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3판)-인지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전경숙,방희정,이순행 한국발달지원학회 2012 발달지원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 인지척도의 한국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한국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국판 인지척도 91문항의 난이도를 확인하여, 향후 진행될 표준화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 기지역에 거주하는 정상 영유아를 26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신뢰도 검토를 위해 문항 내적 일관성 계수인 Cronbach α(.98)와 측정의 표준 오차 (.13~.74), 검사-재검사신뢰도(.96)와 채점자간 신뢰도(.98)를 확인한 결과 원척도의 미국 표준 화 결과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공인타당도의 검토를 위해 표준화된 인지검사인 한국판 웩슬러 유아지능검사(박혜원. 1996) 그리고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2판 정신척도(박혜원, 조복희, 2006)와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각각 .69 그리 고 .81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문항분석을 통해 난이도를 검증한 결과 대부분 문항의 난이도가 원척도의 배열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과 미국의 문화나 학습경험의 차 이 등에 의해 난이도가 변동된 문항들도 있었다.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사례연구
신현정(Hyunjung Shin)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이 타인(자)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지각하고 의미화 하는지를 치료놀이의 맥락과 내부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한 현상학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을 상호주관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상호작용의 특성을 파악하여 발달지연 청소년의 욕구에 더 적합한 상호작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성호르몬의 변화 및 감정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한 발달지연 청소년의 치료놀이 접근을 통해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살펴 청소년의 긍정적 변화를 돕는 상호작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천착하였다. 질적 연구의 지향인 실험적 접근으로 수행된 본 연구는 상호작용이 ‘행위와 행위의 교환’, ‘행위와 반응의 연속’, ‘몸과 살의 교차’라는 개념과 연결 지어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발달지연 청소년과 치료사가 각각 주체가 되어 기술되었다. 치료놀이 상황에서 각 주체의 행위, 반응, 몸, 살이 어떻게 구성되고 해체되고 다시 구성되며 또 해체되느냐에 따라 그 상호작용의 맥락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치료놀이 상호작용의 맥락은 치료놀이에서 많이 하는 7가지 활동들을 중심으로 발달지연 청소년의 입장, 치료사의 입장을 각기 1인칭으로 기술하였다. 같은 치료놀이 활동을, 각기 다른 주체의 관점에 따라 함께 구성하는 상호작용의 맥락을 통해 발달지연 청소년의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치료놀이 상호작용은 ‘함께 있는 상태’에서 하는 ‘조율의 과정’이었다. 더불어 치료사와 청소년 간 상호주체적 만남의 지속적인 교차였다. 발달지연 청소년의 심리치료적 상호작용에서는 ‘경계짓기’와 ‘재미’ 역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about Theraplay?? interaction of a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articipant s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raplay??. This study aimed to build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based on the deep understanding of him who has suffered from hormone change and emotion-regulation through intersubjectivity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According to new trends in qualitative methodologies, this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onducted. It also analyzed and interpreted by the notions of interaction like exchange of action-action , sequences of action-reaction-action , chiasma between Leib and corps after the thick description of Theraplay?? with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Especiall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adolescent and the therapist have been revealed based on seven activities of Therapla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raplay?? context and distinctions are below. Theraplay?? interaction means attune process condition of being with. Moreover, repeated chiasma of intersubjectivity. Also, building boundaries and fun for the developmentally delayed adolescent is very significant.
K-Bayley-Ⅲ 검사를 사용한 남녀 영유아 적응행동 비교 연구
김호정,방희정 한국발달지원학회 2016 발달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3판(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를 사용하여 한국 영유아 남녀 집단의 적응행동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충청,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생후 15일부터 42개월 15일까지의 영유아 1091명의 주양육자이다.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척도가 남녀 집단간 동등하게 기능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구조, 요인 계수, 측정 원점에 대한 측정동등성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1요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인 구조, 요인 계수, 원점이 두 집단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집단의 적응행동 잠재 평균비교 결과, 두 집단간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K-Bayley-III 적응행동 예비 척도를 국내에 적용하는데 있어 남녀 집단간 심리측정적 동등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이론적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영유아 적응행동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김은설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 8차년도(2015년도) 패널 1,0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으로 응답자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변인의 기본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아동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탐색을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아동패널에 나타난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은 백분위 점수 기준 75점 미만으로 선행연구에 비해 중간정도의 점수이며 학교 적응에 어느 정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정도에 있어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도 학업수행적응,또래적응, 학교생활적응 등에서 여아가 높은 적응 점수를 보였고 교사적응에서는 성별차이가 없었다. 셋째,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업수행능력,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 정도,교사에 대한 선호도가 있었으며 아동의 인터넷 등 미디어 이용 시간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학업준비도 강화, 부모의 적극적 학교참여 및 관심도 제고, 학생에 대한 교사의 온화한 태도를 강조하고 컴퓨터와 휴대폰 등 미디어를 사용하는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which could impact on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life, especially in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data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in this study are those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ince 2008.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basic backgroun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plore effective variables in school adjustment. In the results, female first graders had higher scores in school adjustment including sub-dimensions of the adjustment than mal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children’s academic competence, their parents’ active attitude to school activities, children’s feeling of closeness to their teachers, and the hours of children’s media usage including computers, cell-phones, internet, etc.
