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과 한국관광에 대한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우현아,노정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4 호텔경영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관광에 대한 행동의도를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알아보고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의 조절효과에 따라 계획행동이론의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점수를 기준으로 언어능력을 분류하였다. 연구조사는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2부의 설문지가연구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관광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행동통제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어 수준(TOPIK)에 따라 한국관광에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와 행동의도는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조절됨이 입증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국내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관광에 대한 마케팅 및 홍보전략의 자료로 사용 될수 있으며 국내 대학에서 베트남 유학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후속연구로 국내의 여러 지역에서 공부하는 베트남 유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어수준과 관광활동과 관련하여 다양한 국적의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한국어능력검정시험 점수 외 다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고려하여 연구를 확장하길 제안한다. The study appli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Korean tourism intentions amo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It also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students'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i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four weeks amo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4-year domestic universities, and a total of 312 valid survey responses collected as research data. As a result, this study substantiates that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OPIK)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ithin the context of their studies in South Kore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oderating the impact of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s re lated to Korean tourism.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im to provide insights into how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impacts their engagement in Korean tourism. These insights can be used to develop marketing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potential Vietnamese tourists an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omestic universities in effectively managing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유학생의 차별 경험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대구・경북지역의 베트남 유학생과 중국 유학생의 비교

        김연희,이교일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1 디아스포라 연구 Vol.1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among Vietnamese and Chinese foreign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To this end, 257 foreign students from Vietnam and China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urveyed with measures such as discrimination experiences, mental health, and acculturation stres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study findings are: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cculturation stress between Vietnamese and Chinese students. Second, both Vietnamese and Chinese students had relatively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acculturation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and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Vietnamese students has a stronger influence on both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and the mental health than those of Chinese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the programs and services that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for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students in Vietnam and China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대학에서 유학하는 베트남, 중국 유학생이 한국 사회에서 이방인으로써 차별 경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신건강 수준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 베트남, 중국 유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차별 경험, 정신건강,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인을 측정하여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구・경북지역 베트남 유학생과 중국 유학생 간에 차별 경험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트남 유학생과 중국 유학생 모두 우울과 불안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차별 경험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베트남 유학생이 중국 유학생에 비해 차별 경험이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과 정신건강 수준에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중국 유학생의 정신건강을 위하여 이중언어/이중문화전문가를 활용한 정신건강서비스 필요성, 대학교 구성원을 위한 다문화 수용성 프로그램, 특정한 사회 이슈로 인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Korean Universities andKorean Language Level of Vietnamese Students’in Korea on University AdaptationSooyeon Kim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university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level on university adaptation of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was 155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Jeonnam D university, who received a questionnaire written in Vietnamese and analyzed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iggest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studying abroad in Korea were discrimination against Vietnamese in Korean society, lack of employment-related information, loneliness, and cost of living or hous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stay in Korea, year of birth, understanding of Korean lectures, and school adaptation of Vietnamese student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 the higher the university satisfaction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adjustment. Lastly, the higher the level of Korean, the more positive the effect on college adapta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y adjustment was university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necessity of linkage with programs that enable various exchanges and interactions with Koreans and the policy approach of related institutions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universities in Vietnam was suggested. Key Words: International Students from Vietnam, Cultural Adjustment Stress, Adjusting to University Culture, Korean Language Level, Satisfaction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김 수 연*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재한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만족 및 한국어 수준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전남 D대학교 155명의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베트남어로 쓰인 설문지를 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유학 생활을 하면서 가장 크게 느끼는 어려움은 한국 사회의 베트남인에 대한 차별, 취업 관련 정보의 부족, 외로움, 생활비 또는 주거비로 분석되었다. 둘째,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체류 기간, 출생연도, 한국어 강의 이해 정도와 학교 적응 간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 만족이 높을수록 대학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만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베트남 유학생들의 한국 및 대학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한국인과의 다양한 교류 및 상호작용이 가능한 프로그램 연계와 관계 기관의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베트남 출신 유학생, 문화 적응 스트레스, 대학 문화 적응, 한국어 수준, 만족 □ 접수일: 2022년 7월 30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동신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ksytina@hanmail.net)

      • KCI등재

        동남아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과 커뮤니티 양상 비교:서울대학교 인도네시아, 베트남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김경민,박준영 한국동남아학회 2020 동남아시아연구 Vol.30 No.3

