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비대면 수업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성과분석 연구

        김순남(Kim, Soon Nam)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언택시대 대학 비대면 수업으로 실시한 교양교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대학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2회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성과를 분석하고 비대면 수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소속 대학에서 개설된 교수자의 교양과목 2개 강좌 2개반씩 총 4개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연구 방법은 교수자가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설명 자료를 만들고, 직업기초능력의 10개 요인과 34개 요소에 대해 Lykert식 5점 척도를 활용한 진단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첫 주 사전진단 평가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을 설명하고 제작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사이버캠퍼스에 올렸다. 학생들이 이를 다운 받아 자기 평가하여 진단지를 작성한 후 교수 메일로 보냈다. 똑 같은 방식으로 수업 마지막 주에도 사후 평가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를 하여 수업 전후 직업기초능력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는 10개의 직업기초능력 및 34개의 하위요소들은 .0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년별 및 교과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조사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효과적이라는 반응은 31%, 비효과적 이라는 반응은 69%로 나타났다. 비대면 동영상 수업 유형의 장점으로는 반복 청취가 67.7%, 시간 활용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점으로는 주별과제 부담이 44.3%, 교수학생 관계형성 미흡이 20.6%, 수강생 소통 부족이 17.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의 적당한 비율에 대해서는 20%이상 50%미만 구간에 대해 49.4%로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 이상의 학생들의 수업전후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결과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를 근거로 학생, 교수, 대학과 국가 수준의 향후 정책을 제안하였다. 학생은 국가직업기초능력 자기 진단과 성과 관리를 주기적으로 시행 관리해야하며 교수는 교양교육 과목을 통한 국가직업기초능력 신장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은 사이버시스템 업그레이드와 국가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관리시스템 정착이 필요하고, 국가는 사이버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 확대와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교양교육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집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instruction and the implication of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basic competency evaluation of non-face instruction in the “untact”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theorectical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and the different analysi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elf-evaluation surve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enrolled in two Leadership instructional programs and two interpersonal relations instruc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at Shinhan Universit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f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0.01 level in all 10 vocational basic competency categories and 34 sub-ele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ame to the grade and subject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survey o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31%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effective, while 69% said such classes were ineffective. The 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67.7% for repeated listening and 22.9% for tim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as follows: 44.3% for the burden felt by weekly tasks, 20.6% for the lack of rapport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and 17.5% for the lack of student communication. As for the appropriate ratio of untact classes, 49.4% responded that a proper ratio would be in the range of 20% to 50%. Based on the above students self-evaluation resul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s regarding untact classes, future policies are proposed at the student, professor,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Students need to self-diagnose and manage their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lso, professors ne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ency ability, and strengthen their untact online class capabilities. Universities need to upgrade their cyber systems,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and develop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The state needs to expand its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cyber systems and to develop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well as to compile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o enhanc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전환에 따른 실과 교사교육의 방향

        진흥섭,최지연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1

        이 연구는 새로 개정된 초등교사 임용시험 중 ‘실과 수업능력 평가’에 대해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장의 교사들이 보는 바람직한 실과수업 모습을 2차에 걸친 표적 집단 면접을 통해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과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과 그 능력을 길러낼 교사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바람직한 실과 수업의 모습은 ‘일상생활과 실과 내용을 흥미롭게 통합한 수업’, ‘확산적 사고와 허용적 분위기가 형성된 수업’, ‘실습을 통해 절차적 지식이 함양된 실과수업’, 그리고 ‘체험 활동을 통해 올바른 태도가 형성된 수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둘째, 이러한 바람직한 실과 수업을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은 ‘일상생활과 실과 내용을 흥미롭게 통합한 수업’을 위해 ‘실과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일상생활과 실과 내용을 통합하는 능력’, ‘학생의 관심과 요구 및 흥미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 그리고 ‘재구성한 교육과정에 대해 수업행정 업무 처리 능력’이며, ‘확산적 사고와 허용적 분위기가 형성된 수업’을 위해 ‘내용에 부합하는 확산적 발문 능력’, ‘확산적인 사고를 요하는 수업방법 활용’, ‘허용적인 교육환경 조성 능력’이다. 또한 ‘실습을 통해 절차적 지식이 함양된 실과수업’을 위해 필요한 능력은 ‘전 영역에 걸친 실습 능력과 실습지도 능력’, ‘실습에 대한 교사의 절차적 지식’, ‘현재 조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습 소재 선택활용 및 개발 능력’, ‘습득한 절차적 지식의 생활적용 계획능력’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체험 활동을 통해 올바른 태도가 형성된 수업’을 위해 필요한 능력은 ‘체험과 연결된 덕목 파악능력’, ‘체험을 통한 인성 지도 능력’, ‘교사의 체험관련 인성 형성’임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셋째, 이러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 교육기관에서는 기존의 실과 교과교육학과 교육내용학의 지식과 실기 기능 습득 차원에서 머물지 않고 실과 수업능력과 관련된 실과 교사 교육과정의 개정 및 전환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fundamental proposal for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on practical arts in response to new system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elds about desirable instruction were ‘Attractive integration on contents of everyday life', 'Formation of divergent thinking and permissive atmosphere', 'Improvement of procedural knowledge through practice', and 'Formation of moral manners through experience' And these fields were assorted like these : ‘Attractive integration on contents of everyday life' needs for capacity of 'Whole knowledge in practical arts', 'Integration on contents of everyday life', 'Sensible understanding of students' interests and demands', 'handling of administrative task about teacher's curriculums' ; 'Formation of divergent thinking and permissive atmosphere' needs for capacity of ' 'suitably divergent questions', 'divergent teaching methods', and 'make permissive atmosphere' ; 'Improvement of procedural knowledge through practice' needs for capacity of 'guidance of practice in whole practical arts', 'teacher's procedural knowledge about practice', 'application, use, improvement of practice's material in condition at present' and 'planing the application of a life by procedural knowledge'; 'Formation of moral manners through experience' needs for capacity of 'finding virtue in connectin with practice', 'teaching moral manners though practice' and 'buildup teacher's moral manners in connectin with practice'

