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보건복지 분야의 시계열 분석 연구 동향

        우경숙,신영전,Woo, Kyung-Sook,Shin, Young-Je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and risk of bias of resear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on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health and welfare research. The database searches identified 6,543 papers. Following the process for screening and selecting, a total of 91 paper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from 1987 to 2013. Time series analysis was applied in medicine and health science journals. The main goals were explanation and description. Most of the subjects were heath status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The main model used in the time series analysis was ARIMA followed by time series regress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government agencies. For assessing risk of bias, some studies were found to have inadequate sample sizes or showed no time series graphs and plots. These findings suggest greater widespread utiliz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and to use the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and statistical procedures to obtain more reliable res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이 연구는 국내 보건복지 분야에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 논문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뚤림 위험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향후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시계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 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논문명, 키워드, 초록에 '시계열 분석'을 포함한 6,543건 문헌 중에서 보건복지 분야 91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논문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시계열 분석 연구는 의학과 보건학관련 학회에서의 활용이 높았고, 요인분석과 추세분석을 주요 분석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세부주제는 국민건강과 의료서비스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고, 분석 기법은 ARIMA 모형, 시계열 회귀모형 순으로 활용되었다. 자료의 대부분은 통계청과 정부기관에서 생산하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문헌의 비뚤림 평가 결과, 상당수의 논문들이 표본수가 부족한 자료를 이용하거나, 시계열 도표와 플롯 작성을 간과하였다. 보건복지 영역에서 시계열 분석의 활용이 늘고 있고 향후 이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분석 과정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분석 절차와 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주요 항목을 간과한 논문들이 일부 확인되었다. 향후 시계열 분석의 적극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통계적 방법과 절차를 준수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시계열 소비자조사 고찰 및 발전방향에 대한 소고

        김난도,나종연,김소연,구명진,윤정윤,최지원,최홍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외의 시계열 소비자조사를 공공 및 민간기관으로 나누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국내 공공기관의 소비자조사는 전체 조사영역에 소비를 일부 포함한 포괄적 영역의 조사가 많았다. 대부분 추적 가능한 대규모패널조사의 강점을 가지며, 공공 목적에서 원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었다. 국내 민간의 소비자조사는 소비 자체에 초점을 맞춘 조사가 많고 그 내용도 비교적 다양하였으나, 원데이터가 철저히 사적 자료로 내부인에게만 공개되는 차이가 있었다. 상업적 목적을 가진 기업 관점의 소비자조사가 다수라는 특징도 보였다. 해외 공공기관의 소비자조사는 패널조사라는 점과 조사 영역, 데이터 공개 면에서 국내 공공 기관의 조사와 유사했다. 그러나 국내에 비해 학술기관과의 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해외 민간기관은 참여주체나 주제가 다양하였으며, 특히 대학 주관의 소비자조사들이 두드러졌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의 시계열 소비자조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비’, ‘소비자’에 초점을 맞춘 조사들이 더 확충되어야 한다. 소비가 생활 전반과 밀접하게 관련되면서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임에 따라, 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소비자에 중점을 둔 조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둘째, 국내의 소비자조사는 해외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야 한다.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 단체, 학술기관의 조사는 그 용도면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소비자조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기관의 참여가 필요하다. 특히 소비자 중심의 조사를 위해서 소비자학계의 전문가들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 셋째, 시계열 소비자조사는 단절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조사기관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시계열 소비자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학계와 전 사회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반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소비자조사의 원데이터는 많은 사람들에게 개방 및 공유되어야 한다. 원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연구자들이 이를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학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와 해외의 시계열 소비자조사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 조사 주체와 목적, 관리 및 운영 등이 가진 특징과 차이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문적, 실용적 관점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었던 변수가 무엇이고,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학술적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시계열 소비자조사의 발전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the details of existing time-series consumer surveys performed by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both in Korea and overs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at has been studied using time-series consumer data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potential time-series consumer survey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case of surveys from Korean public institutions, they tended to be all-inclusive social surveys including only a few number of variables about a consumer or consumption as a sub-category. Most of them provided longitudinal panel data with large scale and disclosed raw data for public purpose. In contrast, consumer surveys from private institutions tended to focus more on consumption itself, although the details may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urvey. However, the raw data of the surveys were not open to public because they were mostly considered as private asset of the institutions. In case of other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the UK, Surveys from public institutions were similar with Korean ones in terms of longitudinal panels, the field covered and public data disclosure. But the important difference from the Korean case was the active collaboration with the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ivate institutions, the diversity in their contents and intensive involvement of the research centers of universities were worth noticing. Based on overall reviews, four main suggestions were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time-series consumer surveys in Korea both in terms of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and how it should be administered and operated. First, surveys that focus more on consumers or consumption need to be developed for in-depth understanding on complicated consumer ecology. Second, various kinds of institutions should participate in inventing and performing the consumer surveys to get further diversity of surveys. Especially, intensive involvement of the experts in consumer study fields are strongly recommended. Third, financial sustainability of the survey institutions should be guaranteed to avoid the discontinuance of the survey, which impairs the strength of accumulated time-series data.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ility in consumer survey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uch surveys should be actively communicated at all levels of society. Finally, the raw data of the consumer surveys should be open to public as much as possible. By providing the raw data to researchers for their academic work, it will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knowledge body of the consumer studies.

