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애과정의 탈표준화: 성인기 이행을 중심으로

        남궁명희,남춘호 대한보건협회 2011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1 No.-

        [연구배경] 기존의 전형적 생애과정의 변화에 대한 논의들이 부상하고 있지만, 성인기 이행 전체를 사회적 수준에서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연구는 드물다. 선행 연구들은 주로 특정 시점에서 개별 이행이나 두 이행간 인관관계 분석에 치우쳐 있어 생애과정의 장기적 변화와 최근에 이질성이 증대하는 부분들을 총체적 맥락에서 그려볼 필요가 있다. [연구목적] 성인기 이행의 총체적 변동을 시기별, 연령집단별, 젠더별로 파악하여 생애과정의 표준화와 탈표준화 여부와 그 지점을 살펴보고, 그 사회제도적 요인과 개인 행동간 상호작용의 맥락을 그려본다. [연구방법]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 2005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활용, 각 연도의 15세이상 49세 이하의 인구집단을 하나의 가상적 코호트(synthetic cohort)로 상정하여 최근의 변동까지 포괄한다. 재학과 졸업, 미취업과 취업, 부모동거와 분가, 비혼과 초혼, 초산 여부를 성인기이행의 상태지위들로 상정, 그 지위조합의 다양성 정도를 집약적으로 요약하는 엔트로피 지수, 지수분해를 통한 다양성 기여 요인과 핵심궤적의 변동을 분석한다. 이후 각 이행별 출현율과 이행소요기간, 두 이행간 순서 및 관계 강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변동의 구체적 내용에 접근한다. [연구결과] 전반적인 연구 결과는 근대적 제도화에 의한 생애과정의 표준화가 우리의 경우 1990년대까지 이루어지다가 1990년에서 2000년, 그리고 2005년 기간 동안에는 특히 20대 후반 이후의 상태다양성의 대폭 증가로 탈표준화가 나타난다. 남녀간 차이는 여성의 경우 40세경에 대부분 이행을 완료하나, 남자의 경우 40세 이후에도 초혼과 취업을 이행하지 못한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각 연도에서 모두 취업 여부의 기여도가 가장 높지만, 기여도 증감에서는 여자의 경우 30대에서 초혼, 초산 여부가, 남자의 경우 40대에서 초혼이 생애과정의 이질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는 교육을 제외한 제반 이행들의 출현율 감소, 그리고 개별 이행 소요기간의 단축에서 확대, 두 이행간 이행 연령의 중첩도와 순서규범의 강화에서 약화가 1990년과 2000년을 기점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지되고 있다.

      • 청년 사회 첫 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Ⅱ : 성인 이행기 청년의 자립

        유민상,신동훈,신영규,박미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 이행기 청년의 자립(自立, independence)의 개념을 정리하고, 양적•질적 연구를 통해 청년기 자립 정책의 틀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문헌연구, 양적연구, 질적연구, 국내 법제도 분석 및 민간사례 분석, 해외사례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정책을 설계하는 정책연구로서 청년정책이 성인 이행기 청년의 자립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선진 사회에서 청년들은 과거와 달리 성인으로서의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새롭게 나타난 이 시기(emerging adulthood)에 청년들이 경험하는 문제와 격차들이 보고되고 있어 사회정책적인 지원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청년정책들이 발전하고 있지만 자립지원으로 나아가기에는 한계가 있어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정책이 청년들의 자립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성인 이행기 청년의 자립이란 무엇이며 청년정책에서 보편적으로 지향해야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둘째, 청년들의 성인 이행기 자립 상황은 어떠하며, 자립 상태의 격차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청년들의 원활한 성인기 이행을 위한 지원은 누구에게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이행기의 자립은 아직 학술적, 정책적으로 합의되지는 않았으나 특별히 자립이 어려운 대상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체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정책들도 부족하다. 따라서 청년의 자립은 더 보편적인 사회정책의 목표로서 많은 청년들을 포괄할 수 있어야 하고 개인의 사회적 권리 혹은 사회권으로서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청년들은 민법상 성인 연령이 지난 이후에도 완전히 성인이 되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혼란은 청년이 나이 들어가며 스스로 성인이 되었고 자립했다는 인식으로 변화되는 것, 즉 성인기로의 전환되는 것이 나타났다. 다만 과반 이상의 성인 이행기 청년들은 자립을 스스로의 힘으로 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가정의 경제적 배경에 의한 격차가 나타난다고 이야기했다. 셋째,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가정 배경의 격차를 줄여나가는 방식을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성인 이행기 법제도적 기반 마련, 경제적 지원과 주거지원, 관계망 형성 지원, 기초자립 역량 지원 등 큰 틀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청년들의 사회 첫출발이 가능하도록 보편적 지원과 함께 특별한 자립 욕구에 대한 지원도 함께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관련한 6대 영역, 24개 과제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모든 청년이 권리로 누리는 자립 보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성인 이행기 청년의 자립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누려야 하는 권리로서 인식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지원도 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여러 자립 관련 제도들이 청년들의 삶과 밀접해질 수 있도록 자립을 지원해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청년들이 정책을 향유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으로 지원을 해주는 방향으로 청년정책이 발전하여야 한다.

