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위험군 학생들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연구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김유미,유혜경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 data for practical use of counseling programs in the fields by investigation of the intervention ways about school adaptability of collegians based on the effects of adaptability improvement by the counseling programs. The counseling program had been provided to two groups of college freshmen in Daejeon, one of which is classified as a high risk group of 93 students, a score of 70 points or more by MMPI-II test, recommended by their department among 430 students of those class, and the other is a regular group of 156 students. The test was applied to a total number of 2,782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a personal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Reality Therapy(RT) theory had been provided and in the 2nd semester, 3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selected 36 students among the high risk group had been implemented and 24 peer counsellors helped to improve their adaptability over school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college record of those students with counseling service showed higher one than students of no such service.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erms of record in the high-risk group students with counseling program against the non-counselling students in the same group.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continued enrollment rate depending on the counseling program. That is, the enrollment rate of department which utilized the counsel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tatistically than b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existence of college counseling centers though only 53% of colleges established those counseling centers and to show the necessity of active counseling programs and their effect over school adaptability improvement. Afterwards intensive research with more specified and classified variables, such as mediator variables and predictive variables over the college adaptability by students have to be made further, and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of diverse counselling programs customized to each college's environment with specific demands is to be promoted.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아 대학생들의 학교 적응력에 대한 개입 방안을 탐색해보고, 상담 프로그램이 학교의 상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전문대학 1학년 신입생 2782명을 대상으로 인성검사인 MMPI-2검사를 실시하여 심리적 건강지수가 낮은 고위험군인 임상척도 70점 이상 430명중 학과에서 의뢰하여 상담센터를 방문한 93명과 일반학생(중, 저위험군) 156명을 대상으로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학기에는 현실요법이론을 적용한 개인상담을 실시하고, 2학기에는 상담받은 고위험군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폐쇄형 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또래상담자 24명을 양성하여 학교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상담을 받은 학생은 상담을 받지 않은 학생보다 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MPI-2 인성검사 결과 고위험군 학생들 중 상담을 받은 학생이 상담을 받지않은 학생들보다 성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상담여부에 따른 재학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을 받은 학과의 재학률이 상담을 받기전보다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53%에 불과한 낮은 전문대학 상담기관의 존재의의와 가치를 규명하고 학생들에게 다가가는 보다 적극적인 상담활동의 필요성과 학교적응의 효과성을 밝힌 점이다. 앞으로 대학생들의 학교적응에 관한 예언변인, 매개변인등 변인을 세분화하여 보다 입체적인 연구와 학교상황에 맞는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입이 촉진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챗봇의 상담 활용 사례 분석 및 학교 상담용 챗봇 개발

        이재용,이시훈,권정현,최준섭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2 초등상담연구 Vol.21 No.3

        인공지능은 우리 삶 속에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영역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연구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상담 영역에서 인공지능 기반 상담 챗봇 개발 및 활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학교상담의 개념과 특성, 인공지능 챗봇의 발전과정 및 인공지능 챗봇과 상담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인공지능 챗봇 사례, 인공지능 챗봇 개발 플랫폼, 인공지능형 상담 챗봇 사례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상담 지원 챗봇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상담 챗봇은 향후 아동의 건강한 심리정서 발달을 도모할 수 있고, 기존 상담 서비스가 가진 제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학교 상담용 챗봇은 다가올 미래의 학교상담 분야에서 아동의 심리정서 발달/지원을 위한 대안적 시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ing used in many ways in our lives, and its field is gradually expanding.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ca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it is possible to explore educational and counseling methods of AI-based chatbot application. To study thi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counsel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AI chatbo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I chatbots and counseling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ca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development platform,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ing chatbot case were presented, and based on this, a plan to develop a chatbot supporting school counseling was proposed. Considering tha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unseling chatbots can promote the health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future and effective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ounseling services, chatbots for school counseling can be used in the future school counseling field. It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attempt for psycho-emotional development/suppor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현대 상담심리학에서 본 중아함경에 나타난 붓다의 교화 사례 연구: 상담 과정, 호소 문제, 상담 기법을 중심으로

