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화론과 1920년대 다이쇼 생명주의

        유봉희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4

        This article corresponds to a preface to analyze the Lifeism that emerged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1920s. Until now, the literary world has discussed lifeism from a romantic point of view that weighs mysticism and transcendence. Studies have been submitted confirming that the romantic tendency has worked in neuropathic literature and beyond. This article does not try to den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lifeism, but tries to analyze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t is, from a realistic and scientific standpoint. The core of this article will be to find the difference and the cause and background of the occurrenc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Western and Daisho lifeism, which will confirm that Western lifeism started based on scientific empirical evidence, unlike Japanese lifeism. It is noteworthy that Japanese Lifeism was established by accepting Western biologicalism, but the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ntext of the Japanese intellectual community at the time. I think the path to the interpretation of life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1920s will also open up when they grasp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Emerson, Oiken, and Bergson, which are mentioned when discussing lifeism in the Taisho period. In this cas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Osagi Sakae, a representative socialist and anarchist of Daisho. He established his ideas based on the French lifeist philosopher Bergson’s “evolutionary metaphysics,” or “scientific lifeism.” This may be his own unique poi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aisho Biology in general. Through the “Bergson and Osgy Channel,” I think we can find a new point of lifeism when looking at the lifeism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1920s. 이 글은 1920년대 한국 근대문학에서 대두된 생명주의를 분석하기 위한 서 설 격에 해당한다. 그동안 문학계 안에서는 생명주의를 신비주의와 초월주의에 무게를 둔 낭만주의적 입장에서 논해왔다. 그 낭만주의적 경향이 신경향파 문학 과 그 이후에서도 작동했음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제출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 한 생명주의의 특성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와는 다른 시선, 즉 현실적이 고 과학적 입장에서 생명주의를 분석하려고 한다. 이 글의 핵심은 서구 생명주 의와 다이쇼 생명주의의 비교를 통해 차이점과 그 발생의 원인과 배경을 찾는 작업일 터인데, 여기서 일본의 생명주의가 초월주의와 신비주의에 침잠해 있었 던 것과는 달리 서구의 생명주의는 과학적 실증을 바탕으로 출발했음을 확인할 것이다. 일본의 생명주의가 서구 생명주의를 수용하면서 정착됐지만 그 차이점 이 발견되는 것은 당시 일본 지식계의 사정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터다. 다이쇼 시대 생명주의를 논할 때 거론되는 에머슨⋅오이켄⋅베르그손의 생명사상을 일본의 시각이 아닌, 그들 자체의 철학적 특성을 파악할 때 1920년대 한국근대문학의 생명주의 해석의 길도 새롭게 열릴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할 때 다이쇼 대표적 사회주의자이자 아나키스트였던 오스기 사카에에 주목 할 필요가 있다. 그는 프랑스 생명주의 철학자 베르그손의 ‘실증적 형이상학’ 즉, ‘과학적 생명주의’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을 정립해 갔다. 이것은 다이쇼 생명주의 일반과 다른 그만의 독특한 지점일 터다. ‘베르그손과 오스기 채널’을 통해 1920년대 한국근대문학의 생명주의를 바라볼 때 생명주의의 새로운 지점 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기본권으로서의 생명