이 혜 원,신 문 자 한국발달지원학회 2012 발달지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4-5세 다문화가정 아동의 격조사 사용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은 4세와 5 세 다문화가정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한국가정 아동 각각 5명(총 20명)을 대상으로 놀 이상황에서 자발화를 수집한 후 격조사의 산출빈도와 오류율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격조 사 산출 빈도 및 오류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격조사 산출 빈 도를 연령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4-5세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 화 내 격조사 사용이 일반아동과 유사한 발달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하며 추후 이와 관 련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김은석 한국발달지원학회 2023 발달지원연구 Vol.12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Mentalization Imbalance Scale(Gagliardini, Gullo, Caverzasi, Boldrini, Blasi, & Colli, 2018) as a Korean version. The MIS enables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based on recent consensus on the 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mentaliz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lf-reporting scales by conducting it in a way that the clinician evaluates the client’s mentaliz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92 responses of counselors evaluating their client with the mentalization imbalance scale and the personality disorder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and 254 data excluding which did not satisfy some of the subject conditi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condition of client was who had a personality disorder or clinically meaningful personality problem, but did not show any psychological symptoms in the past six months, and was liited to those aged 18 or older who received at least five sessions of counseling.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21 items except for one item with a low item-total score correlation, K-MIS was confirmed to consist of 6 factor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imbalance toward self, imbalance toward others, cognitive imbalance, affective imbalance, automatic imbalance, external imbalance.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K-MIS was .88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as .55-.80. To examin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and the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was verified through Poisson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Gagliardini, Gullo, Caverzasi, Boldrini, Blasi와 Colli(2018)에 의해 개발된 정신화 불균형 척도(Mentalization Imbalances Scale)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정신화 불균형 척도는 정신화의 차원 분류에 대한 최근의 합의에 기초하여 다차원적 평가를 가능케 한다. 또한 임상가가 내담자의 정신화 체계를 평정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여 기존 척도들의 자기보고식 평가 방법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담자를 대상으로 정신화 불균형 척도와 성격장애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내담자에 대해 평정하게 한 응답자료 총 292부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대상자 조건 일부를 충족시키지 않는 자료를 제외한 25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평정 시 내담자는 성격장애가 있거나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성격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최근 6개월 사이에 정신증적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최소 5회기 이상 상담을 받았으나 상담 기간이 최대 18개월을 넘지 않은 18세 이상 내담자로 한정하였다. 문항-총점 상관이 낮은 1개 문항을 제외한 21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하게 자기에 치우친 불균형, 타인에 치우친 불균형, 인지적 불균형, 정서적 불균형, 외부적 불균형, 자동적 불균형의 6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판 정신화 불균형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8이고, 하위척도별 신뢰도는 .55-.80로 나타났다. 준거관련타당도를 살피기 위해 각 하위요인과 경계선 성격장애 증상 및 자기애성 성격장애 증상 간의 관계를 포아송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울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JW-self), 우울의 관계: 내적 통제성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장희순(Heesoon Jang)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울분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BJW-self)을 통한 내적 통제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25세 대학생 254명이었다. 한국판 울분장애 척도(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척도(Belief in a Just World Scale: K-BJWS), 통제 소재(Internality, Powerful others, and Chance: IPC), 한국판 PHQ-9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들은 SPSS 22와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분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울분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BJW-self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JW-self와 우울과의 관계를 내적 통제성이 조절하였다. 넷째, 울분과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BJW-self의 매개효과가 내적 통제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내적 통제성이 낮은 경우에만 울분이 BJW-self를 거쳐 우울로 이르는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울분, BJW-self,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내적 통제성이 BJW-self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한다는 점을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through BJW-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itterment and depression. Participants were 254 students aged 18-24 years old who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All subjects completed self-assessment inventories about embitterment(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 BJW(Belief in a Just World Scale: K-BJWS), locus of control(Internality, Powerful others, and Chance: IPC) and depression(PHQ-9). Data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were analyzed by SP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bitter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Second, BJW-self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bitterment and depression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JW-self and depression was found. Forth, BJW-self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bitterment and depression, and this mediation was moderated by internal locus of control.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significant only in low locus of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cus of control seems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changed cognitive belief caused by embitter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발달장애아의 초등학생 비장애 형제와 어머니의 모래상자놀이가 정서표현, 형제관계에 미치는 효과 및 모래상자 주제 분석
임지연,김지현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2
In this study, 16 pairs of non-disabled 4~6th grader children who has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Each 8 pair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was held once a week(70 minutes each), 10 sessions at the private counseling center in Gyeonggi Province. Emotional expression and sibling relationship scales were used for prior, post and later examination. Each sessio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introduction-making individual sandtray-making a Sandtray together-finalization'. Following 7 steps of Boik and Goodwin(2000), they freely made their own individual sandtray. And they created a sandtray together according to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 of emotion presented by Ekman(1982). This study has found that this Sandtray play proc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nd relationship between non-disabled siblings and their moth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heme of injury, which has revealed in the early sandtray, was implemented as the theme of healing in the second half.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의 초등학생 비장애 형제와 모를 대상으로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여 정서표현, 형제관계에 미치는 효과와 모래상자놀이에 드러난 주제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4~6학년에 해당하는 발달장애아의 비장애 형제와 모의 16쌍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8쌍 씩 무선 배치하였다. 경기도의 사설 상담센터 내 모래놀이실에서 주 1회(70분씩), 10회기로 진행되었다. 정서표현, 형제관계 척도를 사전, 사후 및 추후검사로 사용하였다. 매 회기는 ‘도입-개별화 모래상자 만들기-공동 모래상자 만들기-마무리’의 순으로 실시되었는데, Boik과 Goodwin(2000)의 7단계에 의해 비장애 형제와 모가 각각 자신의 모래 세계를 자유롭게 꾸미는 개별화 모래상자 후, Ekman(1982)의 인간의 기본 감정을 참고하여 제안된 긍정적, 부정적 감정표현 제시어에 따라 비장애 형제와 모가 함께 하나의 공동 모래상자를 만드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래상자놀이 과정이 비장애 형제와 모의 정서표현 및 발달장애아와 비장애 형제 간 형제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 또한 모래상자의 주제 분석을 통해 초기의 모래상자에 드러난 ‘상처의 주제’가 후반으로 갈수록 ‘치유의 주제’로 이행함을 확인하였다.
