있어서는 김명곤이 최소화시켜 연출한 반면, 이윤택은 희곡에서의 의도를 살려 인물 해체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셋째, 김명곤은 대부분의 회상 장면에서 어머니의 시선을 정면으로 향하게 해, 현재와 과거 사이에 ‘거리를 두는’ 느낌을 연출한 데 반해, 이윤택은 어머니의 시선 처리에 변화를 주어 현실과 과거 간의 관계를 심화시키고 있다. 어머니가 기억하는 과거는 어머니 개인의 사건과 정서로 구성되는 ‘개인적’ 이미지보다 민족 구성원과 관련된 ‘집단적’ 이미지의 비중이 높다. 이 작품에서 집단적 이미지들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수렴되는데, 이는 곧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와 ‘근대사의 상흔의 이미지’이다.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는 오브제, 이야기, 행위, 노래 등 다양한 층위에서 발견된다. 작품 전체에 걸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감나무는 과거 공간의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또한, 옛 마을 사람들의 집단 동작과 합창 등은 과거 삶의 양식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수단들인데, 김명곤이 과거 삶을 성인들 중심의 ‘민중적 이미지’로 연출한 반면, 이윤택은 아이들 위주의 ‘서정적 이미지’로 연출하고 있다. 신주단지 이야기와 양산복과 수영대 이야기는 원형적 ‘이야기’ 모티프로서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대표적 예시이다.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어머니가 기억하는 과거의 시공간과 삶의 양식을 표현하는 기능을 하며, 나아가 익숙하지만 잃어버린 것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유발시킨다. 어머니의 기억 중 주제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어머니의 ‘아픈’ 생애사이다. 이 작품에서 어머니의 아픈 과거는 근대사의 상흔의 이미지를 통해 내면화되고 있다. 즉, 민족의 아픈 근대사를 집단적으로 이미지화시킴으로써 어머니 개인사와 중첩시키고 있는 것이다. 김명곤은 특히 2막에서의 근대사의 상흔 이미지를 희곡에서보다 확대하여 연출함으로써, 사회적․정치적 메시지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어머니>는 어머니의 기억에 의존한 생애사를 다루는 작품인 만큼, 어머니의 ‘주관화된’ 회상 이미지가 큰 비중을 차지할 때 극적 효과가 최대화 될 수 있다. 그러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rediscover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Lee Yoon-taek's <Mother> focusing on figuration of memory. For this, it has been aimed at directing comparison between Kim Myung-gon and Lee Yoon-taek. Playwriter, Lee destructs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for figuration of memory. The destruction of time and space appears in 'coexist' way.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that is time and space in the present the mother states orally, time and space of memory in the past and time and space in the other world, simultaneously coexist without any border and separation. With regard to staging of destruction of time and space,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or Kim and Lee lies in 'usage of stage space', 'character destruction', 'gaze'. Concerning the usage of stage space, Kim directs by mixing minimized heterogeneity of two time and spaces, applying the principle of empty space. He also destructs time and space in a similar aspect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Lee maximizes heterogeneity of two time and spaces and tries to mix them in an unfamiliar and decisive manner and directs seemingly expanding the destruction of time and space as a play proceeds. Second, regarding the destruction of character, Kim directs minimizing it while Lee maximizes it. Third, Kim makes the mother’s gaze straight to the front, which seems distant between present and past, while Lee changes mother's gaze, making various relations between present and past. Most episodes in the past which the mother remember depend on collective images rather than private images. Most outstanding collective memory images in <Mother> are 'national archetypal image' and 'trauma image in modern history'. Firstly, national archetypal image are discovered in various layers such as objet, tales, action, and songs. A persimmon tree, which most frequently appears throughout the work, is a representative symbol of past space. In addition, old villagers' group movement and choir are typical means for imaging life styles in the past. Kim directs a past life as 'popular image' focused on adults, while Lee directs as 'lyric image' focused on children. The stories of a Sin-Ju-Dan-Ji and Yangsanbok and Sooyoungdae are typical examples as a tale motif for establishing national archetypal image. national archetypal image initially function to express time and space in the past the mother remembers and life styles, and furthermore induces the nostalgia for accustomed but lost ones. The theme most related to among mother's memory is mother's painful life history. Her painful history in modern history is internalized through the image of trauma. That is to say, the modern history and mother's history overlap each other by collectively imaging painful modern history. Trauma of modern history is expressed indirectly or along with a daily life related to Confucian ideology in Act 1. On the other hand, trauma in the colonial period and Korean Civil War is expressed more directly. This work covers a life history depending on mother’s memory, so individualized and subjective images should account for more than general historic images. However, in Act 2, the images of trauma in modern history weaken its fun in play and sympathy of mother's pain as 'subjectivity' as the property of memory shrinks.

