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

        윤희조(Youn, Hee-Jo) 한국불교상담학회 2018 불교상담학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이다. 필자가 불교상담을 정립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논문을 서술하고 있다. 불교상담을 학문화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각종 항목을 기술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먼저 불교상담의 정의를 불교에 기반한 상담과 불교를 적용한 상담을 구분하면서, 불교에 기반한 상담을 불교상담으로 정의한다. 불교상담의 학문적 계통은 불교심리학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불교심리학의 주제인 마음을 정의하고, 마음의 운동기제로서 연기를 제시하고, 마음의 담지자로서 인간을 기능적 존재와 가능적 존재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불교심리학은 불교마음학과 불교심소학과 불교심리치료로 나눌 수 있다. 불교상담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논의와 불교상담의 기제와 기법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불교상담가가 가져야할 자세와 불교상담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불교상담이론, 불교상담의 특징, 불교상담의 패러다임과 불교상담의 모토에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이처럼 본고는 불교상담 전반에 걸친 주제에 관한 논의를 통해서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establish the academic discipline of Buddhist counseling. I write abou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Buddhist counseling. It focuses on describing the various discipline necessary for academization of Buddhist counseling. First, the definition of Buddhist counseling is divided into Buddhism based counseling and counseling with Buddhism, while Buddhism based counseling is defined as Buddhist counseling. The academic system of Buddhist counseling can be seen based on Buddhist psychology. It defines the mind, which i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and presents law of dependent origination as a kinetic mechanism of the mind, and distinguishes humans who are bearers of mind, as functional beings and possible beings. In addition, Buddhist psychology can be divided into Buddhist mindology, Buddhist cetasikology, and Buddhist psychotherapy. It discusses the language used in Buddhist counseling and discusses the mechanisms and techniques of Buddhist counseling. It also discusses the attitude that Buddhist counselors should have and the space where Buddhist counseling takes place. It also discusses Buddhist counseling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ounseling, and the paradigm of Buddhist counseling and the motto of Buddhist counseling. In this wa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academic discipline of Buddhist counseling through discussions on topics throughout Buddhist counseling.

      • 아동학대에 관한 불교 상담적 접근

        박정호(Park, Jeong-ho) 한국불교상담학회 2019 불교상담학연구 Vol.13 No.-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가정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말이다. 이처럼 가정은 가족구성원의 심신을 안정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임과 동시에 사회적 기반이다. 하지만 최근 부천 초등생 살인사건, 부천 여중생 백골시신 사건, 큰딸 살해 암매장사건, 부천 2개월 영아 학대, 방치사건, 평택 실종아동 원영이사건 등의 천륜을 뿌리째 흔드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또한 조사에 따르면 아동학대 가해자의 81.8%는 피해자의 부모로 드러났다. 연속되는 충격적인 사건으로 인해 해당 아동들의 참혹하고 비극적인 죽음에 전 국민이 슬픔과 분노를 금치 못할 뿐 아니라, 아동학대에 관한 국민들의 좀 더 적극적인 관심과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유년기에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피해 후유증으로 인해 공격성을 나타내게 되고, 비행이나 범죄 등 또 다른 사회문제를 양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학대받은 아동은 신체적·정신적인 후유증으로 인해 자기 자신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장·단기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아동학대는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초적 단위인 가정에서 벌어지는 일이기는 하지만, 자비를 근간으로 하는 상생을 중요시 하는 불교 역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아동학대가 발생하는 원인은 과연 무엇인가? 그 원인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그 중 부모 가해자의 심리적인 불안으로 인한 아동학대에 대하여 불교 상담을 통하여 해결점과 불교의 역할에 대하여 논하여 보고자 한다. 오늘날 불교상담이 내포하고 있는 정신문화를 통해 가해자들에게 자아 성찰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심신 치유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Gahwamansasung(家和萬事成)’. It means that when home is peaceful, everything else goes well. As the phrase goes, home is a place where family members can stabilize their mind and body, and take a rest, and it is also the foundation of society. However, the recent incidents that break the moral law of family relationship-the murder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Bucheon, a middle school student’s skeleton found in Bucheon, killing and burying one’s own daughter, abusing 2-month-old baby in Bucheon, neglecting a child, the case of the missing child, Wonyoung in Pyungtaek-are sending shockwaves to society. According to a research, 81.8% of child abusers are the children’s parents. The consecutive shocking incidents that involve the children’s cruel and tragic deaths are making the whole country sad and angry, and at the same time arousing interest and attention about child abuse. People who experience child abuse in childhood become aggressive due to the aftereffect of the abuse, and can cause social problems such as delinquency and crime. As abused children can cause short- and long-term problems to themselves and to the society due to physical and mental aftereffect, child abuse is not just a problem of a family but a problem of the society. As it is a problem occurring within a family, the smallest unit of society, it is not easy from Buddhist stand point to intervene in the issue. However, Buddhism, which emphasizes coexistence based on mercy,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end,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auses of child abuse from various perspectives, discuss the role of Buddhism in resolving this issue, and provide a solution through Buddhism consultative for child abuse that arises due to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abusers. The spiritual will offer child abusers a chance to look back on themselves through the assimilation with nature, and will serve an important role in treating mind and body.