        정문식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2

        Das Recht auf Leben ist das Recht aller Menschen zu leben. Dieser Grundrecht ist als Voraussetzung für alle Grundrechte verstanden, obwohl es in Koreanischer Verfassung nicht verankert ist. Im Unterschied zum Koreanischen BGB, nach dessen §3 die Rechtsfähigkeit mit der Vollendung der Geburt beginnt, und zum Koreanischen StGB, das als zeitlichen Anknüfungspunkt für das menschliche Leben, an dem Tötungsdelikte begangen werden können, den Beginn der Ggburt festlegt, soll der grundrechtliche Schutz des Lebens nach der herrschenden Meinung von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 jedenfalls für das Fetus bzw. Embryo bestehen,aber vor der Einnistung des befruchteten Eies in der Gebärmutter, der Nidation,nicht. Als Abwehrrecht bietet das Grundrecht auf Leben nicht nur einen umfassenden Schutzsrecht, sondern auch als objektiv-rechtliche Wert nach Art.10 Koreanische Verfassung eine Grundlage für staatlichen Schutzpflicht. Staatliche Schutpflicht bietet den staatlichen Gewalten, menschliche Leben sich schützend und fördernd zu stellen und sie insbesonderer vor rechtswidrigen Eingriffen Dritter zu bewahren. Weil Leben nicht erst durch ihre Verletzung, sondern schon durch ihre Gefährderung beeinträchtigt werden können, wird in zeitlicher Hinsicht ein Handeln des Staates bereits vor der Grundrechtsverletzung im Stadium der Grundrechtsgefährderung erforderlich. Grundrechtsbeschränkungen sind auf Grund eines Gesetzes zulässig. Dieser Gesetzesvorbehalt erstarkt zum Parlamentsvorbehalt mit dem Ergebnis, dass Eingriffe in das Recht auf leben allein durch Parlamentsgesetz zu rechtfertigen sind. Neben gesetzlichen Regelungen kann insbesondere die Einwilligung des Grundrechtsträgers einen staatlichen Eingriff in die Lebensrechte rechtfertigen. Beschränkungen sind im Übrigen nur im Rahmen des Übermaßverbots zulässig,besonders im Todesstrafe. In Bezug auf den Verfassungsanspruch des Rechts auf Leben rückt in den letzten Jahren weniger der Anspruch der Verfassung selbst als vielmehr der Anspruch an die Verfassung in den rechtlichen und rechtspolitsichen Vordergrund. Einschränkungen des Rechts auf Leben führen etwa im Bereich der Biopolitik, z. B. Stammzellforschung, Präimplantationsdiagnostik(PID), Schwangerschaftsabbruch,Sterbehilfe, Hirntod und Organtransplantationsmedizin, aber auch bei der Sicherheitspolitik, z. B. finaler Rettungsschuß. In wertskomplexe morderne Gesellschaft ist die staatliche Schutzpflicht für das Recht auf Leben zu konkretisieren und damit einen Ausgleich zwischen den widerstreitenden bzw. verfassungsrechtlichen Interessen zu finden, in derster Linie dem konfliktlösenden Gesetzgeber zugewiesen, dessen weite Einschätzungs-,Wertungs- und Gestaltungsprärogative zu einer nur begrenzten gerichtlichen Nachprüfbarkeit durch Verfassungsgericht führt. 생명은 과거 신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조작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명의 창조와 조작, 연구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중대한 윤리적ㆍ법적 논란의 주제가 되어가고 있다. 비록 헌법조문에는 생명에 관한 내용이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았지만, 헌법재판소의 견해에 따르면 생명은 인간존엄의 물리적 기초로서 모든 기본권의 전제가 되는 기본권으로서 이해된다.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는 헌법 제10조에 근거하여, 인간존엄을 인정한다는 것 자체가 생명권을 전제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민법이나 형법에서는 인간에 대한 권리능력을 출생 시로부터 인정하고 있지만, 헌법재판소의 다수견해에 따르면, 인간생명은 이미 태아인 상태에서도 인정될 수 있다. 다만 체외수정을 통해 형성된 초기배아라 할지라도, 아직 자궁에 착상하지 못하거나 원시선이 생기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본권의 주체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초기배아에 대해서는 과학적 인식수준이나 사회적 승인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은 초기배아의 생명보호에 있어서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생명권은 모든 인간생명체의 신체적ㆍ생물학적 생존을 보호하고, 생명의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이를 유지할 권리를 의미한다. 이는 주관적 방어권으로서 모든 공권력 행사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 가치질서로서 국가의 생명보호의무를 도출해내기도 한다. 또한 생명은 한 번 제한되면 죽음을 의미하고 되돌이킬 수 없기 때문에, 생명에 대한 위험이나 위협도 생명권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생명권도 생명권주체의 동의가 있거나, 의회유보로 이해되는 법률유보원칙, 과잉금지원칙, 과소보호원칙 또는 본질적 내용의 침해금지 등에 위반되지 않으면 합헌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생명권에 대한 제한은 특히, 인간복제문제, 배아줄기세포연구, 착상 전 유전자진단, 낙태, 사형, 뇌사와 장기이식, 안락사 등의 생명윤리 문제에 있어서, 또는 인명구조를 위한 저격이나 군인이나 경찰, 소방관 등 특수신분의 공공안전질서를 유지하는 문제에 있어서 합헌적으로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결국 점점 발전해가고 복잡해지는 현대사회에서 생명보호에 대한 책임이나, 새로운 문제에 대한 헌법적 해답은 헌법 자체에서 직접 도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모든 국민의 가치를 종합하여 대표할 수 있어서 민주적 정당성을 가지는 국민의 대표, 의회에서 먼저 책임을 지고 이를 이행해야 하는 것이며, 헌법재판소는 보충적으로 제한적으로 의회의 결정에 대해 헌법적 평가를 내릴 수 있을 뿐이다.

