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충어를 요구하는 통사 부사의 용법

        한길(Han, Ki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한국어 부사 가운데 일부는 문장 구성에 제약을 가하거나 문법 범주에 제약을 일으킨다. 문장 구성이나 문법 범주에 통사적 제약을 일으키는 부사는 통사 부사에 해당한다. 이 글에서는 통사 부사 중에서 특정의 문장 성분을 보충어로 요구하는 부사로 ‘더불어’, ‘아울러’, ‘하여금’, ‘같이’, ‘함께’, ‘고사하고’를 선정하고, 이들 부사가 문장 안에서 어떤 통사 제약을 일으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가 문장 안에서 수식어로 적절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N+과’나 ‘N+으로’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N+과’나 ‘N+으로’는 ‘더불어’와 긴밀한 구성을 이루어 그 사이에 어떤 요소도 끼어들 수 없다. ‘아울러’는 ‘N+과’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아울러’ 앞에 목적어가 있으면 ‘아울러’는 부사가 아니라 타동사 ‘아우르다’의 활용형에 해당한다. ‘하여금’은 장형 사동문에서 필수 성분으로 쓰이며, 사역 행동의 주체인 ‘N+으로’를 필수 보충어로 요구하는 통사 특성을 가진다. ‘하여금’이 생략되기도 하지만, 반드시 ‘N+으로’의 보충어와 함께 생략되어야 한다. ‘같이’는 ‘N+과’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같이’의 뜻에 따라 보충어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함께’는 ‘N+과’의 보충어를 필요로 한다. ‘함께’의 뜻에 따라서 ‘N+과’의 보충어가 문맥이나 상황에 따라 생략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함께’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보충어도 함께 생략되어야 한다. ‘고사(姑捨)하고’는 문장 구성에서 적절하게 쓰이기 위해서는 ‘N+는’이나 ‘Vst+기는’이란 보충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고사하고’의 보충어가 ‘N+는’인 경우에는 ‘고사하고’ 바로 뒤에 명사가 놓이고, ‘Vst+기는’인 경우에는 용언이 놓인다. This study is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eobureo", "aulleo", hayogeum", gachi", "hamgge", "gosahago" in the Korean adverbs. There are two kinds of adverbs according to whether the adverbs have syntactic restrictions or not. The adverbs to have syntactic restrictions are syntactic adverbs, the adverbs not to have syntactic restrictions are morphological adverbs. "Deobureo", "aulleo", "hayogeum", "gachi", "hamkke", "gosahago" are the syntactic adverbs to require the supplementary words. If the "deobureo" is used properly as a modifier in the sentence, the supplementary word "N+kwa" or "N+euro" is sure to require in front of "deobureo". But the supplementary word of "deobureo"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context of expectation. If the "aulleo" is used properly as a modifier in the sentence, the supplementary word "N+kwa" is sure to require in front of "aulleo". The "aulleo" next to object "N+leul" is not adverb but conjugation of verb "aureuda". The "N+kwa"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context of expectation. The "hayogeum" is the obligatory constituent in the long formed causative sentences. The supplementary word "N+euro" is sure to require in front of hayogeum". The "hayogeum" and "N+euro" can be omitted at the same time, but only the "hayogeum" can not be omitted. The "gachi" is not the obligatory constituent but the optional constituent in the sentence, and requires the supplementary word "N+kwa" in front of the "gachi". The supplementary word "N+kwa" can be omitted or can not be omitted according to the meanings of "gachi". The "hamkke" is the optional constituent in the sentence, and requires the supplementary word "N+kwa" in front of the "hamkke". The supplementary word "N+kwa" can be omitted according to the meanings of "hamkke". If "hamkke" is omitted, "N+kwa" is sure to be omitted. The "gosahago" requires the supplementary word "N+neun" in front of the "gosahago" in the sentence. There are a lot of restrictions to be used "gosahago" grammatically in the sentence.

