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가구의 빈곤화에 미치는 영향: 재정적 대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우경숙,박찬미,신영전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8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n the transition to poverty of households in South Korea,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financial coping in the causal process. This study involved 3,321 households who participated in the 7th–8th KWPS and were surveyedas non-poor households in the 7th. To examine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in these households, changes in financial coping, and the association with transition to poverty, a three-step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facing poverty than the households without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nd the households facing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ivate transfer income and private insurance benefits whereas they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ssets. Between households’ financial coping and transition to poverty, increased private transfer income, increased savings, and increased non-healthcare service spend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to poverty of households. In addition, only private transfer incom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affecting the transition to poverty of households.

      • KCI우수등재

        스마트가든의 인식경향에 관한 연구

        우경숙,서주환,Woo, Kyung-Sook,Suh, Joo-Hwan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현대사회는 인간, 사물, 네트워크가 관계를 형성하는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정보화, 지능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식물 재배 시 온도, 습도, 일광량, 수분공급 등 식물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원 관련 시스템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가든의 개념 및 인식경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가든의 특성은 기술의 발전 및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실내·외 공간에서 IoT기술과 정원이 융합한 새로운 정원형태 혹은 여가의 유형 중 하나이다. 기술의 발전과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인간과 자연이 융합되는 생활공간의 요구로 스마트가든이 현실화되고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가든의 등장으로 정원 관련 산업의 변화,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 정원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스마트가든과 관련된 연구 및 이용자의 경험에서 공통적으로 스마트가든의 기술적인 측면에 관심이 가장 높다. 사람들은 스마트가든이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하고 쾌적하며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능 및 기술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며, 개인의 취향 및 디지털 기기의 이용능력에 따라 주체적인 이용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스마트가든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주로 가정 및 실내공간에서 이용하고 있으며,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기후변화, 식량위기 등에 대한 우려로 먹거리와 관련된 식물 재배를 선호하고 있지만, 화훼류 등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및 매뉴얼로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어 정원기능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가든의 형태를 새롭고 세련된 형태라고 느끼고 있어 스마트가든의 디자인이 이용자의 가치를 만족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스마트가든은 기술적인 차원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가든의 주요 구성 요인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일 것이다. 단순하게 화분과 스마트기기를 연결하여 식물을 편하게 기르는데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 다양한 도시서비스와 연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가든이 과학기술에 의해서만 자연이 재현되는 것이 아니라, 조경가와 상호작용하여 정원의 기능 및 이용자의 니즈를 포함한 디자인이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실내뿐만이 아니라, 도시공원 및 공공시설에서 시민에게 제공하여 연령 및 디지털 기기·정보의 격차로 인하여 '스마트'한 서비스를 향유하지 못하는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세대 간 커뮤니케이션, 정원의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조경공간으로 잠재성을 갖고 있다. Modern society is becoming more informed and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which humans, objects, and networks relate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imes, a garden system has emerged that makes it easy to supply the ideal temperature, humidity, sunlight, and moisture conditions to grow plan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concept, perception, and trends of smart gardens, a recent concep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vious studies and text mining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haracteristics of smart gardens are new gardens in which IoT technology and gardening techniques are fused in indoor and outdoor space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changes in people's lifestyles. As technology advances an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smart gardens are becoming a reality due to the need for living spaces where humans and nature can co-exist. With the advent of smart garden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gardens' vitalization to deal with changes in garden-related industries and people's lifestyles. Second, in current research related to smart gardens and users' experiences, the technical aspects of smart gardens are the most interesting. People value smart garden functions and technical aspects that enable a safe, comfortable, and convenient life, and subjective uses are emerging depending on individual tastes and the comfort with digital devices. Third, looking at the usage behavior of smart gardens, they are mainly used in indoor spaces, with edible plants are being grown. Due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a possible food crisis, the tendency is to prefer the cultivation of plants related to food, but the expansion of garden functions can satisfying users' needs with various technologies that allow for the growing of flowers. In addition, as users feel the shapes of smart gardens are new and sophisticated, it can be seen that design is an essential factor that helps to satisfy users. Currently, smart gardens are developing in terms of technology. Howev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smart garden are the combination of humans, nature, and technology rather than focusing on growing plants conveniently by simply connecting potted plants and smart devices. It strengthens connectivity with various city services and smart homes. Smart gardens interact with the landscape of the architect's ideas rather than reproducing nature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esign that considers the functions of the garden and the needs of users. In addition, by providing citizens indoor and urban parks and public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share the functions of communication and gardening among generations targeting those who do not enjoy 'smart' services due to age and bridge the digital device and information gap. Smart gardens have potential as a new landscaping spac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충남 일부지역에 위치한 주택, 관공서, 학교의 실내 라돈농도 분포

