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북한철학계의 연구경향과 그 특징―『철학연구』(2000-2016)을 중심으로―

        박민철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3 No.-

        Philosophy research trends in North Korea are an important subject. That is because, above all,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of the North Korean philosophy can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grasp the basis of the North Korea’s knowledge, its thought system and ideology orientation. However, the analysis of philosophy researches in North Korea still seems to be inadequate. In particular,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 study on North Korean philosophy, represented by “Juche Thought”, works as a decisive factor that makes researches on North Korean philosophy hesitant. So first and foremost the study on North Korean philosophy faces the question of how to find the North Korean philosophy itself as an object of analysis, which is ‘even so’ free from the North Korea’s ruling ideology. At this point, while acknowledging the limitations of researches on North Korean philosophy,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y possibility that the philosophy (academic research) of the South/North can move toward the horizon of coexistence.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hilosophical papers published among Research of Philosophy magazine between 2000 and 2016, which is considered even so to have a weak political propaganda characteristic. Furthermore, through this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researches in North Korea emphasized since the 2000s show that they are the maintenance of the regulation power of ‘a synthesis of theory and practice’, an increase of ‘post-ideology’ studies, and securing ‘universality’ of philosophy researches, etc. 북한철학계의 연구경향은 중요한 연구주제가 된다. 무엇보다 북한철학계의 연구경향을 살펴보는 것은 북한의 지식, 사상체계, 이념지향의 기반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북한의 철학연구에 대한 분석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 못하며, 소수의 연구들이 지나치게 편협한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다. 물론 ‘주체사상’으로 대표되는 북한철학 연구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은 북한철학에 대한 연구를 주저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동한다. 그래서 북한철학에 대한 연구는 일차적으로 북의 통치이데올로기로부터 ‘그나마’ 자유로운 북한철학의 그 자체를 어떻게 분석의 대상으로 발굴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북한철학계의 연구가 갖는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남북의 철학(학술)이 공존의 지평으로 나아갈 수 있는 어떠한 가능성을 타진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치선전적 성격이 그나마 약하다고 평가받는 철학 분야 전문학술잡지 『철학연구』(Research of Philosophy) 중 2000년부터 2016년 사이에 실린철학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이론과 실천의 종합’ 이라는 규정력의 유지, ‘탈이데올로기적’ 연구의 증가, 철학연구의 ‘보편성’ 확보 등이2000년대 이후 강조되는 북한의 철학연구의 특징임을 도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로부터 ‘학문의 분단’ 그리고 ‘분단의 학문’을 넘어서서 마련될 수 있는 통합적 코리아학의한 사례로서 한국(조선)철학사 서술의 가능성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실존적 정체성에 대한 치료적 물음과 답변의 모색 철학교육 기반의 철학상담치료를 중심으로

