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산후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박시성,한귀원,Park, Si-Sung,Han, Kwi-W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연구목적 : 산후우울증은 여러 요인이 관여하여 발생하며, 이들 위험요인에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이 포함된다. 이전의 여러 연구결과들을 통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 알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산후우울증을 대상으로 위험요인을 연구한 경우는 별로 없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후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일신기독병원을 방문한 출산 후 약 6~8주에 있는 산모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에 대하여 조사하고 산후우울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이전 연구들을 통해 알려진 위험요인들을 참고하고 산모들의 스트레스와 관계되는 요인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산후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해 EPDS(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번안해서 사용하였고, 산후우울의 정도는 측정된 EPDS 접수에 따라 판단하였다. 결과 : 총 대상 산모 119명 중 EPDS에 의해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될 수 있는 고위험군은 16명으로, 13.45%의 빈도를 보였다. 고위험군에서는 과거 우울증상을 경험한 경우와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저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또 과거 우울증상을 경험하였던 군, 임신중 우울과 불안증상을 경험한 군, 임신 및 산욕기동안 스트레스 생활사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군,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군, 그리고 나이가 많을수록 EPDS 접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산모의 교육수준, 종교, 직업의 유무, 임신과 출산에 따른 직업중단 희망임신 여부 분만방법 수유방법, 유아의 입원여부, 그리고 기대했던 유아의 성별 및 실제 유아의 성별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후우울증은 산후에 비교적 높은 빈도로 발생 가능하며, 우울증의 과거력, 임신동안 우울과 불안증상의 경험, 스트레스 생활사, 결혼생활에 대한 낮은 만족도, 그리고 산모의 연령과 같은 요소들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었다. 임신과 산욕기 동안 산모에 대하여 적절히 정신의학적으로 개입함으로서 조기에 산후우울증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으며, 산후우울증으로 인하여 산모와 유아에게 미치는 다양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Postpartum depression(PPD) was known to be caused by many factors including various psychosocial risk facto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ppd, preliminarily in Korea. Methods : A group of 119 postpartum women, each of whom was at 6 to 8 weeks after delivery was identified at the time when they visited to the child health clinic or postnatal check-up clinic. The risk factors were surveyed by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items of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known risk factors in other studies and other possible stress-related factors. PPD was assessed by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and the degree of postpartum depression was determined by its score. Results : 16 women(13.45%) in the high risk group were diagnosed as PPD among the 119 women. Risk factors including past experi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low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founded more frequently in women in the high risk group than in the low risk group. The score of EPDS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who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s in the past, anxiety or depression during pregnancy, stressful life event during the period of recent pregnancy and postpartum, and who had low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score of EPDS. However, the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were not influenced by the level of education, job, retirement due to pregnancy and delivery, wanted or unwanted pregnancy, delivery method, feeding method, the hospitalization of infant, expected and real gender of infa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PD is quite frequent at postpartum period. Various risk factor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PD. If clinicians pay attention to the risk factors of PPD and give appropriate psychiatric intervention to the mother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it will be easy for the clinicians to recognize and treat PPD in the early stage.

