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식민주의의 혼성적 정체성과 교회윤리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3 현상과 인식 Vol.27 No.4

        Korean Christianity has always been thought of as a parr of Western<br/> subjects. However, the discussion of post-colonialism leads us to de-construct the colonialist narrative in Korean Christianity and enable us to delineate what Korean Christianity must be.<br/>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Korean Church's colonial and post-colonial experiences, exploring alternative narratives of Korean Christianity and its identity. By especially taking note of the colonial experience of power, 1 hope to analyze Korean Church's fragments and inter-conneCtions with colonialism, questioning the very dichotomy of self and other, memory and ob<br/> livion, desire for power and exclusion of power, and suggesting a third space that highlights the prophetic narrative of Korean Christianity.<br/> The prophetic voice of faith may challenge all human institutions and ideologies with the unceasing demands of the divinity upon our morral relativity. Given the changing complexities of the current Korean Christianity, the prophetic voice can be most welcome because it is able to speak with discernment about the nature of post-colonial experiences of Korean Christianity.<br/>

      • 어거스틴의 부활사상과 기독교윤리

        유경동(Kyoung-Dong Yoo)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1

        In the history of the Christianity, the theme of ‘resurrection,’ due to its connection to the death of Jesus Christ on the cross, that is, the revelation of God the Trinity, is understood as the core element of Christian faith. Various ethical viewpoints have been formed regarding the resurrection. To an individual, resurrection is the end-goal of faith but it also carries communal characteristics since it’s related to the advent of the ‘Kingdom of God.’ The author became interested on the theory resurrection by Augustine from the Christian ethics’ standpoi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although Augustine didn’t possess imminent eschatological viewpoint, he ultimately viewed resurrection as the end-goal of all believers forming ethical principles allowing one to live a life that befits resurrection. Secondly, various themes covered by Augustine which are related to resurrection are not limited to personal dimensions but extends to form communal principles, providing public theological motif which the modern christian ethics seeks. Thirdly, the theory of revival by Augustine progresses to re-illuminate the God’s created universe and presents outstanding spiritual insight on the ecological civilization that is being destroyed nowadays. Therefore the author will emphasize, through the works of Augustine with ‘The City of God’ at the center,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s the model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towards the judgement,’ ‘resurrection as the completion of the faith,’ that demands human’s responsible actions, ‘the resurrection towards the order of creation,’ that values ecosystems, and ‘the sign of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현대 문명의 운명과 라인홀드 니버의 문명론

        유경동(Yoo, Kyoung-D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3

        현재 인류가 겪는 코로나19의 문제는 문명의 위기와 다름이 없다고 하면 과언일까? 이 사안에 대한 책임을 놓고 세계는 새로운 냉전체제로 돌입하고 있으며 국가마다 국경의 빗장을 걸어 잠그고 민족주의로 회귀하고 있다. 과학은 중상주의와 결탁하여 인류의 생존을 위한 백신의 개발은 ‘약의 세계화’를 기치로 인간의 생명을 약값으로 저울질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차치하고서라도 지구 곳곳에는 값싼 노동력을 찾아 전전하는 이주노동자들과 해상에서 방황하는 난민들 그리고 끊임없는 국경충돌과 종교 분쟁의 사안들이 넘쳐나고 있다. 필자는 위와 같은 상황이 제기하는 문제를 문명론의 차원에서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 신학으로 재조명하고자 한다. 니버는 1, 2차 세계대전의 참상을 보았으며, 디트로이트에서 경험하였던 비인간적인 노동의 현실에 마주하여 인간의 문명에 대하여 고심하였던 대표적인 기독교윤리학자이다. 니버의 시대에 문명의 위기와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문명의 위기와 내용은 다르지만, 그 근본적인 질문은 같다고 본다. 산업화와 비인간화의 문제에 대한 바람직한 공동체에 대한 비전을 그렸던 니버는 인간의 본성과 권력의 속성에 관하여 깊이 탐구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세계-내 문제에 대하여 회피하지 않고 기독교의 공공신학적 기반을 위한 예언자적인 담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니버의 정치 신학적인 이론들이 현대 문명의 운명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비전과 책임을 새롭게 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Is it an exaggeration to claim that the human civilization is standing on trial due to the issues of COVID-19? Perhaps we can say that it is fortunate if we examine ourselves through this situation as the ‘normal,’ which humans regarded as daily lives, has stoppe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is rampaging across the global communities like a tsunami regardless of borders, politics, and the economy. COVID-19, which was first treated as the common flu, has now infected nearly 10 million people worldwide, causing 500,000 deaths, and the end is yet to be seen. The US and China, are playing a blame game of the East and the West on the cause of COVID-19 and is entering the new cold war system, and the EU, which had once called for the union of the European nations, asserting nationalism, is closing their borders as if that calling had never happened. It is questionable as to, how helpful the rosy future promises offer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were in making vaccines for the COVID-19. Until now, Niebuhr’s theories were mostly researched from the political realism’s viewpoint, but the sub-themes which the author will discuss in the paper are Niebuhr’s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the power, based on the framework 20th-century civilization theory, which humans become obsessed with it and relate to, and the mission of the Christian community. Niebuhr ha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industrial civilizations and took a firm position regarding the desire for power that works within that system and the responsible ethics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at can overcome it. Hopefully, Niebuhr’s insights will act as a guide to overcoming the crisis of civilization that we experience in the age of COVID-19.