      • KCI등재

        교육문법으로서 독일어 동사 보충어에 관한 연구

        성지혜 ( Sung Ji-hy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8 No.-

        결합가 문법은 문장 내 문장성분의 통사적 기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만드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국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학습자가 독일어 어휘, 특히 동사를 학습하는 과정만봐도 결합가 문법의 중요성은 쉽게 드러난다. 이에 본고는 DaF 교재에서 4격 보충어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교육문법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분석교재는 공통적으로 4격 보충어를 언어 사실에 충실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언어대조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있지는 않았다. 또한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4격 보충어를 간단명료하게기술하고, 자연스럽고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서 도입하면서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인지를 돕고자 했다. 특히 읽기 및 듣기 텍스트를 통해서 발견한 문법 현상, 즉 4 격 보충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4격 보충어의 형태 등을 학습자 스스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한점, 교재의 부록에 동사의 보충어 개념을 상징적 기호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제시한 점은 독일어 문법 교수·학습 과정에 참고할 만하다. 한편, 실생활과 관련이 없는 외국어 학습을 위해서인위적으로 고안된 텍스트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Die Valenzgrammatik hat im Bereich des Fremdsprachenlehrens und -lernens Aufmerksamkeit erregt, da sie es uns nicht nur ermöglicht, die syntaktische Funktion von Satzkomponenten in einem Satz genau zu erfassen, sondern auch eine positive Rolle dabei spielen kann, Lernenden zu helfen, grammatikalisch korrekte Sätze zu erstellen. Die Bedeutung der Valenzgrammatik wird leicht deutlich, wenn man sich den Prozess ansieht, in dem Lernende deutsche Vokabeln lernen, insbesondere Verben. In dieser Studie wird daher untersucht, wie Verbergänzungen, insbesondere Objektergänzungen, in Lehrbüchern des Deutschen als Fremdsprache gehandhabt werden. Lehrbücher beschreiben üblicherweise Objektergänzungen getreu sprachlichen Tatsachen, jedoch nicht vom Standpunkt des sprachlichen Kontrasts. Obwohl es einen graduellen Unterschied gibt, werden die Objektergänzungen einfach und klar beschrieben und durch natürliche und vielfältige Texte eingeführt, und es wurden konkrete und visuelle Mittel verwendet, um die Wahrnehmung des Lernenden zu unterstützen. Insbesondere die Tatsache, dass Lernende die durch Lese- und Hörtexten entdeckten grammatikalischen Phänomene, nämlich Verben, die Objektergänzungen erfordern, und die Form Objektergänzungen organisieren können, ist nützlich für den Deutschunterricht. Dass der Begriff ‘Verbergänzungen’ im Anhang eines Lehrbuchs noch einmal durch Symbole dargestellt wird, ist auch erwähnenswert.

      • KCI등재

        영어 to-부정사와 to-동명사 선택의 변화

        김혜리(Hyeree Kim) 현대문법학회 2019 현대문법연구 Vol.103 No.-

        지금까지 우리는 과거에 동사성 보충어(즉 보충절)로 to-부정사를 취했던 술어들이 현대에 와서 to-동명사로 전환되고 있다는 Rohdenburg(2006), Rudanko (2010)의 대보충어추이 가설의 진위를 밝히기 위해, COHA라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몇 가지 술어들의 역사적 빈도변화를 조사하였다. ‘object, confine’은 그 보충어를 to-부정사에서 to-동명사로 완전히 변화시킨 술어로서 대보충어추이에 일치한다. 부분변화 술어로서 ‘consent, prone, look forward’는 최근 200년간 to-동명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to-부정사의 사용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 술어들도 대보충어추이에 일치한다. 이 가운데 ‘look forward’가 가장 그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consent’와 ‘prone’은 동명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부정사의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그 반면에 ‘agree, assent, aspire’는 동명사의 사용은 최근에 약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부정사의 사용이 전혀 감소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사용빈도가 높은 ‘agree’의 경우 부정사의 사용도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to-동명사의 증가 측면 만 본다면 이들도 대보충어추이에 부합한다. 그러나 to-부정사의 사용감소가 일어나지 않기에 다른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앞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언어변화는 통합적 축(syntagmatic axis)에서의 어떤 변화가 관련된 모든 계열적 축(paradigmatic axis)에서 한꺼번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어휘 또는 통사적 요소에서 먼저 촉발된 후, 계열적 축을 따라 다른 통사적 요소 로 서서히 확산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Great Complement Shift (GCS), according to which infinitival complement is being replaced by prepositional gerund over time. The advance of the to plus gerund ( to -geru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ominent pattern of GCS (Rudanko 2010, etc.). On the basis of 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 , this paper examines the frequency changes from the 1820s to the 2000s involving eight predicates expected to have undergone GCS. It turns out that object and confine have completed the chang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only to -gerund is used now. The predicates consent, prone and look forward have partially undergone GCS: among them look forward is in the front line and to -gerund overtook to -infinitive in the 1850s and have since spread rapidly; with consent and prone, to -infinitive is still used more frequently but to -gerund is increasing and to -infinitive is slightly decreasing over time. The verbs agree, assent and aspire differ from the others in that to -infinitive has not decreased at all. Since to -gerund is slightly increasing with these verbs, GCS is still justified but not at the expense of to -infinitive.