      • KCI등재

        페미니스트 관계적 관점에서 본 ‘좋은’ 어머니되기와 산후우울증

        이진희(Lee, Jin-Hee) 한국여성연구소 2015 페미니즘 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한국에서의 페미니스트 산후우울증 연구를 위한 하나의 시론적 연구로서 산후우울증을 전적인 ‘질병’으로 개념화하는 의학적 모델이 지배적인 담론으로 작동한다면 대안적인 설명의 가능성을 주변화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는 첫째, ‘정상적인’ 모성이 과연 행복하고 ‘우울증’이 없는 경험인가를 문제 삼는 것이고, 둘째, 산후우울증이 ‘질병’인가 아닌가로 나눌 수 있는 이분법적 현상인가를 질문하는 것이며, 셋째, 여성들이 ‘어머니되기’의 과정에서 산후우울증을 ‘왜’, ‘어떻게’, ‘무엇으로’ 경험하는가에 대한 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이론적 틀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페미니스트 관계적 관점에서 산후우울증에 대한 여성의 주체적 경험을 질적 연구로 담아낸 마우트너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산후우울증을 연구하고자 할 때 그녀의 논의가 갖는 이론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먼저, 기존연구들에 대한 마우트너의 비판적 검토를 의학적 모델과 페미니스트 구조적 접근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녀가 대안적인 방법론적, 이론적 틀로 제안한 질적 연구와 페미니스트 관계 이론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마우트너가 페미니스트 관계적 관점에서 어떻게 산후우울증을 이론화하고 있는가를 ‘좋은’ 어머니에 대한 기대와 경험의 모순에서 비롯된 모성갈등에서부터 침묵과 철회, 관계의 단절과 고립으로 인한 산후우울증, 그리고 산후우울증에서 회복할 때 일어나는 변화를 아우르는 과정을 통해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마우트너의 논의가 산후우울증 연구에 갖는 이론적 함의를 세 가지로 제시하고,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마무리한다. This is a preliminary study for feminist study on postpartum depression(PPD) in Korea. The starting point of this is that medical model which conceptualizes PPD as a complete illness or disease marginalize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xplanations when it operates as a dominant discourse.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s whether ‘normal’ motherhood is a happy and non-depressing experience, and whether PPD is a dichotomous phenomenon divided into what is pathological and non-pathological. Also,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theoretical frame uncover ‘truths’ about the what’s, how’s and why’s of postnatal depression by focusing on women’s own subjective, personal accounts of their experiences.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feminist relational perspective on PPD proposed by Mauthner, who theorizes it as a relational problem involved in personal, interpersonal and cultural disconnections in women’s trying to become a ‘good’ mother and then analyz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it. Firstly, this study explores Mauthner’s critical reviews on existing studies, which are medical model and feminist structural approach, and then examines what feminist relational theory is. Next, this study analyzes how Mauthner theorizes PPD from feminist relational perspective.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Mauthner’s theory.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limitations of it an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산후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메타연구: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강민철,김동민,김수임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The present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the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relations among postpartum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through meta-analysis.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Did the estimates for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vary depending on countries, instruments measuring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postpartum period?; 2) did the estimates fo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vary depending on who provides support?; 3) what was the mean estimate for correlation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4) what we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related factor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the other variable? The results obtained by analysing 52 studies showed that 1) the differences in the estimates for prevalence of postpartum were significant and were explained by the countries and instruments assessing depression; 2) the correlation between postpartum and social support varied depending on who offers support; 3) the grand mean of the estim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as .42 and the estimates were consistent across studies; 4) the part correlation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still significant, while the part correlation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controlling for parenting stress was no longer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산후우울증의 유병률 및 산후우울증과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한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산후우울증 유병률 추정치는 국가, 산후우울증 척도, 산후 경과기간에 따라 달라지는가? 2) 산후우울증과 사회적 지지간의 진상관 추정치는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지가? 3) 산후우울증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진상관 추정치는 얼마인가? 4) 한 쪽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가 산후우울증과 갖는 상관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가? 총 52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산후우울증 유병률 추정치는 국가와 진단도구에 따라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후우울증과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 정도는 지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계수에 대한 추정치는 .42였으며, 이러한 추정치는 연구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지지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증 간의 부분상관계수는 여전히 유의한 수준을 보였으나, 양육스트레스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사회적 지지와 산후우울증 간의 부분상관계수는 상당히 적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산후 우울감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 연구: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김지양,김정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test a psycho-social predicting factors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This model posits that postpartum stress, postpartum support and self-esteem are predict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predicting factors are correlated each other. Participants were 121 women who lives in Seoul and Gyounggi Provance and have gave birth to baby recently.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stress, postpartum support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with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CES-D(Cent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Childcare Stress Inventory', 'Postpartum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Postpartum Social Questionnaire' and 'Self-esteem Inventory'. Postpartum stress, postpartum support, self-esteem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each other. Postpartum stress was a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 of postpartum depress but postpartum support and self-esteem. Result of this study informed perinatal women to plan and solicit effective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 and reduce possible stress.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make group therapy programming as well. The peer group of which members have a similar experiences or the group of which women's husband are participating will be helpful for postpartum women to overcome the stress. The group programme to increase self-esteem would be helpful as well.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은 산후 우울감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을 검증하는 것이다. 산후 스트레스, 산후지지, 자아존중감 요인이 산후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가정되었고,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모두 산후 우울감을 예측하리라고 가정되었다.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성 121명을 대상으로 산후 우울(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 EPDS, 한국판 CES-D), 산후 스트레스(지각하는 스트레스, 양육 스트레스), 산후 지지(산후 사회적 지지, 산후 가족 지지), 자존감을 측정한 결과, 산후 스트레스, 산후 지지, 자아존중감은 모두 서로 유의미하게 상관이 있었고 산후 스트레스는 산후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하지만, 산후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산후 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산후 지지와 자존감이 산후 우울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닌 것을 의미하며 산후 스트레스를 산후 우울의 예측 변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출산을 준비하는 여성에게 가능한 스트레스를 줄이는 대처를 준비해야 하며, 스트레스와 상관이 있는 산후 지지와 자존감 증진 체계를 계획하는 것이 산후 우울 예방에 중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산욕기 여성의 산후우울증 지식에 대한 연구