      • 『법화경』의 비유에 나타난 붓다의 상담기법

        전나미 한국불교상담학회 2009 불교상담학연구 Vol.1 No.1

        근대 이래로 서양에서는 마음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왔으며, 최근에는 동양의 전통적 지혜와 결합하면서 의식연구는 더욱 심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19세기 후반 불교가 서양에 본격적으로 소개되면서 서구에서도 불교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불교를 심리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양의 불교와 서양의 심리학이 만남으로써 인간의 마음을 보다 포괄적,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연구가 더욱 심화되어, 불교와 심리치료를 결합하여 새로운 치료이론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고*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불교상담개발원 상담팀장, 불교상담학회 이사 Tel: 02)737-8803 / E-mail: nm550@hanmail.net 대표적인 국내의 선행연구로는 서양의 심리치료 이론과 불교와의 비교를 연구한 다양한 논문들을 들 수 있는데, 주로 인본주의(윤호균, 1982,; 함승희, 1990), 분석심리(유미정, 1996), 인지치료(권석만, 1997), 행동주의(김보경, 2001) 등 다양한 심리치료 학파와 불교 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불교 사상의 기본적인 해석에 기초한 논문들로는 팔정도(박영동, 1989), 연기법과 중도(조혜진, 2000), 오온설과 사성제(조경자, 2001) 관련 주제들을 들 수 있으며, 이 외에 불교 명상이나 수행과 관련된 실험논문 및 불교사상의 카운슬링 활용(박지숙, 1999) 등이 있다. , 우리나라 불교계에서도 상담학과 불교학을 접목한 불교상담에 관심을 가지면서 ‘중생구제’라는 불교 본연의 목적에 쉽게 다가설 수 있다는 분위기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 MTD 프로그램의 수정 보완과 그 활용 방안

