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문학 : 전자문화지도 제작을 위한 한국어 문화자원의 자료 처리 방안 연구

        김덕호 ( Deok Ho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1 嶺南學 Vol.0 No.20

        언어학 분야의 연구 목적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2가지의 경향을 말할 수 있다. 첫째는 언어의 본질을 밝히기 위해 음운, 문법, 의미 등의 구조적 특징을 체계적으로 밝히거나 언어의 형성에 대한 역사적 전개 과정을 고찰하는 것으로 학문 기반의 기초를 수립하는 이론언어학적 접근법이 있다. 둘째는 이를 기반으로 언어와 연관된 여러 분야에 적용하는 응용언어학적 접근법이 있다. 이 2가지 경향은 상보적인 관계에 있는데, 이론언어학의 기반을 탄탄하게 하면서 응용언어학에 적용할 때 인간의 말글살이는 더욱 윤택하게 될 것이다. 과거 국어학 연구의 주류는 이론언어학적 접근법에 치중된 경향이 있는데, 최근에는 응용언어학적 측면도 국어학자가 담당해야 하다는 생각이 많아지고 있다. 본고는 두 번째 접근법인 응용언어학의 측면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즉 언어학의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국어의 본질을 탐색하고 수립된 결과를 적합한 응용언어학적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어 문화자원으로 축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언어학의 분야를 뛰어 넘어 최종 목표로 삼은 결과는 전자문화지도이다. 하지만 미래의 정보화 시대에 활용도가 높은 전자문화지도는 전자지도 제작 전문가가 담당하면 되지만, 여기에 담겨질 콘텐츠인 한국어 문화자원에 대해 조사하고 자료를 분석하며 데이터를 활용 목적에 맞게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국어학자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속담이 있다. 지금까지 조사되고 집적된 한국어 문화자원은 상당히 많이 있다. 하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본고의 우선 목적은 한국어 문화자원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즉 본고는 한국어 문화자원의 전자문화지도 개발을 목표로 하여 우선 한국어 문화자원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먼저 문화지도의 개념과 가치를 제시하고, 최근 문화지도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전자문화지도의 유용성과 국내외 개발 현황을 제시하고 분석하여 한국어 문화자원을 전자문화지도로 개발하기 위해 어떻게 하면 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어 문화자원을 적합한 디지털 자료로 구축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한다. 나아가 실제 한국어 문화자원을 전자문화지도로 개발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그 활용 전망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o design and build the korean cultural resources for developing e-Culture ma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paper I will search the way for designing and building the korean cultural resource materials with a digital database. I developed the design of digital archive as a method to build the digital database. In particular, I suggest that the design of digital archive should be used as the open archive which anyone including users and researchers can modify and supplement. Actually, I applied the data of korean cultural resources that Korean Language Society(한글학회)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국립국어원) have investigated and accumulated from 2006 to 2010. I will also propose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e-Culture map and the digital archive database of korean cultural resources. In the future I expect that the proposed design in this paper will be utilized to build digital databases of the various korean cultural resources.

