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주요 이슈와 대응

        송위진,성지은,홍성주,한재각,박진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회적 혁신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것을 구체화하기 위한 정책수단에 대해서는 논의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혁신정책의 정책수단들을 개발하고 그 가능성과 과제를 검토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 이 연구에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과 관련된 주요 이슈와 대안을 검토한다. 앞서 살펴본 사회·기술시스템론에 입각해서 현재 정책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들을 다룬다. 각 장은 서로 독립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적으로 완결적인 글이다.○ 제2장에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방향 논의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이 문제해결보다는 기술획득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파악하고 문제지향성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관점에 입각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3장에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사업을 추진 할 때 시민사회와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조정하는 방법론을 다룬다. 여기서는 유럽에서 활용되고 있는 갈등조정 방법론인 ESTEEM 방법을 정리하고 그것을 한국에 적용하기 위한 틀을 개발한다.○ 제4장에서는 사회문제 해결과 연계된 과학문화 활동의 사례와 추진방향을 다룬다. 새로운 과학문화 사업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 활동에 시민사회가 참여하여 과학기술을 체험하고 사회문제 해결에도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러한 사업은 기술개발과정에 시민참여를 활성화하여 참여형 과학문화활동을 고도화하고 기술개발활동의 사회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킨다.○ 제5장에서는 국제개발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수행하는 적정기술사업에 대해 사회·기술시스템론에 입각한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적정기술이 아니라 적정 사회·기술시스템을 구축하는 종합적 접근이 국제개발협력에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제6장에서는 혁신활동과 사회정책 부처 정책사업의 연계방안을 다룬다. 현재 사회정책과 과학기술혁신의 연계는 상당히 미흡하여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는 사회정책과 과학기술혁신활동의 연계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을 검토한다.○ 부록에서는 사용자가 참여하는 혁신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하는 Living Lab과 Fab Lab의 사례를 다룬다. 이들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사회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해나가는 새로운 정책수단으로서 의미가 있다. 정책제언1. 연구개발 시스템 혁신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시스템 혁신을 필요로 한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문제해결 중심으로 기술기획을 추진하는 방식, 기술개발만이 아니라 기술의 개발과 사용과 관련된 표준, 법제도, 공공구매까지 고려해야하는 접근,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하는 과정에서 보건소와 같은 정부조직, 비영리 기관, 사회적 기업, 민간 기업 등 다양한 통로를 활용하는 접근 등 기존의 산업혁신과 기초연구 관련 연구개발사업과는 다른 틀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2. 사용자·수요자 중시의 사회-기술기획시스템 구축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에서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술공급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생활하는 수요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과정에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문제를 정의하고 제품을 현장에서 실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집합적 의견을 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실증 및 전달체계와 사회적 혁신체제문제해결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해서 사회서비스로 전달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의 경우 시장을 통해서만 기술의 실용화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개발된 제품이 상업적 가치는 낮지만 공공적 가치는 높은 경우에는 시장이외의 다른 서비스 방식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의료보험제도, 규제, 표준 등 여러 제도적 요소들이 영향을 미친다. 이는 기존의 산업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사업과는 상당히 다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4. 시민사회 참여활동과 과학문화활동의 연계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시민사회의 활동은 참여형 과학문화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개발과정에 참여하여 해결해야할 문제를 정의하고 과제에 대한 아이디어도 제안하며 성과에 대해 의견을 표출하는 시민사회의 활동은 과학기술을 직접적으로 체험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과정을 과학문화사업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새로운 과학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담론을 형성해가는 장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 연구개발사업과 사회·기술시스템의 전환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궁극적으로 사회문제가 해결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비전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사회문제에 기술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넘어 바람직한 사회·기술시스템 구축이라는 비전을 염두에 두고 그것을 실현하는 다양한 실험으로서 연구개발사업을 추진하는 활동이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제도, 사업과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 구성요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홍태의 ( Hong Taeeui ),이현성 ( Lee Hyungseung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 급격한 발전을 이루는 과정에서 여러 사회문제를 갖게 되었다. 산업의 발전을 통하여 국가가 부흥하는 사람중심의 발전이 아닌 기술 중심의 발전으로 사람은 많은 불편함을 감수하며 발전을 도모하였다. 