외현화 문제행동이 있는 아동을 위한 한국형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W-PBS) 2차 개입의 예비연구
전서희(Seohee Jeon),장은진(Eun Jin Chang),원성두(Sung-Doo Won)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지닌 아동을 위한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2차 개입을 구성하고 시범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일반 초등학교에서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 1차 지원 이후에도 외현화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아동을 대상으로 각 아동들이 보이는 문제행동뿐 아니라 학교의 환경 및 학교차원의 기대행동을 고려한 CICO(Check-In/Check-Out)와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병합한 긍정적 행동지원 2차 개입방법을 구성하고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5∼6학년 남자 초등학생 4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 2차 개입을 시행하고, 효과 검증을 위해 외현화 문제행동, 사회기술, 자기존중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자기보고 및 교사의 보고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질적 분석 결과에서도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사회기술과 자기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의미 있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학교현장에서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에 대한 학교차원의 이해와 접근 방식을 제안하는 동시에, 중재 방안의 효과를 예비적으로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ier 2 School Wide-Positive Behavioral Support(SW-PBS) for children with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secondary prevention intervention method was constructed and implemented for children who exhibit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even after the primary support for positive behavior. This secondary method, considering the school environment, school-level expected behavior, and the problem behaviors of each child, consisted of both CICO(Check-In/Check-Out) an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To this end, a secondary support intervention for positive behavior was implemented for 4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To verify the efficacy, paired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on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As a result, first,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duced, show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 although social skills and self-estee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qualitative analysis presented a significant chang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proposed a school-wid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 children who exhibit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t also offered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efficacy of interventions. Lastly, in discussion, it offe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proposal for further research.
고기능 자폐 아동의 사회적 장면에 대한 기억 양상: 반어적 표현을 중심으로
조희정(Hee-Joung Cho),김소연(So-Yeon Kim)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3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이하 ASD)의 반어적 표현 처리 기능에 관한 연구 결과는 혼재되어 있다. 반어 표현을 이해하는 능력이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언어와 얼굴 표정에 대한 정보처리가 능숙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반어 이해능력에만 중점을 두고, ASD 아동을 대상으로 반어적 대화 상황에 대한 기억 양상을 탐구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ASD에게 반어적 상황의 맥락 정보에 대한 언어 설명이 포함되지 않은 대화 조건과 맥락 정보를 설명하는 내레이션 조건을 제시하고, 대화 상황에서 사회적 정보가 일치한 조건과 불일치한 반어 조건에 따라 정상 발달 아동과 ASD 아동의 언어 정보와 표정 정보에 대한 기억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ASD 아동은 정상 발달 아동보다 정보 불일치 내레이션 조건에서 언어 정보에 대한 기억 정확도가 낮았고, 표정 기억 정확도는 대화 조건과 내레이션 조건에서 모두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ASD 아동이 반어적 상황에 대한 얼굴 표정 기억 결함을 보이고, 언어 정보에 대한 제한된 기억 결함이 있음을 시사한다. Behavioral studies on irony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 (ASD), characterized by difficulties in social communication, have reported mixed results. In order to reach good irony comprehension, information processing in language and face emotions in social situations are necessary. However, previous studies on irony have mainly focused on irony comprehension and studies focusing on memory patterns of ironic situations are lacking. Thus, we examined memory patterns on language information and face emotions during ironic situa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children with ASD. We used congruent and incongruent conditions under a narrative condition with context information and a conversational condition without linguistic context information. We found that ASD showed significantly low accuracy on verbal memory performance under the incongruent narrative conditionc compared to TD. Further, ASD showed lower accuracy on face emotion memory than TD under both narrative and conversational conditions. Our findings suggests that children with ASD reveal deficits in memory of social scenes containing ironic social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