      • KCI등재

        구약성경이 말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창세기 1:1-2:3을 중심으로

        김진섭 ( Jin Sup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0 생명과 말씀 Vol.1 No.-

        백석학원(백석대학교 및 7개 대학원[기독교전문, 신학, 목회, 교육, 사회 복지, 상담, 음악], 백석문화대학, 백석예술대학, 백석신학교)의 설립자요(1976.11.1), 예장백석 총회의 초대 총회장(l978.9)을 역임한 장종현 박사는 "신학은 학문이 아나다"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이라는 두 가지 명제를 주장해왔다. 서론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이란 용어의 타당성을 개혁주의 신학의 신학적 분류, 개혁주의 신학의 ``신학``(theology) 개념, 그리고 개혁주의 신학의 ``개혁정신``과 ``분야주권``(Sphere Sovereignty) 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본다. 본론에서 첫째, 구약성경이 말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방법론과 본 논고의 범위를 논한 후, 둘째, 창세기 1:1-2:3(삼위일체 하나님의 우주창조)이 말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1) 창조사관(하나님의 우주창조-인간의 타락과 하나님의 구속-하나님의 우주완성)과 그 중심점인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2) 창세기 1:1-3의 문예-신학적 관계, (3) 하나님의 영원과 피조물의 시공간에 나타난 ``생명`` 이해, (4) 하나님의 ``우주`` 창조와 ``생명`` 이해, (5) 우주창조에 나타난 성령님의 ``생명`` 사역의 관점에서 상론한다. 결론에서 본 논고의 논지를 다시 요약한 후, 신앙고백적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발전을 위한 체언으로 끝맺는다. Dr. Jong Hyun Chang, in 1976 founder of the Baekseok schools (Baekseok University, Baekseok Arts University, Baekseok Culture University, and Baekseok Theological Seminary, and 7 Graduate Schools) as well as in 1978 the first moderator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Baekseok), has recently raised the vital importance of the two propositions. "Theology is more than a science" as well as "Practice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Introduction the validity of the term, "Reformed Life Theology" is perused with respect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Reformed theological disciplines, the concept of "theology", and the "Reformed spirit of Sphere Sovereignty". The Main Body attempts first to explain the methodology of "Reformed Life Theology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limit of our discussion. Then Reformed Life Theology focused on Genesis 1:1-2:3 is demonstrated in relation to the Biblical world view, such as creation-fall-redemption-consummation, literary and theological analysis of Genesis 1:1-3, understanding "1ife" manifested in the eternity of God and time of the creation, understanding life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life" work of the Holy Spirit in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In the Conclusion, our discussion is summarized and a further comment is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nfessional "Reformed Life Theology".

      • KCI등재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유경동(Yoo Kyoung-Do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2