        우경숙,손부순,오수진,박희진,서수연,이우석,정은경,윤주용 한국냄새환경학회 201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3 No.1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radon, we analyzed from 55 house, 37 government office, 54 schoolfrom June 2008-June 2011 in Chungnam area. From the result of surveying indoor radon degree of 146 facilities,the annual average geometric concentration of indoor radon was 69.4 Bq/m3, 40.5 Bq/m3, 51.4 Bq/m3 in house,government office, school respectively. As for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based on seasons, the radon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winter in al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by dividing the construction year, into before 60s, 60-70s, 80-90s and 2000s, the radon concentration was lowerin all the newly constructed facilities. As for difference in radon concentration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basement, concentration of house, government office and schools having basement was 52.2 Bq/m3, 44.5 Bq/m3,36.4 Bq/m3 that of having no basement was 75.2 Bq/m3, 53.6 Bq/m3, 67.4 Bq/m3 respectively. Place having nobasement tend to show higher concentration.

      • KCI등재

        고온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우경숙,김대은,채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2

        In Korea, climate change and high temperatur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and society as a whole. We aimed to provide a meta-analysis of epidemiologic evidence regarding high temperature-related mortality in Korea. The pooled results suggest that for a change in temperature condition, the risk of total mortality increased 5% (95% CI: 3-6%) for 1℃ increase, 8% (95% CI: 2-14%) for heatwave exposure.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differences in risk of mortality by gender, age, region and cause of death due to high temperatures and to assess the impact of heatwave on mortality under different heatwave definitions. Nevertheless, it wa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risk of mortality over 75 was higher than that under 75 for heatwave exposure. High temperatures were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eath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respiratory diseases. It is necessary to define groups that are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s an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their impact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n-depth studies of the temperature threshold that the country and the community should respond to.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와 여름철 이상 고온 현상이 건강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고온 노출에 따른 사망의 위험을 평가한 기존의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여, 현재까지 확인된 근거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기온이 1℃ 증가할 때 사망의 위험이 5%(95% CI: 3-6%) 증가했으며, 비폭염 기간에 비해 폭염 기간에 사망의 위험이 8% 증가(95% CI: 2-14%)했다. 그러나 국내 연구 수가 제한적이어서 각기 다른 폭염의 정의별로 사망의 위험을 평가하지 못했으며, 하위집단별 분석에서 취약인구집단의 위험을 충분히 규명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75세 이상 고령 인구집단에서는 고온의 분석단위와 관계없이 사망의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또한 고온은 심뇌혈관질환,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향후 고온의 건강영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폭염의 기준을 마련하고, 고온 노출에 민감한 집단에 대한 건강영향을 평가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국내 보건복지 분야의 시계열 분석 연구 동향