        음식 실천은 국외 이주 커뮤니티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음식 및 커뮤니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던 대상인 유학생, 특히 국내에서 중국 출신 다음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유학생 중에서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음식 실천이 유학생 커뮤니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경우에는 종교적 요인에 따라 음식 실천에 제한이 있었지만 베트남 유학생은 한국음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은 음식 모임을 외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삼는 개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베트남 유학생의 음식 모임은 기존에 구축된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그 의의가 소속감과 서로간의 유대 및 결속을 (재)확인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음식 실천은 각 커뮤니티의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인도네시아 유학생 커뮤니티는 재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단절성을 보인 반면, 베트남 유학생 커뮤니티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지속성과 확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특정 국가의 사회문화를 반영하는 음식의 실천이 이주 커뮤니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지속 및 정착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이주와 음식, 동남아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그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베트남 유학생의 교우관계 갈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윤영주 ( Young Ju Yoon ),장소영 ( So Young J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재한 베트남 유학생과 한국 학생 간의 교우관계, 특히 베트남 유학생의 인식과 경험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사립대학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 7명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을 겪으며 대화 기피현상과 스스로 왕따가 되는 소외감과 외로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교우관계에서 다른 나라 유학생들과의 갈등이었다. 서양권이나 일본 유학생, 중국 유학생에 대해서는 호의적인태도를 보이나 자신들에게는 부정적으로 바라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선후배 관계에 따른 갈등으로 자신보다 나이 어린 선배에게 존댓말을 쓰지 않아 오해를 사며 잦은실수로 인해 점점 교우관계에서 멀어지며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우관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경제적인 갈등으로 나타났다. 고향에 있는 가족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으로 용돈을 스스로 해결하고 있기에 경제적인 부담은 한국 친구와의 적절한 교류를 맺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베트남 유학생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과 편견 등의 문화적 차이가 갈등의 현상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베트남 유학생과 한국 학생와의 관계는 피상적이고 제한적인 접촉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 간 분리되어 있는 현상을 지적하고,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학생과의 교우관계를 지원함으로써 이들 학생들의 교육 및 사회문화적경험의 질을 높이는 대학 국제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and compare peer relationships among Vietnam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as international students, with domestic Korean students. In particular, the difficulties observed through the author’s empirical study by personally communicating with the aforementioned Vietnamese students will be discussed in depth. The methodology is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selected case studies: i.e. seven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in the capital/Seoul region.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can be summarised under the following five topics. Firstly, it is generally observed that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tend to experienc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find it hard to adjust to college life. This sometimes leads these students to avoid conversation in public, which may result in a sense of alienation and loneliness among them. Through being (feeling) isolated from peer relationships, the second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it is often the case that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to suspend or even quit their studies. The third result found in this research is that Vietnamese students tend to get confused by the use of specific social titles among juniors and seniors. This can be seen through frequent lapses of not suitably greeting their seniors using respectful terms, which tends to open up gaps in peer relationships with domestic students in college life. Moreover, the fourth result reveals the difficulties which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with their finances. Because of feeling guilty about having to receive money transferred from their families in Vietnam, they find it hard to maintain normal relationships with Korean friends. Therefore, they sometimes build up peer relationships which are abnormal. Fifthly,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ir situations, together with prejudice and negative opinions toward Vietnamese students by domestic students also places obstacles in the way of forming normal peer relationships with Korean friends. The research aims, if possible, to address the issues which occur in peer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udents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above discoveries, this research also seeks to identify ways to improve and facilitate what is needed in inter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provide a richer, securer and more effective social and cultural experien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연구

        김상수(Sangsoo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 유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유형을 관찰하여 시사점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어 연수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베트남 유학생 110명이며 이들은 한국의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자비 유학생이었다. 학습자들의 성별은 남학생 55명, 여학생 55명이며, 연령대는 20대 초반이다. 그리고 한국어 숙달도는 초급단계 69명, 중급단계 37명, 고급단계 4명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베트남 유학생의 학습 동기 유형별 측정값은 확인된 조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내적 조절, 통합된 조절, 부과된 조절, 외적 조절, 무동기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학습 동기가 내재적으로 동기화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확인된 조절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는데 베트남 유학생들은 한국에서의 대학 생활에 높은 흥미와 즐거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 으며, 한국어 학습의 목표가 학습자 개인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무동기의 수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것은 베트남 유학생들에게 한국어 학습 동기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elf - determination learning motivation patterns for Vietnamese students studying at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0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 and they were studying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university admission in Korea. The gender of the learners is 55 boys and 55 girls, and the age is in their early 20s. And the Korean proficiency test was conducted for 69 elementary students, 37 intermediate students, and 4 advanced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firmed identified regulation was the highest among Vietnames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al types. Followed by intrinsic regulation, integrated regulation,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This shows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of Vietnamese international students is intrinsically synchronized. In addition, the level of verified control was high, and Vietnamese students showed high interest and enjoyment in college life in Korea, and showed that the goal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s meaningful to learners and know how important it is. And the lowest level of motivation is understood as a result of strong motivation of learning Korean language to Vietnamese students.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 공동체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문화적응