      • KCI등재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

        변지선(Byun Ji-Sun)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본고는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마을굿은 마을의 공동의례이면서 여기에는 구술 전승되는 신화와 전설들, 마을굿이 끝난 뒤에 벌어지는 여러 가지 놀이, 음악과 춤, 음식, 그림, 복장 등 여러 가지 정보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이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력적인 방법이다. 서울은 예로부터 왕도였기에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고 전국의 물산이 모이는 곳이었다. 따라서 굿에서도 의복과 악기편성이 화려하고 제물이 성대하였다. 특히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뱃일과 관련된 마을굿이 많이 남아 있고 궁중과 관련 깊은 인물을 신으로 모시는 마을이 많다. 서울지역의 마을굿은 보통사람들이 기억하는 서울의 옛 모습과, 궁중과 민간의 결합양상을 보여준다.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으로 특수한 서울지역의 마을굿은 현대의 서울에서 여전히 마을의 축제로 벌어지고 있다. 이에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마을사람들의 축제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과 문화유산의 보고로 보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연구하기 위해 전자문화지도를 만들게 되었다. 서울지역마을굿 전자문화지도는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에서 구축한 마을굿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을굿database는 『한국의 마을제당』 제1권-서울, 경기편,『서울의 마을굿』의 도서와 필자의 현장관찰자료(비디오테잎, 사진, 음성파일)를 기본자료로 하고 MS Acc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마을굿database 중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주제의 주제도인 '서울지역마을굿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 주제도는 서울마을굿 databse의 특정필드를 선택하여 만든 것이다. 이 지도를 통해 서울지역에 마을굿이 분포하는 곳을 알 수 있으며 서울시의 지형과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강수로에 따른 마을굿당분포도', '한강수로와 마을굿당의 위치', '서울지역마을굿의 신격과 지형연구', '서울지역 마을굿과 굿당의 역할', '한강을 중심으로 한 마을굿의 분포와 마을굿의 성격', '마을굿의 성격과 지역민의 생활기반'과 같은 다양한 연구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온라인서비스기반의 '서울마을굿 검색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서울마을굿검색시스템'은 서울지역의 마을굿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민속학연구의 기초자료로써의 효용이 매우 높다. 이 시스템은 지속적인 Data 수집 및 현장 참여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서울지역의 마을굿database를 바탕으로 하여 database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거대 DB의 호환성을 위해 표준화된 Package를 사용하여야 한다. 비단 웹서비스뿐만 아니라 CD, DVD 제작을 통해 방송Contents화 한다면 배포가 매우 용이할 것이다. 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해외에 알린다면 국제적으로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권역별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마을굿에 대한 문화적인 가치파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울의 마을굿을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n advanced data base program for regional cultural studies is introduced and its applica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application,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is a web based data base program to provide extensive and integrated information on regional culture, especially shaman performances (Gut), of general public as well as researches.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will exploit Maulgut database developed by Institute of Koreanculture to support regional cultural studies. Since the information in Maulgut database has been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conduct professional academic research, it is a promising data source for unbiased, detailed, extensiv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Maulgut database, historical, regional, and cultural information in various form, which include text, audio, video, still image, and map format, will be the major provision of Electornin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and the users will be able to access itsintegrated information efficiently via popular web based internet communication. One potential web based service is to display a Seoul map, which has markings on the points of interests, usually town, Gutdangs, or gut performance places, and then the users can surf the map to access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benefits of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develop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rganized communication of the variety of data, creation of electronic regional cultural atlas, accumulation of basic data for cultural studies(,,) etc. The future pl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ntinuation of data collection Vitalization and regularization of fieldwork Optim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DB Diversification of the media: WEB, CD, DVD Categorization of Seoul Gut based on the local region Evalu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Seoul Gut as cultural artifacts Expansion of the data and service to cover Korea puninsular Provision of pride and cooperation to locals Development and creation of resources for tourist attraction

      • KCI등재

        문화연구를 위한 문화지도의 개념과 활용

        김상헌(Kim Sang-he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4 No.-

        이 글은 문화를 이해하는 도구로서의 ‘문화지도’에 관한 것이다. 미디어의 발달에 의해 세계는 하나의 촌락, 즉 지구촌으로 좁혀지고 있다. 타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이때 지도는 문화를 총체적으로,가시적으로 볼 수 있는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문화는 시-공간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이라 정의한다면 시-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매체는 문화를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지도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지리적 공간에서의 현상 재현해주며, 대상과 대상 혹은 사회와의 관계를 규정해 줌으로써 상호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인간은 지도를 통해 세상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에 지도는 현실 그대로의 모사라기보다, 인간이 ‘세상을 전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추상화된 표현 도구이기도하다. 지도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 그 기능이 확장되어 왔다. 지도의 역사를 보면 처음에는 단순히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그림이었지만 점차 다양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 매체로 확장 된다. 오늘날의 지도는 항공사진과 지리정보체계등의 발달로 실제 지구상의 지리적 윤곽을 완벽하게 표현해주고 있다. 이제 지도는 우리에게 지형 그 자체보다 그 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화 정보를 담아내는 매체가 되고 있다. 이 ‘지도’라는 매체에 문화를 표현한 것을 우리는 ‘문화지도’라고 부르고자 한다. 문화지도는 단순한 지형도가 아니라 인간 삶의 총체적인 결과물을 표현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문화적 기호들을 효과적으로 표현해줄 필요가 있다. 이글에서는 지도상에 표현되는 이러한 공간과 시간, 기호가 문화를 표현하는데 있어 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is about ‘Cultural atlas’ for understanding of culture. Developing and using new medias, members of various human communities increase interests on different cultures of other country. In this time, ‘Atlas’ can be an useful tool of cultural studies. Because we can express all human things and events of time and space with broad definition in atlas. This means cultural atlas is an effective tool of understanding culture. The function of atlas has been developed with the needs. The first time, atlas played a role of location indicator and this reflected viewpoint for the world. In the beginning of exploring period, the importance of exact location have been emphasized. But after 19centuries atlas became from a picture of geographical locator to the field for showing various themes. With the support of aerial photo technology, remote sen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and other technical development, atlas perfectly copy the real of the earth on the topographical survey. Now it's matter how to use this real atlas. Culture is proper item of using the atlas, which can cover and express all human activities on the basis of time and space. We call it ‘Cultural atlas’ as expression of culture through the media of atlas. Cultural atlas can express various cultures with points, lines and surfaces on the basic axles of time and space. Usually points represent fixed location of cultures, lines represents moving direction of culture or cultural section, surface represents cultural distribution. These each components could be concretely presented using various graphic factors and become very effective method to deliver visual message and meaning. The example of various museums in Japan shows good utilizing of cultural atlas as a kind of exhibition tool.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 구축을 위한 설계방안 모색