      • KCI등재후보

        산청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에 대하여

        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Sancheong sub-regional dialect is one of several sub-regional dialects which belong to Gyeongnam regional dialect. The present author has intended to discuss three main topics as follows: First, we want to present a full list of the native-Korean kinship terms used in Sancheong sub-regional dialect. The result is classified in <table 1>~<table 4>. Second, we try to make an approach the dialect in ques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d formation, and investigating what is the generative principle. We assume the six principles as shown in (19) are the main generative ones of the native-Korean kinship terms used in that dialect. Third, we research the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 of that dialect, and analyz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hrasal native-Korean kinship terms. With reference to this topic, the author has found 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m as follows: If a COMPL(complement) is pre-attached to a base X, then the synthesis is COMPL X', and if a ADJ(adjunct) is pre-attached to the COMPL X', then the synthesis is also X', but the character of this construction is a ADJ X' not COMPL X'. The ADJ X' occurs several times, but we think there are no X" node in the construction, because there are no elements which role like subject in the phrasal constructions. 산청 지역어는 경남 방언의 한 지역어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된 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산청 지역어에서 발견되는 고유어계 친족 명칭을 정리하고자 하는데, 그 결과는 <표-1>~<표-4>로 분류되어 있다. 둘째,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을 단어의 생성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그 생성 원리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우리는 (16)에 보인 바와 같은 여섯 가지 원리가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의 생성 원리라고 가정했다. 셋째, 이 지역어 고유어계 친족 명칭의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를 고찰하고, 그 구적 명칭의 내적 구조를 분석한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내적 구조를 발견했다고 믿는다: 만약, 보충어가 어기 X에 선접하면, 그 통합체는 보충어 X'가 되고, 만약 부가어가 이 보충어 X'에 선접하면, 그 통합체는 역시 X'가 되지만 이 구성의 성격은 부가어 X'이지 보충어 X'가 아니다. 부가어 X'는 여러 번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X" 교점은 이 구성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것은 이 구적인 구성에서 주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 KCI등재
      • 러· 한· 영어의 기본문형대조

        임흥수(Im,Heung-Su)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1

        본 논문은 러시아어·한국어·영어 기본문형의 하위 범주 형식을 유형론적으로 비교 검토한 것이다. 특히 러시아어·한국어·영어 기본문형의 하위범주 비교 기준 틀을 설정, 제시하고 이에 근거해서 러시아어·한국어·영어의 기본문형을 술어의 품사 구조형식, 하위범주(보충어)의 형식 등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러시아어·한국어·영어 기본문형 비교 기준 틀로 주로 하위범주 품사들의 서술 형식 구조와 하위 실현 보충어들(NP구조, PP구조, 재귀사, 수동구문, 보문 구조, 부정사/동명사 구문)을 제시하였다. 하위범주 품사들의 서술 형식 구조로 러?한?영어의 동사가 요구하는 보충어의 성격에 따른 동사문과 러·한·영어의 형용사 술어 구조나 형용사 구조, 러·한·영어의 명사 서술어 형태, 기능동사 구문, “목적어+보어구문” 구조 등을 기술하였다. 하위범주의 보충어 형식에서는 한국어의 SOV언어의 언어 유형론적 특징, 재귀사 서술어, 영어나 러시아어의 부정사 구문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음/ 기’ 대응 구문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ypes of the subcategorization of the basic sentences in Russian, Korean and English through comparing them with typological method. I analysed basic sentences according to the parts of predicates, the structure of them, and subcategorization(complements) based on the frames of basic sentences between the three languages. I presented the types of predicates, the structure of them, and subcategorization; NP, PP, reflexive-pronouns, Passive construction, complementary, and to infinitive/gerund constructions) as the frames of basic sentence types in Russian, Korean, and English. I described the types of complements of verbs, adjectives, nouns, functional verb constructions, and "object+complement" for the structure of predicates of the parts of subcategorization in the three languages.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e SOV, eflexive-pronoun predicates, and ‘음/기’, which correspond to to-infinitive constructions in Russian and English.