      • KCI등재

        뇌기능과 뇌의식의 문제를 극복하는 윤리적 공동체 연구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6 No.-

        이 글은 뇌과학의 최근 연구에서 인간의식과 뇌기능에 관계된 이론을 소개하며 아울러 그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는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관점에서 세 가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뇌과학에서 정의하는 인간의식에 대하여 살펴보고, 특히 ‘뇌의 기능과 의식’의 문제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뇌기능은 뇌의 특정부위에 있는 신경세포의 역할이고, 의식은 이 기능을 통하여 수행되는 인지적 능력이다. 그러나 현대 뇌과학의 발견에 따르면, 뇌기능과 의식 사이에 수행되는 인간의 사고와 판단이 정상적이지 않을 때가 많다. 기능과 의식이 과연 일치하는지, 또는 기능의 상실과 의식의 상실로 말미암아 윤리적으로 어떤 문제가 제기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윤리적 행위에 대한 책임과 그 한계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둘째, 인간의 의식과 기능에 문제가 생길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공동체성과 뇌의 사회성에 대하여 논지를 전개하겠다. 셋째, 뇌과학의 관점에서 의식과 기능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과제가 무엇인지 대안을 제시하고, ‘집합의식’의 역할과 교회공동체의 책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뇌기능과 의식의 연구가 관련 학제에서도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필자의 관심은 뇌기능과 의식을 도덕적 범주에서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즉 뇌의 기능에 따른 의식의 역할을 검토하고 그리고 의식에 따른 인간의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기능과 의식 사이의 일치 또는 불일치의 문제를 분석하여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우리는 최소한 인간의 행위를 자신의 주관적인 의식적 차원에서 상대방의 행위를 도덕적으로 판단하지 않고, 행위를 유발하는 뇌기능의 문제와 이를 해석하는 공동체주의 관점까지 접근함으로써 인간의 도덕적 행위와 윤리적 원리를 보다 통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본다. Age related problems in brain function call our attention to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The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brain function has been a heated issue because they imply our understanding of reality, self and the world. In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and comparison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consciousness, such issues as cognitive function, memory, consciousness, self, and various syndromes in relation to brain injury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ethics and responsibility in the context of brain science. After review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the brain and collective memory needs to be shared to create a sense of ethical community. To achieve this goal, Christian communitie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standard of the public and Christian ethics.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변증법과 기독교 공동체 윤리