        유지영 ( Yoo Jiyo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무용역사기록학 Vol.36 No.-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춤만을 주제로 하여 보다 발전된 형태의 전자문화지도를 구축하려는 작업의 첫 단계로서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의 설계방안 모색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자문화지도의 연구개발 현황에 대하여 탐색하고, 문화재청 문화재 지도의 체계와 문제를 진단한 후 전자문화지식지도의 설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자문화지도는 1996년 ECAI의 발족 이후 국내 학계에서도 관심을 갖게 되면서 점차 인문학, 지리학, 역사학, 민속학 등의 분야로 확장되었다. 이에 따라 무용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무용기록 및 연구도구로서 유용한 전자문화지도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둘째, 문화재청 문화재 지도를 살펴본 결과 문화재지도는 2002년부터 약 10년간 국가지정 문화재 정보를 전자문화지도로 구축하여 현재 고도화 단계에 이르렀으며 동영상, 사진, 단행본 등의 자료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 유형분류와 검색 색인, 위치표현, 분포, 정보 오류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는 방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분류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류로서 검색이 용이하고 범용성이 넓은 분류체계가 요구되었다. 셋째, 이와 같은 문제의식으로 제안된 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는 한국무형문화재 춤만을 주제로 하여 정보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고, 논문과 같은 전문학술정보를 연계하여 통합적인 전문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역동적인 콘텐츠이다. 따라서 설계된 시스템에 따라 영역 분류와 입력지침을 예로 제시하고 가상의 맵(map)을 구현함에 따라 한국무형문화재 춤 전자문화지식지도의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the first step to build electric culture map in advanced form with the topic of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s. It aims to search for design methods for electric culture knowledge map.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present status of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design methods was researched. After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systems of cultural heritage fro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directions of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design were suggested. As a result of study, the electric cultural map attracted interest and attention from domestic academic circle since ECAI started in 1996. And then it has expanded to humanities, geography, history, folklore, etc.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useful electronic cultural map was required as a new form of dance history and research tools in the field of dance. Seco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ultural heritage map fro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cultural heritage map reached the current advanced level by building nati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with electric cultural map over about 10 years since 2002. It also provides with movies, photos, monographs, etc. visually. However, the vast amount of troubles was found from search index, types of cultural heritage, location expression, distribution, information error, etc. They are the errors which occurred in the middle of building and classifying a great deal of data. Classifying system of easy search and multi-functionality was required. Third, the korea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ggested as problem recognition,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of dance targeted on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to improve information provision. Linking to professional academic information like paper, it provides integrated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is a dynamic content. Therefore, according to designed system, area classification and input guidelines were suggested as examples. Virtual map was realized to identify the potential to build electric cultural knowledge map of dance.