      • KCI등재

        “요요 이행”과 “DIY 일대기”: 이행기 청년들의 노동경험과 생애 서사에 대한 질적 분석

        김영 ( Young Kim ),황정미 ( Jung Mee Hwang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3 한국사회 Vol.14 No.1

        이 연구는 20명의 이행기 청년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행기 청년들의 노동경험을 일상적인 삶의 과정 안에서 역동적으로 분석하고, 아울러 청년들이 자신의 이행 경험을 인식하는 주관적 서사와 스스로 대응하는 태도를 고찰했다. 청년들의 경험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은 한마디로 취업과 교육/훈련 사이를 오가는 ‘요요(yo-yo) 이행’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청년들이 선택할 수 있는 진로가 다양화되는 양상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한정된 진로 안에서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는 요요 이행의 과정은 가족자원, 젠더, 거주지역 등 개인의 조건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즉 이행경로의 다원화가 아니라, 단선적인 이행의 과정 안에서 상이한 시점에 상이한 이유로 정체 혹은 후퇴를 반복하는 파편화된 경로로 귀결되는 것이다. 그 결과 뚜렷한 장기계획이나 진로계획이 없는 채로 생계형 노동을 반복하는 청년들은 경제적 배제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고립, 정신건강상의 위기 등 중첩된 배제를 겪고 있다. 자신들의 이행 경험에 대한 청년들의 주관적인 해석을 살펴보면, 장기계획의 부재와 미래의 조망불가능성, 취업준비와 생계형 노동으로 이어지는 시간적 압박, 구직활동에서의 ‘하향적 적응’이나 자기 보호를 위한 ‘선택’을 정당화하는 태도들이 나타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주관적 서사들은 ‘DIY 일대기’의 형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청년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나름대로 개인적인 선택을 하고 있지만 그 선택의 실상은 부족한 자원, 사회적 제도간의 모순 등에 직면해서 ‘혼자서 모든 것을 다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다름 아니다.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this article examines the labor experiences and subjective attitudes of 20 young persons who ar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ward adulthood in Korea. Recent experience of young people with regard to labor market particip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yo-yo transition`` which means a ``back and forth swing`` between job position and education/training. In Korea, considerable decrease of job opportunity for young people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has reinforced the demand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long period of individual preparation to get highly competitive jobs. Recent literatures on youth transition emphasize that the standard and linear life course to adulthood has been transformed and diversified with the rise of individulalized biography in the post-capitalist social relations. However, it is not the ``choice biography`` but the ``DIY(Do it yourself) biography`` that we can find from these interviews. Unlike the choice biography which highlight the extended and diversified opportunities for the young people with permeating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the ``DIY biography`` tend to focus on the burden of young people to set a individual negotiation to cope with the lack of resources, institutional discontinuities, and unprecedented changes of opportunities structures. Many interviewees are repeatedly caught in a unstable move between education and marginalized labor without organized career plan, and they are often confronted with social and economic exclusion, isolation from relationship, and even mental health problem. This article also analyses the subjective attitudes and narratives among young people that are typically presented as deprivation of long term life plan, confused perspective on their future, downward adjustment to the deteriorated job condition, etc. In some cases, a bit of ``cognitive trick`` is included in their self presentation that it is better and safer to ``choose`` casual jobs one after another for themselves than to be caught in a strict and inhumane atmosphere of working place. All these processes and attitudes are configurated as the ``DIY biography`` which contains dual process of the extension of individualization on the one hand and the decrease of decent jobs accompanied by the neoliberal readjustment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부모 자녀 관계를 통해서 본 20대 청년층의 성인기 이행 과정 연구

