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수업환경에서 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 특성연구 -B전문대학 인문사회계열과 예술계열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윤정윤,감성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4

        Despite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etter classes to students. In order to find the elements of good classes, a "Good Lecture Contest" was held for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arts departments of B College in Seoul and analyzed each case. In the case study, the answers of all 90 students who participated 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divided into 51 humanities and 39 arts, classified into class man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reas, and analyzed according to questions in each sub-area. The art student answered that the interest and feedback of the professor who wanted to understand his work make up a good class. Students in humanities said that classes where students and professors grow together through discussions and various activities are good classe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keywords of good lectures defined by students, many words related to professors with active interaction appeared. Studies have shown that an important factor in students' thinking of making good classes is related to interaction. Effective and creative preparation for classes with active communication is required for professors. However, the fatigue and burden of professors will increase rapidly when such measures take into account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This can lead to poor quality of the class. Therefore, research on how to communicate effectivel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s required to proceed with the study of interaction methods. COVID-19로 인하여 급변하고 있는 교육 환경에도 불구하고 보다 좋은 수업을 학생에게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행되었다. 좋은 수업의 요소를 찾기 위해 서울에 있는 B 전문대학교 인문계열과 예술계열 학생들에게 ‘좋은 강의 공모전’을 진행하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했다. 사례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참여한 전체 90명 학생의 답변을 인문사회계열 51편, 예술계열 39편으로 나누어 수업운영과 학업성취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하위영역의 문항에 따라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예술계열 학생은 개인의 작품을 이해하고자 하는 교수자의 관심과 작품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피드백을 통해 실력이 향상되는 강의를 좋은 수업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답했다. 인문계열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이란 주제별 토론과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과 교수가 함께 소통하여 내면의 성장이 함께 일어나는 수업이 좋은 수업이라고 했다. 학생들이 정의한 좋은강의 특징과 키워드를 분석해본 결과 활발한 상호작용과 이를 열정적으로 수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교수자를 묘사하는 단어들이 많이 등장했다. 연구를 통해 인문계열 예술계열의 다양한 전공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을 이루는 중요 요소는 상호작용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통이 활발한 수업을 위해서는 효율적 효과적 그리고 창의적인 수업 준비가 교수자에게 요구되나 COVID-19 특수 상황을 고려한 이런 조치가 장기화할 때 교수자의 피로도와 부담은 급증할 것으로 우려되고 이는 수업의 질의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작용의 방법론적 측면의 연구를 진행하여 교수자와 학생이 효율적 효과적으로 소통할 방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홈 헬스케어를 위한 다채널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윤정윤,정도운,Youn, Jeong-Yun,Jeong, Do-Un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10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11 No.3

        본 논문에서는 가정 내에서 보다 편리하게 건강모니터링을 수행하기위한 홈헬스케어용 다중생체 계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측정대상 신호는 가정 내에서 일반인들이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많은 건강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전도, 맥파 그리고 체온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현된 생체계측 시스템은 신호검출을 위한 센서부, 각각의 생체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처리부,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시스템 주변장치를 제어하기위한 시스템제어부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구현된 시스템은 시스템자체에서의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블루투스무선통신을 통해 홈서버용 PC 또는 웹을 통해 원격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원격건강정보 모니터링에 활용이 가능하다. 구현된 생체신호 계측시스템의 성능평가 결과 실제 홈 헬스케어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multi-channel vital signal monitoring system was implemented for home healthcare. The system able to measure vital signal for example ECG, PPG and temperature simultaneously at patients’ home. The vital signal is an essential parameter for healthcare application and can be easily extracted from patients. The implemented system consist of sensor parts for signal extraction, signal amplifier and filter for analog circuit, analog signal to digital conversion for controlling devices and lastly the monitoring program. The system able to transmit vital signals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s to personal computer or home server. And the tele-monitoring system able to display real-time signals using web monitoring program. In medical application, the vital signal parameter able to stored and saved in the web server for further medical analysis. This system opens up the possibilities of ubiquitous healthcare where further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done.