      • KCI등재

        기행가사 기반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한국고전시가의 학술적, 대중적인 지식정보 자원화 방안의 일환으로 기행가사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으며,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이 뚜렷해지고 있는 우리 사회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전시가 분야의 연구자들도 텍스트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지혜를 모으지 않을 수 없다. 전자문화지도는 시간, 공간, 주제라는 다차원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융합학의 새로운 학문적 탐색을 다채롭게 시도해볼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도 그 활용 가능성이 적지 않다. 뿐만 아니라,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는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모바일 앱을 통해 여행정보는 물론 인접 문화자원에 대한 정보, 그리고 다채로운 멀티미디어 텍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문화지도는 여행지에 대한 가상 체험과 상상력을 공유할 수 있게끔 한다는 점에서 무척이나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 설계와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즉 자료대상 범위 확정, 베이스 맵의 설계, 교통로 복원의 방안, 지명데이터베이스, 텍스트 및 참조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가공, 타임맵의 구현 방안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는 정전 중심의 근대적 문학주의에 대한 비판과 문화론적 전환이 모색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연구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닌다. 또한 연간 국민의 약 70%가 국내관광에, 약 30%가 해외관광에 참여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여행지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심미적 인식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This thesis discusses design and utilization method of cultural atlas with a theme of Travel Gasa among various subjects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re is much attention to Travel Gasa these days due to change into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The reason is that it will be easy to have public utiliz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to conduct a interdisciplinary research if it is established as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refore, this thesis reviews concept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building method of Travel Gasa- based electronic cultural atlas, utilization of research method, methodology of public cultural contents, virtual actualization phase and etc.

      • KCI등재

        ‘17C 역사소설 공간’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 시고

        신춘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0

        This study is the writing that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and seeks a method of implementing electronic cultural atlas, as the methodology that researches into the space of the 17C historical novel(literary work), the path(journey)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contents of a work.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can be said to be ‘a method of producing knowledge that creates new information’ beyond a simple meaning of data in that it itself is the database of having been organized wit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cusing on time, space and topic. The possibility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has been raised as ‘new research methodology of humanities.’ Even its performance was partially accumulated with passing through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n Joseon Period>(Korea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glance at the kinds of historical novels that were written while having suffered the ravages of war before and after 17C by referring to the performance of a previous research,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available for dimensionally figuring out the literary space by implementing electronic cultural atlas as for the spatial axis and the temporal axis in main works. Even if being the period of being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its application is still slow. In this regard, a plan for implementing <17C historical-novel space electronic cultural atlas> is thought to be likely research methodology available for grasping a literary work and its space with diverse cultural information and themes. 본고는 17C 역사소설(문학작품)의 공간과 주인공의 동선(노정), 작품의 내용을 연구하는 방법론으로서 ‘전자문화지도’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고, 전자문화지도 구축의 방법을 모색하는 글이다. 문화정보를 ‘전자화’한 지도를 ‘전자문화지도’라고 한다. 전자문화지도는 그 자체가 시간. 공간. 주제 중심의 3차원적 입체구조로 조직된 데이터베이스라는 점에서 단순한 데이터의 의미를 넘는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는 지식생산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문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 전자문화지도의 가능성이 제기되어왔고, 그 성과도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의 개발과 응용연구>(고려대)를 거치면서 일부 축적되었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의 성과를 참고하여 17C 전후 전란의 참화를 거치면서 창작된 역사소설의 종류를 일별하고, 주요 작품의 공간축·시간축을 전자문화지도로 구현하여 문학공간을 입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자문화지도의 가능성이 증대되는 시대이지만, 여전히 활용은 더디고 있다는 점에서 <17C 역사소설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은 문학작품과 그 공간을 다양한 문화정보와 주제로 파악해 볼 수 있는 연구방법론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자지도의 활용방안 -결혼이주여성의 맥락적 한계 극복을 위한 'e-사회문화지도'설계-

        정영애,김형수,Jung, Young-Ae,Kim, Hyeong-So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11

        이글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국내 적응을 위한 교육용 코스웨어 개발과 이의 구현을 위한 'e-사회문화지도(e-ASC)' 설계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에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사회 구성원으로서 가치관과 태도의 수용 및 사회적 기여 기회의 제공 등과 같은 교육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3차원의 공간을 통해 이주민과 내국인 모두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동질성을 공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유용하다.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여 이 글에서 제안하고 있는 'e-사회문화지도'는 다문화인구의 맥락적 경험에 근거한 특정 사건을 중심으로 모국에서 경험한 맥락적 한계를 극복하고 비교문화적 접근을 통해 이주사회에 적응을 위한 능동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e-사회문화지도'는 이주민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용 툴로 활용될 것은 물론, 결혼이주여성들이 모국에서 맥락적으로 습득한 한국 사회의 사회 문화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르게 전달하고 그들의 사회적응을 돕는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study on an 'e-Atlas of Society & Culture(e-ASC)',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courseware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adapt Korean society. The 'e-ASC' can help cultural adaptation,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s common values and behaviors and can likewise provide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E-cultural map is a useful tool for providi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sharing a sociocultural homogeneity, using three dimensional space, for both immigrants and residents. The 'e-Atlas of Society & Culture', suggested in this paper, using the notion of an E-cultural map, has a strong point. That is to say, the immigrants have contextual limitations about Korea and Korean culture, caused by some particular events in their motherland. This atlas provide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is contextual limitations and to help understand and adapt to Korean society for these immigrants. This 'e-Atlas of Society & Culture' can be an efficient educational tool for immigrants and can help marriage immigrant women understand and adapt Korean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They might have contextual limitations about these phenomena in their motherland.