        김은정(Eun Jeong Kim)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1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의 ‘20대 청년기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서 과거와는 상이하게 변화한 20대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대 초반에서 후반에 이르는 남녀 19명을 심층 인터뷰 조사하였으며, 수합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20대 자녀들은 ‘살기 어려워진 시대에 대한 인식(인과적 조건)’을 통해 이들은 자신들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부모의 도움을 기대(맥락적 조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비록 이들은 부모 자녀 관계에서 물질적 뿐 아니라 비물질적 지원까지도 받게 되지만(중심현상)’ 결국 이들은 ‘부모와 분리하는 과정에서 부모로부터 받는 물질적 지원에 대해 보다 강한 인식’(중재적 조건)’을 하게 되며, 그 결과, ‘성인기 이행 준비에 대한 부모의 도움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를 생각하며 행동(작용/상호작용)하고 된다. ‘부모로부터의 분리/미 분리’로 요약되는 이들의 각기 다른 대처전략은 부모와 자녀 간 상호 교환되는 자원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부모로부터의 지원 여부와 자녀의 대처 전략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 양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은 또 20대 자녀들의 성인기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결과). 그러므로 부모로부터 제공되는 자원과 이를 둘러싼 부모 자녀 간 교환, 그리고 이로 인한 부모로부터의 분리/미 분리는 20대 자녀들의 성인기 이행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of Korean young adults in their 20s focusing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19 young adults(9 males and 10 females) were interviewed and their stories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 theory presented by Strauss and Corbin(1990). Korean young adults expected to receive a great deal of economic support from their parents in order to shape a future that best suited personal goals and desires. At the same time, they pursued to gain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Findings revealed that parents’economic resourc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from parents and the transition into adulthood of Korean young adults.

      •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안선영,김희진,박현준,김태령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This study is 2-year project and in the first year, we examined the demographic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h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at are related to its changing patterns. We found that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nsity and complexity of transition to adulthood in South Korea.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at are causing these changes include the expansion of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 decline in the youth labor market, and the increase in the labor participation of women. Major shifts including weaker normative controls on behavior and greater individualization are also related to the new patterns of transition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year’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youth perceive their current status, the criteria that they have for adulthood and age norms for transition markers such as completion of schooling, entrance into the labor force, formation of partnerships, the onset of childbearing and parenting, and movement from parental household. In addition, of primary interest in the study is the generation comparisons in the criteria of adulthood and the age norms for the adult roles mentioned above. Through this effort, we intend to identify the values and beliefs regarding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ts changing patterns in South Korea. One of the main concepts of this study is Arnett’s ‘emerging adulthood.’ Emerging adulthood refers to a time period between adolescence and adulthood. According to Arnett, emerging adulthood is a period that exists only in cultures that postpone the entry into adult roles and responsibilities until well past the late teens. We explor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are relevant to applied for Korean youth and compared its findings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In additio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Arnett’s battery for Korean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and the criteria for adulthood. Policy recommendations are articulat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education, employment, housing, family, and socal welfare that would help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adulthood of Korean youth.

      • KCI등재

        20대 청년층의 새로운 생애발달단계로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에 관한 탐색 연구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3