        유경동(YOO, Kyoung-D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5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변증법’은 역사적으로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한 문명의 위기,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 대결, 신학적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그리고 르네상스와 이성주의에 맞선 신중심주의적 기독교 세계관의 틈바구니에서 형성된 신학적 사조이다. 이론적으로는 독일의 관념론에 기초한 헤겔식의 ‘변증법’을 비판하면서 현실적으로는 상대적인 정의(Justice)인 공산주의 체제와 민주주의 체제의 한계를 지적하고 신학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한 절대적인 하나님의 사랑을 기독교 변증법의 원리로 삼고 그 외 이론과 체제를 상대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예언자적 담론’을 니버는 전개한다. ‘기독교 변증법’은 현시대에도 여전히 기독교 신학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필자는 파악한다. 특히 니버의 신학은 칼 바르트와 그 궤를 같이하면서도 예언자적 지평에서 기독교 공동체성을 더 강조함으로써 공공영역에서 기독교의 영향력이 점점 주변화되는 현실 기독교의 문제에 대하여 재 정향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여 줄 수 있다고 필자는 이해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니버의 변증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것은 각각 니버의 ‘변증법 비판’, ‘기독교 변증법’, 그리고 ‘공동체 윤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니버의 기독교 윤리적 관점을 다시 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hristian dialectic is a concept named from the movement of reorienting the theological directio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re is a limit to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human reason. In particular, the acute insight provided by the Christian dialectic that claimed German Idealism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s are not coincidences, not only adduced new views of faith regarding the existence of God, finiteness of human beings, and the significance of history, but also surfaced as a th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destiny encountered by humans in despair and is continued by scholars such as Karl Barth, Dietrich Bonhoeffer, Reinhold Niebuhr, and Stanley Hauerwas, in Christian Ethics. The author comprehends that ‘Christian dialectics’ can still be an alternative within Christian theology in the current age. Specifically, the author observes that the theology of Reinhold Niebuhr, while it is in line with Karl Barth, emphasizes more the communal character of Christianit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a reorientation regarding the real Christian issue of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becoming increasingly marginalized in the public sphere. Until now, the research on Reinhold Niebuhr were approached from political theology, based on the ‘realism’ perspective that commented on the nature of power and human limits, but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discussion,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Christian communal ethics emphasized by Niebuhr theology would be examined. Overall, the author attempts to analyze the dialectics of Reinhold Niebuhr from three perspectives in this paper. They are about Niebuhr’s ‘criticism on dialectics,’ ‘Christian dialectics,’ and ‘community ethics.’

      • KCI등재

        자유의지론과 기독교윤리

        유경동(Kyoung Dong Yo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6 신학논단 Vol.85 No.-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Augustine, Thomas Aquinas and Martin Luther, raising questions on the nature of ‘free will’ in relation to Christian Ethics. Augustine’s view on human free will is related to his theology of original sin. Humans have original sin as well as free will, so humans cannot avoid the evil reality with only the free will. Original sin distorts human will and because of it, humans inevitably face corruption and sufferings. Since human will is only free to commit sin, humans have to unite with God through divine gra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in and evil. On the other hand, Aquinas, following Aristotle, defines free will as the human nature. Humans can pursue good goals with their rational freedom and possess potentials to head towards God’s will. Aquinas postulates that human free will is the inner moral criterion for discerning right and wrong, which allows humans potentials for moral virtues. Martin Luther, among the three theologians, has the most limited and negative view on human free will. Humans are totally corrupted and, thus, only by God’s grace they can have justification. Luther insists that, if humans have free will in terms of soteriology, the atonement of the Cross is meaningless. Therefore, Luther considers human free will is only limited to freedom of committing sin. After reviewing the related issues briefly, this paper ends with the importance of Christian classic notions of free will in cultivating a sense of morality in the world where Christian ethics is called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we face today.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Augustine, Thomas Aquinas and Martin Luther, raising questions on the nature of ‘free will’ in relation to Christian Ethics. Augustine’s view on human free will is related to his theology of original sin. Humans have original sin as well as free will, so humans cannot avoid the evil reality with only the free will. Original sin distorts human will and because of it, humans inevitably face corruption and sufferings. Since human will is only free to commit sin, humans have to unite with God through divine gra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in and evil. On the other hand, Aquinas, following Aristotle, defines free will as the human nature. Humans can pursue good goals with their rational freedom and possess potentials to head towards God’s will. Aquinas postulates that human free will is the inner moral criterion for discerning right and wrong, which allows humans potentials for moral virtues. Martin Luther, among the three theologians, has the most limited and negative view on human free will. Humans are totally corrupted and, thus, only by God’s grace they can have justification. Luther insists that, if humans have free will in terms of soteriology, the atonement of the Cross is meaningless. Therefore, Luther considers human free will is only limited to freedom of committing sin. After reviewing the related issues briefly, this paper ends with the importance of Christian classic notions of free will in cultivating a sense of morality in the world where Christian ethics is called to respond to the challenges we face today.