      • KCI등재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혁신과 발명’ 단원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수업 모형 개발

        서정완,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1

        We confront incessant choices in life. A person or a group stands at a crossroad continuously and make decisions under limited conditions in each time in order to achieve a goal. These series of processions are referred to as decision making and dominates our actions. Based on this view, the decision making is crucial and it secures its own position in school education as well as in re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cision making skills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e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subjects.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was problem recognition, problem identification, alternative production, alternative assessment, optimum selection, optimum evaluate. An instructional models for improvement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examination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in technological education. Depending on the components of decision making skills developed a teaching material to experience each step. And in the teaching material was to verify the improved decision-making skill. Accordingly, a decision making instruction model in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e students’ decision making skill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능력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 추출, 환경 요소 분석, 의사결정 검사도구 개발,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모형 개발, 수업 도구 선정,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 개발의 6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로 문제인식, 문제규정, 대안생성, 대안평가, 최적안 선택, 최적안 평가를 도출하였다. 둘째, 의사결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도출된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기술교과에서의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결정능력 하위요소를 준거로 여러 의사결정 수업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의사결정능력 향상 수업 모형을 기준으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하여 의사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과제를 개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수업 과제를 본 수업과 이후 수정 보완을 거친 수업에 투입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의사결정능력 향상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모형은 기술교과에서 의사결정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의상과 프로젝트수업 교수·학습과정안 개발과 직업기초능력 향상 효과 :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김수정(Kim Soo-Jeong),심현섭(Shim Huen-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특성화고등학교 비주얼머천다이징 수업에 실행 적용하였을 때, 직업기초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 고교 직업교육과정 섬유·의류 교과(군)의 비주얼머천다이징 실무과목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창업아이템 만들기’ 주제를 선정한 후 총 12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생용 활동지 3개, 학생용 학습자료 4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특성화고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실험집단 1학급, 통제집단 1학급)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실험집단에는 프로젝트 학습을, 통제집단에는 동일한 학습주제로 시범·실습 수업을 실행하였다. 수업 시행 전과 후에 직업기초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검사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수업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향상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수업관찰평가와 학습자의 수업소감문을 토대로 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태도를 평가한 결과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수업 참여도와 집중도가 높았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도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ith Project based learning and to verify its effects on the Key competencie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when applied to visual merchandising clas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applicable to visual merchandising practical course was developed after selecting the content area that was interesting and applicable to real life. Total 12 lesson hour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ith Project based learning, 3 activity sheets and 4 learning source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class was carried out with 44 of third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on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for the control group)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 of the clas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the same as ‘making start-up items utilizing up-cycling’. But the Project based learning clas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teaching class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evaluation tool for Key competency which was developed by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purpose of research. The Key Competencies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course.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lasses. As a result, the Project based learning applied classes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problem- solving competence of the students.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 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 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 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 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 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 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 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 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 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 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 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 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 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 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 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 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 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 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for 8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P University of Education in Pusan metropolitan city. Among these 88 students, 32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were male, 56 were fem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ccording to gender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science class ability compared to 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cording to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for elementary science pedagogy than that of m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nd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can be applied both side of male and female. Fourth, both male and femal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mong which the linguistic factors of the instruc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criteria for instructional evaluation.