      • KCI등재

        디자인을 향한 윤리적 접근에 관한 고찰

        윤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3

        Criticism against the materialism-oriented society increased concerns for ethic. Now, people pay attention to the ethical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value, which continuously expands to the field of design. Of course, ethical introspection within design field has been kept for quite a long time. Discussion about designer’s social responsibility starting with Victor Papanek’s ‘Design for real world’ led to expansion of Green Design, Sustainable Design, Social Design, Slow Design, and 착한디자인 concepts. The perspective on consumption was changed to value orientation after 2000, which design concepts mentioned above have become a social issues and new cultural paradigm. However, these kinds of interests from the outside tend to precedently restrict all the design activities with somewhat one-sided judgement. In Korea, design field itself does focus on designer’s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orality. Thus, this research critically considers the concept of design ethics which is appealing recently and understands its possible threat. With this, I would like to broaden the diverse values that design with ethical perspective has. Also, it contains various perspectives of ethics that could be theoretical foundation of ethics for design. Methodology used is th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precedent study and relevant discussion associated with ethical perspective of design. Researcher ha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design and designer should not be confined in social moral standard.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that modifies and improves design trend in ethical perspective so far. This paper is expected to work as a theoretical base for practical study in ethical design. 물질중심사회에 대한 비판은 윤리에 대한 관심을 확대시켰다. 이제 사람들은 윤리적 소비와 소비의 가치에 주목하고 있고 그 관심과 사회적 요구는 디자인계로 계속 확장된다. 물론 디자인 내부의 윤리적 성찰은 꽤 오랜 시간동안 지속되어왔다. 빅터 파파넥 (Victor Papanek)의 『인간을 위한 디자인』 으로 시작된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는 그린디자인(Green Design), 지속가능한 디자인 (Sustainable Design), 사회적 디자인 (Social Design), 슬로디자인 (Slow Design), 착한디자인 등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2000년 이후 소비의 개념이 가치 중심으로 바뀌면서 위의 디자인 개념들은 사회적 이슈와 새로운 문화적 패러다임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의 관심은 다소 일방적인 판단으로 디자인의 모든 활동을 선행으로 위축시키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디자인 내부에서도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의식과 도덕성에 보다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주목받고 있는 디자인 윤리라는 개념을 비평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이것의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윤리적 관점의 디자인이 가지는 다양한 가치를 폭넓게 하고자 했다. 또한 디자인을 위한 윤리학의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는 윤리학의 다양한 관점도 포함시켰다. 연구방법은 윤리적 관점의 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과 관련 담론의 문헌연구이다. 연구자는 디자인과 디자이너가 선악의 구조 안에 갇히는 것을 경계한다. 때문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윤리적 관점의 디자인의 추세를 수정 보안하는 연구로 의의가 있다. 이 논문이 윤리적 디자인의 실천적 연구에 이론적 바탕으로서 작용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참여 기반의 공익캠페인 디자인 발전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윤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3

        21세기 네트워크 사회의 디지털 매체와 도구는 정보를 생성, 공유, 변형하기위한 보편적 기반이 되었다. 사람들의 관심과 목표는 확장되고 다양해 졌으며 많은 종류의 커뮤니티와 관계를 맺고 소통한다. 사람들은 능동적인 태도로 콘텐츠를 만들고 확장하는 행위에 길들여지고 있다. 이것은 전통적인 방식의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변화를 시사하며,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또한 의미한다. 그렇다면 디자이너와 사용자간의 활발한 소통은 어떻게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인가? 본 논문은 사용자와 함께 하는 디자인에 주목한 공익 캠페인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디자인 분야에서 일어나는 모든 변화가 잠재적으로 공공영역에 상당히 관련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제 사례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사례연구에 앞서 참여기반의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 마케팅 관점으로 공동창조, 디자인 형태로는 모듈화, 디자인 방법으로 오픈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한다. 그리고 참여형 공익 캠페인의 이론적 기반을 위한 경험과 행동중심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정리한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회공헌 6단계 이론에 적용하여 참여 기반의 공익캠페인 디자인 개발의 단계적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Digital media and tools in the network society of the 21st century became an universal foundation to create, share and modify information. Interests and purposes of the public have expanded and become various thus, many people build a relationship with and interact with various kinds of communities. People get used to doing something that they actively create and enlarge the contents. It means that a traditional way of viewpoint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is altering and that role of the designer experiences also changes. Then, how does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contribute to solving the social problems? This study is a research paying attention to the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design with users. It would not be enough to examine some cases, even though all the changes in design field have a potentially close relationship to the public sector.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based design, before doing some case studies, concepts and traits need to be organized by co-creation based on the marketing point of view, modularization as the design form and open design focused on design method. To mak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participation-oriented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it is also necessary to organize experience- and behavior-center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ories. Based on these kind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I want to present phased idea of the public communication campaign design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participation, applying the 6 Stages of the philanthropy.

