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교원임용시험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조대훈(Daehoon Jho),정경주(Kyungju Ju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중등교사 선발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2010년 1학기 시점에서 임용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전국 사범대학 일반사회 전공 4학년생 286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임용시험 체제의 신뢰성을 묻는 설문 도구를 개발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첫째, 남자 예비교 사보다 여자 예비교사들이 현행 임용시험 체제를 더 신뢰하고 있었다. 둘째, 주관적 학업성적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임용시험의 절차적?형식적 합리성을 더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을 1, 2, 3차 전형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1차 선택형 시험과 3차 수업능력 실기평가 시험보다 2차 논술형 시험을 상대적으로 더 불신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등 사회과 임용시험 체제의 타당성, 신뢰성 및 절차적 합리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임용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을 측정할 수 있는 보다 정교하고 범교과적인 측정 도구의 개발을 요청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national system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rationality and credibility of current teacher recruit system.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0, the researcher conducted a national survey for the sample of 286 senior students whose major is general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um, this study found that female students tend to consider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more credible than male students. Also, those who identify themselves as high academic achievers tend to consider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less credible than those as low academic achievers. Finally preservice teachers consider the 2nd-stage essay less credible than the 1st-stage multiple choice exam and the 3rd-stage teaching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olicymakers nee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current teacher selection system, and that researchers need to develop a much more precise and universal scale to measure the credibility of teacher examination system.

      • KCI등재

        동성애에 대한 교수적 태도의 영향 변인 연구 -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조대훈 ( Dae Hoon J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atistical study is to measure social studies teachers` pedagogical attitude towards homosexuality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on heterosexuals` homophobia, the researcher developed PATH scale (Pedagogical Attitude Towards Homosexuality) and conducted a national survey on social studies teachers at general high schools. Using the method of stratified sampling, the researcher selected a list of 500 teachers across the nation. Total 365 questionnaires (out of 500)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the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teachers` pedagogical attitudes towards homosexuality,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is data set. In sum, this study found the dependent variable(=PATH_ALL) consists of two factors, not one, suggesting that the teachers` pedagogical attitude towards homosexuality represents multiple factors. Authoritarian personality, sex, age group, personal contact with homosexuals, teacher`s perspective on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religious orientation are those which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ademic discourse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should embrace the concept of sexuality and develop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a to understand the voices of social minorities.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 분석

        조대훈(Daehoon Jh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59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2009-10호)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사회' 검정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가 기술하고 있는 다문화 사회 관련 내용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는 어떠한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지지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5종의 다문화 관련 단원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는 첫째, 다문화주의의 필요성을 사회인구학적 변화에 대한 국가적 대응 전략의 차원에서 서술하는 경향, 둘째, 좁은 의미의 다문화교육 정의에 기초하여 서술하는 경향, 셋째,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사회적ㆍ교육적 부적응 현상을 결핍지향적 관점에서 서술하는 경향,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주의의 이념에 대한 뚜렷한 언급을 회피하면서 여전히 모호한 입장을 견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근본적으로 국가 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을 시사하고 있다. 국가 수준에서 다문화 사회의 도래를 선언하고, 다문화 정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둘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이 교과 교육과정의 총론 수준에서 중요한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원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반영할 수 있도록 사회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어야 하고, 교과서 차원에서 사회적 소수자와 다문화가정에 대한 보다 공정한 교육과정적 조명이 요청되며, 교과서가 특정 집단에 대한 새로운 고정관념을 형성하지 않도록 서술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anifested on the five high school 'Society'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Notification # 2009-1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ell that analyzed 'Society' textbooks tended to interpret the cause of multiculturalism in terms of the nation's strategic choice coping with socio- demographic change and global competitiveness. The textbooks also exhibited the tendency of adopting a narrow defi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the tendency of describing socia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of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light of the deficiency-oriented perspective. Finally, the five textbooks took an ambiguous stance towards the meaning of multiculturalism that Korean society should adopt. These findings imply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go beyond adding the bag of fragmented knowledge to the exist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but become a curricular core and principle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at high schol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embrace a broader definition of multiculturalism and be cautious of not engendering new stereotypes and prejudices against foreign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중등학교 교육실습 운영 현황 분석