사회와 가치관의 변화를 통해 사람들은 더는 불편함을 감수하지 않기 위한 요구와 그에 따라 다양한 대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고,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제도, 사업이 생겨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현되는 사회문제해결 방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공디자인의 적용을 위한 연관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국내·외 공공디자인에 관한 문헌을 고찰을 통해 공공디자인은 보편적인 미(美)의 개념이 아닌 문제해결의 분야로 과정의 디자인을 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개념이 부각되고 있으며, 시민사회가 성숙하면서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공공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게 되었다. 공공디자인을 언급하는 다양한 연구와 문헌에서 나타나는 특정 주제나 반복적으로 기술되거나 언급되는 내용을 내용분석을 통해 키워드로 도출할 수 있었다. 해당 키워드를 사회문제해결 방안과 공공디자인의 연관성을 맥락분석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역할을 제안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내용분석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국내·외 논문 고찰 및 분석을 통해 공공디자인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는 키워드를 도출해 유형화하였고.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다양한 키워드를 같은 의미로 통합할 수 있는 맥락 분석을 통하여 공공디자인의 구성요소를 5가지로 분류하였다. 둘째, 국내에서 사회문제해결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정책, 조례, 사업의 3가지 방안을 내용분석과 맥락분석을 통해 공공디자인과의 연관성을 지표로 분석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과 맥락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공공디자인의 요소가 사회문제해결 방안에서 세부요소와의 연관성을 증명하여 사회문제해결에 있어 공공디자인이 계획적 관점에서 접목이 되어야 한다. (결론) 공공디자인은 산업시대의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미(美)적 요소로 쓰이던 전통적 개념의 디자인이 아닌 계획의 관점으로 해석되어 프로세스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은 각각의 특징을 포함하여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공공디자인은 다양성을 포용하고 있는 분야로 각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방법·계획적인 방안에서 공공디자인의 접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현되는 사회문제해결 방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공디자인 적용을 위한 연관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Our country, which has achieved a rapid development under special circumstances, is believed to have many social problems of its own to overcome. As the country made technology-centered advance, not man-centered advance which should have led to national reconstruction through industrial development, our people had to seek development going through many inconveniences in community life. However, change of society and values at last made people not want such things any more and diverse alternatives needed accordingly. To meet them diverse policies and schemes were established, while professional policy, institution and project for social problem solving came into being.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esent the relationship available for public design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social problem solutions attempted in our country. (Method) Consider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n public design made it clear that public design is not a concept of universal beauty but it means procedural design in a problem solving area. The current of the times has embossed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and the ripening civic society has drawn citizens’ attention to design, making the role of public design important. Through contents analysis, particular subjects or the contents repeatedly described or mentioned were drawn into keywords. These keywords were investigated to propose the role of public design through contextu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 solutions and public design. This study first, through contents analysis o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on public design, drew keywords repeatedly mentioned in public design to categorize. Based on the contents analyzed, component of public design was sorted into five kinds via contextual analysis which can integrate diverse key words into the same meaning. Second, three schemes of policy, ordinance and project which directly refer to social problem solving at home were analyzed with the index of relationship to public design via contents analysis and contextu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ed the relationship of elements public design drawn via contents and contextual analysis to specific elements in social problem solutions. In social problem solving, public design should be grafted from the perspective of planning. (Conclusions) Public design has nothing to do with a traditional concept of design, an aesthetic element to support industries in the Industrial Age. Instead, this field embraces diversity and has procedural propensity. Public design seeks to solve social problems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each problem. Public design embraces diversity and these diverse items need to be combined with public design in a pre-planned way that encompasses each of spheres. This study has an aim to propose relationship usable for public design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social problem solutions attempted in our country.