        이강옥(Kang-ok Lee) 한국불교상담학회 2022 불교상담학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MTD 프로그램이 활용하는 텍스트의 난해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각 텍스트의 성격과 본질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상담자는 좀 더 많은 시간을 들여 텍스트들을 읽고 숙지하는 일이 요긴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상담자는 불교 상담 뿐 아니라 문학치료 상담, 심리 상담, 인지치료 상담 등을 두루 공부하고 가능하다면 수행의 경험도 갖출 것을 제안했다. MTD 프로그램은 3달 전후의 상담 기간을 예상하지만 하위 회기가 삽입되는 등 상담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가 있다. 그래서 상담이 진행되면서 전체적 구도나 체계가 망각 되고 지엽에 매몰될 위험이 크다. 그래서 MTD 프로그램의 전체 체계를 설명하고, 각 회기가 전체 체계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각 회기들은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인지를 명료하게 설명했다. MTD 프로그램이 상담에서 원만하게 활용되기 위한 수정안을 제시했다. 특히 제7회기와 제8회기를 집중적으로 수정했다. MTD 프로그램 중 핵심 회기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덧붙였다. 제6회기 ‘생각 바꾸기와 수행’, 제8회기 ‘현실 가상 꿈 환상 성찰하기-현실은 꿈이다.’, 제10회기 ‘욕망과 삶의 본질 성찰하기’, 제11회기 ‘지금 이곳의 삶 인정하고 긍정하기’ 등에 대해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봉착할 수 있는 기타 문제점들을 검토했다. 제2회기의 과제이며 제3회기의 주된 상담 내용인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의 문제점을 검토했다. 자기서사 쓰기나 말하기 과정은 내담자의 은밀하고 불편한 삶의 내력을 노출시키는 것이기에 내담자가 느끼는 부담감이 크다.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라포가 좀더 강하게 만들어진 중반 회기 이후에 수행하는 것을 대안으로 고려해보았다. 이에 대해서는 상담자가 결정해야 할 것이다. 내담자가 자기서사 쓰기에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되면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를 뒤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내담자가 자기서사 쓰기와 읽기를 큰 어려움 없이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정해진 2회기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자기서사를 통해 상담자는 내담자의 좀 더 깊고 다양한 삶의 내력과 내면을 간파할 수 있어 상담을 이끄는 데 큰 힘을 얻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6회기에서, 생각하기가 내담자에게 초래하는 ‘느낌’, ‘감정’, ‘기분’의 개념을 좀 더 명료하게 정의했다. 수동적으로 지각되는 느낌과 적극적으로 구성해낸 감정과 기분을 구분했다. 상담자는 내담자로 하여금 ‘느낌’을 세심히 관찰하고 포착하게 한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감정’이나 ‘기분’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하거나 어떤 ‘감정’이나 ‘기분’에 오래 머물게 하지 못하게 한다. 그래야만 현재의 ‘감정’이나 ‘기분’을 기준점으로 한 회광반조가 순조로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느낌, 감정, 기분 등에 대해 좀더 구체적인 검토하고 분류하는 것을 숙제로 삼는다. 상담 치료와 불교 수행의 통합과 분리에 대해서 검토했다. 불자가 아닌 내담자의 경우 가능한 한 불교 경전에 대한 언급이나 불교 수행 부분을 축소하거나 제외시킨다. 반면 불자이거나 불교 수행에 경험이 있고 뜻이 있는 내담자의 경우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부처님 가르침이나 불교 수행이론을 최대화하며 상담을 끌어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devise the methods that can help facilitate the MTD Progam for counseling. First,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text is provide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texts' abstruseness. Mandatory qualification for counselor is also provided. This paper proposes that counselors should spend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n reading and understanding not just the texts of the MTD Program and Buddhist counseling, but also those of general counseling areas such as literary counseling therapy, psychotherapy, and cognitive therapy. Participation in medit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counselors. It is important to clearly understand the entire structure of the MTD Program, for completion of The MTD Program requires more than three months, which may cause the difficulty to keep the balance the entire structure of the Program. This paper also attempts to make a few corrections to the MTD Program. This paper presents more detailed explanations to the main sessions of the MTD Program: the sixth session of ‘change of thinking and meditation’, the eighth session of ‘contemplation of reality, imagination, dream, and illusion’, the tenth session of ‘contemplation of desire and the essence of life’, and the eleventh session of ‘accepting life as it is’. This paper also points at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its solutions. For instance, In the third session of ‘writing and reading self-narrative’, the client might feel uncomfortable in disclosing his secretive life experiences. The counseling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if this session is postponed to the latter part of the counseling after the rapport between the client and the counselor is tightly formed. In the sixth session, more clear definition is required to such concepts as ‘feeling’ and ‘mood’.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feeling’ that is passively perceived by the act of thinking and the ‘mood’ that is actively composed by the act of thinking.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counseling therapy and the Buddhist meditation needs to be reexamined. For the non-Buddhist client, reliance on the Buddhist scripture and Buddhist meditation should be kept to minimum or excluded. For the Buddhist client, it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to actively apply Buddha’s teachings to the counseling.