        조대훈(Daehoon Jho),김자영(Jayoung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보다 내실 있고 실현가능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교육실습의 주요 주체 중 하나인 현장 실습학교의 관점에서 교육실습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교육실습의 본질을 회복하고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장 실습학교 교육실습담당부장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교육실습 프로그램 전체를 기획ㆍ관리하는 현장 전문가인 교육실습담당부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실습 운영의 현황과 더불어 단위 학교 수준에서 교육실습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고, 어떻게 개선될 수 있는지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육실습의 특징을 방임적 교육실습으로 명명하였으며,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실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원자격취득요건과 교육실습제도의 개선, 그리고 현직교사 인센티브제도 등에 대한 변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Based on a survey method,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how teaching practicum is being conducted in undergraduat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o suggest both effective and sustainable ways of teaching practicum which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sirabl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sponses of 60 Department Heads of Research (who are in charge of planning and administering teaching practicum) selected from major cities and provinces by using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By analyzing those teachers’responses on questionnaires, it was the researchers’s main goal to highlight the facts and problems of teaching practicum.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in contrast with the long-standing ideal belief about the practice of teaching practicum, the local version of teaching practicum in reality turned out to be a laissez-faire one, wher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um largely hinged upon that of an individual cooperating teacher or that of an individual school.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suggest that, in order to restore the nature of teaching practicum and to promote colleg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the secondary school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need to refine both the national mandates for teaching practicum and the teacher licensure system, and to develop the incentive system for cooperating teachers.

      • KCI등재

        고부담 시험 시대의 사회과교육

        조대훈(Daehoon J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2

        본 연구는 학교 책무성의 이데올로기가 21세기 한국과 미국에 새로운 교육 신화를 창출하고 있다는 믿음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연구자는 고부담 시험 체제가 미국과 한국의 사회과 교사에게 어떠한 교수 환경을 제공 하고, 그들의 교사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작업을 위해 고부담 시험의 의미와 역사를 비교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였고, 평가 도구로서의 고부담 시험 논리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고부담 시험 관련 경험 연구 문헌을 중심으로 고부담 시험이 강조하는3가지 주요 주장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과 미국의 고부담 시험 체제는 상당히 다른 맥락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고부담 시험의 핵심 개념들(예: 표준화와 통제)은 두 나라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현행 고부담 시험은 미국 교육부가 제시한 ‘수월성’ 또는 ‘수준 높은 성취 표준’을 측정하는 평가 도구로서의 기술적?논리적?직업윤리적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었다. 셋째, 고부담 시험이 사회과 교실 안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오히려 교육 여건이 열악한 학교의 소수인종?민족 학생 및 저소득 계층 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박탈하고 있었다. 넷째, 고부담 시험은 전문성을 갖춘 훌륭한 교사들에게 유리하지 않고, 오히려 교사 전문성을 약화시키고 탈숙련화를 가속화 시키는 평가 체제였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 당국이 주장한 고부담 시험 성적과 책무성의 상관관계는 상당히 모호하다는 점을 시사하며, 앞으로 고부담 시험의 내용과 형식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요청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ideology of accountability has created educational myths in the 21st century U. S. and Korea. The researcher intended to examine what possible impacts the newly launched high stakes testing system in Korea has on social studies teachers‘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their professional qualities. To do this, the researcher looked at a brief history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high-stakes testing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examined technical, logical and ethical validities of high stakes testing as a tool to measure up the standards of student progress and teacher quality. Also based on the research literature on American high stakes testing, the researcher conducted a critical analysis of three core arguments (or premises) on students learning and teacher professionalism made by the proponents of high stakes testing. In su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high stakes testing system, coupled with the notion of school accountability, did not contribute to student learning; rather this system had excerbated the drop-out problem among the disadvantaged students. Also U. S. high stakes testing spread the phenomena of “the narrowing of curriculum” and “teaching to the test” across the nation, which had a detrimental effect on teachers‘ professional qualities and tended to make individual teachers fall into deskil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scores from high stakes testing’and ‘meeting the standards of accountability’ is spurious and even deceptive, and that the policies of accountability such as ‘No Child Left Behind Act’ do not necessarily justify for the imposition of punishments and sanctions o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 KCI등재