      • 사회과 경제교육에 있어서 신문제해결학습 적용효과

        최병모,김경모,박형준,전희옥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2006 敎員敎育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감성개발과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 사고를 촉진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볼 수 있는 신문제해결학습 사례를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실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사회과 경제교육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회과 경제교육에서 신문제해결학습의 현장 적용에 따른 실증분석 연구를 통해 내릴 수 있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 수업 사례의 개발과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학교 사회과교실에서 신문제해결 수업모형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과, 고급사고력의 육성, 학습욕구 유발, 지식 기능 가치, 참여 등의 통합적 지도, 수행평가 가능 등의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인다. 셋째로, 신문제해결학습 모형을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으로, '시간부족', 모둠의 동질성 확보, 교실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여건 성숙문제, 문제중심 교과 내용의 조직 필요성 등의 문제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학교 현장에 신문제해결학습이 원활히 정착되기 위해서는 이 수업운영에 필요한 사회과 경제관련 교육과정 구조전반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본다. The Effect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Economy Education was analysed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making and verifying Experiment study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and it's lesson in the social studies economis Education, as a result, to make a contribution to achieving the good economic education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lass roo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was discussed and it's lesson model has been made. Secondly, instrument(learning achievement ability, the opinion of the student and the teacher about a new problem solving model)that is, the experiment with a new problem solving model has been made. Thirdly, a new problem solving model lesson was applied in the classroom, and cause and effect by using statistical and interpretative method was analysed. And, we found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economic education than traditional instruction. In conclusion, we can propose the activation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for economic problems resolution in knowledge centered society, the necessity of a new problem solv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 KCI등재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송위진,성지은 기술경영경제학회 2014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2 No.4

        과학적⋅산업적 목표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내세우는 사 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사회문제는 여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난제인 경우가 많다. 한 번의 사업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과정을 거치 게 된다. 따라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대증적 접근이 아니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전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 서 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방향을 다룬다. 이를 위해 ‘전 환실험화’라는 개념을 토대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전환실험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전환 거버넌스 구축’, ‘전환비전 형성과 전환실험 기획’을 연구개발사업 의 전환실험화를 위한 핵심 과정으로 설정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 발사업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살펴보았다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aimed at solving societal problem rather than scientific and industrial fruits have started recently. Societal problem is recognized as dilemma since this problem related to various stakeholders. And this is not solved with single program and needed long-term process. So the perspective of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including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policy implication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from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perspective. ‘Transitioning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 is the key concept of restructuring the program for the system transition. The establishment of multi-layer transition governance and the transition vision-making and transition experiment planning are the key process of transitioning the R&D program. This paper suggests the ways and issues of implementing this process in Socially-oriented R&D program

      • KCI등재

        지역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과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사례 개발 - 초등 정치 단원을 중심으로 -

        옥일남 ( Il-nam 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3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학습의 단계를 구안하고 이 단계에 따른 수업 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과정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단계에 적합한 창의적문제해결학습 단계를 제시하였다. 적용한 단계로는 [문제의 도출 및 선정 → 문제의 파악 및 탐색 → 문제의 명확화 → 문제와 관련된 자료 찾기 → 문제의 원인 파악 →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탐색 → 문제해결책 모색 → 실천 방안 모색] 순이다. 단계의 적용을 위해 이 모형의 단계들을 초등 4학년 ‘함께 하는 주민 자치’ 중 ‘지역 문제의 해결’단원에 적용하였다. 이 단계의 적용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도록 하고, 각 아이디어를 평가하면서 정교화 하도록 하고, 모둠 속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을 촉진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협업하면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하여 이 개발 사례의 적용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민주 시민을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process and case of lesson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 used ‘The solution of the local issues’for the application of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I developed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as follows: production and selection among problems →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the problem → clarification of the problem → search datum related to the problem→ problem source identification → inquiring into ideas for solving problems → finding solutions to the problem → search for practical action plans. Then this process was applied to case of lesson of‘The solution of the local issues’of‘Citizen autonomy that are together’unit. The case of lesson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 numerous ideas will be developed through inquiring into causes and solutions to the problem. Second, they will be elaboration through idea evaluation. Third, creative thinking skill will be promoted through group activities. So we can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such as creative thinking skill, problem-solving capability through application of this case of lesson.

      • KCI등재후보

        한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비교 분석

        박인용(Park, Inyong),성지은(Seong, Ji-eun),한규영(Han, Kyu-you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2