        김선희 ( Kim Sun-hye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6 철학 실천과 상담 Vol.6 No.-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을 이탈하여 남한으로 들어오고자 한다. 그러나 이때 북한이탈주민은 한편으로는 이미 북한을 이탈한 존재인 동시에 이미 남한에 들어와 있는 존재이다. 이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북한이탈주민은 아직 북한을 이탈하지 못한 존재이자 아직 남한에 들어오지 못한 존재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이들은 공간적으로나 육체적으로는 이미 북한을 이탈하여 남한에 들어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적으로나 문화적으로는 아직 남한으로 온전히 들어오지 못하고 북한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볼 때, 북한이탈주민은 한편으로 공간적으로나 육체적으로는 북한을 떠나서 남한으로 들어온 존재라는 의미에서 북한에 대하여는 탈존적 존재인 동시에 남한에 대해서는 내존적 존재이다. 그러나 이들은 다른 한편으로 정신적으로나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북한에 머물며 남한으로 들어오지 못한 존재라는 점에서 북한에 대하여 아직 비-탈존적 존재이며 남한에 대하여 비-내존적 존재이기도 하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들은 이들의 중층적 정체성으로 인하여 아직 북한과 남한 중 어느 한쪽에 속해있는 존재라기보다는 오히려 이 양쪽 사이에 있는 존재, 즉 간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북한이탈주민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실존적 정체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를 도울 철학적 실천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실존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이 지니고 있는 이들만의 고유한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철학상담치료적 토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간존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이 그들의 중층적인 실존적 정체성을 스스로 인식하고 배려하는 것을 조력할 수 있는 철학교육 기반의 철학상담 프로그램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North Korean defectors intend to defect from North Korea and come into South Korea. But this time, on the one hand, North Korean defectors are the existence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the existences who already came in South Korea. More than that,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defectors are the beings who did not defect from North Korea still and the beings who did not come into South Korea still as well. Because they already defected North Korea and entered South Korea spatially and physically, nevertheless, they did not come into South Korea and stay in North Korea still mentally or culturally. In view of this meaning, North Korean defectors, on the one hand, spatially or physically in the sense that they are the existences who left North Korea and entered South Korea, are Ex-istenz to North Korea and simultaneously In-istenz to South Korea. But on the other hand mentally or culturally, in the point that they are the beings that stay in North Korea and do not come into South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are Nicht-Eixistenz still to North Korea and Nicht-Inistenz to South Korea as well. Like this, North Korean defectors are not so much the existences completely belonging to one side out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till owing to their multilayered identity rather as the existences between both sides, that is, Inter-istenz. In this research I plan to understand the unique existential identity su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nd grope for philosophical practice to help them.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we intend to execute an existential analysis on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Further, based on this, this research is seeking for understanding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 which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and groping for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apeutic ground as to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is, we will grope for a concrete example of philosophcal education-based philosophical counseling program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as Inter-istenz recognize and consider their multilayered existential identity for themselves.

      • KCI등재

        ‘조선철학’ 대 ‘한국철학’ : ‘북’의 조선철학 연구 특징과 남북철학의 공동연구 가능성

        박민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9 시대와 철학 Vol.30 No.3

        Heterogeneity is the foundation for creating new things, while at the same time presupposing differences. The fact that South and North Korea have accumulated research achievement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can rather be a factor in the richness of the academic realm of philosophy. Therefore, what we need now is an active attempt to go beyond "Study of division" and "division of Study.“ Therefore, the joint study between South and North philosophy is important. Because the philosophical system created in a certain time and space is generally concentrated in the values, emotions, and cultures of the society, philosophical research can be an important stepping stone in exploring the differences and realizing commonality in the South and North society. This study defined the feature of the recent philosophical research in North Korea as an interest in modern philosophy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 revealed that the detailed subjects are being organized and specialized. Through these discus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and obstacle of the 'Unified Philosophical History of the South and the North'. 이질성은 차이를 전제하는 동시에, 새로운 것의 창조를 낳는 토대가된다. 남한과 북한이 서로 상이한 시각에서 연구성과를 축적하였다는 것은오히려 철학이라는 학문영역의 풍부함을 가져다주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은 ‘분단의 학문’ 그리고 ‘학문의 분단’을넘어서려는 적극적인 시도이다. 한국철학과 북한철학의 공동연구는 그래서중요하다. 특정 시간과 공간 속에서 생성된 철학 체계는 그 사회의 가치, 정서, 문화가 총체적으로 집약되어 있기 때문에, 남북 사회의 차이를 탐구하고 공통성을 실현시켜나가는 데 있어서 철학연구는 중요한 디딤돌이 될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철학연구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한반도의 현대철학에 대한 관심으로 정의하였으며, 이 속에서 세부 주제들에 대한 체계화 및 전문화가 이뤄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해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남북통합철학사’의 가능성과 걸림돌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북한 '조선철학'의 연구경향과 학문적 특성

        전미영(Joen Mi-Ye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한국민족문화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features of Korean philosophy, 'Joseon philosophy' in North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n philosophy by focusing on the North Korean's most authoritative Journals of philosophy, Research of Philosophy and Journal of Kim 11 Sung University. In North Korea, the philosophy has been distorted by dictatorial political power and restructured by unitarian ideology, Juche philosophy since 1960. Consequently North Korean philosophy became a means to develope their political ideology. Korean philosophical circles produced a large quantity of output every year in various fields of philosophy. But, most philosophical opinions were based on 'Juche Philosophy'. Evidently, there is neither controversy nor academic argument in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The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Joseon philosophy, have been researched by a guiding principle of Juche methodology. Consequently a difference of a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philosoph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sever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s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 KCI등재