        권경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4

        본 연구는 불경에 나타난 붓다의 교화사례를 현대 상담심리학적 측면에서 조망하고 그 의의와 시사점을 찾는 노력의 하나로, 중아함경에 수록된 60권 222경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중아함경에 나타난 붓다의 상담 과정, 호소 문제, 상담 기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었다. 첫째, 상담 과정을 살펴보면 붓다는 전문적 거리를 두지 않고 언제 어디에서나 상담을 했다. 또한 현대 상담의 목적인 심리적 고통의 개선, 생활과제 해결, 인간적 성장은 물론 궁극에는 깨달음을 이루어 생사의 문제에서 해탈하는 것이 붓다가 추구한 최종 목적이었다. 둘째, 내담자의 호소 문제는 오늘날과 같은 심리적 문제나 생활 부적응 등의 사례보다 붓다의 가르침인 교리나 수행에 대한 문답이 많았다. 셋째, 상담 기법으로는 지지와 격려, 질문, 비유, 게송, 위의감화, 모델링, 자원 활용, 희망주기, 침묵, 훈계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돼 내담자의 수준에 맞춘 대기설법으로 이루어졌다. 중아함경을 통해 본 붓다의 교화 사례는 다양한 기법과 상담자 붓다의 위대한 면모, 인간의 모든 고통에서 완전히 해탈한다는 궁극의 목적과 구체적인 수행법 등으로 현대 심리상담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Buddha’s teaching cases in terms of modern counseling psychology by analyzing 60 volumes and 222 scriptures of Majjhima-Nikāya. Buddha's counseling processes, complaints, and counseling skills shown in the Majjhima-Nikāya exhibited following features. First, a look at Buddha's counseling processes suggests that he counseled anytime, anywhere, rather than keep professional distance. In addition, Buddha's ultimate goal was to assist counselees to be relieved from problems of birth and death through achieving enlightenment. Second, the issues brought by counselees were more about Buddha's doctrines and discipline than psychological problems or social maladjustment. Third, Buddha employed various counseling techniques such as supporting, encouraging, asking diverse questions, metaphor, chanting, imposing influence, modeling, utilizing resources, giving hopes, keeping silence and lecturing, depending on levels of counselees.

      • KCI등재

        초심상담자의 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화상상담 경험 전과 후

        유주희,정혜정,연규진,허자영,김예은,최중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novice counselo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VCP) before and after their VCP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en novice counselo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ho were training at a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were interview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domains and 12 categories emerged from the participants’ prior perceptions of VCP. From the participants’ VCP experience, two domains, seven sub domains and 20 categories were derived. Prior to their experience, the participants reported a vague aversion to VCP, and they were concerned about technical issues and difficulties concentrating on the counseling. Participants reported various difficulties in conducting VCP in the early stages and a decrease in efficacy as a counselor. However, participants gradually adapted to VCP, and recognized its beneifts as they became accustomed to using and operating VCP devices and platforms. Even though they had adapted to video counseling,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re were times when they preferred face-to-face counseling. The study’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cent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화상상담 실시 전후의 화상상담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상담경력 3년 이하의 대학상담기관에서 수련 중인 초심상담자 10명을 인터뷰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가자의 화상상담 경험 전 인식에서는 3개의 영역과 12개의 범주가, 화상상담 실시 후 화상상담 경험에서는 2개의 영역에서 7개의 하위영역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 실시 전 화상상담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가졌고, 기술적 문제와 상담 집중의 어려움 등을 걱정하였다. 둘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 전환 초기 화상상담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상담자로서의 효능감 저하를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 기기와 플랫폼 사용 및 조작에 익숙해지며 화상상담에 점차 적응하고, 화상상담의 장점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참가자들은 화상상담에 적응하였어도 대면상담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상담수련기관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개입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노인보호전문기관을 중심으로

