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제이해교육 관점에서 문화다양성 교육의 탐색

        이경한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4 국제이해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국제이해교육의 관점에서 문화다양성의 의미, 유네스코 선 언에서의 문화다양성, 문화다양성을 위한 교육방법, 이의 문제를 살펴보았 다. 그 결과, 문화다양성의 개념은 유네스코의 선언에서 매우 중요한 의제 로 설정되어 있고, 이는 국제이해교육에서 문화다양성을 존중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침을 주기에 충분하다. 문화다양성 개념은 기본적으로 문화적 차 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문화다양성은 서로 다 름으로 인한 실재 차이와 서로 다름을 존중하고 실현하려는 가치 차이로 볼 수 있다. 국제이해교육에서의 문화 다양성은 바로 그 ‘사이’의 다양성을 강 조한다. 국제이해교육 측면에서 문화의 다양성은 주로 서로 간의 사이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차이에 초점을 둔다. 이에 토대를 둔 다문화 교육, 상호문 화교육과 이문화교육은 문화다양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노력을 해왔다. 이들 은 국내외에서 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그러 나 국제이해교육 측면에서 볼 때, 이들은 국가간, 민족간의 문화 차이에 대 한 이해에서 다소 부족함을 보이고, 글로벌 시민교육을 지향하는 교육에는 부족함이 있다. 단순히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문화간의 차이를 가져오는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국 제이해교육은 문화다양성을 바탕으로 국가간의 이해를 도모하고, 문화다양 성의 이해를 토대로 하여 국제이해를 실현하고자 한다. 그래서 국제이해교 육에서 문화 다양성은 출발점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국제이해교육은 문화 다양성의 이해를 토대로 문화간의 차별을 극복하여 글로벌 사회를 실 현하고자 한다. ‘국가간’이라는 측면이 국제이해교육에서 특히 강조될 수 있 다. 그리고 그 내용으로서 문화다양성을 다루고 있다. 그래서 국제이해교육 에서는 국가 간의 문화다양성의 존중, 이해와 실천을 중시한다고 볼 수 있 다.

      • KCI등재

        다문화 시대 국제이해와 중국동포와의 교육 협력

        이진영,김판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0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4 No.1

        다문화 시대로 이행하는 한국의 국제상호이해 교육에서 동포에 대한 상호이해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 글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2009년 현재 한국으로 온 외국인 이주자의 40% 정도가 동포 이주자들이다. 특히 2007년부터 시행된 방문취업제도는 매년 조선족과 고려인 동포 3만 5천여 명의 입국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동포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듯 한국으로의 이주민 중 동포의 비율이 높은 것은 다문화 사회 내에서 한국계의 새로운 정체성 형성과 통합 측면에서도 중요하며, 동아시아의 지역협력에도 중요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즉 한국 사회의 다문화 논의는 먼저 동포에 대한 상호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동포와의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가능하다는 점이다. 혈연적으로 가까운 동포에 대한 상호 이해와 교육이 없이 어떻게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겠는가? 또한, 이런 네트워크는 동아시아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세계화 시대에서 단일적인 성격을 갖지 않는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세계화의 성격이 주는 다양성을 능동적으로 적용하고, 좀 더 적극적인 다양화와 다원화의 첨병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예로 이 글에서는 한국사회와 중국동포와의 교육 네트워크 구축을 꼽고 있다. 중국 내의 중국동포(조선족)와 한국인과의 상호 이해는 물론, 한국과 중국 간의 상호 이해에서도 동포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은 중요하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동포 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접근은 상호이해 교육을 통한 동질성의 회복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사회와의 상호 협력적 관계는 다언어 다문화 교육 환경을 갖추고 있는 조선족 사회의 교육 기반에 기초한 네트워크 구축의 교육체계이다. 즉, 교류의 성격을 네트워크 구축을 축으로 하는 다양한 방식의 기반 공유 교류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지속 사업으로 진행 중인 교사 모국 연수나 학술대회 참가, 교육 물자 지원 등이 우호적 교류 협력망으로 이어져 중국 조선족 사회와의 교류 협력 발전 원천으로 자리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동포에 대한 상호이해 교육은 한국 다문화 교육에 있어 주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향후, 여러 교류·협력 모델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제이해반’ 운영과 ‘CCAP’를 통한 국제이해교육 실천사례

