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교육과정의 보편적 핵심 요소와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찰

        성열관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2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the subject of growing attention on global issues,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creasing interdependence at global level. However,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has been facing definitional ambiguity because the concept of citizenship has been tied to territorial boundaries. So there is still no overarching consensus as to what should be taught for students to become good global citizens. In facing this challenge,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 the defini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how it has historically evolved, (b) the dilemma between national and supra-national citizenships along with another dilemma between globalization and its negative consequences, (c) universal minimum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 Korean distinctiveness in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thought of as teaching students in the same way regardless of geographical/cultural differences, but as one that may vary according to nations' culture, history, and developmental level of politics/welfare. In this regard, this paper also examines Korean political and cultural particularities as some constraints against participatory and activ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The paper criticizes instrumental and ethnocentric interpretation of globalization in Korea and, instead, suggests more participatory and democratic perspectives on such global issues as poverty, hunger, inequality, injustice, sustainable development, etc.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은 물론 경제적 상호 의존성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시민은 일국의 국경을 넘는 개념이기 때문에 세계시민 자체는 물론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은 정의상의 곤란에 직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이 무엇이어야 하는 지가 분명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에 본고는 ① 일국의 시민과 세계의 시민 사이의 딜레마는 무엇인가, 그리고 세계화와 그 결과 사이의 딜레마는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본 후, ② 의미연결망 분석과 문헌분석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요소로서 전지구적 보편성은 무엇이고, ③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한국적 특수성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세계시민교육은 전 세계의 모든 학생들에게 한 종류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자국의 문화, 지정학적 위치, 정치 및 인권 발전 수준 등을 고려할 때 보다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보편성과 함께 특수성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였다. 또한 본고는 세계시민교육을 도구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것을 탈피하여 기아, 빈곤, 불평등, 인권, 환경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 참여적인 태도를 중시하는 변화지향적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세계시민의식과 도덕 교육의 이론적 관계 정립 : 세계시민이론과 중학교 도덕 교육과정 분석

        김진희,차승한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3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moral education to enhance global citizenship as espoused within a moral education context.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Researchers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on global citizenship theorists such as Kant, Arendt, Nussbaum and Appiah. Findings/Results: Major findings showed that global citizenship should be meaningfully implemented while engaging aspects of moral education. Particularly, global ethics should form a central component to imbed it properly within the curriculum. Also,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urrent nation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has already adapted to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to some degree. However, devotion and engagement in the public sphere is poor when compared to other elements. Valu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expanding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oral education and could contribute to nurturing global citizenship in practice by utilizing a specific subject. 본 연구는 국제사회에서 세계시민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시민의식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도덕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성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세계시민의식 함양이 도덕 교육에 주는 의미를 분석하고, 현행 중학교 도덕 교육에 세계시민의식의 내용을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칸트, 아렌트, 너스봄, 아피아를 중심으로 세계시민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분석하였고, 각 이론에서 중시한 ‘세계관찰자, 도덕적 공동체, 뿌리내린 세계시민’ 담론을 세계시민적 정체성(belonging), 세계시민적 태도(attitude), 세계시민적 개입(engagement)과 연계지어 논리적으로 정련함으로써 도덕 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세계문제에 대한 다양한 쟁점을 다루는 글로벌 윤리 개념이 세계시민의식과 도덕 교육 사이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 한국의 현행 도덕 교육과정은 세계시민의식과 관련한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나, ‘공적 영역에 대한 헌신’을 반영하는 내용 요소는 빈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의 상황에 맞는 세계시민의식의 개념 정립을 위해 학교교육의 장면 중 중학교 도덕 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내실화하는 단초를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들의 현장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순용,강보라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7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Lead Teachers(LTs) in charg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in schools. In-depth interviews of 10 LTs were conducted for this purpose, utiliz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llowing questions were asked to understand their field experiences in schools: First, how did the teacher develop an interest in GCED? Second, how did they teach GCED in the school, and in doing so what difficulties have they faced? Third, what motivated them to continue teaching GCED in the school?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irical studies of LTs provide useful insights which close the gap between theoretical/political discourses and actual practices of GCED. Second, the most significant motive by which teachers can continuously practice GCED in the face of numerous difficulties is that they have found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from their work. Third, it is up to the individual teacher’s will and expertise that allow GCED classes to flourish. Therefore GCED should focus on understanding what kind of experiences teachers go through at different grade levels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conditions for support. 이 연구는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를 확인하고,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의 정착·확산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여 이들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이 보다 구체화되고 의미 있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에서의 담당교사들의 창의적인 사례가 활발하게 공유될 필요가 있다. 선도교사들의 실천사례는 현장의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어 세계시민교육의 거시적 담론과 학교 현장과의 간극을 좁혀주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에 매료된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이 추구하는 교육에 대한 가치와 의미를 찾은 것이었다. 교사들은 자신의 가치와 신념에 부합하는 세계시민교육을 만난 것이 교육의 본질을 상기하게 되는 훌륭한 계기였다고 했다. 이는 교사로서 추구하던 교육철학과 사명감을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구현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셋째,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된다 하더라도 교사가 관심을 갖고 주도적으로 추진하지 않는다면 목표한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교사들의 교직경력, 직급, 학교급, 지역에 따른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세계시민교육 관련정책 보완을 위한 정교하고 특수한 정보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