      • KCI등재

        참여 기반의 공익캠페인 디자인 사례 유형 연구

        윤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오늘날 빠르게 발전하는 미디어 환경은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제 사람들은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능동적으로 소통하고 메시지를 재생산 하고 있다. 이런 흐름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디자인 접근방법을 변화하게 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 접근방법 중에서 대중들의 경험과 소통에 집중한 참여디자인에 주목하고 이를 활용한 공익캠페인 디자인의 유형을 연구한다. 우선 참여디자인의 이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참여 기반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참여 형태와 참여 정도를 구분하여 공익캠페인 디자인 유형을 연구하기위한 틀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체적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한다. 참여디자인 유형을 구분할 때는 표현의 유연성, 디자인 전문성 난이도, 창조레벨로 분류하며 참여자가 경험 안에서 가치를 형성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이는 참여자가 참여 전 과정에서 감성적 가치를 창출 하면 이것이 캠페인에 대한 몰입도과 지속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공적 공익캠페인 디자인에서 효과적 메시지 전달을 위해 참여자의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 그리고 구체적 사례 유형을 연구하여 참여형 공익캠페인 디자인의 체계적 접근방법 제시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oday's fast-developing media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the way of people's communication greatly. Now people are communicating actively and reproducing the messages rather than taking the information unilaterally. This kind of trend can make the market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design approach chang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articipation-based design focused on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of the public in the new type of design approach. By using those, It conducts a case study research related to the public campaign design. Firstly, to understand the participation-based design, the notion of 'participation-based' is organized by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Secondly, the typ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s divided and then the framework is made to study the public campaign design case. Lastly, detailed cases are categorized variously by type. When the participation-based design case is classified, i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lexibility of expression, level of difficulty in design expertise and creation level. In this case, the participant pays attention to the value formation process within one's experiences. If the participant creates an emotional value in the whole process, this can have an impact on the level of immersion and durability in campaign.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a foundation is made for suggesting systematic approach in the participation-based public campaign as well a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s important to deliver the message effectively in the successful public design

      • 社會的 强化形態가 課題成就에 미치는 영향

        尹正倫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79 學生指導硏究 Vol.12 No.1

        1. The problem of Study For the purpose of finding cut the effect upon Task Performance influenced by Verbal Reinforcement in th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Correct), Disapproval, and Non-Reinforcement, Lattempted to study as follows: 1) Which is the most effective case,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in the abovementioned Verbal Reinforcement?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from the viewpoint of the individual factor of Reinforcement? 2. The Hypothesis of Study 1) In the case of Simple Task the effect of Disaapproval is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th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Correct), and Non-Reinforcement (Alone). 2) In the Task Performance, in the case of male th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Correct) is more effecctive than the Petsonal-Oriented Approval is, and in the case of female th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is more effective than th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Correct) is. 3) In the case of Disapproval male are more effective than female in terms of the individual factor of reinforcement. 4)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Alone) in the case of borh male and female. 3. The object of study and the group choice I conducted the examination on 380 children of four and five year-grade classes in the Taegu Elementary School and Andong Elementary School attached to the Taegu Tacher's College. And I organized the experimental group as follows: ◁표 삽입▷ (원본을 참조하세요) 4. Conclusion 1) In the Simple Task the effect of the Disapproval is more outstanding than th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and th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and in the case of female th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Correct) is more effective than Disapproval and th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2) In the case of the male compared with that of the femal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and Disapproval, and in the case of the Non-Reinforcement (Alone) the femal is rather than effective than the male. 3) In the case of th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Correct) I found no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4) In the case of the male the Personal-Oriented Approval (Praise) the Performance-Oriented Approval, and the Disapproval are more effective than the Non-Reinforcement (Alone).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의 관계: 수치심의 매개효과

        윤정윤,김미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psychological control and shame on aggress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eniors. A sample of 384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Pusan, Ulsan, and Kyungnam were surveyed using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scale, shame scale and aggression sca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model was tested to see whether the shame wa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veness of paren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ggression, and shame wer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eniors. Second, the shame was partially mediated by psychological control and aggression of parent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수치심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Yun Jeong Yun광역시와 울산광역시, 그리고 경남의 초등학생 5, 6학년 3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 수치심 척도,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변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수치심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공격성 및 수치심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수치심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의 디자인 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윤정윤,이성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1