        이은주(Eunjoo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산욕기 여성의 산후우울증 지식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산후우울증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하여 기초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21문항의 산후우울증 지식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와 D시에 소재한 산부인과 병원 내 산후조리원에 입원한 산모 111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산후우울증 지식의 평균 정답률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으나 (74.3%), 일부 여성에게서 산후우울증의 발병 시기, 검사 및 치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산후우울증 지식은 임신 중 우울 경험이 없고, 산후우울증 교육 필요성을 인식 하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산후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 출산 여성들에게 산후우울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산후우울증 지식이 부족한 발생 시기, 선별검사 및 치료방안들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nowledge of postnatal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Initial items were extracted from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postnatal depression and 21 items of postnatal depression knowledge tool were developed through contest validity by experts. Participants for verification of this scale were 111 postpartum women admitting at postpartum care centers of 2 obstetrics and gynecologic clinics in C and D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s test using SPSS 23.0 program. The mean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postpartum depression knowledge was relatively high (74.3%), but some women had inadequate knowledge for onset, screening methods and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depression knowled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who did not experience depression during pregnancy or who recognized the need for postpartum depression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postpartum depression,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postpartum depression should be provided to childbirth women. Especially, the time of postpartum depression onset, screening and treatment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산후 우울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모형

        조희원,우주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5 No.3

        본 연구는 산후 우울을 예측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출산 후 36개월 이내의 여성 360명을 대상으로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측정하고, 파악하기위해 신뢰도가 높다고 검증된 도구(.87, .95, .93, .90, .97, .84, .85≒.90)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AMOS 18.0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산후 우울의 발현과 그 정도에 있어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결혼만족도, 이전우울경험 등이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여기서 자아존중감은 산후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이전우울경험과도 상호작용하여 산후 우울의 발현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사회적 지지는 산후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사회적 지지 중 남편의 정신적 지지와 신체적 지지는 결혼만족도와 이전우울경험을 매개로 하여 산후우울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산후 우울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변인들도 다른 변인들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를 통해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후 우울을 예방하고 촉진 시킬 수 있는 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edict the levels of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the levels of theoretically related variables(i.e., self-esteem,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experience). 360 mothers within 36 months after the birth were sampled for this study and their answers to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employing AMOS 18.0.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at self-esteem,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exhibited the direct effects on postpartum depression. Additionally, self-esteem influenced postpartum depression directly and its effects on postpartum depression was moderated by depression experience. Although social support failed to influence directly postpartum depression, husband’s emotional and physical support among social support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experience. However, social support showed indirect effects on the levels of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the other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산후 우울증에 대한 예측 및 임신 중 우울증의 회복 요인에 대한 연구

        조현주 ( Hyun Ju Cho ),최규연 ( Kyu Yeon Choi ),이정재 ( Jeong Jae Lee ),이임순 ( Im Soon Lee ),박문일 ( Mun Il Park ),나중열 ( Jung Yeol Na ),이근영 ( Kun Yeong Lee ),이종민 ( Jong Min Lee ),권정혜 ( Jung Hye Kwon )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3

