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 게임 프로토타입 <어린이 박사들의 독도 탐험>을 중심으로

        이준,김미교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1

        이 연구는 경상북도 대표 문화자원인 ‘독도’에 대한 인식과 관심을 높이고 문화예술교육을 연계하여 경북의 특색을 지닌 새로 운 문화예술교육과정의 기획설계에 관한 것이다. 교육목표를 경북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독도친밀성 향상, 제작창의 성 함양, 디지털 문해력 심화로 설정하고, 우리가 정의한 문제해결책으로 ‘디지털보드게임이 연동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문화예술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이 교육과정은 2개 섹션으로 구성된다. 섹션1은 교육수혜자가 게임원리와 제작방식을 학습 하고 게임요소를 제작하는 문화예술교육이며, 섹션2는 섹션1을 통해 구성된 게임을 교육수혜자가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섹션1 에서 학습한 내용을 즐겁게 복습하는 게임에 의한 학습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론으로 디자인 씽킹의 비선형 순환반복법을 적용하였고, 2회의 순환반복을 거쳐 최소기능을 가진 교육과정과 게임 프로토타입인 <어린이 박사들의 독도 탐험>을 마련하 였다. 치밀한 사용자조사와 인터뷰를 바탕으로 실제 예상목표사용자의 상황과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현실적인 경북지역의 사 용자를 발굴·개발하였다. 더불어 4회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얻는 수정보완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초안을 개선하였다. 이후 이것이 반영된 저수준의 시제품인 게임플랫폼을 시뮬레이션하고 평가하여 최종교육과정을 설계함으로써 기술이 융합된 경북 형 문화예술교육과정을 마련하였다. 우리 연구는 치밀한 사용자연구, 게임제작과 게임플레이가 연계된 독특한 교육과정, 체계 적인 보상제도, 적절한 게임 난이도 등의 장점이 있으나, 게임 스토리텔링의 심화, 게임플레이의 전략적 요소 강화, 독도정보 와 게임요소의 연계성 강화 등 게임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about the planning and design of a new art-culture curriculum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buk that raises awareness and interest in “Dokdo,”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source of Gyeongsangbuk-do, and that links Dokdo and art-culture education. The educational goals were set to improve the intimacy of Dokdo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buk, to cultivate production creativity, and to deepen their digital literacy.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defined here, we propose an “art-culture curriculum based on gamification linked to a digital board game.” This curriculum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Section 1 is an art-culture education section in which students learn game principles and production methods and create game elements. Section 2 is a game in which students play the game they constructed in Section 1 and enjoy reviewing the contents learned in Section 1. As a corresponding research methodology, we applied the nonlinear iteration method of design thinking to our study. Through two nonlinear iterations, we designed a curriculum with minimal functions and a game prototype, <Exploring Dokdo by Doctor Children>. Based on detailed user studies and interviews, actual users in Gyeongbuk were discovered and developed by reviewing the actual situ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expected target users. In addition, the draft curriculum was improved based on opinions obtained through four expert consultations. Subsequently, the game platform, a Lo-Fi prototype that reflected these advancements, was simulated and evaluated to design the final curriculum, thereby preparing a Gyeongbuk-style art-culture curriculum with technology fused into it. Our research has several advantages; it is in-depth user research, provides a unique curriculum that links game production and game play, includes a systematic reward system, and uses appropriate game difficulty levels. However there are is a need to improve the degree of 'gameability', such as by deepening the storytelling in the game, strengthening the strategic elements of the gameplay, and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Dokdo information and the game elements.