        손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beral music education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concrete program, and examining the problems in the field.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instructor's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the viewpoint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ight types of global citizens that have been recently distinguished by academia are summarized. Eight global citizenships fall into two broad categories: the first is a cosmopolitan global citizenship and the second is a advocacy global citizenship. The first includes moral global citizenship, political global citizenship, economic global citizenship, and cultural global citizenship, while the latter can be divided into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and spiritual global citizenshp. Based upon this typolog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divided into two: sof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cultural global citizenship and social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this research developed two liberal courses, <Understanding of World Music> and <Understanding Word through Soundscape>. In <Understanding World Music>, I tried to have an idiomatic sensitivity to the difference through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at the same time, I tried to accept other cultures as dynamic subjects without recognizing them as stagnant others to cultivate cultural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In <Understanding of Word through Soundscape>, I tried to expand the scope of music and derive environmental awareness by bringing the sounds of the environment into the theme, believing that social and environmental global citizenship can be cultivated through critical studing of soundscap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estimate that liberal music education can play its role as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was mo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develop liberal music education into a behavior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urriculum, further research on more sophisticated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s is needed.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교양 음악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시하였으며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우선, 교수자의 세계시민에 대한 개념과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입장을 점검하기 위해서 최근 학계에서 구분하는 여덟 가지 유형의 세계시민을 정리하였다. 여덟 가지 세계시민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는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이며 두 번째는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이다. 코스모폴리탄 세계시민에 속하는 세계시민은 도덕적 세계시민, 정치적 세계시민, 경제적 세계시민, 문화적 세계시민이 있으며, 사회참여적 세계시민에는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 그리고 영적 세계시민이 있다. 이를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의 유형은 온건한 세계시민교육과 비판적 세계시민교육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열 세 항목에 따라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문화적 세계시민, 사회적 세계시민, 비판적 세계시민, 그리고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에 주목하였으며 교과목 <월드뮤직의 이해>와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를 개발 및 실시하여 성찰하였다. <월드뮤직의 이해>에서는 다양한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다름에 대한 관용적인 감성을 갖추고자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타문화를 정체된 타자로 인식하지 않고 역동적인 주체로 받아들이려 하였다. 문화적 세계시민과 비판적 세계시민을 함양하기 위해서이다. <사운드스케이프로 이해하는 세계>에서는 환경의 소리를 주제로 가져오면서 청각의 확장을 도모하였으며 환경적 인식을 도출하려 하였다. 이는 사회적 세계시민과 환경주의적 세계시민을 배양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이다. 연구의 결과로 교양 음악교육이 세계시민교육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교과목 설계 및 시행을 통하여 가늠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영역은 물론 정서적, 행동적 영역에서 예술교육의 세계시민교육으로서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교양 음악교육이 실천적인 세계시민교육 교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문제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 유관기구 발간 교육자료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 분석