        강선경,이춘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itive factors for social welfare counselors to overcome the dilemma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secure academic basic data, to set a direction for social welfare counselors to promote counseling intervention efficiency, and to establish a practical foundation for social welfare counseling education. would like to provi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managers with experience in counseling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at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elder protection, and an exploratory case study method was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essential themes and 16 revealed themes were derived: clash of values ​​and reality: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lack of counseling intervention ability: metamorphosis, seeking the need for professional counseling intervention work. second, in the narratives of the social welfare counselors at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the protection of the elderly, it was possible to find respect for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efforts to align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with their own liv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values,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 of counseling practic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roles and functions, as they try to maintain consistency that is not different from the values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their lives. This study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direction necessary to nurture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counseling practice where the demand for experts is rapidly increasing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as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상담원들이 상담 개입의 딜레마와 그것을 극복하는 긍정적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학문적 기초자료 확보와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 개입업무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방향 설정 및 사회복지상담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 사회복지상담개입업무와 슈퍼비전 수행 경력을 가진 관리자급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탐색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치와 현실의 충돌을 사회복지 실천 가치로, 상담개입 능력 부족을 환골탈태로 극복하며 상담개입 업무 전문성을 위한 필요 모색이라는 3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드러난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노인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상담원들의 내러티브에서 생명존엄, 노인의 삶에 대한 존중과 함께 사회복지 실천 가치를 자신의 삶과 합치하려는 노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자신의 생활에서 사회복지 실천 가치와 다르지 않은 일관성을 유지하려 노력하므로, 상담실천의 주요소 중 하나인 가치의 문제가 역할과 기능의 수행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사회복지상담원의 상담실천에 대한 기본 가치와 기술의 융합적 통합으로 다양한 상담 교육의 기회 부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급격히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사회복지상담실천 영역에서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교육내용과 방향이 제시되었다는데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함의가 있다.

      • 소설에 나타난 집단상담 분석: 조경란 작가의 ‘사소한 날들의 기록’을 대상으로

        김원중(Won-joong Kim)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1

        이 논문에서는 집단상담을 소재로 한 소설을 분석하였다. 소설 속의 집단상담 리더는 상담심리학 교수인데 집단원들에게 말로는 자발적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강제로 자기공개를 하게 한다. 집단원들은 부담스러워하고, 집단원들의 관계는 친밀해지기는커녕 어색하고 불편해진다. 자기공개를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 간에는 갈등이 일어난다. 집단상담 집단원 중 한 명인 소설 속 화자는 이 집단상담을 낯설고 비현실적이며 작위적인 게임이라고 생각하면서, 그 효과가 실제 생활에서도 지속될까 의심한다. 연구자는 분석의 준거로 자기공개의 정의와 순기능 및 역기능을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소설 속 집단상담 리더와 집단원의 관계, 집단원들의 자기공개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설 속 집단상담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원인을 한국 집단상담 대가들의 면담 내용을 통해 추론하였다. 끝으로 집단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자기공개의 후속연구를 제언하였으며, 상담가가 되려는 상담학도들에게 위험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조언하였다. In this paper, group counseling in a novel was analyzed. The leader who is a professor of counseling psychology forces group members to open themselves up. Self-disclosure is voluntary in words but compulsory in practice. Group members feel burden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members becomes awkward and uncomfortable rather than intimat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ose who disclose their past and those who do not. The narrator in the novel, one of the participants in the group, considers the group counseling a strange, unrealistic and contrived game, and doubts that the effect will continue in real life. As the criteria of analys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efiniti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self-disclosure through theory and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leader and group members in the novel, the process and content of group members’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various problems, and the cause was inferred through the interview contents of Korean group counseling masters. In conclusion, a metho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earches of self-disclosure were suggested, and persons who wanted to become counselors were advised how to avoid risks.