        북한인권문제와 대북정책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1

        본 연구는 북한인권문제와 대북정책 간의 상관성을 밝히고 있다. 그동안 북한인권문제가 지니고 있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북한인권문제는 대북정책의 핵심적인 구성내용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 북한인권문제는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현 단계 국제사회의 최고의 긴급현안 중의 하나로 부상하였다. 북한인권문제의 해결 없이는 결코 북한문제의 해결은 어렵다는 것이 북한문제를 보는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북한인권문제가 그대로 잔존해 있다는 사실은 반인륜적인 북한정권의 지속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인권문제의 해결은 북한정권의 정상적인 차원에서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인권문제와 대북정책의 결합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우선 북한인권문제를 대북정책의 기본 틀로 설정해야 한다. 북한문제의 해결에 북한인권문제이 선결과제이기 때문에 북한인권문제는 이제 대북정책을 틀지우는 기본 척도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북한인권문제와 대북정책의 결합은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확신한다. 마지막으로 북한인권문제와 대북정책 간의 결합은 우리 정부의 국제공조체제를 강화 내지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is on the interrelation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and our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Although our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important,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was totally unappreciated as a key content. But now, it emerged as the urgent issu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at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s problem is not without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is a view shared by most experts. The survival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means the keeping of North Korea’s regime. So,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is a normal change of North Korea. In this respect, I think that the combination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and our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needed. First,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is established as basic framework of our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Second, the combination of North Korea’s human rights problem and our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playing a more prominent role in promoting the effect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Finally, I think that it plays a role in intensify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of our government.

      • KCI우수등재

        북한의 이황 철학 연구 ‒객관적 관념론에서 신학적 관념론으로‒

        강경현 한국철학회 2023 철학 Vol.- No.157

        유물론과 관념론의 투쟁으로 조선철학을 바라보는 북한의 연구에서 이황 철학은 1960년 이래로 봉건 도덕 윤리를 옹호하기 위해 고안된 관념론이면서도인식론의 차원에서 대상 세계의 실재함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객관적 관념론”으로 평가된다. 2010년 간행된 조선철학전사에서 이황 철학은 “신학적 관념론”이라는 용어를 통해 “극단적인 관념론”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이황철학의 인식론이 “신비적 직관[神悟]”을 방법으로 한다는 해석, 그리고 동아시아관념론을 발전사적으로 바라보며 주희 철학의 관념론적 사유가 이황 철학에 이르러 완결성을 갖추게 되었다는 철학사적 이해가 자리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변화가 기존의 철학사 서술과 비교할 때 이황 철학의 원전과 개념을 보다 충실히인용하고 구성해 내면서 진행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In the field of North Korean studies since the 1960s, where Korean philosophy is viewed as a struggle between materialism and idealism, Yi Hwang’s philosophy is characterized as ‘objective idealism.’ This interpretation suggests that his philosophy was crafted to defend a feudal moral ethic while also acknowledging the objective world to some extent within the realm of epistemology. In The Complete History of Joseon Philosophy, published in 2010, Yi Hwang’s philosophy is portrayed as ‘extreme idealism’ through the term ‘theological idealism.’ This shift in perspective revolves around understanding Yi Hwang’s epistemology as a form of ‘mystical intuition’ and adopting a philosophical-historical viewpoint that sees East Asian idealism as a developmental narrative, culminating in Yi Hwang’s philosophy. This article highlights that this change is accompanied by more thorough citation and organization of Yi Hwang’s philosophical literature and concepts when compared to existing narratives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 KCI등재후보