        전통적으로 의학계에서는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 시점을‘자웅전핵융합(syngamy)’으로 간주했다. 자웅전핵융합이란 정자로부터 시작된 웅성전핵과 난사의 자성전행이 융합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생식세포가 완전히 결합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이후 대략 24시간 이내에 정자와 난자의 전핵이 붕괴되어 반수의 염색체들이 하나로 합쳐지기 시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문제는 인간의 생명 자체가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현상이기 때문 에, 언제 새로운 생명이 시작하는 지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기가 더 어렵게 된다. 만약 인간의 수정과 배아의 발달 과정이 분절적이며 독립된 과정의 연속이라면, 자웅전핵융합이라는 시점이 가능한 생명의 시작 시점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문제는 자웅전핵융합이 구체적으로 어느 시기에 이루어지는지를 확정하기 어렵다 는 것이다. 기존의 주된 과학적 입장은 배아의 발달 과정 자체를 하나의 생명이 만들어지는 전체 과정 중에 한 부분 정도로 이해한다는 점이다. 결국 최초의 수정된 수정란은 아직 구체적인 인간 유기체로의 구성을 이루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생명의 시작점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보는 입장이 지배적인 것이다. 따라서 최초의 수정란은 자웅전핵융합을 통한 염색체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인간이 아니라, 새로운 인간 유기체가 되는 과정에 있는 독특한 인간세포 정도로 이해된다. 그러나 필자는 배아 자체는 정자와 난자 결합 시점에 이미 존재하며, 인간 유기체는 처음부터 완전히 존재하고, 일생동안 일어나는 모든 발달 과정을 통제하고 지시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인간 배아는 수정단계부터 하나의 살아있는 인간 개별 존재로 인정해야 된다고 본다. 이와 같은 과학적 관점에 대하여 종교는 인간 생명의 시작을 훨씬 그 폭을 넓게 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인류사회에 있는 대부분의 종교는 현대의 과학적 관점과 같지는 않지만, 인간의 생명과 그 출발점에 관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 아 울러 이를 기점으로 인권과 나아가 공동체를 유지하는 정신적 가치를 제공하여왔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유대교, 기독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 그리고 유교의 사회신조나 종교법에 나타나는 생명이해를 살펴보며, 특히 배아의 형성에 대한 각 종교의 해석을 살펴봄으로써 인간 생명현상에 개체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덕의 윤리에 대한 독특한 관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하여 인간의 배아를 중심으로 한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가 더 깊어지기를 바란다. When does a human life begin? This is one of the crucial questions that various religions have tried to answer. According to Abrahamic religions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 human individual life is bestowed by God, not by any biological process. At the very moment of fertilization, a fetus is regarded as a mere material. But in the process of embryonic development, human soul is infused into the fetus. Only after the ensoulment, the fetus becomes a potential human being. In Hinduism and Buddhism, the life right of fetus is explained through their unique idea of a wheel of life, samsara. While a fetus is seen as a living being from the beginning, it is not yet human life. After the soul is infused, the fetus can success the karma of its previous existence and, in turn, it can be a human life. From Confucia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a fetus is respected so far as it is the potential familial member. After considering all the thoughts from the religious perspectives on the human embryos,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right of the human embryos must not be limited in scientific knowledge but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normative ethics in relation to human life. To achieve this goal, science and religion are encouraged to cooperate to understand human life and reestablish supervision on life ethics together.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설교

        이효선 ( Hyoshun Lee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1 생명과 말씀 Vol.31 No.3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의 위기 가운데 있는 교회가 다시금 사명을 확인하고 목회의 본질을 재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한 것이다. 코로나19는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e)라는 생소한 문화를 경험하게 하였다. 질병에 대한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사람들의 만남을 통제하는 것이다. 이는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이지만, 인간의 사회적 관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은 폐쇄되고, 대중이 함께 하는 기회는 거의 없어졌다. 심지어 가족과 친척, 친구들과의 만남도 어려운 시대가 왔다. 소위 비대면(un-tact)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사회의 여러 분야는 극심한 어려움을 당하고 있다. 교회 역시 이런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모임과 교제, 예배까지 중단해야 하는 일은 교회의 본질을 위협하고 기능을 마비시켰다. 이로 인해 교회의 영향력은 줄어들었고, 성도들의 신앙은 크게 위축되었다. 이때에 교회의 사명과 목회의 본질에 대해 다시 숙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교회는 어떤 상황에서도 생명을 살리는 영적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지속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비대면’이라는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교회는 생명을 살리는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 오히려 이런 위기의 시대에 인생의 가장 확실한 해답은 복음에 있다는 사실을 더욱 강조할 때이다. 교회는 머리되신 그리스도로부터 생명을 받아 온 세상에 그 생명을 전하는 공동체이기 때문이다(엡 1:23). 논자는 논문을 통해 코로나19 시대에 있는 교회가 중점을 둬야 할 사역이 무엇인지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그래서 교회의 사명과 목회의 본질을 재정립하고, 목회에 있어서 생명을 살리는 설교가 ‘영적생명운동’의 일환임을 강조하고, 생명을 살리는 설교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ffirm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to redefine its nature in the crisis of covid-19 pandemic. With covid-19, we are experiencing the new culture of ‘social distance.’ In the absence of vaccines and treatments for the disease, the best way to prevent infection is to control people’s encounters. This is necessary to prevent infection, but it results in weakening human social relationships. The space where people gather is closed, and the opportunity for the public meeting is almost lost. Even meeting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has come a difficult time. The so-called “un-tact” era has begun. In the midst of this, many sectors of society are suffering greatly. The Church is not free from this influence either. The need to stop gatherings, communes, and worship services threatened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paralyzed its functions. This reduced the influence of the church and greatly diminished the faith of the saints. At this time, it is very important to reconsider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the nature of the ministry. This is because the church must continue its role as a spiritual community that saves lives under any circumstances. In particular, even in the inevitable situation of un-tact, the church should proclaim a life-saving gospel. Rather, it is time to stress the fact that the surest answer to our life is in the gospel in these times of crisis. For the church is a community that delivers life to the whole world from Christ the Head(Eph. 1:23). In this thesis, I tried to present what the church should focus on in the covid-19 era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Life Theology. For that, I reorganized the mission of the church and the nature of the ministry, and emphasized that the life-saving sermons in the ministry is part of the “Spiritual Life Movement,” and that what the life-saving sermons are.

