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朝鮮後期 時調唱의 形成과 展開의 方向

        권순회 한국시가학회 2003 韓國 詩歌硏究 Vol.14 No.-

        본고는 조선후기 시조창 형성과 전개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주지하는 바 시조창은 가곡창과 함께 19세기 이후의 시조사의 흐름을 주도한 중요한 창곡적 특질로 주목되었다. 먼저 2장에서는 시조창 형성의 미학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조창은 18세기 중반에서 과히 멀지 않은 시기에 서울이라는 대도시의 음악적 요구와 실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형성기 시조창은 '잡聲'이나 '잡曲' 등으로 인식되는 가운데 가곡과 변별되는 미적 특질을 만들어 갔다. 형성기 시조창의 미적 특질은 '惻惻', '悽양', '蕩'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 바 이러한 특질들은 가곡창이 줄 수 없는 시조창만의 울림의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같은 시조 텍스트를 대상으로 노래하지만 시조창은 가곡창에 비해 부르기 쉽고 섬세한 내면의 감정을 담아낼 수 있었고, 이 점은 시조창이 여항에서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파악했다. 3장에서는 시조창 전개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시조창은 19세기초에 악보로 정착하고 중반이후 악곡이 파생되며 연창방식이 확립된다. 또한 향제가 분화되고, 『남훈태평가』 등 시조창을 위한 가집이 출현한다. 그 전개의 방향은 가곡과 밀접한 관련하에서 악곡 등이 파생되는 한편, 끊임없이 향제 등 가곡과는 변별되는 미의식을 만들어 간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sijo song and its development in the late Chosun. As it is well known, Sijo-Chang and Gagok-Chong(歌曲唱) have drawn scholars' interest due to it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led the main tendency of sijo after 19th century. In Chapter 2, this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what the aesthetics of Sijo-Chang in its initial stage is. Sijo-Chang began to be sung with the experimental spirit n music which was energized by the demand from the big city. Seoul. Sijo-Chang in the formative period were recognized as a type of popular song(‘????’ or ‘????’), and created their own uniqueness different from Gagok-Chang. The aesthetical feature of the Sijo-Chang in the stage can be described with the words sorrow('????'), grief("????") and vast-and-vacuous('??'). These are the unique feelings that come from Sijo-Chang, but not from Gagok-Changs. A Sijo-Chang is easier to sing and is a more efficient tool to express out delicate emotion than a Gagok-Chang is, provided the both are composed with the same text. I believe that Sijo-Chang were more popular among the people because of this. In Chapter 3,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Sijo-Chang. Sijo-Changs were recorded in musical books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developed into a piece of music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and used to be sung together with Gagok-Changs. At this time local style Sijo-Changs developed, and collections of Sijo-Changs were published.