      • KCI등재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섭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8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 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B초등학교에서 5학 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반, 비교반 선정을 위해 담임 교사에게 동의를 구하였으며, 학생들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 연구자가 직접 내방하여 연구반 학생 24명과 비교반 학생 2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반에 대해서는 담임교사 를 실험처치자로 선정하여 Thinking Maps을 활용한 과 학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을 설정하여 40분 단위 수업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수업 후에는 사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정리하는 단계로 진행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긍정 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Thinking Maps 수업 후 연 구집단의 학습자들 인식 반응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논의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후 속 연구에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Thinking Maps 기법을 다양한 과학 수업에 적용시켜 효과를 알아보는 것도 새로운 수업방법의 하나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둘째, Thinking Maps 기법으 로 초등학생들의 학년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효과 를 검정해 보는 것도 과학수업에 대한 또 다른 수업방 법의 하나로 부각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by utilizing ‘Thinking Maps’ in a science class. This particular study was proceeded to 5th grader at B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mutual agreement with a teacher about assigning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and it was agreed by students and explaining the reason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visited the school and selected 24 students in the research class and 24 students in the comparative class. For a research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omeroom teacher, proceeded a science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set up as a 40 minutes class unit for 12 weeks. After an experimental grou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were examined,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were proceeded by ord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are as below. First,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method in the class was effectiv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method in the class was effective i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ird, the application of ‘Thinking Maps’ method in the class had a positive cognition from the learn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in the follow - 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lying Thinking Maps technique to various science classes to see the effects can also be suggested as one of the new teaching methods. Second, testing the effects of applying different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Thinking Maps technique could also be highlighted as another way of teaching science classes.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한 이해당사자 기반의 평가 관점 분석

        한재영,윤지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Teacher evaluation for ability development has been implemented in schools since 2010;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a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same indicators were applied to teachers that taught different subjects. It i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s be conducted based on indicators reflecting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n order that a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could suggest methods for teacher's ability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growth. Modifications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associated with teacher teaching ability are required.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the various views of all the interested parties in current education practice. In this study, students and their parents,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were surveyed on the sub-indicators considered, and/or the indicators to be added to the exist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assessing a science teacher's teaching a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dered by the interested parties. Students, for example, were concerned with 'creating the science class's atmosphere' and 'utili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media'.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education administrators were concerned with the 'knowledge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of the nature of science', 'self-development', and 'knowledge of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The parents emphasized the 'love of education' and 'knowledge of personalized education'. In addition, 'experimental ability'(performance and teaching) was selected by all the interested parties as an evaluation indicator to be conside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experimental abil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teachers.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that could help to reorganize the current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a consensus among the various interested parties associated with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an objective and reliable teacher evaluation. 교원능력개발평가가 2010년부터 학교 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데, 교사의 수업 능력에 대한 평가 시 모든 교과의 교사에게 동일한 평가 지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교원평가시스템이 교원의 능력 개발 및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교과 별 특성이 반영된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교사의 수업 능력과 관련된 평가 지표의 수정 및 보완이 요구되며, 이는 현 시대 교육과 관련 되어 있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근거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과 그 학부모,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과학교육전문가, 교육행정가를 대상으로 기존의 수업 능력 평가 지표에서 과학 교사의 수업 능력 평가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세부 평가 내용이나 추가되어야 할 지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이해당사자에 따라 기존 평가 지표를 바탕으로 고려되어야 할 세부 평가 내용이나 추가해야 할 평가 지표에 차이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과학 수업 분위기 조성과 과학 교수 매체의 활용을 언급하였고, 예비교사와 현장교사, 과학교육전문가, 교육행정가 등은 과학 교과 내용 지식, 과학의 본성에 대한 지식, 자기 계발, 방과 후 과학 활동 지도에 대한 지식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학부모는 교육애와 인성 교육에 대한 지식을 강조하였다. 또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실험 실습 수행 능력이나 지도 능력을 과학 교사 평가에서 고려해야 하는 평가 요소로 선정하였다. 즉 과학 교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실험 실습 능력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과학 교사의 학습 지도 능력 평가를 위하여 현 지표를 재구성하고자 할 때,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연구는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수업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 해당사자들 간의 합의를 바탕으로 한 평가 지표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수업컨설팅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용우(Jeong Yong Woo),양성관(Yang Sung K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수업컨설팅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수업컨설팅 의뢰교사가 담임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4차례의 수업컨설팅을 적용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초풍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수업효율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유무가 사전에 존재했던 사전검사 점수의 영향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기 위해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업컨설팅은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수업효율성,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수업컨설팅이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수업효율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수업컨설팅이 초등학교 수업방법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 the effects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on efficiency of teacher's instructi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Four times of consulting was performed for 14 weeks. In the consulting, a discussion focused on strategies which help learners making study plan by themselves and searching . applying various learning strategies through self-studying as well as small group discussion. In order to exam whether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efficiency of teacher's instructi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was due to the preliminary observation score, this study conducted ANCOVA analysis that used the preliminary observation score as a covariate and post observation scor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based on the purpose of study are followings. Instructional consulting is positive to class efficiency of the teache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elementary school children perceive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instructional consulting is effective in extending with class efficiency of the teachers which students perceiv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Especially, it tells us that instructional consulting can provide a basic data regarding a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instruction methods.