      • KCI등재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전자지도의 위치정보 표현에 관한 연구

        진성주 한국지도학회 2008 한국지도학회지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수치지도 제작시 축척에 따라 적용되는 지형 ․지물 속성 목록을 분석하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한국향토문 화전자대전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상세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전자지도를 통해 전달할 때 효과적일 수있는 전자지도 속성 정보 표현 기준을 제시하였다.수치지도Ver 2.0의 기준에 따라 1차 지리정보 수집 가능 대상에 해당하는 유형으로는 기관단체, 식물(보호수), 유물, 유적, 지명과 같은 직접적인 위치 정보 확인이 가능한 유형이 주로 그 대상이 되었다. 이 밖의 유형은 지도 제작자가 관련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표시해야 하는 대상으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유형 내에서도 속성에 따라 축척별로 표현기법이 다르게 적용되도록 분류 하였다.이때 기준은 수치지도Ver 2.0의 지형 ․지물 속성 목록과 수치지도작성작 업내규를 기준으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였다.그 결과 각 유형에 해당하는 세부 속성별로1:5,000 축척에서 는 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건물이 해당하였다. 또한 1:5,000 축척에서는 점과 면으로 표현되고 지도 의 축소에 의해 1:25,000 축척에서는 점으로 표현되는 대상으로는 묘, 고분, 비, 탑 등의 문화재가 해당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전자지도의 축척과 지도상에 표현되는 내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문화지도와 관련된 지리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하학적 분류 체계를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문화적 정보가 기존의 기본 지도 위에 표현되던 전자문화지도에 각 내용별로 다양한 표현기법을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을 구체화 하였으며, 앞으로 전자문화지도를 구현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유형별 기하학적 표현 체계를 구체화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investigator first analyzed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applied to the scale when making a general numerical map in terms of attribute lists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Korean Local Culture Grand Electronic Encyclopedia in detailed types. Using the results, I suggested a set of display criteria for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a digital map that can be effective when being delivered through such a map.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Numerical Map Ver. 2.0, the objects of primary geographical information gathering included institutions, organizations, plants(nurse rees), artifacts, relics, geographical destinations, and others that could be checked directly in terms of information of location. The others were categorized into the items that should be displayed by a cartographer after gathering concerned information of location. Once they're categorized in that way, they underwent further categorization according to scales by the ttributes so that the display techniques involved would differ. Employed in the process were the topography and terrain objects lists of the Numerical Map Ver. 2.0 and the bylaws of numerical map making. As a result, buildings were displayed in sides in a scale of 1:5,000 and in dots in a scale of 1:25,000. And graves, ancient tombs, monuments, and pagodas were displayed in both sides and dots in a scale of 1:5,000 and in dots in a scale of 1:25,000. The results provided useful hints to sort out geometric categorization systems with which to effectively display geographic information related to an electronic culture map by considering the scale of a digital map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to be displayed on on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showed in details that cultural information could be displayed on an electronic culture map in diverse techniques by the contents and suggested a concrete geometric display system by the types to consider when making an electronic culture map.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

        근대 이전 사행 관련 지리공간의 사행노정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 : 동팔참(東八站) 지역을 중심으로

