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로부터 심리적 분리의 선행변인과 심리적 분리가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유선명,유태용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을 살펴보고, 둘째,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셋째, 성과중심 조직문화가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다양한 직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통방법편향에 의한 결과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업수행은 함께 근무하는 상사나 동료의 평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분리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반추행동은 심리적 분리와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는 과업수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지만, 조사대상자들이 지각하는 성과중심 조직문화는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문화가 성과중심적이라고 강하게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지만, 조직 문화가 상대적으로 덜 성과중심적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심리적 분리와 과업수행 간에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직장인의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의 관계: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와 잡 크래프팅과 결혼 여부 및 성별의 조절효과

        김유경,이혜진,박형인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1 No.1

        본 연구는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활력, 헌신, 몰두) 간 관계의 메커니즘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역할과부하와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를 제안하였고, 매개효과가 잡 크래프팅 수준과 결혼 여부에 따라 조건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직장인 446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분리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고, 가설과 같이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분리 간 부적 관계를 잡 크래프팅이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분리와 활력 간 관계가 결혼 여부에 따라 조절되기는 하였으나 상호작용의 방향이 가설과 다르게 나타났다. 기혼은 심리적 분리에 관계없이 활력의 수준이 비교적 일정했지만, 미혼은 심리적 분리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활력이 낮아졌고, 이러한 차이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분리와 헌신 간 관계에서도 여성의 경우에 한하여 결혼 여부의 조절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심리적 분리와 결혼 여부 간 상호작용의 방향이 예상과 달랐지만, 활력과 헌신에 대한 역할과부하의 간접효과는 조절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심리적 분리의 조건적 매개효과가 실질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몰두에서는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가 어떤 조건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무열의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분리의 조절효과: 직장인 휴식의 양과 질