      • KCI등재

        ICT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능력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영주 ( Young Ju Joo ),김정현 ( Jung Hyu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6 초등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ICT활용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수업 통제방식과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능력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보고 수업통제방식과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능력이 상호작용하는지 확인하여 초등학교 ICT활용수업의 교수지침 및 교수전략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학습자 117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능력을 검사하고 교수자 통제방식과 학습자 통제방식의 ICT활용수업집단으로 할당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삼원분산분석(three-way ANOVA)을 실시하여 주효과(main effects)와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수준 .01에서 수업통제방식과 컴퓨터 활용능력이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수자 통제방식의 ICT활용수업에서 학습자는 더 높은 성취도를 보였으며 컴퓨터 활용능력 수준이 높은 학습자가 성취도도 높게 나타냈다. 또 유의수준 .01에서 초인지 수준이 높고 컴퓨터 활용능력이 우수한 학습자 집단이 각각 ICT활용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수업통제방식과 초인지 수준은 상호작용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ICT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을 고려한 수업이 설계되어야 하며 컴퓨터와 같은 매체를 다루는 능력이 우수한 집단이 매체를 활용한 수업에서 높은 성취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 초인지, 컴퓨터 활용능력이 높은 학습자가 ICT활용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ICT활용수업을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학습자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metacognition,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an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an environment where ICT is applied to different instructional controls(instructor control, learner control). The idea which supports the rationale of this study could be drawn either from Jonassen(1991) or Stimson(1998) who emphasized the role of the learner itself for learning to take place in computer based learning environment it was emphasized the role of the learner itself for learning to take place in computer based learning environment. To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nvestigated: In learning environments where ICT is applied, 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instructional control(instructor/ learner), learners` metacognition degree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on the achievement? 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instructional control(instructor/ learner), learners metacognition degree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on the satisfaction? 3. Is there an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structional control(instructor/ learner), learners` metacognition degree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students drawn from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Frist of all,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instructor-controlled study group, and learner-controlled study group. Before they were put into the treatment, metacogntion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test were administered. Students were then put into instructor- controlled and learner-controlled classes where ICT was utilized as a main tool. After the learning programs, the achievement test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followed for both instructor-controlled and learner controlled classes. At the end of the test 17 dropouts took place for insignificant reasons, thus 117 subjects for analysis. The data was analysed with use of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In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instructional controls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on the achievement. In instructor-controlled classes, students had more higher achievement and students who were high level of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get good scores in achievement test.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etacognoition degrees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on the satisfaction. Students who were high level of metacognition and high level of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 felt more satisfaction in ICT based learning environment. Third, on the satisfaction, there was some interaction of instructional controls and metacognition. Finally,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various variances including instructional control, metacognition, and capability of applying computers can affect the achievement or satisfaction. A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showed, there are various results according which variables are considered. Also based upon these result, one may rightly argue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must include alternative strategies in which the nature of the task is taken into account at different learn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다층분석

        김인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erarchical relations between student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based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ncludes 3,564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in 151 universities, sampling 525 students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from 35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tion from the difference between universities was 7.4% of the total variances, and the variation between students was 92.6%. Second,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each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university avera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Third, variables of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learning agility, immersion in major of study, experience of training practic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action effec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program (university average)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teaching performance ability and learning ag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teaching performance abilities of prospective vocationa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151개 대학에 재학중인 3,564명의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이며, 표집은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에서 요구되는 조건을 고려하여 비례층화로 표집된 35개 대학교 525명 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수업수행능력 전체 변량 중 대학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7.4%로 나타났으며, 학생 간 차이로 설명되는 변량은 92.6%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특성 변인인 대학설립유형, 수업환경,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대학평균)는 수업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개인특성 변인 중 학습민첩성, 전공몰입, 교육실습경험,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 등은 수업수행능력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분석 결과, 수업수행능력과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수업수행능력 프로그램 참여수준(대학평균)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중등직업교육 교사의 역량기반 수업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