        김현주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05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 No.1

        국제이해교육의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 일선학교에서는 국제이해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몇몇 학교에서 특별활동과 재량활동형식으로 관심 있는 교사들이 실시하고 있거나 사회․영어․도덕 교과등에서 부분적으로 국제이해교육이 실시되고는 있지만 아직 학교에서는 체계적인 국제이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에 본인은 특별활동반 ‘국제이해반운영과 UNESCO가 주관하는 CCAP(Cross- Cultural Awareness Programme:외국인과 함께하는 문화교실)활동을 통하여 지식위주의 전달학습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이 중심이 되는 체험활동 위주의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본인은 ‘국제이해반’운영과 CCAP 운영을 통해 첫째, 21C의 다문화시대(多文化時代)에 필수적인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관용의 정신을 함양하여 문화다양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둘째, 학생들이 지구촌 시민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 태도를 함양하여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셋째, 교과서와 서적위주의 지식전달 방식의 국제이해교육에서 벗어나 학생위주의 능동적, 적극적 체험활동과 협동학습을 위주로 하는 열린 방식의 새로운 국제이해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여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9.11 사건 이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 정립에 관한 연구

        김현덕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6 No.2

        전통적으로 세계적인 시각을 강조하는 국제이해교육은 21세기 들어와 큰 변 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21세기 벽두에 발생한 9.11 테러는 미국의 교육에서 국 가주의가 강조되고 세계시민의식이 퇴보하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세계 각국의 사회 환경은 다문화사회가 점차 심화되면서 다양한 문화권 사람들 간의 공존 을 위한 세계시민성 함양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서로 대립되는 교육적 요구 를 함께 수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은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 설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국가주의를 강조해 온 미국의 시민교육과 세계주의를 강조해온 국제이해교육이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여 서로의 교육목표를 보완해가는 과정을 통해 두 교육 분야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공통의 교육목표를 밝혀내려 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 라의 국제이해교육뿐 아니라 21세기의 국제이해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 시하려 하였다. 제시된 교육목표는 다중시민성의 함양으로 이 개념은 시민성의 개념을 한 국가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 국가연합 또는 세계시민으로 확대하여 시민성을 다차원적, 다중적으로 인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김현덕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5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0 No.1

        외국인학교는 다인종, 다문화적인 특성상 세계화 및 다문화적 요소가 학교 교육과정에서 중요 하게 다루어져 국제이해교육 실천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 을 것이다. 외국인학교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 다. 문헌조사는 교육부 사이트에 공개된 정보, 해당 외국인학교의 홈페이지에 나타난 교육과정과 교육이념의 분석, 기타 외국인학교 관련 조사보고서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설문조사는 2015년 3월 현재 교육부에 등록된 52개 외국인학교 중 모국의 국가교육과정을 따르는 비영어권 외국인학 교, 유치원만 운영하는 외국인학교를 제외한 28개 영어권 외국인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 는 이메일을 통해 외국인학교 교장에게 발송되었으며 총 13부(회수율 46%)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학교의 규모가 커지면서 국제인증기관의 평가인증을 통과한 외국인 학교 숫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의 질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국제이해 교육의 관점에서 교육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교육철학적인 측면에서 국제이해교육의 제 요소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인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사회과 관련과목이나 특별활동 혹은 방과 후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제이해교육의 세부요소 중 문화간 이해 및 문화간 차이 존중에 치중되어 있는데 반해 국제이해교육의 다른 주요 요소인 사회정의, 평화 및 인권, 그리고 세계화 및 세계의 상호의존관계에 대한 교육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간 이해 증진에 도움이 되는 한국관련 프로그램의 운영도 생활에 필요한 언어 습득이나 대학 진학 목적에 치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에 기초하여 외국인학교에서의 국제이 해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외국인학교의 실제적 존립 목적이 상당 부분 대학진학에 있지만 다문화적 교육환경의 장점을 살려 교육과정 및 교사의 구성 등에 있어 국제이 해교육적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융합시킨다면 국제적인 학교로서의 역량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 대된다. 둘째, 외국인학교 교육과정에 국제이해교육의 핵심요소들이 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