      • KCI등재

        김지하 생명시에 나타난 동학사상 『- 유목과 은둔』을 중심으로

        한경희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onghak thought is revealed in the world of his life poems. The poet has walked the way of thinking to discover and recreate the language of life in our traditional thinking. Life City does not merely stay at the level of environmentalism, but emphasizes the harmony of nature beyond human-centered nature. Here nature does not simply stay as a material object but extends from the body of the self to the circulation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echoes of human, nature, and the universe in this life are all converged with the celestial ideas of dynamic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fe poetry does not stop at pity over the aging body, but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of practice at the same time. Second, in life, the will for beauty works, in which we overcome the contradictions, restore the killing, restore the ambition, and release the aesthetic will. Third, the origin of life thoughts were placed in Oriental and Korean ancient history to find the vitality of enshrining and liv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unravel the world of Tokyo's “coming soon”, revealing that life's poems through which the life is broken through the body convey the wave of life with the knowledge of the body and the wisdom of the body. Second, it suggests that the condensed aesthetic order i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history, just like the organized dynamic movements that rose to save all lives. Third, the way to find the coolness of mankind is the way of thinking of life, expanding nature into the universe, and saying that the language of Taeguk and Palace was the language that stored the seeds of life. 이 연구의 목적은 김지하의 생명시 세계에서 동학사상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가를 찾아보는 데 있다. 시인은 우리 전통 사유 속에서 생명언어를 발굴하고 새롭게 만들어내는 사상의 길을 걸어온 바 있다. 생명시는 단순히 환경보호론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인간 중심의 자연을 넘어서서 자연의 조화를 강조한다. 여기서 자연은 단순히 물질적인 대상으로 머물지 않고 자아의 몸에서부터 지구와 우주의 순환으로까지 확대한다. 이러한 생명시에 나타난 인간과 자연, 그리고 우주의 울림이 동학의 시천주 사상으로 모두 수렴되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생명시는 노화되면서 늙어가는 몸을 두고 연민으로그치지 않고 존재의 인정과 동시에 실천의 원래 자리로 돌아가 생명을 말한다. 둘째, 생명에는 아름다움을 향한 의지가 작동하는 데 그 안에서 모순을 극복해내고 죽임을 살림으로 회복하고 원한을 해원하는 미적의지를 풀었다. 셋째, 생명사상의 연원을 동양고전과 우리고대사에 두면서 모심과 살림의 생명성을 찾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몸을 통해 생명성을 깨친 생명시는 몸으로의 깨달음, 몸이 밝힌 지혜로 생명의 파동을 전하는 메시지임을 밝히면서 동경대전의‘오심즉여심’의 세계를 풀어냈다. 둘째, 모든 생명을 살리고자 일어선 조직적인 동학운동처럼 응축된 미적질서는 역사의 발전방향과 함께 하는 것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인류시원을 찾아가는 길이 생명사유의 길이며 자연을 우주로확장시키고 태극과 궁궁의 언어가 생명의 씨앗을 저장한 언어임을 밝혔다.