        나장함(Na, Jangham),조대훈(Jho, Da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는 문헌/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형성에 기여하는 세계시민교육 유관 기관의 교육 자료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세계시민교육 유관기관 3곳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최근 10 년 간(2008-2017)의 교육 관련 출판물을 1) 자료 유형, 2) 주요 핵심어의 빈도수, 그리고 3) 두드러진 세계시민교육의 관점 등의 준거를 적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연구진이 선정한 20개의 세계시민교육 핵심어군 범주 중에서 가장 많은 자료 빈도수를 보인 상위 5개의 핵심어는 ‘문화다양성’, ‘간문화/다문화 이해’, ‘지속가능환경’, ‘개발/발전’, 및 ‘인권’이었고, 하위 5개 핵심어군은 ‘구조적 불평등’, ‘성평등’, ‘생물다양성’, ‘지속가능자원’ 및 ‘건강/보건’이었다. 또한, 자료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점의 분석 결과, ‘인도주의적 관점’과 ‘여행자적 관점’이 압도적이었고, ‘비판적 관점’과 ‘신자유주의적 관점’은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주변화 된 세계시민교육의 주제들에 대한 관심 회복, 2) 세계시민교육의 담론적 한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 그리고 3) 세계시민교육 담론 분석 연구 방법론의 엄밀성 제고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By conducting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reflected on the education materials published by three major GCED agencies in South Korea, which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mainstream discourse of GCED.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alyzed education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those three agencies, focusing on three main criteria: 1) types of materials, 2) frequencies of major key GCED themes, and 3) salient GCED perspectives/approaches. The analysis showed that cultural diversity, cross-cultural/multicultural understanding, sustainabl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human rights were the top five key themes. while structural inequality, gender equality, biodiversity, sustainable resources, and health/wellness held the bottom five. Regarding the GCED perspective-taking, the two approaches—Humanitarian and Tourist—constituted an overwhelming majority, while the Critical perspective and Neo-liberal perspectives were found the minority. The findings suggest the demand for paying equal attentions to the marginalized GCED themes,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limitations of individual GCED discourses, and the enhancement of methodological rigor in the area of the analysis of GCED discourse.

      • KCI등재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중심으로

        김경은,이나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1

        세계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에 따른 상황에 대처하고 발생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참여하는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세계시민교육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는 일회적 성격을 띤 타문화에 대한 체험활동, 세계적 이슈에 대한 인지적 내용의 학습이 주를 이루고 있어 해당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에서 쉽게 활용 가능하고, 세계와 소통하며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시민의 자질 함양에 유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의 의미를 재고찰하고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실제 활용될 수 있는 중학교 사회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 기존 문헌에 대한 분석 결과, 세계시민교육의 의미를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의 세계시민교육의 주된 문제점 중의 하나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태도 배양과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이에 지식과 실천간 연계 가능성에 초점을 둔 세계적 문제에 대한 민감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방안은 ‘세계와 나 관계 맺기, 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자기 평가’의 총 4단계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해당 교수-학습 방안에 기초한 중학교 사회 수업 사례(세계적 경제문제, 환경문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ocial studies global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we first reexamined the meaning of global education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it in Korea. Second, we developed a basic format and steps for a model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rd, we propo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promoting sensitivity to global problems. In addition, we present lesson plans which could be used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middle schools. We ascertained that the current global education program was not useful in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especially with respect to attitudes such as participation. We, therefore, designe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and sensitivity to global issues. The developed model is composed of four steps. The first step is to relate world and the self, the second is to understand various aspects of global issues, the third is to discover solutions, and the last step is self-evaluation. We introduce two lesson plans that were applied to this model. One of them is about world economic problems and the other i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세계윤리의 도덕교육적 위상정립 연구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0