      • 불교상담’의 의미와 방향 탐색

        김세곤 한국불교상담학회 2008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 Vol. No.

        '불교상담'이란? 이런 물음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또 이런 식의 물음에는 어떤 학문 적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이미 국내에는 '불교상담학과'라는 명칭의 전문 대학원 과정이 개 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불교상담학회'라는 공식 연구단체도 설립되어 있는 현실에 비추 어 보면 불교상담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논의와 검토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 다. 불교상담에서 처럼 현재 불교와 관련된 학제적 연구나 그와 유사한 형태의 선행 응용 학문의 관련영역은 수없이 많은 실정이다. 예를 들면, 불교심리치료, 불교정신치료, 불교교 육, 불교명상심리치료, 자아초월심리학과 정신의학, 깨달음의 심리학 등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러한 흐름은 동서양사상의 교류와 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무관할 수 없지만 '통섭'을 지향하는 이 시대의 학문적 추세와도 깊이 관련되어있다고 생각한다.

      • 불교 교설에 나타난 불교상담의 기본요소

        최정윤(Choi, Jung-yoon) 한국불교상담학회 2019 불교상담학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불교교설에 나타난 불교상담의 기본요소에 대해 고찰해보는 것이다. 최근 들어불교와 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상담심리학에서 불교와 상담을 활용과 접목한 효과적 상담에 대한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붓다는 고(苦)로부터 해탈과 열반에 이르기 위한 깨달음을 강조하였는데, 붓다가 6년 동안 수행 후 깨달은 것이 바로 연기법(緣起法)이다. 연기의 이법으로 고(苦)뿐만 아니라 모든 자연현상, 사회문제 그리고 물질과 정신 모든 것이 상호의존이라는 조건에 의해 발생함을 파악한 것이다. 연기법은 진리이며, 온 세계가 움직이고 모든 현상들이 나타나는 과학적, 합리적인 법칙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기법은 존재의 실상을 관찰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물을 인식하는 데서 따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연기법은 현상과 현실의 영역을 토대로 나타내 보이는 법칙이다. 경전에서 붓다에 대해 의왕(醫王)이라고 불릴 정도로 붓다는 상담자의 자질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붓다가 깨달은 앎을 통해 나와 내 주변을 있는 그대로 봄으로써 좁은 아집에서 벗어나 나 이외에 이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이란 관념을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다. 불교가 심리적인 체계로 이루어짐에 일찍이 서구 시회에서 관심을 받게 되며 심리 상담학계에서 역시 불교상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상담이란, 먼저 관계가 중요하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 이해와 통찰로 치료의 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최적의 치료적 효과로 불교상담에서 찾아보게 된다. 이에 불교상담의 개념 정립이 기존의 심리상담과 차별성을 둔 것이며 붓다의 교리와 수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주장하는 가운데, 불교 교설에 나타난 불교상담의 목표와 상담요인붓다의 상담 방법론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elements of Buddhist counseling in Buddhist doctrin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Buddhism and counseling, and counseling psychology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unseling by combining and utilizing these aspects of Buddhism and counseling. Buddha emphasized release from suffering and enlightenment to reach Nirvana, and what Buddha realized after 6 years of practice was the principle of causality. Using this principle, he has realized that not only suffering but also all social phenomena and problems, including both physical and mental, have occurred due to the conditions of interdependence. The principle of causality is truth and the scientific and rational principle wherein the entire world moves and all kinds of phenomena appear. And this principle is what enables us not only to observe the reality of existence but also to recognize objects. In other words, the principle of causality reveals the truth based on the realm of phenomena and reality. In the scriptures, Buddha has the qualities of a counselor to such an extent that he could be called a medical king. And like the episteme Buddha realized through enlightenment, I can get out of my narrow egoism by looking at myself and my surroundings as they are and think of others besides me. This enlightenment is to see things as they are by laying down concepts. As Buddhism consists of a psychological system, it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Western societies from early on, and interest in Buddhist counseling is on the rise in psychological counseling. In counseling, the relationship is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else as it enables the clients to get the effect of the treatment through self-understanding and insight. This optimal therapeutic effect can be found in Buddhist counseling.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goals, counseling factors, and counseling methods of the Buddha by applying Buddha’s consultation to Buddhist counseling, which is based on the doctrine and performance of Buddha.