      • KCI등재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계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2 청소년상담연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 explore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peer counseling,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b) to suggest ways for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peer counseling more actively. For this purpose, 11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a peer counselors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and who had conducted peer counseling, were recruited for in-depth interviews. From the interview data, 107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emerged.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paradigm model was ‘establishment and increase of the role of peer counselors’, Causal conditions included ‘continuity of peer counseling during middle and late adolescents’, ‘pursuit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rofessional counseling’, and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choic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limitations in the application of counseling’, ‘discomfort in the initial relationship-building stage’, and ‘burden of time investment’.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positive role of peer counseling’, ‘self-esteem as a peer counselor’, ‘excitment in presenting solutions’. ‘establishment as a paraprofessional’, and ‘interest and support from school’.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listening with acceptance and respect’, ‘empathy and comfort only peers can find’, ‘structured counseling’, and ‘clinical education and training’. Consequences included ‘holistic change and growth’, ‘altruistic volunteer activities’, ‘expansion of human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and growth as peer counselors’. Course analysis showed four stages: ‘self-awareness’, ‘I and You’, ‘selfless caring’, and ‘social service’. Core category was ‘peer counselors who grow up and develop by caring for each other with altruistic lo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one of a few qualitative studies that explored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 peer counselors and that it suggested strategies for peer counseling to be settled and operated more actively in univers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 경험을 근거이론 연구 방법에 의하여 알아보고 대학생 또래상담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또래상담자 양성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또래상담 활동 경험이 있는 11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7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또래상담자의 역할 확립과 증대’이며, 인과적 조건은 ‘중기·후기청소년 또래상담의 연속성’, ‘전문상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의 추구’, ‘진로 탐색과 직업의 선택’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상담 적용에 있어서의 한계’, ‘초기 관계 형성의 어색함’, ‘활동시간 할애에 대한 부담감’으로 나타났으며, 중재적 조건은 ‘또래상담의 긍정적 역할’, ‘또래상담자로서의 자부심’, ‘해결방안 제시에 대한 기대감’, ‘준전문가로서의 정립’, ‘학교의 관심과 지원’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수용과 존중의 경청’, ‘또래만이 가능한 공감과 위로’, ‘구조화되어가는 상담’, ‘임상적 교육과 훈련’이었으며, 결과는 ‘전인적인 변화와 성장’, ‘이타적 봉사활동’, ‘인간관계의 확장’, ‘또래상담자간의 상호 발달과 성장’으로 나타났다. 과정 분석 결과는 ‘자기인식’, ‘나와 너’, ‘이타적 돌봄’, ‘사회적 봉사’의 4단계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는 ‘이타적 사랑으로 서로를 돌보며 성장하는 또래상담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또래상담자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내에서의 또래상담 활동이 정착되고 활발히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 KCI등재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

        임전옥,장성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7 No.3

        The purpor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ounselors influences counseling relationships and counseling outcomes. One hypothesized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were specified to explain the direction from the counselor's emotional intelligence to counseling outcomes rated by counselors and clients in which the counselor's rapport formation skills and working alliance rated by both participants were assumed to be mediators. The second alternative model was selected for further considerations. The final model showed that the counselor's rapport formation skills and working alliance rated by both participant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unselo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unseling outcomes rated by both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counselor's emotional intelligence exhibited a direct effect on counseling outcomes rated by counselors.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is final model could be applied to all counselor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상담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 중 상담자의 정서지능에 주목하고, 상담자의 정서지능과 상담관계 및 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인은 상담자의 정서지능, 상담자의 관계기술, 상담자와 내담자가 보고한 작업동맹, 상담자와 내담자가 보고한 상담성과였다. 상담자의 관계기술은 공감과 역전이 행동, 상담성과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각각 보고한 상담회기평가, 전반적인 상담성과, 상담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두 개의 대안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 연구모형과 대안모형1, 2를 비교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최종모형을 선정하였다. 모형분석 과정에서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의 나이, 성별, 사회적 바람직성, 성격 5요인은 통제하였다. 모형비교 결과, 대안모형2가 최종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최종모형에 의하면, 상담자의 정서지능은 상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상담자의 관계기술과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하는 작업동맹을 매개로 상담자와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성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분석 결과, 최종모형은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집단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 MTD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과 그 활용 방안