      • KCI등재

        중국 국제이해교육의 전개과정과 향후 과제

        강영민(Jiang Yingmin),김다원(Kim Da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경제개혁과 대외개방 정책의 맥락에서 발전되어 온 중국 국제이해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과정을 살펴보고 이론, 정책 그리고 실시 현황을 분석한 후 향후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중국 국제이해교육의 발전단계를 살펴보면 1980년대 개혁개방 정책의 진전과 더불어 발족하여, 초창기에는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하는 국제기구의 이념에 대한 소개가 주축을 이루었으나 21세기 시장경제 발전과 더불어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주로 하는 교육으로 전환되었으며 근래에는 핵심소양(핵심역량)양성의 교육 영역으로 자리잡으며 인류운명공동체의식의 함양을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런 발전과정에서 국제이해교육이 전국 각지의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대되었는데, 그 정책적 근거로 된 것은 향후 10년간의 교육정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2010년에 국무원에 의해 발표된 “국가중장기 교육기획과 개혁 발전요강(2010~2020)”과 2016년 교육부에서 대학들에 위탁하여 개발한 “중국학생 발전 핵심소양 체계”였다. 이에 지방교육청 역시 지방교육과정으로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할 것을 초․중등학교들에 요구하고 구체적인 교육목표, 내용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런 정책들의 추진 하에 국제이해교육은 현재 국가교육과정, 지방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학교 특별활동, 국제교류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과 범주 등을 포함한 이론연구 현황, 중앙과 지방정책, 초․중등학교 실시 현황에 대한 분석을 거쳐 중국 국제이해교육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첫째, 유네스코 이념의 영향보다는 대외개방의 국정 변화를 계기로 시작되어 유네스코 이념의 계승, 학생들의 국제경쟁력 향상, 국내외 과제 해결 능력의 함양 등 복합적 과제를 안고 있다. 둘째, 이론연구, 국가와 지방의 교육정책, 교육현장이 상대적으로 분리되어 각자 국제이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고 있다. 셋째, 교육발전의 현저한 지역차이가 여전히 존재하여 이에 대한 국제이해교육의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런 특징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향후 과제로 중국 국제이해교육의 이념체계 정립의 필요성, 유네스코 2030을 비롯한 유네스코 이념과의 접목 문제, 지역차이 개선 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aradigm shift process of China s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text of economic reform and open policy, and analyzes the theories, policies, and implementation status and presents future tasks to be solv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EIU in China, with the advancement of economic reform and open policy in the 1980s, the introduction of the idea of UNESCO was central.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economy system in the 21st century,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education focused on improv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an educational field that cultivates core competencies and has raised ‘A Human Community with A Shared Future’ as a goal of education. In this development process, EIU was rapidly expanded aroun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e policy basis was ‘Outline of National Medium-and Long-Term Program for Education Reform and Development(2010 ~ 2020)’ to propose th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for the next decade by Chinese State Council and ‘Core Competencies and Values for Chinese Students’ Development’, which was entrusted to universities in 2016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o, the local education office also requeste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carry out EIU as a local education course, and presented specific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system. As a result of these policies, EIU is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forms such as national curriculum, local curriculum, school curriculum, school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education exchange. This study conclud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EIU in China through analyzing theoretical research and review, central and local education policies, and the actual situ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First, it started with the national opening policy to foreign countries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the UNESCO education, and it has complex tasks such as the succession of UNESCO education,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students, and cultiv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problem solving abilities. Second, theoretical research, national education policy, and school education field are relatively separated and the systematic education effect of EIU has not been raised. Third, there is still a remarkable regional difference in EIU.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ed consolidating theoretical system of EIU in China, combining with UNESCO s education such as UNESCO 2030, and overcoming regional difference.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 관련개념 분석을 통한 21세기 국제이해교육의 지향성에 관한 연구