      • KCI등재

        주택담보대출 LGD 시계열 특성분석

        권혁신 ( Hyuck-shin Kwon ),방두완 ( Doo-won Bang ),김명현 ( Myeong-hyeon Kim ) 한국재무관리학회 2018 財務管理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 주택담보대출시장의 주택담보대출특성과 부도시 손실(Loss Given Default, LGD)과의 관계 분석을 위해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LGD 횡단면 분석이 아닌, LGD 시계열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스큐된 LGD 단봉분포의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담보대출 LGD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시계열분석과 분위회귀분석은 월별 평균 LG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계열 분석결과, LGD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월별 평균 경매낙찰률로 분석되었으며, 그 효과는 당기에 한정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기간 동안 평균 LGD는 5.9%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부분의 해외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LGD보다 낮다고 할 수 있다. 분위회귀 실증분석 결과, 0.3 분위 이상 분위에서 경매낙찰률이 LGD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분위 LGD로 갈수록 경매낙찰률의 영향이 LGD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높은 손실이 예상되는 주택담보대출이 경매낙찰률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시계열 분석에 더하여 주택담보대출 변수들이 LGD에 미치는 영향도 추가로 분석하였는데, 주택담보대출 경과기간과 DTI 변수가 LGD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무적인 관점에서, 주택담보대출 건전성 관리를 위해서는 대출초기에 LGD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며, 주기적으로 LTV, DTI 등 주택담보대출특성을 점검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We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rtgage lending characteristics and default loss (LGD) in the Korean mortgage market using proprietary auction data. We perform both time-series and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by constructing the monthly average LGD dataset for the former analysis and use individual default data on mortgage loans for the latter analysis. One of the key findings is the empirical fact that the LGD distribution takes the uni-modal, not the bi-modal distribution widely confirmed by other LGD literature and the average of LGD for the whole period is approximately 5.9%,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e estimated numbers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Our time-series analysis confirms that the monthly average auction rate is a key determinant associated with the loss given default,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al-estate market expertise. In addition, the lead/lag analysis displays that the effect of the average auction rate on the LGDs only holds for the same time period. To delve into deeper, we rely on the quantile regressions to estimate the effects of other quantiles of the average auction rate on the LGDs. The result show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two variables becomes pronounced for over 30% quantiles, indicating that the mortgage loans with higher expected losses a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average auction rate. Lastly, we fi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duration of mortgage loans and DTI proxy on LGDs. That is, the longer the average life of a mortgage loan is, the higher the LGD is, and the better the DTI is, the lower the LGD is. This finding provides important policy-oriented implications both for macro and micro-prudential supervision on real-estate markets and the banking system.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시계열 회귀분석을 활용한 헬스케어 분야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