        아네트(Arnett)는 성인기 이행의 지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에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라는 새로운 생애 발달 단계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20대들의 성인기 이행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20대를 분석하는데 이러한 논의가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여 20대 초반에서 20대 후반까지의 취업/미취업 남녀 20명의 성인기 이행 과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의 20대들도 아네트가 논의한 것처럼, 성인모색기의 특징인 ‘자아정체성 탐구,’‘불안과 좌절,’ ‘자기중심성,’ ‘중간에 낀 느낌,’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20대들은 아네트가 논의한 성인기 모색기의 특징을 보이는 동시에, 아네트의 연구대상자들과는 다른, 한국의 문화 맥락에 따른 성인기진행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발달/성인기 모색’이라는 인간발달 단계에 대한 연구도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모두 종합해 볼 때, 현재 한국의 20대는 성인기 과업 수행을 미루고 있기 보다는 새로운 사회 환경에 적응하면서 성인됨을 모색하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생애발달 단계로서의 ‘성인모색기’ 논의는 현재 한국사회의 20대를 이해하는데 일정 정도의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It is true that youngsters have been footloose and incumbent during their20s, because the lengthening of higher education, the rise in the ages of entering marriage and parenthood have made them very difficult to reach full adult status. So a great deal has changed in recent years how people conceptualize the lives of the 20s. In this vein, the new concept of ``emerging adulthood,`` designating a distinctive stage between adolescence and adulthood was presented by Arnett(2007)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 youth in their 20s. This research aims to empirically hold up the features of the emerging adulthood by analyzing Korean young men and wome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20 Koreans(10 males and 10 females) from age 21 to 29 were conducted. There sults suggest that Korean youngsters showed the five features of the emerging adulthood(the age of identity explorations, the age of instability, the most self-focused age of life, the age of feeling in between, and the age of possibilities) presented by Arnett who used the collected data with young adults in the western world. The results also show the exclusively Korean characteristics such as continuing dependence on their parents or gender specific socialization. In the end, the research finds that the coming of age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different from it used to in the past, and the new period of life requires a new term, ``the emerging adulthood.``

      • KCI등재후보

        ‘청춘’ 밖의 청춘, 그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정체성

        정수남(Joung, Sunam),권영인(Kwon, Young In),박건(Park, Gun),은기수(Eun, Ki-Soo)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2 No.-

        본 연구는 빈곤청년들의 성인기 이행과 자아정체성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늘날 한국사회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이 지체되고, 사회경제적 독립이 점차 어려워지면서 자아정체성 형성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오늘날 커다란 사회적 이슈이자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모든 계층의 청년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가 초점을 맞추고 있는 빈곤 청년들은 ‘정상적인’ 가정생활, 학교생활, 노동생활을 경험하지 못했다. 이들은 빈곤한 경제상황 때문에 일찍부터 생계를 부담하고 가족관계를 재구성해야 했으며, 학업보다는 아르바이트에 시간을 더 쏟고, 노동현장에서는 저임금과 착취를 당하면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다. 그 결과 이들은 가정에서 ‘자녀’, 학교에서 ‘학생’, 일터에서 ‘노동자’라는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이들은 각기 나름의 전략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성인기 이행에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빈곤계층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은 상당히 압축적이지만 그에 따르는 사회적 인정이 뒷받침되지 못함으로써 자아정체성 형성에서 다양한 훼절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5명의 20대 청년들이 인터뷰에 응해주었으며, 이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질적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self-identity of the disadvantaged youths or youths in poverty. It is well known that transition to adulthood for all youths is postponed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in other societies. Growing hardship in achieving socioeconomic independence also makes Korean youths develop self-identity. This has become a big social issue and futhermore one of social problems. However, we cannot say that these changes are found common to youths across all social classes. Disadvantaged youths in Korean society have not experienced so-called “normal” life in family, school and the labor market. Earlier hardship in their life forced them to work to support family life, to reconstruct family relationship, and to spend more time in par-time work rather than in studying at school. They were spending their youthful years suffering from low wage and sometimes exploitation in the labor market unlike ordinary youths who manage “normal” family and school life in their 10s and 20s. As a result, they have faile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 child in family, a student in school and a worker in the labor market. However, they have utilized their own strategy for their identity construction, which eventually leads to a transition to adulthood later. For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25 youths in their 20s. We also collected their life history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m. We find that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is very compressive, but frequently disrupted in various ways because of the lack of social recognition. This is one of the big differences in transition to adulthood between ordinary and disadvantaged youth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성인의 기준에 대한 청년세대와 부모세대 성인의 인식 비교