        The whole world is making every effort to revive the environment of the earth which is being devastated. For the future of mankind, making our society durable is being under way in every field, let alone in design.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design being referred to, similar expressions such as 'green design', 'eco-design', and 'eco-friendly design' are often used. Bu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sustainable design takes into consideration material, design, the social and economic effect of a production process. Sustainable design refers not to the design for a product but to the design for a process. It thus means that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is not the education which is placed on the final graphic of a product and it is important to teach students to design a desig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rather to research both the necessity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and its curricular direction via case studies of sustainable design than to examine sustainable design itself. People now do not deny the fact that design can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ir lives. Designers can have an opportunity to change culture and environment through design.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is able to plant an environmental notion as well as a sense of moral values in prospective designers. By doing sustainable design in the future they can also change not only the consciousness of the consumers who spend their design but also the consumers' patterns of consumption into a positive way for the earth environment. 전 세계는 지금 황폐화 되어가는 지구를 보며 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류의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회 만들기는 모든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디자인도 예외일수 없다. 환경적 디자인 개념을 언급할 때 ‘그린디자인’, ‘에코디자인’, ‘친환경디자인’ 등의 유사 표현들이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지속가능디자인’은 소재와 디자인, 생산 프로세스의 사회적,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도 고려한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속가능디자인은 제품에 대한 디자인이 아니라 프로세스에 대한 디자인이다. 그러므로 지속가능디자인 교육은 제품위에 올라가는 최종 그래픽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이 디자인 프로세스를 디자인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디자인을 위한 연구보다 그 사례들을 통한 지속가능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과정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람들은 이제 디자인이 자신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디자이너는 디자인을 통해서 문화와 환경을 변화 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 것이다. 지속가능디자인 교육은 미래의 디자이너에게 윤리적 가치관과 환경의식을 심어 줄 수 있다. 또한 그들이 미래에 지속가능디자인을 함으로써 그 디자인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의식과 소비 형태를 지구환경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 KCI등재

        한국문화정체성과 디자인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

        윤정윤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1

        If the globalization today is a general phenomenon in the whole world, its cultural identity is also a world-dimensional problem beyond individuals, groups, races, and regional units. The reason why cultural identity raises a fierce discussion and concern among the intellectuals all over the world, while extreme cultural standardization is taking place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ass media, comes from the self-awareness that cultural identity is the foundation of productivity and creativity which are considered as variables of a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Our case is not an exception, either. But the identity of Korea appearing in design shows most of the historical things before the modern era, and it strongly tends to maximize the traditional image of Korea. These kinds of work have been understood as the identity of Korea where traditional designs are simply formalized into devices and applied to pieces of work. This research is on studying the design culture formation of Korea and its ident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By way of considering today's globalization, culture, and the modern meaning of identity and looking into the cases of Japan among several countries which have distinct cultural identity in our point of view, the research tries not only to revise but also to develop the distorted cultural identity of Korea and furthermore to put forth a developmental alternative to the design culture formation of Korea. 세계화가 오늘날 전 세계의 보편적 현상이라면, 그에 따른 문화 정체성의 문제도 개인, 집단, 민족, 지역 단위를 넘어서는 전 지구적 차원의 문제이다. 매체의 급속한 발달로 극도의 문화 획일화를 유발하는 가운데 문화정체성이 전 세계 지식인들 사이에 치열한 논쟁과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이유는 그것이 그 나라 경제 발전의 변수인 생산성과 창조성의 토대가 되고, 그 나라의 자주적이고 자율적인 생존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디자인에 나타나는 한국의 정체성이라는 것은 대부분 근대 이전의 역사적인 것들이 대다수 이며, 전통적인 한국 이미지를 극화시키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유형의 작업들은 전통문양을 도안풍으로 단순하게 양식화하거나 작품에 응용하는 것이 한국의 정체성으로 이해되어왔다. 본 논문은 21세기 한국 디자인문화형성과 정체성 모색을 위한 연구이다. 오늘날의 세계화, 문화, 그리고 정체성의 현대적 의미를 고찰 하고, 뚜렷한 문화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몇몇 나라 중에서 일본의 사례를 우리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왜곡된 한국 문화정체성의 수정과 확장 나아가 한국 디자인 문화형성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