        기존 혁신정책의 대안이자 사회문제의 새로운 대응책으로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시도되고 있다. 사회문제는 문제가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 특히 문제에 직면하는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사회문제와 사용자의 수요를 발굴하고, 개발 및 실증과정에서 연구자와 사용자의 협업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시민연구사업과 일본사회기술연구개발센터 사업의 두 사례를 들어 각각의 배경, 기본 구성, 추진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사례에서는 사회문제 해결 목표와 사용자 참여 방안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사업 성격과 추진 과정 측면에서는 일본 사례가 더 넓은 시각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는 기술개발 중심의 기존 연구개발체계가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의 정합성이 떨어진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공급중심 시각 탈피, 사용자 참여의 내실화, 법제도 · 사업화 등 기술 외적 부문의 발달을 위한 지원 수단을 마련하여 기존 연구개발체계에서 비롯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supply-driven innovation system is encountering its limitation. At the same time, the needs for solving societal challenges occurring in people’s lives are growing. Social problem-solving R&D program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to satisfy these need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of the occurring problems as well as the users facing the social challenges. Therefore, social problem-solving R&D programs have to explore the social challenge and users’ needs, with emphasis on the collaboration with researchers and user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rocess. This study carries ou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Citizen-driven R&D project’ and ‘Japanese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ciety (RISTEX)’ concerning goals, construction of program, and promotion processes. The two cases are similar regarding the objectives of social problem-solving and the strategy for user participa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s and promotion processes. The RISTEX is performing social problem-solving R&D with a much wider perspectives than the Korean project. This is because the Korean project maintained the existing R&D system with the lens of the supply-driven system, even when approaching social problem-solving. Therefore, this limitation should be overcome by adopting support systems discarding the supply-driven perspective, through substantiality of user participation, maintenance of legal system, and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ies.

      • KCI등재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경기도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배귀희,전성태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adoption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s (i.e., social enterprise based on social problem solving).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203 samples were collected by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We used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o summarized data. In terms of empirical analysis,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matched original purpose of social enterprise. The respondents showed necessity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was high. The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may contribute to resolving the soci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crime prevention, private education, caring for vulnerable groups, and so on. Financia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impact bond should also b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본 연구는 경기도내의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의 도입 및 발전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경기도의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 운영 및 발전방안에 관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3명의 경기도내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t-test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에 관한 인식조사에서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이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이 현재 우리사회가 당면하는 취약계층 돌봄, 범죄예방, 학교 폭력 및 사교육 문제 등의 분야에서 기여할 것이라고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기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최고 경영자의 역량(38.2%) 및 종업원의 역량(24.6%)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었다.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시장을 통한 금융지원 강화 및 사회적기업 투자펀드에 대해서는 필요하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문제해결학습의 지평 확장을 위한 시론 - AI시대에 인지심리학과 연결학습 전략을 중심으로 -

        박기범(Keeburm Par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본 연구는 문제와 문제 해결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메타 학습론으로서 연결학습의 타당성을 논하여, 이들에 기반한 사회과 문제해결학습의 전략과 절차를 모색하고자 한다. 먼저,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에서 다루는 문제의 성격에 대한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교육에서 다루는 삶의 문제는 비구조화된 문제의 비중이 높다. 둘째, 문제는, 문제 해결자가 문제로 인식하고, 어려움에 기반 한 도전감을 갖게 하는 장애물을 내포해야 한다. 셋째, 문제는 상황 맥락적이다. 이에 기반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결학습의 타당성을 추론하였다. 추론 결과, 첫째, 연결학습은 문제 정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표상에서 기능적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문제 공간에서 문제 해결 활동은 표상의 연결 과정이다. 셋째, 상황맥락에서 발생하는 미증유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지식과 정보의 연결은 적합하다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상술한 연결학습의 타당성을 근거로, 사회과 문제 해결 역량 함양을 위한 연결학습의 주요 전략으로 첫째, 문제 정의의 명료화, 둘째, 문제의 목표 상태 구체화, 셋째, 문제 공간(problem space)에서 다양한 표상의 연결, 넷째, 유추를 위한 연결의 유형화 연습을 설정하였다. 21세기 인공 지능 시대에, 복잡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관련 정보(node)의 연결(connection) 과정을 통해 해결하는 인간의 지적 능력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제 삶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합리적 해결을 위해 사회과교육은 기억의 능력에서 연결의 능력으로 지적 능력의 평가 기준이 변화해야 할 시점에 도달한 듯하다.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from a cognitiv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nd discussed the feasibility of connecting learning as a meta-learning theory, seeking strategies and procedures for learning problem-solving in social studies. From the cognitiv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results of discussion on the nature of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roblems dealt wit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ave a high proportion of unstructured problems. Second, the problem must contain obstacles that the problem solver perceives as a problem with a challenge based on difficulty. Third, the problem is contextual. Based on this, the validity of consolidated learning for problem solving was deduced. As a result of reasoning, consolidated learning can prevent functional fixation in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occurring in the process of problem definition. In addition, problem-solving activities in the problem space are processes of connecting representations. Moreover, connec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appropriate to creatively solve unexplained problems that arise in context. Based on the validity of the above-mentioned consolidated learning, as the main strategy of consolidated learning to improve social studies problem solving ability, clarification of problem definition, specification of the target state of the problem, various representations in the problem space, the practice of tying the connection for connection, and analogy are important. Even with the rapid evolu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21st century, human intellectual ability to solve problems in complex systems through the connection process of related nodes is still effective. To rationally solve problems in life, citizenship education has reached the point where the standard of evaluation of intellectual abilities needs to change from the ability of memory to the ability of connection.