      • KCI등재

        신약성경의 생명 사상에 대한 고찰

        배재욱(Jae Woog Ba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2 No.-

        인간 생명의 고귀함에 인간 자신의 존재의 위대함과 고귀함이 기인된다. 이 고귀한 생명이 지금 여러 모양으로 유린되고 있다. 온갖 사회적인 현상은 인간생명의 고귀함을 유린하고 생명을 물질의 부속품처럼 생각하게 만든다. 종교와 종교 간에, 인종과 인종 간에 끊임없는 갈등이 인간 정신을 멍들게 한다. 인간의 생명 경시 현상이 두드러진 요즘의 시대상은 여러 가지 병폐를 낳고 있다. 이 시대의 사회 현상을 직시하면서 신학적인 생명의 본질 문제뿐만 아니라 포괄적으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생명 문제를 포함하여 인간생명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은 사회학적으로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교회는 생명을 존중하고 생명의 가치를 지켜 가야 한다. 그 때 하나님의 구원의 은총 아래서 인간은 새로운 생명의 기쁨을 다시 얻게 될 것이다(시 51:10-12). 신약성경의 생명 사상은 구약성경-유대교 생명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신약성경에서 생명 사상은 믿음(요 3:15-16, 5:24, 20:31), 하나님 나라 사상(요 3:3, 5), 예수 그리스도(요 1:25, 14:6; 계 1:18), 말씀(요 6:63), 종말론적인 축복(마 7:14; 막 9:43, 45) 등의 사상과 연관되어 있다. ‘생명’ 개념이 공관복음에서는 ‘하나님 나라’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마가복음 9:43-47에서 ‘생명’과 ‘하나님 나라’는 평행을 이루고 누가복음 18:29-30에서 ‘생명’과 ‘하나님 나라’는 서로 연결된다. 예수님의 생명 사상은 하나님 나라에서 구체화되고 현재화된다. 공관복음의 하나님 나라 개념은 생명을 종말론적 축복으로 말한다(마 7:14; 막 9:43, 45). 바울은 예수님이 부활을 통해 ‘생명의 주인’이 됨을 나타낸다(롬 5:15-17; 고전 15:20-23). 고린도전서 15:20-22에서 생명은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설명한다. 바울은 ‘생명의 성령’이란 표현을 통해 성령을 ‘새로운 창조의 원동력’으로 표현한다. 생명의 성령이 그리스도 안에서 죄와 죽음으로부터 자유를 가져왔다(롬 8:21). 그러므로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생명을 가진 자로서 책임을 감당해야 한다(롬 6:1-14). 요한계시록의 생명 사상은 그리스도론과의 연결이 집중되는 특징과 아울러 내세적(來世的)이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신약성경 저자들은 그리스도의 생명 사상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구약성경적-초기 유대교적인 전승을 따르지만 그들의 생명 사상이 구약성경이나 초기 유대교의 생명 사상을 답습하는 것으로 그친 것이 아니라, 구약성경-초기 유대교 배경 위에서 기독론적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데서 신약성경 생명 사상의 독특성을 찾게 된다. 생명 사상의 기독론적인 전이를 통한 이러한 생명 사상의 발전은 초기교회가 제기한 예수님이 누구인가라는 문제에서 시작되고 이러한 문제 제기는 기독론의 성립과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하나님은 세상을 사랑하여 자신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셔서 죄로 죽어 가는 세상에 생명의 복음을 선물하셨다. 인간의 생명은 어쩌다가 주어진 것이 아닌 하나님의 선물이고 축복이다. 존귀한 인간의 생명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학 인접 학문과의 대화도 요구된다. 신학은 인접 학문과의 대화를 통해 생명의 사회적인 성격까지 포함하여 다루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 생명 존중의 가치관을 세워 나가는 데 일조하는 것이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 하나님의 뜻일 것이다. The greatness and nobility of one’s existence arise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human life. Human life is being violated in various ways at this moment. All kinds of social phenomena are infringing on the value of human life, relegating it to a place of appurtenance. Endless discord between one religion and another, between one race and another are damaging the spirit of humanity. Today, the phenomenon of contempt for human life is all the more apparent; such signs give rise to different evils. As we face up to the social phenomenon of today, the matter requires not only the theological aspect of the essence of life, but a more inclusive approach on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e matter should be treated not only in social scientific terms, but from the point of view of religion. The church must honor life and defend the value of life. That is when humanity will receive anew the joy of life under the saving grace of God (Ps 51:10-12). The idea of life in the New Testament is based on the Old Testament Judaic view of life. In the New Testament, life is related to other themes such as faith (Jn 3:15-16; 5:24; 20:31), Kingdom of God (Jn 3:3, 5), Jesus Christ (Jn 1:25; 14:6; Rev 1:18), Word (6:63), and eschatological blessing (Mt 7:14; Mk 9:43, 45). In the synoptic gospels, the idea of life is used in the similar vein as the idea of Kingdom of God. Life and Kingdom of God are placed parallel to each other in Mark 9:43-47, and in Luke 18:29-30, life and Kingdom of God are interrelated. Jesus’ idea of life is embodied and actualized in Kingdom of God. The concept of Kingdom of God in the synoptic gospels express life as eschatological blessing (Mt 7:14; Mk 9:43, 45). Paul shows that Jesus became the Lord of life through resurrection (ref. Rom 5:15-17; 1 Cor 15:20-23). Through 1 Corinthians 15:20-22, he also shows that life is in Christ. Through the expression “spirit of life,” he shows how the Spirit is the driving force of the new creation. In Christ, the spirit of life brought freedom from sin and death (ref. Rom 8:21). Therefore those who are in Christ must fulfill their duty as those who have received life (ref. Rom 6:1-14). The concept of life in Revelation is especially characterized by its connection to Christology and after-life. The writers of the New Testament followed the early Judaic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in their process of developing Christ’s idea of life. But they continued on to build a christ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early Judaic foundation to give its concept of life a unique characteristic. Such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life through its transition into christology started with the early church’s question of the identity of Jesus. And such inquiries formed and developed christology. God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son to give the world the gift of good news to those who are perishing in sin. Human life is not a mere coincidence, but the gift and blessing of God. Understanding the nobility of human life also requires dialogue with other disciplines adjacent to theology. Thr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the matter of life’s social characteristics should also be treated. To be a part of establishing a value system that gives life due respect would be the will of God who gave us life.