        김은정,장석권,이상용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5 No.3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접근으로서, 주요 의제 도출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년(2013년~2022년) 간의 헬스케어와 관련된 뉴스 빅데이터 총 91,873건을 수집하여 토픽모델링 분석, 다차원척도 분석 및 시계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모델링 분석 및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총 20개의 토픽을 도출하여 2차원선상에 토픽들의 군집 형태를 파악하였고, 시계열 회귀분석을 통해, 상승 추세를 나타내는 4개의 Hot topic(건강관리, 바이오제약, 기업매출․전망, 정부․정책)과 하향 추세를 나타내는 3개의 Cold topic(스마트기기, 주식․투자, 도시․건설)을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정책을 수립하는 정부 기관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key initiatives and a policy approach to support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sector. The research collected a total of 91,873 news data points relating to healthcare between 2013 to 2022. A total of 20 topics were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and as a result of time series regression analysis, 4 hot topics (Healthcare, Biopharmaceuticals, Corporate outlook․Sales, Government․Policy), 3 cold topics (Smart devices, Stocks․Investment, Urban development․ Construction) derived a significant topic. The research findings will serve as an important data source for government institutions that are engaged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Korea’s policies.

      • KCI등재후보

        경찰과 범죄간의 관계분석 - 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

        기광도 한국경찰연구학회 2007 한국경찰연구 Vol.6 No.2

        경찰과 범죄간의 관계는 지난 1970-80년도에 미국에서 경찰학의 이론 및 경험적 연구의 발전을 이끌고, 다양한 정책적 논쟁을 유발한 경찰학의 고전적인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찰과 범죄간의 관계는 억제이론에 의하여 경찰력의 강화가 범죄를 감소시키는 일반적인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억제이론적 견해는 많은 경험적 연구들에 의하여 지지되기도 하였고 비판 및 반박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과 범죄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우리 사회의 경찰과 범죄간의 관계에 대한 상호 결정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과 범죄간의 상호결정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성과 더불어 시차(time lag)를 고려하여 인과관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즉 경찰력이 범죄에 미치는 효과는 억제이론에 근거하여 동시적 효과로 설정하고, 범죄현상이 경찰력의 증감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치적 과정을 고려하여 시차적 효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경찰과 범죄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64년부터 2005년까지의 전국 단위의 경찰인원과 범죄발생건수로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자료가 시계열자료라는 점을 고려하여 관찰값간의 자기상관관계를 고려한 ARIMA분석모형을 시도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않은 회귀분석에서는 경찰력과 범죄율간의 각각 높은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경찰력이나 범죄율이 시계열자료이고 시계열자료가 지니고 있는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회귀분석결과를 그대로 이론적 주장을 검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문제를 보안하기 위하여 시도된 시계열분석에서는 회귀분석에서 나타난 강한 관계는 사라지고 경찰력과 범죄간의 상호 인과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전체범죄의 발생률이 경찰력의 증가에 미약하게나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이다. 우리 사회에서 경찰과 범죄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police and crime in Korea by examining the annual rates of crime from 1964 to 2005. We tries (1) to review the annual trends of police and crime in our nation,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olice and crime. These analysis are based on current official crime rates. The data that we have analysed here were obtained from official crime statistics, 'Analytical Report on Crime', which is published quarterly by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Police Annual Statistics', by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in Korea. To analyze the time series data on the years 1964 to 2000, we sued the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analysis. The model(1) included police force(t)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crime rate(t) as endogenous variables, and the model(2) included crime rate(t)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police force(t+1) as endogenous variables. Crime rate refers to estimates of total crime, larceny, burglay-robbery, fraud, violence, and rape event per 100,000 person, and police force to police number per 100,000 person. According to deterrent theory, the police activities contribute to reduce crime rates. This results is not supported deterrent theory. In this study, we has reviewed the relationships of police and crime trend in our society since 1964. And we wish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 and explanation of police and crime phenomenon in our society. From our study, it is implied that future research should attempt to develop a more refined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and crime rates, and to elaborate the measures on the major concepts and analysis methods.