      • KCI등재

        사용성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중심으로

        황윤자(Yunja Hwang),차현진(Hyun-jin Cha),노은희(Eun-hee Noh)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수준의 정보를 체계적이고 원활하게 제공하고 이와 관련한 실행을 지원하는 온라인 기반의 시스템인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NCIC)의 사용성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국내·외 우수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시스템의 실증적 평가인 사용자 테스팅, 관찰 및 심층 인터뷰 등을 설계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NCIC의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성 문제와 요구 사항을 도출하였고, NCIC의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 사항은 교육과정이라는 본연의 과업과 맥락을 고려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과 사용자 경험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교육과정 온라인지원시스템인 NCIC의 UX/UI 개선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improve the usability problems of NCIC, which is an online-based system that systematically and seamlessly provides information 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and supports implementation in educational contex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first of all, best practices of an online support system for curriculum at home and abroad as well as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Th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s in curriculum, a usability evaluation study was designed and conducted with teachers by performing user testing,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s an empirical study. Usability problems and requirements were derived based on such NCIC"s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f NCIC was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UX/UI improvements and guidance are sugges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tasks and contexts of the curriculum, which could lead to an efficient and effective user experience.

      • KCI등재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사용하는 양상 탐색

        정광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teachers of the S elementary school, who are members of the ‘ten persons one step,’ develop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their class. As a way to achieve the goal, I read the contexts of curriculum autonomy of School and teachers. As a result, these teachers had outstanding performances at the Curriculum Workshop. First, they used curriculum as a standard. ‘Ten persons one step’ teachers saw the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as a guide for how they look at the textbook, to find a point where it had spare space to integrate or relate different subjects into one while constructing curriculum. And curriculum helped them as a space where it had a border for imagining or designing a class. Thu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could conclude that teachers use curriculum as a pathfinder or shield when they create classroom. A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big picture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pose in itself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curriculum autonomy. And it can be possible when a teacher triumph the curriculum literacy. 이 연구는 S초등학교 ‘열사람 한걸음’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교육과정을 수업에 사용하는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열사람 한걸음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사용하는 모습은 특히 그들의 ‘교육과정 워크숍’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첫째, 교사에게 교육과정은 기준이었다. 열사람 한걸음 교사들이 교육과정(성취기준)을 사용한 곳은 교과서를 살펴보는 기준으로, 교육과정 계획할 때 교과간 연결 및 여백을 찾을 때 구심점으로, 수업을 만들 때 수업에 대한 구상 및 상상을 더 이상 넘어서지 못하게 하는 경계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에 비추어서, 초등교사는 수업을 만들어서 할 때 교육과정을 나침판이자 방패로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 정책 탐색

        김세영 ( Kim¸ Se-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 정책을 위해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 모델이라는 구체적인 상을 탐색 및 제안하였다. 이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에 있어 교사가 제한적 역할을 수행하거나 능동적일 수 없었다는 비판에서 비롯되었다. 먼저 이를 증명하기 위해 국가 교육과정 평가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사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 중심의 국가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상향식 경로가 필요함을 언급하며, 그 구체적인 모습으로 NCTT(National Curriculum Tool for Teacher)를 제안하였다. NCTT는 교사의 교육과정 사용과 평가를 통합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크게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자료 사용, 국가 교육과정 평가를 지원한다. NCTT는 국가 교육과정 평가의 새로운 축이 됨과 동시에 교사 역할에 있어 국가 교육과정을 사용하며 평가한다는 교육과정의 능동적 사용자 및 비판적 평가자로서 교사 모습을 촉진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and proposed a teacher-centered evaluation model of national curriculum as part of a teacher-centered evaluation policy of national curriculum. This came from criticism that teachers were passive in evaluating the national curriculum. To prove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role of teachers focusing on research on the evaluat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tudy noted that teachers need a route to evaluate the national curriculum: NCTT(National Curriculum Tool for Teacher). NCTT is an online platform that supports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using, and curriculum evaluation. The NCTT will be a new way of assessing the national curriculum. It will also promote teacher as active users and critical evaluator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국정 교과서 질 관리를 위한 사용 단계 평가 체제 연구