      • KCI등재

        뇌 과학에서의 자아와 신학적 자아

        유경동(Kyoung?Dong Yoo)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필자는 이 글에서 세 가지 논지를 발전시킨다. 첫째, 자아개념에 대한 뇌 과학의 이론들을 분석하여 자아와 연관된 뇌 과학의 관점은 세 가지 견해를 정리하였다. 그것은 각각 생물학적 차원에서 뉴런과 같은 뇌세포와 중추신경계통의 작용으로 보는 뇌신경적 관점, 이러한 뇌의 생물학적 작동 때문에 형성되는 뇌의식과 인지작용, 그리고 뇌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의 주위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뇌의 사회화 관점에서 보는 입장이다. 둘째,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에게는 현대 뇌 과학과 같은 학문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지만, 신학적으로 신앙에 있어서 자아의 역할에 관한 탐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자아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정리하였다. 어거스틴에게 자아개념은 이분법적인 관점에서 죄악에 사로잡혀 있는 자아와 주의 은혜로부터 회복된 자아개념으로 나뉘며, 회복된 자아는 하나님의 사랑이 계시된 진리의 말씀에 사로잡히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순종하는 참된 자유의 세계에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진정한 자아는 감각의 세계를 통제하며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을 살게 되고 눈이나 감각 그리고 잘못된 의지를 통하여 영향을 받는 욕망을 제어하고 항상 거룩한 삶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자아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심을 입은 자아를 새롭게 인식하여 이 내적 자아는 비록 육체의 한계를 극복할 수는 없지만 온전한 하나님의 피조물로 살아가는 삶을 최고의 가치로 여긴다. 아퀴나스에게 자아는 인간이 추구하는 행복을 목표로 하면서도 인식의 주체성을 확보하고 자율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행복이나 인식 그리고 자율성의 최고 원리가 되는 하나님을 전제함으로써 자아는 하나님의 선행적 원리 안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 언뜻 아퀴나스의 자아는 인간 이성의 독립성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강조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하나님 안에서의 이성과 자율성이 강조된다. 셋째, 뇌 과학의 자아개념과 고전의 신학적 자아개념과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뇌 과학의 뇌 결정론적 관점을 극복할 수 있는 신학적 대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현대 뇌 과학에서 밝히는 자아의 개념을 통하여 인간의 의식과 자율성, 그리고 의지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날로 정교화되어 가지만 여전히 생물학적 인과율에 제한되어 있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한편, 기독교적 관점에서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영혼과 자유의지는 과학적 관점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어거스틴과 아퀴나스가 설명하려고 한 자아개념을 통하여 뇌 과학과 신학 간에 통섭의 길을 열어놓을 수 있다고 본다. 이는 또한 인간의 책임과 자율성을 탐구하는 윤리학을 생물학적 인과율에 의존하지 않고 더욱 심오한 종교성의 발로에서 찾으려는 신학적 노력도 동시에 요청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인간성의 이해가 깊어지며 육체의 욕망을 넘어 보다 깊은 인간성의 성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e remarkable development in neuro–science calls our attention not only to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but also to the understanding of self. In the discussion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idea of self in brain science and theology, traditional theologians such as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are introduced to explore their understanding of self in relation to God and the Bible. Augustine’s theory of self is based on his notion of body–soul dualism and free will. Augustine places human self into soul, not body. For Augustine, human self is the principal agent in the control of both desire and perception. As the supervisor of perception, human self controls human sense, cognition, and thought. With regard to its perceptive ability, Augustine states that human soul reflects the trinity of God. Augustine also states that the human soul is limited. As the controller of desire, the human soul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human’s limited free will. Through human’s individual being, knowing, and will, the human soul can be corrupted. However, Aquinas presents a very different view on human self. While Augustine considers human self as being totally distinguished from body, and only belonging to the soul, Aquinas argues human soul cannot be explained by either soul or body. Aquinas regards human self as the combination of body and soul. For Aquinas, human self is the principal agent of free will. Human self with free will pursues the ultimate goal and has the abilities of rational judgment and decision–making. In this respect, Aquinas’s theory of human self shows a more positive attitude to human self than Augustine. After reviewing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self is deeper than that of brain science regarding the human subjectivity and the free will in relation to God’s purpose to recover the image of God in human being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앙과 과학 그리고 라인홀드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