      • KCI등재

        어머니의 유아보육·교육기관 참여와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노성향 ( Rho Sunghyang ),박장희 ( Park Jang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유아보육·교육기관 참여와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 자료 가운데 1,066명의 어머니 자료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유아보육·교육기관 참여와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어머니의 유아보육·교육기관 참여가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보육 및 교육현장에서 강화하고 있는 가정과의 연계활동을 활성화하고 이를 위한 정책 마련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between mothers` involvement in nursery school and mother-child interaction. For this study we used 1,066 mothers` data from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 6th year data and analyzed by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between mothers` involvement in nursery school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o be specific, mothers` involvement in nursery school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influenced mother-child interaction through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promote nursery school-family partnerships.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자녀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성정원,박성연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nts of mother's parenting guilt and its relations to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variables as a function of mother's employment status or child age. A total of 318 mothers having young children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via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s, t-test and hierachical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1) Three factors(insufficient maternal care, negative maternal behavior, & lack of parenting skill) were identified for the contents of parenting guilt. 2)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guilt and the predictors varied depending on child's age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Specifically, For infants, maternal employment predicted guilt of insufficient care whereas employment, duration of daycare, social support, and daycare satisfaction predicted guilt of insufficient care. High maternal traditional role predicted all three factors of parenting guilt for employed mothers. This present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factors predictive of maternal guilt differentiates depending o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child age. It has established mother's recognition of traditional roles as an important factor to predict maternal guilt, and therefore has practical significance to inform a plan to reduce the maternal guilt and/or psychological burdens.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자녀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과 어머니 관련 변인, 맥락 관련 변인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11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13~36개월 미만)와 유아(36~72개월 미만)를 둔 어머니 318명이며 자기보고용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자녀의 연령(발달단계)에 따라 어머니가 갖는 양육죄책감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은 어머니의 취업여부 및 자녀의 연령(발달단계)에 따라 그리고 양육죄책감의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모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우 3가지 양육죄책감 모두 어머니가 전통적 어머니역할에 대한 인식을 많이 하는 경우 특히 양육죄책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변인들이 어머니의 취업여부와 자녀의 연령(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에 관한 이해에 이론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어머니의 전통적 어머니역할 인식이 어머니의 양육죄책감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함으로써 어머니들이 갖는 양육죄책감을 비롯한 심리적인 부담감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시사하였다는데 실용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머니와 중국어머니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양육실제

        문명희,유효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ual parenting of Korean and Chinese mot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 Korean kindergarten mothers in N province, Korea and 199 Chinese mothers at C·H·P kindergarten in Guangzhou, China. For this study,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arenting questionnaires modified by Lee(2004),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frequency, x₂verification, and T-test using SPS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mothers. In actual parenting, the study showed that Chinese mothers provide more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Korean mothers. Korean mothers turned out to be more desireable in 'gender roles' and 'ability' questions. 본 연구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어머니와 중국어머니간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양육실제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 대한 비교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대상은 서울시 N구 W유치원 한국어머니 207명, 중국 광저우 C․H․P 유치원의 중국어머니 199명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어머니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와 한국과 중국어머니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양육실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정선희(1997), 하숙현(2000), 이미혜(2004)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연구도구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와 x₂검증,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머니와 중국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어머니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양육실제에서는 중국어머니가 한국어머니보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양육을 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머니는 ‘성역할’, ‘능력’ 문항에서 바람직하게 실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신은혜,손강숙 한국발달지원학회 2015 발달지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이 어떠한 관 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경 기도 소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400명과 유아의 어머니 400명, 그리고 교사 14명을 대 상으로 양육역할 수행 척도, 유치원 적응 척도, 사회적관계망 척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 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 어 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역할은 유치원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사회적 관계망 중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의 지지가 유치원 적응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치원 적응에서 어머니 의 사회적 관계망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역할과 유아 의 유치원 적응에서 어머니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적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