      • KCI등재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지정어와 보충어 및 투사 개념을 중심으로

        이신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The NP combined with ‘/의’ and ‘ㅅ’ in the medieval korean language has the same structure of the adnominal NP i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Specifier-Complement-Head’ structure of the minimalist theory can be converted to the NP-extension of the korean language. This paper thinks of the ‘N1/의+N2ㅅ+N3’ NP as the basic type of this adnominal NP. N1 corresponds to the specifier, N2 corresponds to the complement, and N3 corresponds to the head. According to circumstances, N1 or N2 which is functioning as modifier can be omitt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scertain that ‘N1/의’ has the qualities as a specifier and ‘N2ㅅ’ has the qualities as a complement through considering pre-existing researches and discussing theoreticall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N1/의’ and ‘N2ㅅ’ is also ascertained. Besides, based on the projection principle, it is ascertained that the ‘N1/의+N2ㅅ+N3’ NP realizes ‘minimal projection - intermediate projection - maximal projection’ hierarchically. ‘N1/의’ terminates the projection in the place of a specifier, which means that the NP-extension is ended at that point. Some semantic features which are attributed to this fact are also ascertainable. 중세국어에서 ‘/의’와 ‘ㅅ’이 결합되어 실현되는 명사구는 현대국어의 관형 명사구와 동일한 구조적 양상을 보이며, 최소주의 이론에서의 ‘핵-계층 구조’를 관형 명사구와 관련지을 경우, 일반적인 국어 명사구 확장 방식으로 바꾸어 볼 수 있다. 본고는 중세국어에서 ‘N1/의+N2ㅅ+N3’ 유형의 명사구를, 이러한 관형구성의 기본 형태로 간주한다. N1이 지정어, N2가 보충어, N3가 핵에 해당하는 것이며, 수식어 기능을 갖는 N1이나 N2는 상황에 따라 어느 한 쪽이 생략 가능한 것으로 본다. 나아가 ‘N1/의’와 ‘N2ㅅ’이 지니고 있는 지정어와 보충어로서의 자질 그리고 양자 간의 계층적 구조를, 기존 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투사의 원리에 비추어 볼 때, ‘N1/의+N2ㅅ+N3’ 구성은 ‘최소투사-중간투사-최대투사’를 계층적으로 실현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아울러 ‘N1/의’가 지정어 자리에서 투사를 마감함으로써, 명사구 확장이 종료되는 데서 비롯하는 의미 특성을 수식의 범위 및 대용화를 통해서 볼 수 있다.