        유경동(Kyoung-Dong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9

        이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과학과 신앙의 관계에 집중하고자 한다. 과학과 종교적 가치에 대한 충돌을 염두에 두는 것은 아니지만,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과학에 대한 기독교의 관점을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의 신학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니버의 관점을 재조명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째, 니버는 현대 과학에 대하여 거리를 두고 지나친 낙관론을 금하였다. 이는 계몽주의적 이성에 대한 과도한 맹신을 경계하고, 종교의 근본적 가치에 대하여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니버는 과학과의 거리 두기를 통하여 종교가 추구하여야 할 근원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분명히 하였다. 과학과 종교가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이지 분명하게 할 뿐만이 아니라, 당시 자유주의나 근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과학의 시대에 종교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하였다. 셋째, 니버는 기독교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공공 신학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니버 당시 과학 정치와 같은 개념은 없었지만, 니버의 사상에는 과학이 공공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그 실마리를 제시하였다고 본다. 이와 같은 니버의 통찰력은 이 시대 기독교가 코로나19를 놓고 어떻게 과학을 이해하여야 할지 신학적인 방향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 논문의 한계는 니버의 신학에서 그가 이해한 과학의 문제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니버 신학의 중심인 인간과 도덕의 문제, 정치 윤리, 사랑과 정의, 기독교의 공공성, 신학의 비전, 그리고 니버식의 기독교 변증법에 대한 이론들은 세세하게 다루지 못하였다. 다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과학과 종교와의 관계를 니버식의 관점에서 조명한다는 점을 밝힌다. This paper will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faith in the post-corona age. The collis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us values is not the focus, but the author will attempt to examine Christianity’s viewpoint on science through the theology of Reinhold Niebuhr. The perspective of Niebuhr is re-examined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Niebuhr kept a distance from modern science and forbade overly optimistic views. This was done to practice caution against having excessive faith in Enlightenment reason and to emphasize the fundamental values of religion. Second, Niebuhr made clear which fundamental goals religion must pursue while keeping a distance from science. Not only did he clarify the purpose of science and religion, but he also help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liberalism and fundamentalism. Third, Niebuhr provided the beginnings of a public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realism. There was no concept of science politics in Niebuhr’s time but Niebuhr’s perspective provided a key for understanding the role that science should play in the public domain. Such insights in Niebuhr’s thought can be expected to provide theological direction on how contemporary Christianity may approach science amid the COVID-19 pandemic. This paper’s limit is that it is concentrated on the issue of science as understood by Niebuhr in his theology, and therefore, issue of man and morality, political ethics, love and justice, public nature of Christianity, the vision of theology and Niebuhr’s theories on Christian dialectic which are the center of his theology, were not discussed in detail. It mere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the post corona era from Niebuhr’s perspective.

      • KCI등재

        라인홀드 니버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 민주주의의 정체성과 기독교의 역할

        유경동(Kyoung-Dong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인류 사회가 염원하는 정의와 평등 그리고 평화를 성취하기 위하여 역사가 발전 중이라고 하면 ‘낭만주의’라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그렇다고 ‘권력의 의지’로 점철된 분쟁의 역사라는 어두운 면만 부각하자니 ‘비관주의자’가 될 것이고, 이 모든 것을 넘어서는 어떤 초월적 역사에 대한 희망을 품으면, 그는 ‘이상주의자’ 임에 틀림이 없다. 어떻게 보면 인류의 역사는 일종의 파노라마처럼 희망과 절망, 자유와 억압, 전쟁과 평화, 그리고 이성과 신앙 사이에 끊임없이 펼쳐지는 드라마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서구 역사를 보면 민주주의도 이런 맥락에서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의 사조를 통하여 인간의 이성과 자유 그리고 무엇보다도 계급 간의 갈등을 극복하려고 한 현 인류 사회의 정치적 개념임에는 틀림이 없다.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하여 인류 사회의 참상을 경험한 국제 사회의 갈등에서 꽃을 피운 서구의 민주주의는 나름대로 정치적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자리매김을 하는 모양새다. 무엇보다도 삼권 분립을 통한 권력과 경제의 분배에 그 목표를 둔 민주주의는 비록 완전하지는 않지만, 자유를 신장하는 인권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민주주의 국가라는 서구 사회의 정치적 상황이 녹록지 않고, 인간 정신의 세계화가 아닌 상품의 세계화로 그 의미가 퇴색한 ‘세계화’의 틈 사이에 ‘국제 금융 자본’의 무차별적인 공격은 국제 사회를 보호 무역주의로 전환하게 하고 있고, 신 냉전 체제의 미국과 중국의 대결 양상은 전 세계를 군비 경쟁의 시장으로 몰아넣고 있다. 이와 같은 정치적인 사안을 염두에 두고 이 논문은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가 성찰한 민주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라인홀드 니버는 정치적 현실주의의 학문적 맥락에서 민주주의 안에 작동하는 권력의 속성을 깊이 분석하고 민주주의의 한계와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아울러 기독교의 역할에 대하여 분명한 견해를 밝히고 있었다. 특히 기독교 정치 윤리의 관점에서 니버가 제시한 예언자적인 성찰은 민주주의 이면에 있는 허구와 실상을 낱낱이 파헤치고, 기독교가 취하여야 할 공공 영역에서의 사명에 대하여 그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준다고 본다. A person will be regarded as ‘romanticist,’ if that person claims history is developing to achieve justice, equality, and peace for which human society so craves. However, if the person stresses the dark facet of the history of conflict, bruised with the ‘will for power,’ he will be labelled a ‘pessimist,’ while a person hopes for transcendent work in history, he will be regarded as an ‘idealist.’ In a sense, history can be regarded as a panoramic drama of hope and despair, freedom and suppression, and reason and faith. With such international political issues in mind, this paper will examine the democracy contemplated by Reinhold Niebuhr. Reinhold Niebuhr deeply analyzed the attributes of power working in democracy in the academic context of political realism and gives a clear opinion on the role of Christianity. The prophetic refl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political ethics by Niebuhr, will expose fiction and facts existing in the background of democracy, and propose direction in which Christianity must take in the public domain.