      • KCI등재

        신학생 생명윤리 교육 향상을 위한 인격주의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이준연(Jun Yeon Lee),박은호(Eun Ho Park)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3 No.2

        본 연구는 인격주의 생명윤리에 근거한 단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신학생 대상 생명윤리 교육 체계 확립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대의 신학생은 생명공학기술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증가되고 있는 피임과 낙태, 동성애, 안락사 등의 문제에서 인간 존엄성의 참된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해야만 훗날 사목자로서 신자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인격주의 생명윤리 교육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인격주의는 인간을 몸과 영혼의 단일체인 ‘인격’으로 바라보고 인간 존엄성의 참된 가치를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의 교과과정을 제외하면 윤리신학 교과 과정 이외에 생명윤리를 따로 가르치는 과정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교과과정 외에 단기 교육도 주교회의에서 개최한 교육이 전부였다. 따라서 윤리 교육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Debate와 강의, PBL 방법을 적용한 단기간의 인격주의 생명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bioethics education system for Catholic seminarians and provide basic resources by developing a short-term education program based on personalist bioethics. Modern seminarians must correctly understand the true value of human dignity in the face of problems such as contraception, abortion, homosexuality, and euthanasia, which are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medicine. This is so that they can help faithfuls as pastors in the future. Personalism is necessary for this education because it views humans as “persons,” a unity of body and soul, and can communicate the true value of human dignity. However, except for the curriculum of the Theological Seminar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there was no independent course for bioethics. Therefore, we developed and operated a short-term personalist bioethics education program incorporating debate, lectures,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s, which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ethics education.