      • KCI등재

        부사(어)구 수식 구성에 대하여

        이윤하 국어학회 2007 국어학 Vol.0 No.50

        수식 구성은 기본적으로 논항 구성과 다른 통사적 구성이라는 것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이러한 취지에 입각하면 보조용언 구성에서 선행 부사형 어미구와 보조용언과의 관계와 ‘-게 굴-’ 구성에서 선행 ‘-게’ 성분과 동사 ‘굴-’의 관계는 수식 구성을 이루는 것이다. 이에는 용언은 한편으로는 논항 구조를 이루며 다른 한편으로는 수식 요소를 취하는 특성을 가진 어휘라는 점이 뒷받침된다. 전자는 문장 단위의 논항과 관련되는 기능이고, 후자는 어휘 단위의 자립성 여부와 관련되는 기능인데, 보조용언이나 동사 ‘굴-’은 그 자체로 자립적이지 못한 어휘이므로 그 선행 부사형 어미구나 ‘-게’ 성분은 필수적 부사어인 것이다. 그리고 이 두 기능의 차이가 인정되는 한, 보어와 보충어의 혼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자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보어’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후자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보충어’의 사용이 허용 가능한 것이다. 직관적으로 ‘보충어’는 complement로 의식되기보다 supplement로 의식되기 때문이다. 문장에는 보어가 둘 이상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그 구별을 위해서 ‘목적어-보어’나 ‘대상-보어’와 같이 보어 앞에 성분 명이나 의미역 명을 붙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용어 사용의 구별은 조사구 구성이나 어미구 구성에도 유용하다. 조사나 어미와 그 앞 요소와의 관계가 문장 단위 차원의 문제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부사구로 다루어진 ‘~ 없이’ 구성, ‘~ 같이’ 구성, ‘~ 함께’ 구성, ‘~ 물론’ 구성, ‘~ 고사하고’ 구성, ‘~ 커녕’ 구성 등에 대해서는 다른 해석이 가능 할 수도 있다. 우선 ‘~ 물론’ 구성은 명사구로 이해된다. ‘연구’처럼 서술성이 두드러지는 명사 ‘물론’도 존재하는 것이다. 이 경우 그 내적 구성 요소들은 보조사구로 출현하는데 따라서 그것은 의사 논항으로 성격지을 수 있다. 그러나 ‘~ 물론이고’ 구성은 부사구이며 문두에 독자적으로 쓰이는 ‘물론’은 어휘 부사이다. ‘없이’와 ‘같이’에는 형태론적 파생부사 외에 통사적 파생부사도 상정된다. ‘돈(도) 없이’ 구성이나 ‘이(와) 같이’ 구성이 여기에 속한다. ‘함께’는 통사적 파생 부사구를 생성하지 못한다. 어휘 부사인 것이다. 기원적으로 ‘고사(姑捨)+하-’와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고사하고’는 ‘잠시 내버려 두고’의 서술적 기능을 유흔으로 하는 화석형 부사이다. 따라서 ‘~ 고사하고’ 구성은 부사구이며 ‘~ 물론’ 구성처럼 그 내적 구성 요소들은 보조사구로 출현한다. ‘커녕’은 ‘고사하고’의 행동 양식에 유추된 것으로 추정된다. ‘커녕’ 외에 ‘은/는커녕’도 존재하는데, 이는 ‘~커녕’과 ‘~은/는커녕’이 원래 다른 구성이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다. 전자는 ‘같이’처럼 부사가 조사로 어휘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후자는 ‘~은/는’ 보조사구를 요구하던 부사 ‘커녕’이 전자에 따라 조사로 어휘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현대국어에서 ‘~(은/는)커녕’ 구성은 조사구로서 부사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보충어의 판별 문제와 어휘부 처리에 대한 시론

        이은섭(Lee, Eun-sup) 한국어문학회 2011 語文學 Vol.0 No.114

        This paper aims to explain on the problems of complement distinction in syntax and processing them in Lexicon. This task concerns the identity of the argument, the complement, and the adjunct. At first, the argument is the semantic conception which can not become sentential element by itself without combining with case marker in a sentence. At second, The complement is a obligatory element that a head indispensibly requires in a syntactic construction. At third, the adjunct is a optional ele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mplement. It realizes when some informations are related to ground which should be mentioned in detail. At fourth, the adverbials that some predicates require inevitably are the complement in that construction. These complements combine with the following predicate which require themselves, and then the resulted construction i. e. the complex construction(=CC) should behave as a single unit syntactically. At fifth, cause this CC is not a single unit,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syntactic information of them at the leixcon. Therefore, we have to describe this information by the extended lexicon which can deal with not a single unit as a word or a affix but also this CC temporally.

      • KCI등재

        부접어의 설정과 부접 구성

        김창섭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2 No.-

        보충어를 무표지로 취하여 그에 직접 결합하는 단어들이 있다. 예컨대 ‘생각’은 ‘*고향의 생각’이 아니라 ‘[[고향]_(NP) [생각]_N]_(NP)’과 같은 구를 만들고, ‘이-’는 ‘*학생이 이-’가 아니라 ‘[[학생]_(NP) [이-]_V]_(VP)’와 같은 구를 만든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단어들로 ‘부접어’라고 하는 어휘 범주를 설정하고, 부접어가 만드는 구나 문장을 ‘부접 구성’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처리로써 부접 동사 ‘답-’, ‘이-’, ‘같-’, ‘시작하-’의 구문들을 체계적으로 기술할 수 있고, ‘이-’의 보충어가 조사 ‘이’를 가지지 못하는 것을 그것이 부접어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