      • KCI등재

        사회문제 해결 연구보고서 기반 문장 의미 식별 데이터셋 구축

        신현호,정선기,전홍우,권이남,이재민,박강희,최성필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2 No.4

        In general, social problem-solving research aims to create important social value by offering meaningful answers to various socialpending issues using scientific technologies. Not surprisingly, however, although numerous and extensive research attempts have beenmade to alleviate the social problems and issues in nation-wide, we still have many important social challenges and works to be done. In order to facilitate the entire process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research and maximize its efficacy, it is vital to clearly identifyand grasp the important and pressing problems to be focused upon. It is understandable for the problem discovery step to be drasticallyimproved if current social issues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from existing R&D resources such as technical reports and articles. Thispaper introduces a comprehensive dataset which is essential to build a machine learning model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socialproblems and solutions in various national research reports. Initially, we collected a total of 700 research reports regarding social problemsand issues. Through intensive annotation process, we built totally 24,022 sentences each of which possesses its own category or labelclosely related to social problem-solving such as problems, purposes, solutions, effects and so on. Furthermore, we implemented foursentence classification models based on various neural language models and conducted a series of performance experiments using ourdatase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model fine-tuned to the KLUE-BERT pre-trained language model showed the best performancewith an accuracy of 75.853% and an F1 score of 63.503%. 일반적으로 사회문제 해결 연구는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적 현안들에 의미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창출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그러나 사회문제와 쟁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국가적으로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사회문제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사회문제 해결 연구의 전 과정을 원활하게 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시급한 현안들에대한 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기존 R&D 보고서와 같은 자료에서 중요한 사안을 자동으로 식별할 수있다면 사회문제 파악 단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국가 연구보고서에서 사회문제와 해결방안을 자동으로 감지하기위한 기계학습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필수적인 데이터셋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문제와 쟁점을 다룬 연구보고서를총 700건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보고서에서 사회문제, 목적, 해결 방안 등 사회문제 해결과 관련된 내용이 담긴 문장을 추출 후 라벨링을 수행하였다. 또한 4개의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분류 모델을 구현하고 구축된 데이터셋을 통해 일련의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KLUE-BERT사전학습 언어모델을 미세조정한 모델이 정확도 75.853%, F1 스코어 63.503%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역량이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한나(Yoo, Han Na),민동권(Min, Dong Kwo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1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부문 간 파트너십, 특히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이 증가하고 있다. 선행 연구는 사회적기업이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수행한다는 데 주목하고 있으나 이는 사회적기업의 관점이므로 사회적기업 파트너십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사회적 기업과 관계를 맺는 영리 기업과 비영리 조직은 단지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만 협력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사업기회를 창출해 자조직의 성과를 직간접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동기를 내부적 동기와 외부적 동기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사회문제해결역량 인식이 사회적기업과의 파트너십 형성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리 기업과 비영리 조직 모두 ‘자조직의 사회문제해결역량’이 낮을수록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형성 의도가 높았으며, ‘사회적기업의 사회문제해결역량’ 인식이 높을수록 사회적기업 파트너십 형성 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역량의 개념을 규명하고 자원기반관점이론을 협력 조직의 관점에 적용해 사회적기업 파트너십을 탐구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artnerships among sectors, in particular those with social enterprises (SE), have been increasing.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SEs establishing partnerships to offset their lack of resources. This study divides motivations for SE partnerships(SEPs) and analyzes how the recognition of social problem-solving capabilities (SPSC) affects the intention to establish partnerships with SEs. Consequently, in both for-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lower the “SPSC of self-organization,” the higher their intentions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SEs. Moreover, higher recognition of the “SPSC of SE” leads to a higher intention of forming partnerships with SEs. Thus,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of the SPSC and implements a resource-based view to explore the SEP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