      • KCI등재

        전시컨벤션센터 신ㆍ증축시 전시산업의 수요예측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영선,김봉석 한국무역전시학회 2016 무역전시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컨벤션센터의 신·증축 예비타당성 조사에 사용된 수요예측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 전시컨벤션센터의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이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국내 전시장 수요예측과 관광산업 수요예측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해 추세변동을 이용한 시계열, 지수평활, ARIMA의 3가지 시계열 분석과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ARIMA 모형에서는 2016년부터, 추세변동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에서는 2017년, 회귀분석과 지수평활법에서는 2021년에 전시장 면적 부족이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산업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였고 그 기법들이 가지는 적합성과는 별개로 수요예측에 대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보다시피 시계열 분석의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함에도 수요예측 기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전시산업의 수요예측을 측정함에 있어 전시컨벤션센터가 가지고 있는 파급효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경제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전시산업통계와 같이 전시산업에 대한 특성을 반영한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논리적으로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 the trade fair industry grows in Korea, cities are seeing a boom in the development and expand of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the demand for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s a quantitative case study approach - time-series, exponential smoothing, ARIMA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predicts the demand for convention center space has and will outrun increases in the supply of space from 2016 to 2021. In this study, we used various methods for the demand of trade fair industry that showed different results. For this reason, they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 feature. We propose to use that the trade fair industry standardized data for the demand of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s. This study offer for public investment and serve to bias public decision making and choice.

      • KCI등재

        정책분석 및 평가에서 통합시계열자료를 사용할 경우에 패널단위근 검정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신현중(Shin Hyeon-Jo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정책분석 내지 평가를 할 경우에 패널단위근 검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정책분석 및 평가분야에서 통합시계열자료를 사용하는 빈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이 자료에 대한 패널단위근 검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논의들이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널단위근 검정방법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검정방법들의 특성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그 후, 분석의 편의상 이변량분석을 통해 통합시계열자료 분석시 패널단위근 검정이 왜 필요한지를 보여준다. 패널단위근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는 최근 들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검정방법의 창출에 대한 논의보다는 이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실제 패널단위근 검정 후, 패널단위근을 처치한 자료의 수식모형설정과 처치하지 않은 자료의 수식모형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자료 분석 후 정책분석 및 평가에서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잘못 유도할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research is to discuss the necessity of panel unit root test in the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data analysis. The focus of the study, therefore, is not arguing creation of new test method for panel unit root, but discussing why panel unit root test is requisite in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rstly deals with how various panel unit root tests are developed and deploys their characteristics. Secondly, the study, in practice, analyzes the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data which include panel unit root with a bivariate equation model. The results show us that an equation model with treating panel unit root is different from that with not treating panel unit root. The practice shows us that panel unit root test is essential to the cross-sectional and time series data analysis in the field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for inferring proper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 KCI등재후보

        시계열자료를 활용한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의 효율성 평가 : 방사적 모형과 비방사적 모형의 비교

        유금록 한국자치행정학회 200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2 No.2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은 효율성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인 잔여기준효율성모형(SBM)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사용하여 민간위탁업무의 효율성을 측정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후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의 한계를 지적하고,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공식화했으며,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과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민간위탁업무의 효율성과 준거집단, 투입산출요소의 비효율성 정도, 규모수익(RTS)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비교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한 효율성점수가 방사적 자료포락분석모형에 의한 효율성점수보다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둘째, 시계열자료를 활용하여 민간위탁 행정서비스에 있어서 민간위탁과 직영 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used for analyzing the efficiency of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s has the limitation of not measuring efficiency accurately. To solve such problems,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the slack-based model of efficiency, needs to be used. This paper reviewed major previous studi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contracting out public services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explained the limitations of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formulated the linear programming models of input-oriented variable returns to scale(VRS) radial and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analyzed the technical efficiency scores, reference set, inefficient amount and sources, returns to scale of an outsourced government service using radial and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nd compared the analytical results of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with those of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iciency scores measured by non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are inclined to be lower than those measured by radial data envelopment analysis model. Second, using time-series data the relative efficiency of outsourced and in-house government services needs to be evaluated.