        우경숙,신영전,Woo, Kyung-Sook,Shin, Young-Je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and risk of bias of research using time series analysis on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future health and welfare research. The database searches identified 6,543 papers. Following the process for screening and selecting, a total of 91 paper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using time series analysis from 1987 to 2013. Time series analysis was applied in medicine and health science journals. The main goals were explanation and description. Most of the subjects were heath status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The main model used in the time series analysis was ARIMA followed by time series regress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government agencies. For assessing risk of bias, some studies were found to have inadequate sample sizes or showed no time series graphs and plots. These findings suggest greater widespread utilization of time series analysis in the field of health and welfare and to use the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and statistical procedures to obtain more reliable result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이 연구는 국내 보건복지 분야에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 논문의 현황을 파악하고, 비뚤림 위험평가를 시행함으로써 향후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시계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내 외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논문명, 키워드, 초록에 '시계열 분석'을 포함한 6,543건 문헌 중에서 보건복지 분야 91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1987년부터 2013년까지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논문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시계열 분석 연구는 의학과 보건학관련 학회에서의 활용이 높았고, 요인분석과 추세분석을 주요 분석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세부주제는 국민건강과 의료서비스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고, 분석 기법은 ARIMA 모형, 시계열 회귀모형 순으로 활용되었다. 자료의 대부분은 통계청과 정부기관에서 생산하는 통계자료를 이용하였다. 문헌의 비뚤림 평가 결과, 상당수의 논문들이 표본수가 부족한 자료를 이용하거나, 시계열 도표와 플롯 작성을 간과하였다. 보건복지 영역에서 시계열 분석의 활용이 늘고 있고 향후 이용 가능성도 커지고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분석 과정과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분석 절차와 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주요 항목을 간과한 논문들이 일부 확인되었다. 향후 시계열 분석의 적극적인 활용뿐만 아니라 통계적 방법과 절차를 준수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공감 관련 내용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우경숙,임진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ral textbook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 was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mpathy with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riteria for analysis focused on the components of empathy and the four stages of Hoffman's development of empath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empathy,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empathy in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ccounted for 63.5% of the total class time, up 20.2% p from the 7th curriculum. Second,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lated to empathy by grade level decreased as the grade increased, except for the 4th grad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way of presenting empathy by grade, the cognitive factor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5th grade, 3rd grade, 6th grade, and 4th grade, and the emotional component was shown in reverse order Overall, the ratio of emotional elements of empathy was higher than that of cognitive elements.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stage of empathy, there was no global empathy and egocentric empathy. With the exception of 4th grade, empathy for others' feelings decreased toward higher grades, and empathy for other people's living conditions increased toward higher gra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empathy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moral textbooks. 이 연구는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감의 구성요소와 호프만의 공감 발달 4단계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차시별 학습 목표, 소 제재의 최종학습목표에 대하여 공감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공감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공감과 관련된 내용은 전체 차시 중에 63.5%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7차 교육과정기보다20.2%p 상승하였다. 둘째, 공감 관련 내용의 학년별 비율은 4학년을 제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감 관련 내용을덜 다루고 있었다. 셋째, 학년별 공감을 제시하는 방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지적 요소는 5학년, 3학년, 6학년, 4학년 순으로 비율이 높았고, 정서적 요소는 역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공감의 인지적 요소가 정서적 요소에비해 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의 발달 단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총체적 공감과 자기중심적공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4학년을 제외하면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감소하고 타인의삶의 조건에 대한 공감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기 초등학교 도덕교과서를 공감과 관련하여 분석한 것으로 도덕 교과를 통한 공감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관한 연구 - 문헌연구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우경숙,서주환,Woo, Kyungsook,Suh, Joo Hwa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5

        최근 정원과 정원설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정원'이라는 용어의 사용범위가 엄청나게 넓고 복잡하며, 그에 따른 정원에 관한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문헌연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원의 시대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 변화 패턴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과거 정원은 내 집 마당과 뜰과 같이 사적인 영역부터 집 밖의 들까지 광범위하였지만, 경제개발 이후 주거환경이 변하여 주로 사적인 영역에 정원이 조성되면서 범위가 축소되었다. 또, 자연과 사람의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으로서 역할을 하는, 정원과 성격이 비슷한 도시공원의 도입으로 인해 정원과 공원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정원의 개념에 혼란이 시작되었다. 결국 정원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정원의 정의는 자연과학, 사회학 및 문화학 등 여러 분야의 총합으로 다양하게 이해될 수밖에 없다. 정원의 시대적 정의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정원의 개념적 범위를 파악하여 정원과 관련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이 연구에 사용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는 다른 유사한 연구, 특히 조경분야의 의미론 연구의 방법으로 기여할 수 있다.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high interest in gardens and garden design in Korea recently. However, the usage of the term 'garden' is extremely varied and complex, and there has been very little academic research made on the meaning of garden.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eas of current gardens and to elucidate their changing patterns by means of extensive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analysis. The notion of garden in the past was broad including not only private space such as Madang(마당) and Teul(뜰), but also even field and grass land as public outdoor space. Yet, the meaning has become smaller to merely private space due to the change of dwelling systems due to high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20th century.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s as an interactive spa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similar spatial function of gardens, ha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garden and park, which created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 garden. After all, garden is a subject for humans. The meanings of garden need to be recognized from various points of view since garden itself is a creation by the sum of diverse fields such as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s well as culturology. This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garden in the present day will give a conceptu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gardens and garden design. Also, the big data analysis employed here as a research method can help other similar research topics, particularly semantics in landscape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