        신서영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2021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국정도서로 개발되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질 관리를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과서 사용 단계의 평가 체제 구축과 관련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평가 체제 구축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우선 국정도서의 질 관리 체제를 개발 단계와 사용 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다음, 사용 단계의 질 관리 체제로서 사용 단계 평가 체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사용 단계의 평가 체제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전국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평가체제 구축과 관련한 설문을 배포하고 그 중 설문에 참여한 15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교육과정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3점이었으며, 사용 단계의 교과서 평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평균 4.02로 만족도보다 높았다. 사용 단계 평가 체제의 구축 방안에 있어서, 평가의 주체는 교사(98.7%), 독립된 플렛폼 구축(62.2%), 정기평가(49.4%), 척도형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혼합한 문항(50.6%)을 선호하였다. 또 평가 결과는 ‘사용자로 인증된 사람에게만 공개(55.1%)’, 평가 결과 반영 시기는 ‘차기 교과서 개발 시’가 가장 많았다(41.0%).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의 사용 단계 평가 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독립적인 평가 플렛폼을 구축하되, ‘교과서 사용성’을 규명하여 간단하고 명료한 질문을 통해 교과서 사용자 모두가 부담없이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질관리위원회 조직을 통해 평가 결과의 수정반영 여부를 심의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평가 플렛폼에 이미 개발된 교과서와 사용자인 교사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를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사용-평가 통합형 플렛폼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in the textbook use stage to manage the quality of textbooks developed as government-run books, and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a textbook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For research,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was examined as a development stage and a use stage. And then, the necessity of a use stage evaluation system was raised as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the use stage. Next, in order to find a way to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in the use stage, the survey responses of 159 special teachers nationwid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of special teachers using basic curriculum textbooks was 3.3 points, and the perception that textbook evaluation at the stage of use was 4.02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In the method of establishing a use-stage evaluation system, teachers (98.7%), independent platform construction (62.2%), regular evaluation (49.4%), and questions (50.6%) mixed with scale questions and open questions were preferred.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s were "disclosed only to those certified as users (55.1%), and the timing of reflecting the evaluation results was "when developing the next textbook" (41.0%).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evaluation platform to establish a system for evaluating the use of basic curriculum textbooks, but to identify "textbook usability" so that all textbook users can evaluate it without burden and to review the revision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the Quality Management Committee organization.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operate an integrated development-use-evaluation platform by allowing the evaluation platform to be equipped with textbooks already developed and various contents produced by teachers who are users.

      • KCI등재후보

        Manifestation of Language Transfer Problem During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Sung Joo Bae(배성주),Minah Park(박민아)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9 연세경영연구 Vol.56 No.1

        신제품 개발 과정은 회사 내외부의 다양한 관계자가 참여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그 중 이 논문은 사용자와 제조업체에 집중하며 특히 그 두 집단의 공동 문제 해결 과정에 중점을 둔다. 사용자들은 제품 설계 및 개발을 위해 중요한 정보들을 갖고 있으나 사용자와 제조업체 사이에는 강한 경계가 있다. 또한,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공동 문제 해결 과정에 양측 모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제조업체와 사용자들이 협력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기업의 외부 학습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문제해결과정 대한 연구 확장을 연구목적으로 두고 있다. 또한, 두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문제 해결 방식 차이의 근원지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문제 해결 언어를 개념화하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캐나다의 제조 회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고 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자-제조업체의 언어 차이가 존재하고 이는 공동 작업과 문제 해결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포착하였다. 우리는 사용자와 제조업체가 상대방 언어의 이해가 부족함을 밝히지 않고 추가 도움을 청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경계가 더욱 뚜렷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경계는 사용자와 제조업체가 서로의 언어 차이를 인지하고 두 집단이 협력하여 시행착오에 기반을 둔 학습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사용자와 제조업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술에 의존하여 로컬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언어 차이로 생기는 두 그룹 간의 경계가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ro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is a complex process where many different stakeholder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irm participate. Among them,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users and a manufacturer and their joint problem-solving process. Understanding the joint problem-solving process between users and a manufacturer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because users are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for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strong boundary between them and an issue of communication gaps created by language problems challenges both groups. This paper extends what we know about firm boundaries from the existing studies, and focuses on a specific type of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process between a manufacturer and its user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building method with multiple data sources from a manufacturing company in Canada, we develop a process model of how user-manufacturer problem-solving language differences can negatively affect the collaboration. By doing so, we conceptualized problem-solving language difference and qualitatively observed them. Then the discussion shifts towards the actual process of how the language boundary can be mitigated by local coordination based on the technical interdependencies between user requirement and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 사용자 혁신과 기술혁신 시스템