        목적 : 산후 우울증의 위험 요인을 밝히고 또 임신 중 우울증의 유발 요인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임신 중 우울증으로부터 회복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1차에서 임신부 310명을 조사하였고 이들을 산후에 추적 조사하여 총 5명의 자료를 얻었다. 산후 우울증을 예측하고 또 임신 중 우울증으로부터의 회복 요인을 밝히기 위해 종단적인 연구방법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산후 우울증(BDI 16점 이상)은 일반 임신의 22.7%이었고, 임신 우울은 11.5%이었다. 산후 우울증과 임신 중 우울증과 관련 있는 심리적 위험 요인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후 우울증은 임신 중에 측정한 심리적 변인들 중 임신 중 우울증에 의해서만 33%나 높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 우울하였으나 산후 우울하지 않은 집단의 회복 요인으로 자존감의 상승, 배우자의 지지와 결혼 만족도의 호전과 관련되었다. 산후 우울증은 임신 우울증에 비해 두 배나 높은 비율을 보이며 우울증 정도에서도 심각성이 높았다. 결론 : 산후 우울증은 배우자의 지지 부족과 관련되며 또 배우자의 지지는 임신 중 우울증으로부터 회복하는 데에도 중요한 변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불안정 애착이 우울증에 취약하기는 하지만 불안정 애착을 가지는 사람들도 부부 관계의 질이 좋아지면 우울증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으며, 불안정 애착이 아니더라도 배우자의 지지가 떨어지면 우울증에 취약해 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 : To discover the risk fa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wheth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induced factor of prepartum depression and to clarify what is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Methods : In the first test stage, 310 pregnant women were examined and with their postpartum follow-up survey, materials from 85 people in total were retrieved. In order to predict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find out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longitudinal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NOVA were used. Results : Postpartum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core of 16 or greater) was prevalent amongst 22.4% of pregnant women and prepartum depression was experienced by 10.5% in pregnant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on psychological variable factor of prepartum and postpartum depression. Only preatum depression redicted 33% for postaprtum depression. In the case of depressed during pregnancy but not depressed after pregnancy, recovery factor is related to increase in self-esteem, husband support and improvement in marital satisfaction. Postpartum depression showed twice higher depression ration than prepartum depression and it was serious in terms of degree of depression. Conclusion : Postpartum depression is related with lack of husband support that is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Also, unstable attachment is vulnerable to depression but even people with unstable attachment can be recovered from depression with better marriage relationship. Even people without unstable attachment if husband support is reduced then it is suggested that can be subject to vulnerability in depression.

      • KCI등재

        배우자지지가 초산모의 산후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양지운,정인숙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배우자지지가 초산모의 산후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7명의 정상만삭아를 분만한 초산모와 그들의 배우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배우자는 산후관리와 아기돌봄에 대한 교육자료와 함께 3회의 교육을 받은 후 산후 1주부터 6주까지 산후관리와 아기돌봄을 실천하였다. 산후 1주와 6주에 각각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산후 1주와 6주의 산후우울 유병률은 각각 24.3% 와 0% 였다. 배우자의 지지는 초산모의 산후우울을 감소시켰고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켰으며(p<.001), 산후우울에는 산후도우미, 월수입, 산전우울이, 산후 자기효능감에는 임신 중 입원치료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결과는 대상자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후속연구 후 초산모의 산후우울감소와 자기효능감증진 프로그램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vergence effect of a spouse’s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primipara. The subjects were 37 primipara who gave birth to normal full term babies and their spouses. Each spouse supported their mother and baby from the period of postpartum 1st to 6th week after finishing three sessions of postpartum mother and baby care using teaching material.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1st and 6th week postpartum and analyzed using SPSS 20.0. The preval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1st and 6th week were 24.3% and 0% each. The spouses' support lowered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and increased self-efficacy(p<.001). And, the factors affecting to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were additional personnel for postpartum management, income and antepartum depression, and to their self-efficacy was hospital treatment during pregnancy(p<.05). The results could be used i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on lowering primiparas' postpartum depression and increasing their self-efficacy after further studies with wider range of subjects and setting control group.

      • KCI등재

        출산후 여성의 우울성향과 영아 기질, 양육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의 연관성