        이경한,김현덕,강순원,김다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7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2 No.1

        In this study we reviewed similar concepts(internation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and the related concepts(cultural diversity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human rights and peac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with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These concepts share and overlap the contents and intentionality with EIU. And while EIU has the general position for the related and similar concepts, these concepts function the particular for EIU. Similar concepts were appeared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the related concepts have different points for the needs of times. But although the related concepts emphasize some aspects for EIU, nowaday viewpoints and stances of nations are taken seriously. Especially in global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agenc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is diversifying beyond nation-centered interna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reinforcing power and effectiveness of civil society. To meet the change of historical situations, EIU has to emphasize the linkages of global society and local, and school and regional community, based on integrative understanding about EIU concept. Therefore EIU has to have a position of glocalism, and emphasize the solving of global issues and global partnership. And EIU has to contribute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values and the solution of inequality, and reinforce identity as global citizens. Finally EIU has to prepare EIU pedagogy as lifelong education beyond schooling. 본 연구에서는 국제이해교육과 유사개념인 국제교육과 글로벌교육, 그리고 관련 개념인 글로벌시민교육, 문화다양성교육, 인권과 평화교육,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 개념들은 국제이해교육과 중첩적으로 그 내용과 지향성을 나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이해교육은 총론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반면, 유사개념과 관련 개념들은 국제이해교육을 각론에서 수행하는 입장을 지니고 있다. 국제이해교육의 유사개념들은 시대적 상황에서 출현하고, 관련개념들은 시대적 요청에 따라서 그 강조점을 달리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이해교육과 유사개념과 관련 개념들이 어떤 측면을 강조할지라도 국가간의 입장이 중시되고 있음을 알 필요가 있다. 특히, 21세기 글로벌 환경에서 시민사회의 주도력과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국가 중심의 국제관계에서 벗어나 국제관계의 주체가 다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변화에 따라 국제이해교육은 국제이해교육 개념의 통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글로벌 사회와 지역간의 연계,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계 속에서의 교육적 실천을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21세기의 국제이해교육은 glocalism의 입장을 가지고서 글로벌 쟁점의 해결과 글로벌 협력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국제이해교육은 글로벌 시민으로서 책무성을 바탕으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의 실현과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고, 학교교육을 넘어 평생교육으로서 국제이해교육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세계적 동향을 통해서 본 국제이해교육과의 상보성 연구

        강순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0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4 No.1

        본고는 다문화교육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사회를 경험했던 미국, 영국, 독일 그리고 일본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교육현장에 착근시키기 위한 제 조건과 관련 주제를 규명함으로써 국제이해교육과 다문화교육 간의 상보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목적을 지닌다. 모든 국가에서 다문화교육은 초기 소수자 적응을 위한 동화주의적 성격을 지니다가 강한 저항에 부딪히면서 다문화교육으로 전환하는 경험을 공유한다. 특히 1990년대 세계화의 빠른 진전에 따라 다문화교육은 세계교육의 주제로 부상하고 분리주의에서 융합주의적 방식으로 전환한다. 각국이 지향하는 다문화교육 관련 주제는 반편견/반인종차별주의, 탈식민주의, 문화적 다양성, 정체성, 시민권, 민주주의, 인권과 젠더로서, 이를 교수하는 비판적 교수법이 교육과정의 재구성 위에서 요청되며 이를 실행하는 교사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전제한다. 반면 국제이해교육은 유네스코 총회에서 1974년 선포된‘국제이해교육 권고안’에 따라 인민의 평등권, 평화유지, 인종차별금지 및 인권, 탈식민주의, 지속가능한 개발, 인류문화유산 보존 그리고 국제협력을 핵심주제로 설정하고 있으며 비판적 교수법에 따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감에 기초해서 진행할 것을 권고한다.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 교육원에서는 이러한 국제이해교육의 핵심 주제를 다섯 기둥으로 구체화하고 있는데 다문화, 세계화, 인권, 평화, 지속가능한 개발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은 유사성과 상이성을 현장에 맞춰 조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적 약자의 이해를 보다 더 반영할 필요가 있다.