        주체사상 체계화 이후 북한철학에 나타난 변화와 이론적 특징

        김익현(Kim Ik Hy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본 논문은 주체사상 체계화 이후, 북한의 권위 있는 저널 중의 하나인 ?철학연구?(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7년까지의 자료를 중심으로 북한의 철학 관련 논문들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 특징들을 살펴보는 자료 분석 차원의 논문이다. 우선 1986년 복간된 ?철학연구?에 등장하는 논문들의 대부분은 주체철학과 직접 관련된 논문들로 주체의 철학적 원리와 사회역사적 원리를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커다란 변화나 특징을 찾아 볼 수 없지만, 철학의 각 부문, 심리학, 윤리학, 미학, 논리학, 세계철학, 조선철학 등으로 외연이 확대되고 전문화되면서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또 다른 특징은 사회주의권 붕괴 이후에 제국주의의 사상적 침투를 막아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는 부르죠아 철학사상(현대서양철학과 현대민주주의론) 관련 논문들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주목할 만한 특징은 철학사적 입장에서 각각의 철학자들과 철학사조들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주체사상의 위대함을 드러내려는 논문들의 등장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수의 조선철학 관련 논문들이 등장하는데 이 논문들은 민족의 자주성과 우수성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86년 이후 ?철학연구?에 나타난 철학 관련 논문들의 이러한 경향은 전체적으로 볼 때, 소련과 동구권 사회주의체제 붕괴 이후, 맑스주의를 포함한 세계철학의 전체적인 구도 속에서 주체사상이 그 정점에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그리고 민족의 자주성과 고유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킴으로써 인민대중들의 동요를 막고 그들을 사상의식적으로 결속시키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orth Korean philosophical papers by focusing on Research of Philosophy, one of North Korean's authoritative Journals of philosophy. Most of the papers in Research of Philosophy has justified 'Juche Ideology' and the practical ideology as 'Our-style Socialism', 'Military-First Ideology'. But after systematization of 'Juche Ideology', several distinctive features of North Korean philosophy are the appearance of various studies that expand the extension of philosophical investigation(for example, Psychology, Ethics, Esthetics), the bourgeois philosophical thought-related studies, 'Juche Ideology'-related studies, and Joseon philosophy-related studies. Taken as a whole, this tendency has relevance to the intention that will stop the disturbance of people and bind people ideologically after the collapse of East-European bloc by showing the superiority of Juche Ideology and by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북한법 연구와 ‘법의 지배’ 원리

        김종곤(Kim Jong Gon)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0 통일인문학 Vol.49 No.-

        규범적 해석에 따르면 법의 지배가 실현되는 사회는 ‘정부와 개인의 행위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존재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논의들은 북한법이 이러한 필요조건을 결여하고 있다는 입장에서 그것을 명목적이고 장식적인 법률로 간주한다. 즉, 북한법은 김일성 교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죽은 법’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입장에서 보자면 북한법은 규칙으로서 아무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북한은 규칙 없는 사회가 된다. 하지만 법의 지배에 대한 규범적 해석은 법학자들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허구일 수 있다. 왜냐하면 행위의 규칙성(regularity)이 반드시 규칙들(rules)의 결과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북한법이 자유주의 법률적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결여하고 있다고 해서 1인 혹은 특정 정당에 의해 운영되는, 즉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보증하는 규칙성이 없는 사회로 판단하는 것과 그에 따라 가치 없는 법으로 결론짓는 것은 성급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가치 평가적 해석에 비추어 북한 헌법을 ‘법의 지배’ 원리를 결여한 것으로, 즉 독재 권력에 의한 ‘법의 의한 지배’를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보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입장에 따르면 실정법이 합법성의 형식적인 요건들을 모두 갖추었을지라도, 그것이 도덕원리의 표현인 개인들의 권리를 승인하지 않을 경우 온전한 합법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남과 북이 가지고 있는 법체계 혹은 그 법체계를 떠받들고 있는 정치 이념적 가치의 상대성 내지 당파성이 이러한 가치 평가적 입장을 흔들어 놓을 수 있다. 이는 법체계라는 것이 정치적 맥락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법철학적 관점은 자신이 속해있는 국가의 법체계에 대해 보편성을 부여하고, 반성 없는 정당성을 뒤틀어 폐쇄적인 자기 동일성을, 외부를 형성하면서 만드는 결과를 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할만하다. 따라서 북한법을 평가하는데 있어 적어도 세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북한법의 성립과정과 그 내용을 정치현실과 법과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남한법학이 가지고 있는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차이의 부각이 아닌 공통성을 확인하는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According to the normative analysis, in the society that 'the rule of law' is realized 'the predictability for the government and individual behavior' exists. But these discussions, in a position that the law of North Korea(LNK) lack these necessary conditions, consider it to be nominal and decorative. In other words, LNK is just 'dead law'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Kim Il Sung instructions. Looking at this position, LNK has no effect as a rule. Further, North Korea is a society without rules. However, the normative interpretation of the rule of law may be fiction that the imagination of the jurists embellished. Because the regularity of behavior may not be the result of the rules. In this sense, the reason that LNK lack of the liberal legal elements does not prove the discussion that North Korea is operated by one man or a particular political party and has not the rules to ensure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So, it can not be said that the LNK is the valueless law. The standpoint in the light of valuation analysis regard LNK as the law lacking 'the rule of law' principle. Namely, it consider it the tool for the realization of 'rule of law' of the dictatorship. According to these positions, although the positive law has the formal requirements of legality, it's seen as equipped with full legitimacy if it dose not approve the rights of individuals of an expression of moral principles. But this could be shaked by the legal system of South/North Korea or by the partisan and relativity of political ideological values determining that the legal system. This says that tha law system can not think without political context. These perspective of the legal philosophy has problems as: they grant universality and exclusive self-identity without self-reflection. Therefore, we must consider three points to evaluate LNK at least. First, we nee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NK and the political reality. Second, we need to reflect the concept of South Korea law. Finally, we need future-oriented assessment to confirm commonness.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의 철학 치료적 접근