        현재 세계는 지구적, 민족-국가적, 지방적 힘과 자원이 급속히 합류되고 있다. 세계화의 심화는 민족-국가적 시민성과는 다른 세계시민성 윤리를 대두시킨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윤리교육에서 세계윤리 교과과정의 위상의 정립이 절실해졌다. 이는 곧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 개념과 스트로슨의 ``맥락``개념을 횡단 매개한 개념이다. 다시 말하면 세계의 생활세계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구조계기와 전개과정을 설명하려는 하버마스의 ``보편 화용론``과 스트로슨(Strawson, P.F.)의 특수문화의 다양함과 특수성을 화용하기 위한 맥락보편화용 원리에 근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다중정체성과 세계시민성 교육을 효율적으로 구성함에 세계윤리의 도덕교육적 위상정립의 관건이 있다. 세계시민성교육을 위한 도덕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다중 정체성을 가지고 평화로운 공존의 문화와 다른 세대들에 대한 책임윤리를 촉진할 수 있는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다. 세계시민성 교육을 받은 세계시민은 자신의 다중 정체성을 확신하고 지역공동체, 민족-국가, 지구적 차원에서 평화, 연대성, 관용, 사랑, 인권, 민주주의와 같은 보편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시민을 말하며, 이는 곧 제 8차 도덕교육과정 개편에 반영될 과제이다. 역사적으로 근대 시민성교육에서는 개체존엄성이 부각되고, 탈근대 시민성 교육에서는 다원유기성이 강조된 반면에, 세계윤리에서는 공공양심에 토대를 둔 공공적 문제와 지구공동체 문제들에 대해 보다 의미 있고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하는 통합적 관점과 자세를 절실히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8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세계윤리교육을 위한 내용과 방법의 개발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세계윤리 교과과정의 개편에 즈음하여, 개체존엄성, 다원유기성, 세계시민성을 함께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윤리 교육내용의 여러 영역 가운데 본고에서는 맥락보편화용방법의 접근의 범례로서 세계윤리의 출발점이 되는 종교윤리와 생명윤리의 화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된다.

      • KCI등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세계시민되기’ 수업 사례 연구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현경 ( Kim Hyoun-g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젝트 수업을 구안, 실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세계시민되기’ 프로젝트 수업을 구안하고, 실제 수도권 내 M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행한 후 세계시민성 함양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세계시민되기’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로 ⅰ)문화의 다양성과 지역화/세계화, ⅱ)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ⅲ)국제 사회와 현대사회문제의 3가지를 추출하였으며, 각 주제에 맞는 실천활동을 실행한 후 사전-사후 세계시민성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세계시민되기’프로젝트 수업은 학생들의 세계시민성 함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에서 이루어진 참여와 실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참여와 실천 정도를 평가한 프로젝트 수업의 성취도가 세계시민성 함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세계시민교육의 학교 정착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갖는다. 우선,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성에 대한 강조는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내용 요소를 찾기보다 융합 주제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둘째, 세계시민성 함양 효과를 위해서는 세계시민교육이 인지적, 정서적 영역에 그치지 않고 실천적, 행동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더 균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참여와 실천이 핵심 요소가 될 수 있는 프로젝트 수업과 같은 교수-학습 방법상의 전략이 필요하다. ‘생각은 글로벌하게, 실천은 지역적으로’라는 슬로건과 같이 사회현상과 문제를 바라볼 때에는 지구촌으로 공간을 확장하여 바라보고, 참여와 실천은 아무리 작아도 삶과 연관된 내 주변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project based learning(PBL) in order to improve global citizenship and to verify its effects. I reconstructed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design a PBL to 'Become a Global Citizen'(BGC) and conducted it to M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eme of the curriculum was to reconstruct the 'BGC' PBL, which extracted 3 categories of ⅰ) cultural diversity & localization/globalization, ⅱ) environmental problem & sustainable environment and ⅲ) global society & the problems in modern society. After conducting practical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the PBL was effective in improv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dditionally, the achievement of evaluating participation and practice was affected.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Also practical and behavioral area, not just cognitive and emotional areas should be considered. To do thi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uch as PBL accompanied by participation and practice is needed.