        김영배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자료 Vol.- No.-

        연구배경˚우리나라는 추격형 기술혁신체계의 모드에서 선도형 기술혁신체계의 새로운 시기로 전환 중에 있음. ˚최근 open innovation paradigm 부상과 함께 특히 user innovation 의 중요성 부각: 선진국의 경우 이미 사용자 혁신의 현황 파악과 함께 user-centered innovation 정책이 활용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창조적 혁신에서 사용자의 역할이 중요해 짐에도 불구하고 현황 파악조차 안 되고 있음. ˚각 산업의 사용자 혁신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혁신 패턴과 기술혁신시스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음 연구배경˚사용자 혁신의 최신 연구흐름까지 문헌 조사 정리하고, 사용자혁신의 정의, 선도사용자, 사용자혁신 프로세스, 정책 패러다임을 정리함. ˚추격형 단계에서 선도형 단계로 전환하는 우리나라 상황에 다양한 섹터의 사용자혁신 사례들을 분류 및 유형화 하는 틀을 제시함. ˚혁신전문가들이 User innovation 의 각 산업 대표사례 발굴 (예: 조선산업의 CAD 사용자 혁신 등) ˚사용자 혁신의 산업별 패턴과 성패요인 분석 ˚Lead user, Toolkits & methodologies,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등의 시사점 도출 ˚이를 통해 전환기의 기술혁신시스템 개선 방안 도출 및 선도형 혁신체계 제안 추진방법˚혁신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각 산업의 사용자 혁신 사례 발굴 ˚참여자들이 매월 연구회를 통해 사용자 혁신에 대한 학습 및 토론 ˚전문가들 각자가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연구회를 통해 산업별 사용자 혁신 사례발표 및 피드백 ˚11월에는 혁신연구 전문가들을 포함한 전체 연구참여자들이 1박2일 사용자혁신 워크샵을 통해 사용자 혁신 사례분석을 통한 새로운 기술혁신시스템 모델 제안 및 개선방안 논의 ˚12월 최종보고서 작성 및 제출 파급효과˚사용자 혁신의 각 산업 사례 발굴 ˚사용자 혁신 과정에서의 문제점 혹은 장애요인을 통한 정부 정책 이슈 제안 ˚사용자 혁신 패턴과 성패요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혁신시스템 개선 방안 도출 요 약 1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5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진행 6 제2장 사용자 혁신에 관한 문헌고찰 9 제1절 사용자혁신의 이해 9 제2절 사용자혁신의 과정 18 제3절 사용자혁신과 정부정책 27 제3장 조선산업 CAD 사례 36 제4장 의료기기 산업 사례 72 제5장 카네비게이션 사례 98 제6장 휴대기기 산업 사례 126 제7장 온라인게임 산업 사례 159 제8장 Web 2.0 사례 201 제9장 PC 부품산업 사례 227 제10장 사용자혁신과 기술혁신시스템의 정부정책 방향 236 제1절 사용자혁신과 선도형 기술혁신 체제 236 제2절 사용자혁신을 통한 기술혁신의 활성화 238 제3절 사용자혁신 정책 패러다임 제안 240 참고문헌 250 부록 254 Summary 255 Contents 256