        최영민,이승휘,김영미,이정호,전성일,이기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목 적 : 산후우울증의 발생은 출산 직후부터 1년까지 지속될 수 있고 출산 이후에도 오랜 기간동안 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산후우울증을 단순히 선행하는 감정적 문제, 통제 소재, 사회적지지, 출산과 동반된 생리적 변인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 그러므로 산후우울증은 출산후 산모-영아 상호관계에서 겪게되는 어려운 영아의 기질, 산모가 영아를 양육하면서 겪게되는 양육 스트레스, 그리고 산모의 대처 방식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산후우울증과 영아 기질, 양육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변인으로 하여 산후우울증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위해 산후의 우울성향과 각 변인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방 법 : 연구의 대상은 1996년 7월 16일부터 8월 27일까지 인제 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상계백병원 소아과 외래에 예방 접종을 위해 내원한 4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영아를 둔 산모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eck우울척도(BDI), 영아기질척도(EAS), 부모 양육스트레스 목록표(PSI), 대처방식척도(WCC)를 사용하여 산후의 우울성향과 이들 변인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어머니의 우울성향 점수는 영아의 기질중 부정적 정서성(r=.26 p<0.05), 과도한 활동성(r=.22 p<0.05)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영아의 사회성 척도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2) 어머니의 우울성향 점수는 양육 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44 p<0.001). 3) 어머니의 우울성향 점수와 대처방식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양육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49 p<0.001) 사회성, 활동성과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방식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산모의 산후 우울성향과 첫째, 영아 기질 중 정서성과 활동성이 연관관계가 있고 둘째, 양육스트레스와 연관이 있으나 세째, 대처방식과는 연관이 없었다. 이런 결과는 산후의 우울성향과 각 요인과의 연관성을 살펴볼 때 산후우울증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산모의 대처 방식이라는 어머니 측의 변인보다는 출산과 동반된 양육 스트레스 혹은 영아의 어려운 기질일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with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infant temperament, parental stress and coping style.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05 postpartum women, each of whom had an infant aged 4 to 12 months. They were assessed on demographic variables and on measures of the depressive symptomatology, infant temperament, parental stress and the coping style using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the EAS temperamental survey, Parenting Stress Index(PSI), the Way of Coping Checklist(WCC). And then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with psychosocial factor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ity(r=.26 p<0.05) and activity(r=.22 p<0.05) of infant temperament. 2)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r=.44 p<0.001). 3)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ping style. 4) Parental stres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ity(r=.49 p<0.001) but did not have any relationship with sociability and activity of infant temperament. Parenting stres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ping styl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correlated with emotionality and activity of infant temperament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but not correlated with coping style.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to child rearing are mo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ve tendency in postpartum women than coping style of postpartum women.

      • KCI등재

        어머니 산전 산후 우울 수준에 따른 어머니와 영아의 정신건강

        최인애,이경숙,신의진,박진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3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n the mental health of mothers and their infa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for one year. The subjects were 467 mothers who were selected for the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 (COCOA) in progress in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of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and mental health of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was compar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73mothers experienced prenatal depression (15.63%) and the incidence of postnatal depression was 82 out of 467 mothers (17.56%).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1)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prenatal(in the 36th weeks of pregnancy) anxiety. The group with the highest prenatal and postnatal depression experienced the highest prenatal anxie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s measured during the sixth month of pregnancy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the lowest levels of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with; the group with higher prenatal and postnatal depression experiencing higher parenting stress.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mental health(anxiety,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mothers with 12-month-old children.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Fourth, the only instance in which a significant correlation(P < .05) was found between infants' mental health and degree of maternal depression, was in fine motor skills among 6-month-old infants. This study is the first longitudinal research in Korea that examines mental health of mothers and their infants by degree of mothers' pre and postnatal depression for one year.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instances of postpartum depression,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산전-산후 우울 변화에 따른 어머니와 영아의 정신건강을 1년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종합병원 4곳의 산부인과에서 진행 중인 아동 아토피 천식 질환 원인 규명 코호트(COCOA: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 연구 대상 중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 467명을 산전-산후 우울수준에 따라 4집단으로 분류하였고 어머니와 영아의 정신건강을 비교하였다. 첫째, 산전 우울의 발생 빈도는 15.63%이며 산후 우울의 발생 빈도는 17.56%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산전에 측정한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산전/산후 우울이 모두 높은 집단이 산전 불안을 가장 높게 느꼈으며 생후 6개월에 측정한 삶의 만족도는 산전/산후 우울이 모두 낮은 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전 우울과 산후 우울이 모두 높은 집단의 어머니들에게서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12개월 어머니의 정신건강 중 불안, 결혼만족도, 삶의 만족도 요인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산모의 우울변화에 따른 집단 간 영아의 정신건강에는 생후 6개월에 소근육 운동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1년간 어머니의 산전-산후 우울의 수준에 따른 어머니와 영아의 정신건강에 대해 국내 최초로 종단적으로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으며 산후우울의 임상적 개입의 필요성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