      • KCI등재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이동민,고아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5 사회과교육 Vol.5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econdary geography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 order for the research, the achievement standard of geograph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by deploying the KrKwic which is a sematic analytic software based on Korean language. The conclusion is drawn that, to a certain extent, the factor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reflect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geography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ocusing on world geography and related contents). A sematic network that is constructed between the factor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was observ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domain of geography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clud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focused on the globalized world. It also contains the main concepts of GCEd, such as globalization and conflict but it is not stated in primary geography education. The results imply that the secondary geography curriculum can contribute to the actualization of the values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Nevertheless, it is identified that the main contents of GCEd are not rooted in the curriculum as a core concep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GCEd should be actively debated as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through education is a crucial matter. Its importance grows in contemporary societ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lays a vital role in geography education. Therefore more detailed and sophisticated discussions and negotiations on reflecing GCEd on geography curriculum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sparit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 in terms of GCEd thus it is significant to study how to make a linkage between these two areas.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09 개정 중등 지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세계시민교육 관련 내용이 반영된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세계지리 관련 단원) 및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한글 기반 내용분석 소프트웨어인 KrKwic을 통해 분석하여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들의 성취기준 반영 정도 및 해당 요소들이 형성하는 의미연결망, 요소들 간의 연결중심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중학교 사회과 지리영역 및 고등학교의 세계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초등지리 교육과정과 달리 세계화 시대의 세계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세계화, 갈등 등 세계시민교육의 주요 내용요소 또한 언급되어 있었다. 이 같은 사실은 중등 세계지리 교육과정이 세계시민성 함양이라는 교육적·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짐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하지만 세계시민성 함양 등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개념들이 교육과정의 주요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사실 또한 확인되었다. 세계시민성 함양은 오늘날 교육적·사회적으로 절실히 요구되는 과제이며 지리교육적 중요성 또한 높은만큼, 지리교육과정 구성 및 개정에 있어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를 어느 정도로 반영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어떤 내용을 중점적으로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제기된다. 이와 더불어 초등지리 교육과정이 세계시민교육적 요소 반영 정도가 미약한데 비해 중등지리 교육과정에는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다는 차이가 발견되는만큼, 이와 관련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초-중등 지리교육과정의 연계를 위한 논의와 방법 모색 또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필란트로피(Philanthropy)를 통한 대학생의 세계시민교육 가능성 탐색

        채완순(Che, Wansoo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21 글로벌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필란트로피를 통한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실시했다. 필란트로피는 자선, 기부, 봉사, 나눔, 모금 등의 개념을 포괄하며, 인류애를 바탕으로 한공익, 공공선, 그리고 인류 사회가 당면한 문제의 원인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도전정신이자 자발적 행동이다. 필란트로피의 개념에 대한 이해 및 적용 사례, 필란트로피와 대학생의 세계시민교육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필란트로피를 통한 대학생의 세계시민교육 가능성을 논의했다. 대학생계층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세계시민의식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대학생 대상의 세계시민교육은 매우 중요하며 시급한 실정이라 분석되었다. 세계시민교육을 통해달성하고자 하는 세계시민성은 인류애를 바탕으로 사회의 문제에 실제 의지를 갖고 참여하는행동 역량까지 갖추는 목표를 추구하는바, 인류애를 바탕으로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필란트로피의 핵심개념과 세계시민교육은 연결될 수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세계시민교육과 필란트로피와의 연계는 대학생의 세계시민성을 도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xploratory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ossibiliti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philanthropy. Philanthropy encompasses the concepts of charity, donation, voluntary service, sharing, and fundraising, and philanthropy is an active challenging spirit and voluntary action to resolve the causes of problems facing human society and public good.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philanthrop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anthropy and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possi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philanthropy was discussed. It was analyzed that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as pricelessly crucial and urgent via precedent researches. The core notion of philanthropy is connected and related to the key poi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at aims to have the competencies to participate in social issues with a strong will based on love for humanity. Therefore, philanthropy is able to contribute as a new education as well as possibilities to the global citizenship for the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