      • 성능, 사용성, 환경성 평가를 통한 날개 없는 선풍기의 친환경적 설계안 개발 사례

        최영근 ( Young Geun Choi ),이백희 ( Baek Hee Lee ),유희찬 ( Hee Cheon You ) 한국전과정평가학회 2014 한국전과정평가학회지 Vol.15 No.1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전 세계적인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적 제품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과정평가는 제품의 생선, 운송, 사용, 폐기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소비량과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여 제품의 환경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두 종류의 선풍기를 대상으로 성능, 사용 성,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여 친환경적 제품 개선 전략을 도출하였다. 성능 평가는 풍속, 사용전력량, 소음의 3가 지 측면에서 평가하였고, 사용성 평가는 심미성, 조작 용이성, 관리 용이성, 이동성, 안전성, 소음 만족도, 그리 고 전반적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과정평가를 통한 에코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날개 없는 선풍기의 개선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성능, 사용성, 전과정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날개 없는 선풍기의 성능, 사용성, 환경성 측면에서의 개선 전략을 제안하였다. Eco-friendly product designs have been developed more actively than ever before to resolve global issues of global warming, resource depletion, and energy cost increase. Life Cycle Assessment (LCA) is often applied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a product. An eco-friendly product should also consider the aspects of performance and usability for market competitiveness.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eco-friendly product improvement strategy of a bladeless fan by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fan in terms of performance, usability, and eco-friendliness. The two fans being operated in a laboratory setting, performance measurements such as wind speed, noise level, and power consumption were collected. Then, usability evaluations such as aesthetics, ease of manipulation, ease of maintenance, mobility, safety, noise,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for the two fans using 5-point scale. Finally, LCA was conducted by following the six-step process of eco-friendly product design. As a result, two design improvement directions (natural fan and celestial fan) were suggested for an eco-friendly bladeless fan. The proposed design directions would be of use for eco-friendly fan design with high level of performance, usability, and eco-friendliness.

      • KCI등재

        중학교 수학 교사의 기하 단원 교육과정 자료 사용 연구: 한 교사공동체의 사례

        구나영,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학교수학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f teacher community use geometrical unit curriculum materials. Specifically, the focus was on analyzing what elements of the curriculum materials teachers interpret and how they attempt to supplement them. In this study, we classified categories and type of curriculum material use. The categories of curriculum material use was classified into offloading, adaptation, and improvisation. And the types of curriculum material use was classified into inclusion, modification, omission and creation. In the cases of modification, we identified how the question, example, tool, context and system of the task were modified. We found that teachers made various transformations to supplement the textbook, and the frequency of modification, omission and creation was different by system of textbook. Teachers supplemented them mainly by adding questions, modifying expressions and the role or sequence of tasks. In addition, teachers analyzed original tasks and transformed them into new forms based on the results of considering the geometric essence of major concepts. Although all the interpretations and uses of curriculum materials were not appropriate, it wa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to seek alternative approaches.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에 소속된 중학교 수학 교사들이 기하 단원 교육과정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교사들이 정규 수업에 활용할 과제를 설계할 때 교육과정 자료의 어느 부분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교육과정 자료를 보완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하는지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자료의 사용 방식을 충실한 사용, 적응적 사용, 생성적 사용으로, 사용 유형을 유지, 수정, 삭제, 추가로 분류하였으며, 수정의 경우 과제의 질문, 예, 도구, 맥락, 체계를 어떻게 수정하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자신의 해석을 기초로 교과서 체계별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며 체계별로 수정, 삭제, 추가의 빈도가 달랐다. 교사들은 주로 점진적인 형식화의 과정, 학생들이 탐구할 기회, 오개념에 관한 해석을 기초로 질문을 추가하거나, 표현을 수정하고, 과제의 역할이나 순서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보완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주요 개념의 기하학적 본질을 탐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과제를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로 변형하였다. 교사공동체 구성원의 기하 단원 교육과정 자료의 해석과 사용이 모두 적절하지는 않았지만, 해당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대안적인 접근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