      • 불교 상담의 학문적 개념 정립을 위한 몇 가지 문제 제기 - 불교와 서구의 상담 치료는 왜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는가?

        이승욱 한국불교상담학회 2008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 Vol. No.

        90년대 이후부터 한국의 많은 상담자들에게 가장 관심을 끄는 주제 중 하나는 불교였다. 80년대에도 간헐적인 시도가 있었으나 90년대 후반부터 불교를 상담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보완하려는 시도는 주목할 만한 경향으로 떠올랐다. 불교학자가 융과 프로이트를 해석하고, 심리치료사들은 유식학을 궁구하고 선방 수좌들과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런 현상은 사실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비롯된 새로운 시도라기보다는 불교에 대한 서구 심리학 자들의 경이로움에서 비롯된 상담과 불교의 학문적, 실제적 접목 시도로부터 자극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 선치료(Zen Therapy) 어떻게 볼 것인가? - 불교학자의 입장에서 -

        김재성 한국불교상담학회 2013 한국불교상담학회 학술대회지 Vol.6 No.-

        생로병사와 구부득고(求不得苦), 애별이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오취온고(五取蘊 苦)라는 고통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불교는 간단히 말하면 심리적 문제에 대한 치유법이자 궁극적인 해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의 심리치료/상담도 인간의 정서적, 심리적 문제에 대한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불교와 서양의 심리 치료는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이해와 해결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불교 문화권에서는 불교 교학과 수행을 통해 인간의 성숙과 깨달음을 추구해오고 있다. 한편 서양에 전해진 불교는 서양 심리학과 심리치료와 불교 교학과 수행을 서로 접목하 여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를 치유하는데 응용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정신분석 또는 정신역동적 인 입장과 불교의 접목, 인지행동치료와 불교의 접목, 인본주의 심리치료와 불교의 접목, 그 리고 자아초월 심리학/심리치료와 불교의 접목이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시도되어 왔다.