        김선희(Sun-Hye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0 다문화콘텐츠연구 Vol.8 No.-

        현재 우리 사회의 현안 중의 하나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문제는 경제적 차원의 지원과 심리적 차원의 상담 서비스의 역할을 넘어서 있다. 이들에게 긴급하게 필요한 것은 경제적 토대이자 고통스런 심리적 상흔의 치료이지만 열심히 일만 한다고 급변하는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마음의 상흔이 치료되었다고 그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장기적이고 일상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적응을 위해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열심히 일하는 것과 더불어 냉혹한 현실에 대면할 수 있는 문제 해결능력이다. 또한 사회 적응의 차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립과 자활을 통한 행복한 삶이 본질적인 과제일 것이다. 적극적이고 장기적 형태의 적응은 경제적인 부의 획득과 정신적, 심리적 질환을 치료하는 소극적 형태의 접근에서 자신의 존재 의미와 사회와 개인의 긍정적 관계 그리고 함께 하는 삶의 연대적 기쁨을 향유할 수 있는 인간적 감성과 지성의 활성화로의 확장에 의해서 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논자는 우선 사회적응의 화두를 실현하기 위한 기초 개념으로서 상호 통섭적 소통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사회 적응의 주체와 영역의 관점에서 상호 통섭적 소통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구체적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문제를 철학적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자 한다. 넷째, 이들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경우 기본적인 조건에 대해서 논의해 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적응이라는 문제를 풀기 위한 철학 치료적 방법으로서 관점치료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논자는 한편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문제라고 하는 사회적 현안 문제의 해결을 모색해보고자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이 사회의 구체적인 문제 상황과 관련하여 기여할 수 있는 치료적 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Currently the problem of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which is one of pending issues in our society goes beyond the role of the support in the economic dimension and the counseling service in the psychological level. What is urgently needed for them is the economic foundation and the therapy a painful psychological scar, but a diligent work cannot guarantee a good adaptation to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nor cure the psychological scar. What is needed for them for a social adaptation in the long-term and routinely dimension must be the problem-solving ability to confront a heartless reality along with the diligent work. And it is the pursuit of a happy life in the dimension of social adaptation and further through self-reliance and self-support. The adaptation in the positive and long-term phase can be made not just by the acquisition or a passive form of approach to treat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disorder but by the meaning of one's own being, a positive 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the extension into human sensitivity and intelligence to enjoy a joint pleasure in the common life.<br/> ??In this problem awareness, first, this writer will survey a mutual consilient communication as a basic concept to realize the topic of social adaptation. Second, in order to discuss it concretely, we will examine a mutual consilient communic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and realm of social adaptation. Third, we'll approach concretely the problem in the philosophical viewpoint. Fourth, we'll also argue the basic conditions in case of constructing a program based on these. And finally we'll examine the relation with the therapeutic point of view as a philosophical therapy to solve the social adaptation. Through this study, this writer is going to cope with the social pending issue of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on the one hand, and prepare the therapeutic argumentation for which philosophy can contribute in relation with the concrete problem situations in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