      • 중국 주식시장의 효율성 검증

        이병원,장쏘란 한국경영교육학회 2009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2

        본 연구는 최근 중국경제가 고성장을 지속하면서 주식시장도 아시아와 세계주식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온 중국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시장의 약형 효율성을 검증하였고 그 동안 실행한 비유통주 개혁과 《외국인투자자의 상장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관리방법》은 시장의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왔는지를 파악하여 투자자에게 중국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1월 4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상해주식시장, 상해A주시장, 심천주식시장, 심천A주시장의 일별수익률 자료를 사용하여 각 시장의 효율성을 분석함과 함께 비유통주 개혁을 분기점으로 개혁 전과 후의 기간으로 분류, 《외국인투자자의 상장기업에 대한 전략적투자 관리방법》실행 일을 분기점으로 그 이전과 이후의 기간으로 분류, 각 주식시장의 효율성 증대 여부를 분석하였다. 수익률 자료를 이용한 시계열상관분석, 연의검증의 기법을 통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1월 4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2000년 1월 4일부터 2005년 4월 29일까지 상해주식시장, 상해A주 시장, 심천주식시장, 심천A주 시장은 시계열상관분석결과에 의하면 약형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연의 검증 결과에 의하면 시장의 비효율성을 입증하게 되었다. 둘째, 2005년 4월 30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2005년 4월 30일부터 2006년 1월 31일까지 상해주식시장, 상해A주 시장, 심천주식시장, 심천A주 시장은 시계열상관분석결과와 연의 검증의 결과에 의하면 약형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2006년 2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상해주식시장, 상해A주 시장, 심천주식시장은 시계열상관분석결과와 연의 검증의 결과에 의하면 약형 효율성을 입증하게 되지만 심천A주 시장의 분석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넷째, 결과에 의하면 비유통주 개혁은 주식시장의 효율성의 증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외국인투자자의 상장기업에 대한 전략적투자 관리방법》의 실행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시계열 모멘텀과 기술적 분석에 관한 연구

        이민규(Minkyu Lee)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4 경영과 사례연구 Vol.46 No.1

        실무에서는 매우 오래전부터 추세를 추종하는 전략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기술적 분석을 사용해 왔다. 기술적 분석의 대표적인 방법인 이동평균 전략은 어떤 자산의 가격이 그 자산의 과거 일정기간 평균 가격보다 높아지면 그 자산을 매수하고 그렇지 않고 일정기간 평균 가격보다 낮아지면 그 자산을 매도한다. 이는 모멘텀 전략 중에서 시계열 모멘텀 전략과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시계열 모멘텀과 이동평균 전략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계열 모멘텀과 이동평균 전략의 수익률 간 상관계수는 평균적으로 0.8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두 전략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조정 성과와 비정상수익률을 계산한 결과, 샤프지수와 젠센의 알파는 시계열 모멘텀 전략에 비해 이동평균 전략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계열 모멘텀과 이동평균 전략의 수익률 차이를 분해한 결과, 이동평균 전략은 먼저 실행되고 시계열 모멘텀은 늦게 실행되는 경향이 있는데 먼저 실행된 전략에서는 양의 수익률을 발생시키는 반면 늦게 실행된 전략에서는 음의 수익률을 발생시켰다. 주가 급락위험에 대한 분석에서는, 횡단면 모멘텀과 다르게 시계열 모멘텀이나 이동평균 전략은 주가 급락위험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ime series momentum and moving average strategies for the Korean stock market.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returns of time series momentum and moving average strategies are on average above 0.8, indicating that the two strategies are closely related. When calculating risk-adjusted returns and abnormal returns, Sharpe ratios and Jensen alphas were generally higher for the moving average strategy compared to the time series momentum strategy. Decomposing the difference in returns between time-series momentum and moving average strategies, we found that moving average strategies tend to run earlier and time-series momentum later, with earlier strategies generating positive returns and later strategies generating negative returns. When analyzing stock price crash risk, we found that unlike cross-sectional momentum, neither time series momentum nor moving average strategies were sensitive to stock price crash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