      • KCI등재

        생명윤리의 새로운 길 : ‘부모-되기’교육론 제안 - 장자莊子의‘위일爲一’을 중심으로 -

        송정애 ( Song¸ Jung-a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0 No.59

        생명윤리학이 생명의료공학의 윤리적 검토에서 시작되다보니 오늘날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는 생명의료윤리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생명경시가 사회 전반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생명의 가치를 깨우치는 생명교육은 절실히 요구된다. 가정과 사회 차원에서 생명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생명윤리 담론의 범위가 확대되고 그 교육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장자의 생명사상을 바탕으로 생명의 의미를 살펴보고, 장자의 ‘위일爲一[하나-되기]’의 개념과 원리를 변용하여 ‘부모-되기’ 교육론을 제안한다. ‘하나-되기’는 ‘무기無己’의 이치를 깨달음으로써 스스로 생명이 되는 과정이다. 또한 인식의 깨어남을 거쳐서 ‘몸’의 깨어남에 이르는, 인식과 행위가 일치되는 사태이기도 하다. ‘부모-되기’는 생명이면서 생명을 기르는 부모를 내세워, 보다 직관적이고 현대적으로 변용한 교육론이다. 그 세부단계는 생명의 의미를 깨닫는 ‘부모-알기’, 존재의 본질과 대면하며 본연의 생명을 발견하는 ‘부모-보기’, 생명으로서의 삶을 사는 ‘부모-되기’로 이루어진다. 교육대상은 주로 교사와 학부모, 예비부모를 설정했다. ‘부모-되기’교육은 교육자가 먼저 참된 생명이 되어야 하는 실천교육이기 때문이다. 생명교육은 교육자의 삶 자체가 교재가 될 때 온전히 이루어질 수 있다. In a situation in which disregard for lives becomes an overall social problem, education in bioethics that arouses the value of life is urgently required.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life is reviewed based on the philosophy of Zhuang-tzu, and the educational theory of ‘Becoming-parents’ is present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Zhuang-tzu’s ‘becoming one (爲一)’ principle. The concept ‘becoming-one’ is the process that one becomes a life by oneself by realizing the logic of ‘No subject (無己)’. In addition, it is a condition that the recognition and act become consistent through the awakening of recognition to the awakening of ‘body’. ‘Becoming-parent’ is an educational theory that is transformed more intuitively and modernly, as a life and a parent that raises the life. The detailed steps are ‘Knowing-parents’ of realizing the meaning of life, ‘Viewing-parents’ of discovering the original life by confronting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Becoming-parent’ of living as a life. The objects of education are teachers, parents and pre-parents. The education in bioethics can be fully accomplished when the educator’s life itself becomes a textbook.

      • KCI등재

        생명윤리와 개신교의 종교교육-개신교 생명 윤리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송용섭 한국종교교육학회 2014 宗敎敎育學硏究 Vol.45 No.-

        본고는 학교에서 종교 교육시에 개신교의 생명윤리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하여 개신교생명 윤리학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때, 개신교내에 다양한 신학적 입장이 있음을 고려하여, 본고는 개신교적 입장을 칼빈주의 신학으로 제한하여 서술하였다. 특별히, 생명 윤리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칼빈주의신학의 주요 요소로서, 본고는 절대적 주권자로서의 하나님과, 성서의 권위와, 인간의 전적 타락과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선택 및 주장하였다. 이러한 신학에 바탕을 두어, 개신교는 성서 자체에서 생명에 대한 규범과 당위성을 발견하며, 하나님과의 관계성 속에서 자연과인간에 대한 생명의 의미와 존엄성의 근거를 깨닫게 되고,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구원사역을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게 된다. 이러한 개신교의 이해속에서 생명윤리적 이슈에 적용 가능한 보편 원리로는 십자가에서 드러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제시할 수있다. 이때, 생명 윤리적 상황에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적용시에는 해석의 다양성 문제와 보편화 과정속의 개신교의 정체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데, 이는 교회 안에서의 개인이 세상에 나아가 청지기적 삶을 살아가는 과정 속에서, 개신교 신앙과 성서에 대한 교제 속으로 세상을 초대하고 이러한 교제를 지속적으로 이어감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대안을 발견할 수 있을것이다. 이를 위하여, 개신교의 생명 윤리 교육은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신교 생명윤리적 교육 목적을 보다 명확히 설정하고, 그 목적에 따르는 효과적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신교 생명윤리 교육은 학교 현장의 학생들 뿐만 아니라, 세속적이고 물질적 가치관에 의해생명 경시풍조가 만연하게 된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