      • 불교사상에 친화적인 자연관 고찰: 사람과 관련이 높은 내용 중심으로

        김윤경(Kim Yun-gyeong) 한국불교상담학회 2018 불교상담학연구 Vol.12 No.-

        본 논문은 불교 사상에 나타난 자연 친화적인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사람과 불교를 좀 더 자연 가까이 가고자 함이다. 불교의 환경문제, 불교의 자연생태학, 자연에 대한 종교의 영향, 사람과 자연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경에 표현 된 자연 친화적인 중요 내용 중 일부를 살펴보았으며, 불교와 연관된 자연관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불교적 시각으로 보면, 자연과 인간이 서로 다른 존재로 인식되는 이분법적 사고로는 난제를 해결할 수 없다. 연기법에 있는 바와 같이, 일체라는 것은 다른 것과 연계하여 현재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써, 상호의존하고 있는 상인상대(相因相待)의 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불교, 자연, 사람 그 각각의 자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서로서로 연관되어 있다. 즉 자연과 인간은 상의상존(相依相存) 관계이며, 상호보완(相互補完)의 이치에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는 인간을 자연보다 상위 개념으로 설정하고, 자연에 대한 억압을 정당화하고 있다. 즉 인간중심, 물질중심의 가치관이 팽배하고 있으며, 성장과 풍요로움, 끝없는 욕망과 소비문화는 우리에게 자연재앙이라는 현실을 안겨주고 있다. 그것은 지구의 온난화,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서식지 파괴 등 환경 악화가 잘 보여주고 있다. 사람들은 자연을 잠깐 동안 빌려 쓰고 있음을 망각해서는 아니 되고, 또한 자기 뜻대로 지배하려고 해서도 아니 된다. 불교는 다른 사물들에 대하여 공존과 평등을 중요시한다. 즉 모든 생명의 본원적 평등성과 상호연관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생명에 대한 배려와 인식은 타 종교와 비교했을 때 월등하가도 할 수 있다. 이런 자세는 인류 미래 삶에 대한 긍정정 대안이다. 위와 같이 불교 자연관이 표현하는 최고의 값어치는, 자연의 모든 생명들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는 출가자뿐 아니라 재가자들이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의 첫째가 불살생이다. 자연 생명에 대한 존경심은 불교 경정속의 설화, 율장 등에 많이 등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ring people and Buddhism closer to nature by examining the nature - friendly contents of Buddhist thoughts and to approach people and Buddhism more naturally. We studied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Buddhism, the natural ecology of Buddhism, the influence of religion on nature, and how people and nature are related. We also examined some of the important nature-friendly contents expressed in scriptures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a view of nature related to Buddhism.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he dichotomous thinking in which nature and human beings are perceived as different beings can not solve difficult problems. As in the dependent origination, every thing exists in the present state in connection with another and is in the relationship of mutual dependence of interdependence. Therefore, Buddhism, nature, and man, each of which does not have self-nature, and they are relat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nature and man are in a relationship of mutual coexistence and mutual complement. However, the modern society sets human beings higher than nature and justifies suppression of nature. That is, human-centered and material-oriented values are prevalent, and growth, abundance, endless desire and consumption culture give us the reality of natural disaster. Worse environment is a good example, including global warming,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oil pollution, and destruction of habitats. People should not forget that they are borrowing nature for a while, nor should they try to govern it in their own way. Buddhism attaches importance to coexistence and equality for other things. In other words, it fully understands the fundamental equality and interrelationships of all life, and its care and awareness of life is superior to other religions. This attitude is a positive alternative to the human future life. As shown above, the best value of the Buddhism s view of nature is the emphasis on all life in nature. In Buddhism, the first of the ethical norms to be followed by Buddhist priests as well as lay people is no destruction of life. Respect for the natural life has appeared a lot in Vinaya texts, tales of the Buddhist scriptures and so on.

      • 선치료(Zen Therapy) 어떻게 볼 것인가? 불교학자의 입장에서

        김재성 한국불교상담학회 2013 불교상담학연구 Vol.5 No.1

        생로병사와 구부득고(求不得苦), 애별이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오취온고(五取蘊苦) 라는 고통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불교는 간단히 말하면 심리적 문 제에 대한 치유법이자 궁극적인 해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서양의 심리치료/상담도 인간의 정 서적, 심리적 문제에 대한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불교와 서양의 심리치 료는 인간의 심리적 문제의 이해와 해결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통적인 불교 문화권에서는 불교 교학과 수행을 통해 인간의 성숙과 깨달음을 추구해오고 있다. 한편 서양에 전해진 불교는 서양 심리학과 심리치료와 불교 교학과 수행을 서로 접목하 여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를 치유하는데 응용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정신분석 또는 정신역동적 인 입장과 불교의 접목, 인지행동치료와 불교의 접목, 인본주의 심리치료와 불교의 접목, 그리 고 자아초월 심리학/심리치료와 불교의 접목이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시도되어 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