        임지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is paper explores how to use the SNS by Vietnamese students for their acculturation. For this purpose, I observed the activities of the Vietnamese student community in SNS for 6 months. Among the foreign students who were observed, 5 Vietnamese students who were members of the self - help group and who lived in Korea for 9 months or mor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y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thus collected were analyzed to fulfill the above objectives. Findings are as follows. Foreign students were using SN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Vietnam foreign student community contact, virtual contact with family members in their home countries, small talk for expanding relationship, identity ventilation, notification of home culture, and expression of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deepen research on the transnational activity and acculturation of foreign students using SN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학생 중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재한 베트남 유학생들의 문화 적응에 소셜미디어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 상의 베트남 유학생 공동체의 활동을 6개월 동안 관찰했고, 관찰했던 유학생들 중에서 유학생 자조 모임의 구성원이며 한국에서 9개월 이상 생활한 5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셜미디어는 유학생들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서툴러서 위축될 수 있는 환경을 더 편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문화 적응에 용이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구체적으로 유학생들은 소셜미디어를 한국어 학습, 베트남 유학생 공동체 연락망, 모국에 있는 가족들과의 가상 접촉, 관계 확장을 위한 스몰 토크, 정체성 환기, 모국 문화의 알림, 민족 정체성 표현 등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유학생들의 초국적인 활동과 문화적응의 양상을 더욱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탐색활동에 관한 질적연구

        김미영,이유아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9 東亞 硏究 Vol.38 No.1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ietnamese students' career stress and practicing career exploration while studying in Korea.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Vietnames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Korea and two Korean professors were conduct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derive key themes and content. The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2016 to August 2017.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areer stress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areer stress were divided into 3 components: career change stress, job-seeking stress, career stress by family. Vietnamese students had career change stress, graduate school major selection stress, job-seeking anxiety, lack of career preparation stress, career stress by their family. The results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divided into 3 components: career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Vietnamese college senior, career information acquisition from Korean professors and colleg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career explo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재한 베트남 유학생들이 유학 중 진로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준비 진행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베트남 유학생 8명과 베트남 유학생을 지도하는 한국인 교수 2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핵심적인 주제와 내용을 도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0월부터 2017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베트남 유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탐색활동의 2개 범주로 구분되었다. 진로스트레스는 3개의 하위범주인 진로변경 스트레스, 취업스트레스, 가족의 진로간섭으로 인한 진로스트레스가 도출되었다. 진로변경 스트레스와 취업스트레스는 각각 두 가지의 하위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목표변경, 대학원으로의 진로변경, 취업불안, 취업준비부족, 가족의 진로간섭 등으로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베트남 유학생의 진로탐색활동은 3개의 하위범주인 베트남 유학 선배를 통한 진로정보취득, 한국인 교수와 대학으로부터의 정보취득, 진로탐색 과외활동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베트남 유학생들의 진로준비를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거주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학 교육 경험과 문화적응의 관계

        박미화,하우리,김솔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3

        본 연구는 국내 거주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학 교육 경험과 문화적응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내 거주 베트남 유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거주 베트남 유학생은 거주기간, 한국어 능력(TOPIK)에 따라 상이한 문화적응 양상을 보였다. 유학생의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분리와 주변화 전략이 나타났고, 한국어 소통이 원활할수록 동화와 통합 전략이 나타났다. 둘째, 베트남 유학생이 한국에 입국 전과 후에 받는 한국학 교육 경험 유무와기간에 따라 문화적응 전략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입국 전 받는 한국학 교육이 문화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한국에 입국 전 받는 한국학 교육은 베트남유학생의 주변화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입국 후 받는 한국학 교육 기간이 길어질수록 주변화 전략이 나타났다. 넷째, 베트남 유학생은 하나의 문화적응 전략을 보이지 않고, 개개인이 처한 환경과 시기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응 전략을 보이고 있었다.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과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김미영,이유아,송연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lege adjustment experiences of Vietnamese students and to help them better adjust to college life in Korea. Eleven Vietnamese students in B University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rom October 26, 2016 to December 6, 2016 to collect data. Those data which were analyzed with Giorgi(2004)’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difficulties faced by the students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in Korea and approaches which they appl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se two categories were then divided into 8 components with 17 sub-components. The difficulties consisted of 5 components: adjusting to unfamiliar educational environments, understanding and adapting to what was going on in class and how it was conducted, struggling with everyday life as a foreign student, building friendship with complete strangers, which could cause a sense of depression, and enduring the fast and tight life style of Korea as well as the general atmosphere where they feel neglect by Koreans. How the Vietnamese students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Korean college lif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overcoming academic difficulties with the assistance of friends, managing everyday-life struggles as a foreign students on his/her own, and encouraging themselves with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and hope of future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베트남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생활에 적응하며 경험한 내용을 탐색하여 이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B대학교 유학생 11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0월 26일부터 12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Giorgi(2004)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의 총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었고, 그 아래 8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베트남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낯선 교육 환경에 적응하기, 수업 내용 이해와 수업 방식에 적응하기, 일상생활에서 겪는 유학생의 어려움 감당하기, 우울함을 촉발하는 낯선 교우관계 시작하기, 빠르고 빡빡한 한국문화와 베트남 무시 분위기 버텨내기의 5가지 구성요소로 확인되었다. 베트남 유학생들이 대학생활적응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극복 방법은 친구의 도움으로 학업에서의 어려움 극복하기, 홀로 유학생활 이겨내기, 한국에서의 선진문화경험과 취업희망으 로 유학생활 독려하기의 3가지 구성요소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제언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