        신춘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5

        An envoy trip in the traditional era was the stage of diplomatic activity and the space of literature creation. As Myeonginjaesa (名人才士), those who travelled around the world sublimated the knowledge of a cruise into travel literature. Poetry and prose that they left such as diplomatic travel record (使行錄), Yeonhaengrok (燕行錄), Yeonhaenggasa (燕行歌辭), novel, etc. became literature. Diplomatic envoy journey (使行路程) is characterized by literature space, which allowed just the envoy travel literature (使行文學) to be born. The envoy travel literature to China crossed the Yalu River, headed for Shenyang-Shanhai-kuan-Beijing (up for Rehe (熱河) far away), went across the Yalu River again, and then returned to Joseon. The space from the Yalu River to Shenyang means to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envoy travel literature to China. This was called Dongpalcham. The close-relation feature and the geographic cognition of being contained in this region was as if having faced mountains and streams in Joseon. Thus, the space in imaginative geography and imaginary history is just the Dongpalcham region.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Envoy Journey Culture Atlas’, which is a digital culture map, through making it archive with recording the images (photos․video․GPS) of diplomatic envoy journey, which is the space of historical․cultural․geographical background in envoy travel literature Ow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i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even a research methodology of humanities is getting diverse. As a research methodology or an educational methodology of humanities, an attention to cultural informatics and ‘digital humanities’ tends to be growing. ‘Envoy trip digital map’, which is suggested in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to be an introductory case that tries to realize the section of Dongpalcham, which is the literature space and the diplomatic envoy journey, as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that is a research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A map, which ‘digitalized’ cultural information, is called ‘electronic culture map’. Electronic culture atlas can be said to be ‘a knowledge production method that creates new information’ in that it itself is database, which was organized wit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focusing on time, space and theme. As ‘new research methodology of humanities,’ the possibility of electronic culture atlas' has been brought up. In that regard, this study aimed to seek a method of implementing electronic culture atlas after examining the applicability of ‘electronic culture atlas’ as a methodology of inquiring into the space of envoy travel literature, into the hero's traffic line (journey), and into the contents of a work. This study analyzed a case of 2 web sites (travel-record history journey, story theme park) of having made envoy-trip culture (journey) archive, referred to the outcome of a previous research, and then attempted the application of archive materials to the envoy-trip-culture digital map. With regard to being various in the envoy-trip culture and to being thick in historical literature, the feasibility is high even as the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culture atlas by diverse sub-themes such as Yeolha Ilgi (热河日记), Seaway Route Journey (海路路程), Byeongjahoran (丙子胡亂)-Pironojeong (被虜路程). 전통시대 사행(使行)은 외교활동의 무대이자 문학창작의 공간이었다. 조선의 명인재사로서 세계를 여행한 이들은 유람의 견문을 기행문학으로 승화시켰다. 사행록(연행록), 연행가사, 산문, 소설 등 그들이 남긴 시문은 문학이 되었다. 사행노정은 바로 사행문학(使行文學)을 탄생케 한 문학공간으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다. 중국지역 사행노정은 압록강을 건너 심양-산해관-북경(멀리 열하까지)으로 향하였고, 다시 압록강을 건너 조선으로 돌아왔다. 압록강에서 요양 혹은 심양에 이르는 공간은 중국지역 사행노정의 시작과 끝인 셈이다. 이곳의 여덟 개 역참을 동팔참(東八站)으로 불렀다. 이 지역에 내포된 역사문화적 친연성과 자연지리에 대한 사신들의 인식은 마치 조선의 산하를 대하듯 했다. 연구자는 사행문학의 역사․문화․지리적 배경 공간인 사행노정(使行路程)을 영상기록(사진․동영상․GPS기록)하고 아카이빙 해 왔다. 본고에서는 동팔참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털 문화지도인 ‘사행노정 전자문화지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최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인문학 연구방법론도 다양해지고 있다. 인문학의 연구방법론 혹은 교육방법론으로서 인문정보학과 ‘디지털인문학’이 대두되고 있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사행노정전자문화지도’는 문학공간이자 사행노정인 동팔참구간을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인 전자문화지도로 구현해 보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전자문화지도는 인문학 연구방법론으로 그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분야이다. 그런 점에서 본고는 사행문학 작품의 공간, 동선, 내용을 연구하는데 있어 전자문화지도의 활용성을 제시하고, 전자문화지도 구축 방안을 기획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사행문화(노정)정보를 아카이브화 한 웹사이트 2곳(<사행록역사여행>, <스토리테마파크>)의 사례를 분석한 후, 선행연구의 성과를 참고하여 사행노정 전자문화지도에 아카이브 자료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사행문화 정보가 매우 다양하고 역사문적 층위가 두텁다는 점에서 『열하일기』, <해로노정>, <병자호란피로노정> 등 다양한 소주제별 전자문화지도 구축으로도 파생가능성이 높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