      • 국제이해교육의 관점에서 외국어교육 방향

        민창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3 국제이해교육연구 Vol.8 No.1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an essential part in EIU. It is because foreign language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communication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but also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knowledge and attitude. But the focu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has mostly been placed on linguistic competence rather than cultural one.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associations between foreign language study and the major EIU elements, such as interests in foreign culture,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issues, worldmindedness and international etiquette through an empirical study. A sample of 482 university students from tourism-related majors where foreign language study is emphasized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foreign language attitudes had the highest association with the interests in foreign culture(r=.63), being followed by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issues (r=.41), worldmindedness(r=.41), and international etiquette(r=.39).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se associations were most prominent with the integrative attitude, while the instrumental attitude showed a low association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English language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the integrative attitud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rather than the instrumental attitude, should be encouraged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of language learners. Especially a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have contacts with target language communities was emphasized. A need for future research in relation to the integration of EIU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was suggested. 국제이해교육에서 외국어교육은 핵심 구성요소의 하나이다. 그것은 외국어 능력이 의사소통의 기초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언어학습 과정에서 해당 문화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형성하게 되는 원천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외국어학습은 언어능력의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문화적 측면에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외국어 학습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특히 국제이해교육의 주요 구성요소인 외국문화에 대한 관심, 국제이슈에 대한 태도, 세계의식, 국제예절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실증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외국어학습에 관심이 많은 관광전공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총 482개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어학습태도는 국제이해의 다양한 요소 중 외국문화에 대한 관심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r=.63), 국제이슈에 대한 태도(r=.41), 세계의식(r=.41), 국제예절(r=.39)의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상관관계는 언어학습의 통합적 태도와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구적 태도는 영어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외국어교육에서는 국제이해의 증진을 위해 실용적 목적의 언어학습 강조보다 해당 언어권의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주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강조하였다. 특히 언어학습 과정에서 해당 언어 커뮤니티와 상호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넓혀주는 것이 학생들의 국제이해도 향상에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향후 연구과제로 사회과 교과목뿐 아니라 외국어교육에서도 국제이해교육의 통합적 실시 방안이 모색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의 활성화와 교원양성교육의 개혁 과제

        김지자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05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현 교육제도와 체제 속에서 국제이해교육을 보다 활성화 할 수 있도록 교원을 양성해 내기 위하여서는 어떠한 측면에서 교원양성 교육이 개혁되어야 할 것인지를 탐색하는데 주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제기된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첫째,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의 국제이해교육의 실제는 어떠한가?; 둘째, 초․중등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교원 양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 셋째, 국제이해교육을 보다 활성화하기위하여 교원양성교육은 어떻게 개혁이 되어야 할 것인가? 등이었다. 본 연구는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에서 발간한 각종 보고서와 관련문헌, 그리고 이용 가능한 이차적인 자료를 수집 분석 하는 문헌연구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국제이해교육 교원 연수의 대상 집단의 확대와 이들의 양성 및 연수과정의 개혁, 그리고 국제이해교육의 내용과 자료들을 예비교사의 양성과정이나 현직교사의 다양한 연수과정에 접목시키는 방안의 강구 등 개혁의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이미 국제이해교육의 연수를 마친 교원들을 새로운 교사연수 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원연수의 연계 및 지원체제의 도입 등 각계의 교육관련 요원들의 연수 참여 기회의 확대 등을 촉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