        창의적 체험 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조대훈(Daehoon Jho),이수미(Su Mi Le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 활동을 운영한 선도 학교의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의 형식상-내용상의 주요 경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교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체험하고, 나눔과 봉사의 활동 및 진로 탐색 등을 통해 성적 만능주의에서 벗어나 창의성과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구상된 창의적 체험 활동은 바람직한 교육적 취지와 목표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애초에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의도하지 않았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창의적 체험 활동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적 체험 활동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0년 창의적 체험 활동 연구학교로 지정된 전국의 학교 중 총 34개 학교(초등학교 13, 중학교 13, 고등학교 8)를 임의로 선정하고 각 학교의 창의적 체험 활동 프로그램 운영 보고서를 창의적 체험 활동의 목표, 통합 유형, 운영 대상, 운영 시간, 자원 유형 등의 측면에서 그 주요 경향을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운영보고서 내용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시민교육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reative hands-on activities final reports submitted by the research schools which participated i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national projects. Despite its educational values and merits, it has been evidenced that creative hands-on activities programs in local schools are facing so-called implementation problems. Critics argue that the concept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curriculum has been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mong local schools, which often distorted its educational meanings intended by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nalyzing creative hands-on activities management reports written by total 34 participating schools (13 elementary schools, 13 middle schools, and 8 high schools) sampled from selective major cities and provinces, the researchers illustrated basic patterns of curriculum management regarding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mong local schools, and how local schools defined the meaning of and implemented creative hands-on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reative hands-on activities curriculum and civic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교육 연구자의 연구윤리

        조대훈(Jho, Daehoo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질적 연구에서 강조되는 추상적인 연구 윤리의 개념을 다문화교육의 맥락에서 구체적으로 확장하고, 그 안에서 발생 가능한 질적 연구자의 윤리적 딜레마를 심층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교육 연구의 윤리적 딜레마를 ‘연구참여자의 동의’, ‘연구참여자의 인권 보호’, ‘연구참여자와의 라포형성’ 그리고 ‘연구자-연구참여자 간의 권력관계’ 등의 네 가지 수준에서 재검토하고, 각각의 연구윤리 항목에 내재하는 윤리적 쟁점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연구에서 연구윤리가 단순히 문서화된 연구윤리 매뉴얼의 적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현장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에 대한 감수성을 바탕으로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반성하는 연구자의 윤리적 역량을 강화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증주의적-근대적 합리성과 보편적 원칙을 중시하는 연구윤리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요청함과 동시에, 다문화교육 연구공동체 안에서 연구윤리의 의미에 대한 논의가 더욱 심화되고 확장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lve into the ethical dilemmas hidden under the abstract codes of qualitative research ethics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To do this, I re-examined the four core ethical principle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informed consent, research participant’s human rights, developing rapport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power rela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and illuminated complex ethical issues/dilemmas prevalent under those ethical codes. In sum, this study maintains that a qualitative researcher’s fulfilling his or her ethical duties toward research participants should not be regarded as the mechanical application of abstract, universal moral principles and guidelines; rath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researcher’s ethical proficiency to negotiate ethical dilemmas emerging from the relational and dialogical nature of human research. The argumen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need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meaning of research eth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무한시장 알리기 프로젝트 - 고등학교 방과후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대훈(Daehoon Jh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어느 인문계 고등학교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 중 일부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방과후 수업으로 시작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둥지 내몰림 현상) 이해를 위한 동네시장 알리기 프로젝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자는 프로젝트 수업의 주요 활동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들이 해당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어떠한 학습 경험을 얻었는지 분석하고, 이 같은 시민교육 프로젝트 수업이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했다. 결론적 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이 교과서 위주의 교실수업에서 얻기 힘든 몇 가지 교육적 성취( 연구계획의 수정, 교과서 밖의 시장 개념의 이해, 연구 렌즈의 초점 맞추기, 쟁점 현상의 이해 및 의사결정 수행)를 경험했다. 본 연구는 입시위주의 고등학교 환경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민주시민교육의 정착 방안의 탐색을 제언하고자 한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s a part of a larger study of a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a college preparatory school, attempted to analyze 8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ho had participated in a project-based afterschool course called Advertizing Muhan Market , focusing on the phenomenon called gentrification . From August through early November, 2016,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al participant observation in major activitie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o identify educational achievements those students experienced and to discuss their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our schools. In sum, this study found several types of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s, but also detected potential limitations posed by the institutional cultures of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s in Korea. The finding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s high schools.

      • KCI등재

        고부담 시험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 미국 뉴욕시 공립학교 사회과 교사들에 대한 질적 연구

        조대훈 ( Dae Hoon J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ree social studies teacher narratives toward the meaning of high stakes testing (HST).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New York City who were considered as excellent social studies professionals by the university experts. Based on the findings, I analyzed how HST and school accountability policies had affected local social studies teachers` work and discussed major implications for Korea`s new academic achievement testing system. To do this, I chose three social studies teachers who were respectively teaching in three different NYC secondary schools and conducted three-staged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explore teacher narratives about HST. In sum, this study found that three teacher narratives about HST varied significantly, but also indicated that HST system had a detrimental impact on teachers` classroom instruction, which ultimately resulted in deskilling and weakened teachers` professional qua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to delve into the consequences of HST on local schools and teac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