      • 인공지능과 기독교윤리: 신학과 인공지능 연구와의 대화

        유경동(Kyoung-dong Yoo)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5

        최근 인공지능 연구는 지적 주체인 인간의 다양한 영역을 인공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넘어, 인간의 정신을 정보의 형태로 변환하거나 정보를 인간의 생체적이고 물리적인 형태로 재현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인공지능 분석을 통하여 인간론을 중시하는 신학과의 대화적 모델로서 앞의 네 가지 유형론을 제시하는 본 글은 나름 유의미하다고 본다. 필자가 인공지능과의 간학문적 유형론에서 설명하는 ‘독립’, ‘상충’, ‘대화’, 그리고 ‘통합유형’에서 ‘대화유형’은 인공지능 연구에 있어서 신학적이며 철학적인 통찰을 요구하며, 각각 학문적 영역을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간 정신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공동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인공지능과 인간지능의 메커니즘 상의 상관관계를 긍정적으로 파악하며, 양자 공히 기계적 유한성과 실존적 유한성의 특질을 가진다고 본다. 따라서 인공지능의 발전에 맞추어 인간지능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모형론 개발을 도모하여 인간의 창의성 개발에 인공지능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인간의 덕 윤리의 신장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이 대화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들은 인공지능에 대한 두려움이나 혹은 기대와 같은 양가적인 감정을 넘어서 적극적으로 인공지능 연구가 인간과 공동체에 미칠 영향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공지능을 통하여 인간성의 개발과 덕 윤리의 신장을 도모하고 나아가 인간의 존재론을 항상 염두에두는 바람직한 인공지능 연구 윤리를 확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지능은 ‘세계 위기 기구’에서도 밝혔듯이 지구적인 위험 요인이다. 지구 멸망의 가능성이 초지능에게 있다고 한다면, 그 일차적인 책임은 과학집단에 있으며, 그리고 동반책임은 그 공동체를 관리 감독하는 국가에게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위험을 전가하지 않으면서도 과학집단의 주체가 인간 연구자들임을 감안하여 신학공동체는 과학연구자들과의 지속적인 대화를 하여야 할 것이다. 전인간적 신앙교육과 인간 인지의 개발에 대한 책임이 교회와 신학 공동체에도 있음을 직시하고, 과학 공동체와 공공영역에서 협력을 기대한다. Research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going beyond the field of engineering, is emerging to be a very important subject in theology as well. With the ontological research of the idea of God’s image, a traditionally important subject in theology, and on the idea of human image given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t its forefront, autonomy, will, moral, respon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ssues of law are now all relevant. The author will endeavor to divide the recent researches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four topics of independence, conflict, dialogue, integration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lience between the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heories of the english speaking researchers will be categorized in order to establish a bridgehead for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of researches related to the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 hope that follow-up studies will develop. Since this article, with the interest on the aforementioned typologies, takes macroscopic approach tow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ology, a limit to the depth of presentation for each researcher’s research exists, and hopes to analyze with more microscopic topics later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