        김성용,안성익 한국산업경영학회 2021 경영연구 Vol.36 No.2

        While recently heightened social interest to work-life balance accelerates the adoption of new practice, large number of employees experiences a various stress and burnout because they must perform their work in given time with restricted resources. In spite of time restriction in work, workload is not kept high continuously. Actually, employees can find the time for rest. So, we can expect the way to take a rest in the same condition will change the consequences, such as burnout or recovery. In this vein, the interest in psychological detachment is increasing. Psychological detachment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mentally disconnect from work and not think about job-related issues when you are away from your job. The employees who experienced high quality rest through psychological detachment are known to increase their performance and well-being at the same tim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with the sample of 421 employees belonging to Korean companies. On the bases of existing studies, we expected that work engagement will influence on job burnout to two ways. First, work engagement will decrease job burnout by its intrinsic motivation. Second, work engagement will increase job burnout by strengthening job involvement and work load. We expected that the psychological detachment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work engagement on job burnout was not supported statistically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was supported statistically. To be more specific,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gagement and job burnout was positive in low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the relationship was negative in high psychological detachment.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사회 전반에 걸쳐 워크라이프 밸런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관련된 많은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직장인들은 다양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고도의 경쟁 속에서 주어진 시간 안에 맡겨진 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업무가 지속적으로 몰리는 것이 아니므로, 업무 도중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간은 있기 마련이 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이라고 하더라도 휴식을 취하는 방법에 따라서 소진 혹은 회복 정도가 달라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런 논의의 연장선에서 휴식의 질 향상 혹은 휴식의 방법을 의미하는 심리적분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심리적분리란 개인이 업무 외(휴식, 퇴근, 휴가 등)의 시간에 일에 대한 생각 그 자체로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휴식에 몰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적분리를 통해 양질의 휴식을 경험하는 조직구성원은 자신의 성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웰빙도 함께 증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심리적분리의 효과를 국내 직장인 421명을 표본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열 의가 높은 조직구성원이 직무열의 자체의 효과로 직무소진을 줄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높은 직무열의로 인해 높은 강도로 업무에 몰입하여 직무소진을 높일 수도 있다고 보았고, 심리적분리가 이렇게 예측된 직무 열의와 직무소진 간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직무열의와 직무소진과의 주효과는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 모두 지지되지 않았는데, 이는 본 연구의 결과에서 중요 한 대목이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 최종단계에서 심리적분리와 직무열의가 상호작용할 경우, 직무소진과 의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직무열의 상태의 개인이 심리적분리 를 통한 휴식을 경험할 경우, 직무소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심리적분리가 결핍된 휴식을 경험할 경우, 직무열의된 개인도 직무소진으로 전이된다는 점이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무적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청년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분리불안,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 - 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이인영,정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4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overprotectio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adolesc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verprotection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 and maternal psychological adaptation by analyzing data from 201 pairs of middle-aged mothers and their adolescent children who live in Busan.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toward their adolescent chil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daptation. As expected, maternal overprote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dolescent child’s separation-individuation. A bootstrap analysis indicated, that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paration-individuation in their adolescent children and, in turn, children’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dolescent children’s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but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Maternal overprot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mothers’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need to reexamine the ambivalent role of maternal overprotection in Korean was discussed.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중년 어머니와 청년 자녀 201쌍의 자료를 수집하여 청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가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그리고 청년 자녀를 향한 어머니의 과보호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와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과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과보호는 어머니의 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과보호와 자녀의 분리-개별화는 부적 상관을 보여주었다. 어머니의 과보호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경로를 분석 한 결과, 어머니의 과보호는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그다음 건강하지 못한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는 청년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부적 영향을, 우울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어머니의 과보호가 청년 자녀의 분리-개별화와 심리적 적응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 자신의 심리적 적응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는 한국 어머니의 애정에 근거한 과보호에 대한 대안적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분리-개별화,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개념 명확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성희(Cho, Seong-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분리-개별화,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분리-개별화, 심리적 안녕감, 자기개념 명확성, 교사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7을 사용하여 Pearson r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분리-개별화 정도와 심리적 안녕감, 자기개념 명확성은 교사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리-개별화 정도와 심리적 안녕감, 자기개념 명확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분리-개별화와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분리-개별화의 하위요인 중 자기도취와 거부기대가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및 환경통제력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paration-individual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cept cla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o this end,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on separation-individual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clarity of self-concept, and teacher efficacy for 16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earson r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7.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cept cla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degree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cept clarit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be a predictor of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centeredness and rejection expectancy among the sub-factors of separation-individualization were found to be predictiv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lf-acceptance, personal growth,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environmental mastery were found to be predictiv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분리-개별화 및 기본 심리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신현지,서수균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paration-individu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depression of early adult childr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separation-individu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meanwhile, separation-individu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Furthermore, separation-individu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depression respectively. Thir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endency-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as well as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분리-개별화와 기본 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4년제 대학교의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존지향 및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척도, 우울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분리-개별화 척도, 기본 심리욕구 척도를 실시하였고, 34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부모의 의존지향 및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분리-개별화, 기본 심리욕구 충족, 주관적 안녕감, 우울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고,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세 단계의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의존지향 및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우울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 주관적 안녕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분리-개별화 및 기본 심리욕구 충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 및 기본 심리욕구 충족은 부모의 의존지향 및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 사이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심리적 통제를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요구되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정서적 고갈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김보람,석혜원,장재윤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sleep quality. A daily survey (twice a day from Monday to Frida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exhaustion may predict sleep quality via psychological detachment at the within-person level. Results revealed that: 1) daily emotional exhaustion leaving the offic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detachment after work; 2) daily psychological detachment after work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at night; 3) daily psychological detach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sleep quality. These findings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by which psychological mechanism contributes to sleep quality on a daily basi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mentally “switch off” would supplement resources depleted at work and lessen the level of mental activation and arousal to get better sleep. 본 연구는 정서적 고갈과 수면의 질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분리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직무 요구상 여러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해야 하는 기혼 여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일일 조사(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 2회조사) 자료를 통해 개인 내 수준에서 정서적 고갈이 심리적 분리를 통해 수면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일 퇴근 무렵 경험하는 정서적 고갈의 정도가 퇴근 후 심리적 분리와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매일 퇴근 후 심리적 분리의 정도는 그날 밤 수면의 질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정서적 고갈을 많이 경험할수록 일로부터 심리적으로 분리하지 못하며, 이는 낮은 질의 수면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심리적 분리, 가족체계유형이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유영미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ccording to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the style of family system on job valu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2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s. The questionnaires used for the students were psychological separation criterion, the styles of family system and job values test papers, and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In case that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was on a high level, self-achievement was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separation, the connection of family cohesion and restriction, putting a high value on treatment was affected by mother'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the connection of family cohesion, and pursuit of stability was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separation. In case that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was on a low level, self-achievement and pursuit of stability was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separation, the connection of family cohesion and the stiffness of family adaptability, and sense of calling was affected by the isolation, connection and restriction of family cohesion. Putting a high value on treatment was affected by father'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the connection of family cohesion. In conclusion, the systematic model of career counseling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yle of family system in the actual situation of career counseling for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hat the mutual reliance between the children and parents, and among the family members should be build up.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should help the students choose the careers suitable for their interest and aptitude through career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사회 경제적 배경에 따라서 부모의 심리적 분리, 가족체계 유형이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482명이었다. 설문지는 심리적 분리척도, 가족체계유형, 직업가치관 검사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 및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높은 경우에는 아버지의 심리적 분리, 가족 응집성의 연결 및 속박이 자아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대우 중시에는 어머니의 심리적 분리 및 가족 응집성의 연결이 영향을 미치며, 안전 추구에는 아버지의 심리적 분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낮은 경우에는 아버지의 심리적 분리, 가족 응집성의 연결, 가족 적응성의 경직이 자아성취 및 안전추구에 영향을 미치며, 소명 의식에는 가족 응집성의 유리, 연결, 속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 중시에는 아버지의 심리적 분리 및 가족 응집성의 연결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현장에서는 가족체계유형에 따라서 체계적인 진로상담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으며, 부모 자녀간, 가족간의 상호 신뢰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진로상담시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도록 많은 노력들이 필요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테크노 과중과 테크노 침해가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 효과 및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안세환,박동건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on work-family conflict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to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The results from 306 participants provided evidence that (1) techono-inva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2)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3)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invasion and work-family conflict (4) leader-member exchan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invas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cussed in general discussion. 본 연구는 테크노 스트레스의 유발요인 중 테크노 과중과 테크노 침해가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가 일-가정 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또한 테크노 과중 및 테크노 침해와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관계에서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총 43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직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테크노 침해를 높게 지각할수록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를 더 낮게 지각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테크노 침해가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를 매개로 하여 일-가정 갈등을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테크노 침해와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 간의 관계가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