        이강옥(Kang-ok Lee) 한국불교상담학회 2022 불교상담학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MTD 프로그램이 활용하는 텍스트의 난해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각 텍스트의 성격과 본질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상담자는 좀 더 많은 시간을 들여 텍스트들을 읽고 숙지하는 일이 요긴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상담자는 불교 상담 뿐 아니라 문학치료 상담, 심리 상담, 인지치료 상담 등을 두루 공부하고 가능하다면 수행의 경험도 갖출 것을 제안했다. MTD 프로그램은 3달 전후의 상담 기간을 예상하지만 하위 회기가 삽입되는 등 상담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가 있다. 그래서 상담이 진행되면서 전체적 구도나 체계가 망각 되고 지엽에 매몰될 위험이 크다. 그래서 MTD 프로그램의 전체 체계를 설명하고, 각 회기가 전체 체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각 회기들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인지를 명료하게 설명했다. MTD 프로그램이 상담에서 원만하게 활용되기 위한 수정안을 제시했다. 특히 제7회기와 제8회기를 집중적으로 수정했다. MTD 프로그램 중 핵심 회기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덧붙였다. 제6회기 ‘생각 바꾸기와 수행’, 제8회기 ‘현실 가상 꿈 환상 성찰하기-현실은 꿈이다.’, 제10회기 ‘욕망과 삶의 본질 성찰하기’, 제11회기 ‘지금 이곳의 삶 인정하고 긍정하기’ 등에 대해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봉착할 수 있는 기타 문제점들을 검토했다. 제2회기의 과제이며 제3회기의 주된 상담 내용인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의 문제점을 검토했다. 자기서사 쓰기나 말하기 과정은 내담자의 은밀하고 불편한 삶의 내력을 노출시키는 것이기에 내담자가 느끼는 부담감이 크다.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라포가 좀더 강하게 만들어진 중반 회기 이후에 수행하는 것을 대안으로 고려해보았다. 이에 대해서는 상담자가 결정해야 할 것이다. 내담자가 자기서사 쓰기에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되면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를 뒤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내담자가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를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정해진 2회기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자기서사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좀 더 깊고 다양한 삶의 내력과 내면을 간파할 수 있어 상담을 이끄는 데 큰 힘을 얻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6회기에서, 생각하기가 내담자에게 초래하는 ‘느낌’, ‘감정’, ‘기분’의 개념을 좀 더 명료하게 정의했다. 수동적으로 지각되는 느낌과 적극적으로 구성해낸 감정과 기분을 구분했다.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느낌’을 세심히 관찰하고 포착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감정’이나 ‘기분’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하거나 어떤 ‘감정’이나 ‘기분’에 오래 머물게 하지 못하게 한다. 그래야만 현재의 ‘감정’이나 ‘기분’을 기준점으로 한 회광반조가 순조로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느낌, 감정, 기분 등에 대해 좀더 구체적인 검토하고 분류하는 것을 숙제로 삼는다. 상담 치료와 불교 수행의 통합과 분리에 대해서 검토했다. 불자가 아닌 내담자의 경우 가능한 한 불교 경전에 대한 언급이나 불교 수행 부분을 축소하거나 제외시킨다. 반면 불자이거나 불교 수행에 경험이 있고 뜻이 있는 내담자의 경우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부처님 가르침이나 불교 수행이론을 최대화하며 상담을 끌어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devise the methods that can help facilitate the MTD Progam for counseling. First,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text is provid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texts' abstruseness. Mandatory qualification for counselor is also provided. This paper proposes that counselors should spend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reading and understanding not just the texts of the MTD Program and Buddhist counseling, but also those of general counseling areas such as literary counseling therapy, psycho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Participation in medit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counselors. It is important to clearly understand the entire structure of the MTD Program, for completion of The MTD Program requires more than three months, which may cause the difficulty to keep the balance the entire structure of the Program. This paper also attempts to make a few corrections to the MTD Program. This paper presents more detailed explanations to the main sessions of the MTD Program: the sixth session of ‘change of thinking and meditation’, the eighth session of ‘contemplation of reality, imagination, dream, and illusion’, the tenth session of ‘contemplation of desire and the essence of life’, and the eleventh session of ‘accepting life as it is’. This paper also points at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its solutions. For instance, In the third session of ‘writing and reading self-narrative’, the client might feel uncomfortable in disclosing his secretive life experiences. The counseling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if this session is postponed to the latter part of the counseling after the rapport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is tightly formed. In the sixth session, more clear definition is required to such concepts as ‘feeling’ and ‘mood’.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feeling’ that is passively perceived by the act of thinking and the ‘mood’ that is actively composed by the act of thinking.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counseling therapy and the Buddhist meditation needs to be reexamined. For the non-Buddhist client, reliance on the Buddhist scripture and Buddhist meditation should be kept to minimum or excluded. For the Buddhist client, it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to actively apply Buddha’s teachings to the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