        안선영,김희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Conceptions of the transition to adulthood were examined among emerging adults(age 19-24) and mid- life adults(age 49-54). Arnett's questionnaire was administerd to 2,000 emerging adults and 1,000 mid-life adults. Both emerging adults and mid-life adults tend to believe ‘accept responsibility for the consequences of your actions’ as most necessary for becoming adults. Overall, family capacities including ‘capable of keeping family physically safe’ and ‘capable of supporting family financially’ are deemed important criteria for becoming adults. To adapt the instrument to Korean cultur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it revealed six sub-scales: Family capacities, norm compliance, legal transition, role transition, independence and interdependence and chronological transition.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amily capacities’ and ‘norm compliance’ with the stronger endorsement of female respondents in both criteria. In both emerging adults and mid-life adults, the higher their economic status is, the stronger endorsement they showed in ‘norm compliance’, ‘legal transition’, ‘role transition’, and ‘chronological trans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lows us to identify the values and beliefs regarding transition to adulthood and its changing patterns in South Korea. 우리사회의 성인기 이행 양상이 최근 급격하게 변화함에 따라 성인기 이행에 대한 규범과 신념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만 19세-24세 청년세대 2,000명과 만 49세-54세 부모세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성인의 조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사회에서 ‘성인됨’이 의미하는 바와 성인기 이행에 대한 인식이 두 세대 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본 설문조사를 위해 Arnett이 개발한 설문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이 도구를 한국사회에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한 지를 살펴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청년세대와 부모세대 성인 모두 성인의 기준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은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응답의 전체적 경향을 살펴볼 때 가족부양 및 자녀양육 관련 능력을 가장 중요시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요인분석을 통해 ‘가족부양 및 자녀양육 능력’, ‘규범준수’, ‘허용 행동’, ‘역할 이행’, ‘독립 및 상호의존’, ‘연령 이행’ 등 6개 하위 요인이 추출되었다. 하위 요인별로 세대 간 비교를 실시한 결과, 부모세대 성인이 ‘가족부양 및 자녀양육능력’, ‘역할이행’, ‘연령이행’에 대해 더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자청년이 남자청년보다 ‘가족부양 및 자녀양육 능력’과 ‘규범준수’를 성인의 기준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세대와 부모세대 성인 조사결과 모두에서 ‘규범준수’, ‘허용행동’, ‘역할이행’, ‘연령이행’ 요인에서 경제수준에 따른 중요도 인식 차이를 보였는데, 경제적으로 높은 수준일수록 이 4가지 요인을 성인의 기준으로 생각하는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 성인의 기준을 보다 다양하고 엄격하게 적용함을 알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남성 노숙 청년의 성인기 독립 이행 실패와 원가족 경험

        김소영(Kim, So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3

        청년들의 독립에 있어 가족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가족자원이 취약한 청년들에게 가족자원의 부재가 독립 이행 실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노숙이라는 독립 이행의 극단적 실패를 경험하고 있는 청년 8명의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지체계로서의 가족, 독립의 계기, 독립의 과정, 독립의 위기상황이라는 주제(theme)에 대해 공통된 패턴을 찾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들은 독립의 디딤돌 역할을 해 줄 가족 지원체계가 없었고, 가족으로부터 어떠한 동력도 얻지 못한 채 준비 없이 독립을 시작하였으며, 독립의 과정에서도 경제적, 정신적으로 버거운 홀로서기의 과정을 겪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독립의 위기상황은 청년들이 버틸 수 없는 상황에서 처하도록 하였다. 위기상황에서 가족이라는 안전망도 존재하지 않았고 이들이 노숙이라는 상황에까지 추락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가족 지원의 부재상황은 청년의 독립에 있어 가족의 역할과 자원이 성인기 독립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반사실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며, 지지체계가 부재하거나 취약한 청년들의 성인기 이행에 있어 공적 지원체계가 절실함을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한 청년들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harsh period for young adults to prepare their successful lif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experiences of independence transition among homeless young adults. Also this article explored how their family perform as a supportive system for their independence. Using in depth interview materials of 19~39 aged 8 young homeless males, the research analyzed their family’s weak support; no family members, no economic support and breaking relationship. As to occasion of independence, the participants sometimes experienced loss of house, evacuation by their family or runaway from their home. It was abrupt and unexpected leaving home. Also their process of independence was beyond their capacity that they suffered from instability job and destitute rather than continuous mental trauma and isolation. In the end they faced serious risky situations that they cannot manage without any hel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economic capital from family and transition to adulthood of vulnerable young adults who don’t have family support need much alternative supportive system and social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