      • KCI등재

        芝嶺錄 소재 「今俗行用歌曲」「長歌」「別曲」의 특성 재론

        권순회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7

        본고에서는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 1653∼1733)이 당대에 널리 불리던 국문시가를 한역한 『芝嶺錄』 소재 「今俗行用歌曲」과 「長歌」 및 「別曲」의 특성을 재론하였다. 2장에서는 「금속행용가곡」과 「장가」 및 「별곡」의 관계에 대해 논의했다. 「금속행용가곡」은 당대에 널리 불리던 가곡의 노랫말을 한역하여 평조, 우조, 계면조로 분류하여 수록했다. 악곡명을 표시하지 않았던 것은 이들이 모두 중대엽으로 불렸기 때문이다. 연이어 등장하는 「장가」 4수는 『청구영언』(김천택 편)에는 모두 가곡의 영역에 포함되었던 것들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가곡의 영역에 편입되지 않아 장가로 분류했던 것이다. 「별곡」에 수록된 <창부사>는 이현보의 <어부장가>를 전범으로 재창작한 것으로 형식적으로는 ‘장가’의 범주에 포함된다. 그런데 ‘별곡’으로 분류한 이유는 <어부가>의 장가적 전통을 이으면서도 자신의 강호생활과 흥취를 담아 새롭게 창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행용가곡」이 단가, 「장가」와 「별곡」은 장가에 해당한다. 이들은 ‘단가’와 ‘장가’의 구도로 짜여진 별도의 가집 형태라 할 수 있다. 당대의 가창 상황에 따라 이와 같이 구분해서 수록했던 것이다. 3장에서는 「금속행용가곡」의 평조, 우조, 계면조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수록 작품의 주제와 「東方雅俗樂」에서 병와가 제시했던 평조, 우조, 계면조의 평어와의 관계에 주목해서 논의를 전개했다. 병와는 「금속행용가곡」의 평조, 우조, 계면조는 일차적으로 금보(琴譜)를 참조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그는 이를 그대로 따르지는 않았다. 가곡으로 불린 것을 일일이 들어보고 노랫말을 한역하고 「금속행용가곡」에 수록했다. 단순히 내용만 옮긴 것이 아니다. 자신의 느낌이나 핵심 주제를 집약해서 제목 형태로 제시했다.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노래의 분위기나 느낌을 두 글자로 응축해서 한시의 평어 형태로 표현했던 것이다. 「동방아속악」의 평조, 우조, 계면조의 조격은 이렇게 해서 나온 것이다. 이와 같이 병와는 기존의 가악 이론을 단순하게 차용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음악 경험과 느낌을 바탕으로 속악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확립했다. 때문에 금보나 가집에 등장하는 가창 이론에 빗대어 보면 다소 어긋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기존 논의에서 「금속행용가곡」의 계면조의 특성이 ‘哀怨悽愴’으로 대표되는 계면조의 조격과 다르다고 지적한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실제 가곡을 들어보면 계면조의 노래들은 오히려 애원처창한 느낌이 들지 않는 사례들이 더 많다. 가집이나 금보에 수록된 가창 이론은 대대로 전승되던 악론 등에서 차용한 것들이다. 때문에 실제 연창과 어긋날 수 있다. 또 악곡은 고정된 불변의 실체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통이 가능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노랫말이나 연창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통이 가능하다. 따라서 「금속행용가곡」의 평조, 우조, 계면조도 단순히 기존의 고정된 가창 이론이나 관념을 기준으로 평가할 것이 아니다. 또 전적으로 병와만의 독특함으로 해석하는 것도 온당하지 않다. 병와는 당대의 가곡 연창 상황을 바탕으로 자신이 들었던 노래의 느낌에 따라 일부를 변통해서 이와 같이 분류했던 것이다.

      • KCI등재

        折帖 袖珍本 가집 『歌譜』의 특성

        권순회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1 No.-

        This article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songbook Gabo(歌譜) and discusses its characteristics. Gabo is a one-page folding pocketbook-type songbook.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t used a Dakpaper and was 17×80cm in length. There's a cover back and forth in the form of 14 folds. With the name of the book Gabo(歌譜), the cover reads "Gayadaksojeok(佳野宅所積)", meaning of ‘compiled by Gayadak’. It is unclear who made this songbook. However, the record of "Gayadaksojeok" shows that the song, which was sung by a family named "Gaya(佳野)" was used for singing after being edited like this. The names of villages with "Gaya" are scattered across the country, making it impossible to specify where the "gayadak" is located. However, it is clear that Gabo is a collection of songs that were sung by a local family, not in Seoul, and edited in this form. No direct clue can be found to identify the transcribed records or its timing.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song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it is believed to be a collection compiled during this period. The works in Gabo are Gagokhanbatang, 2 by Akjang, and 1 by Chinese poem. Gagokhanbatang consists of 13 songs. The lyrics were composed of only one number per music piece. It has a system of Ujo(羽調) and Gyeomyeonjo(界面調). However, there is no Banyeop(半葉) modulating from system of Ujo and Gyeomyeonjo. Among the Leesakdaeyeop(二數大葉) derivatives, Dugger(頭擧) appears and Junggeo(中擧) and Pyeonggeo(平擧) are not visible. It also has some derivative songs from Long(弄) and Nak(樂). There's no woman's song. This characteristic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Gagokhanbatang was formed. Akjang contains two works, JeongdongBanggok(靖東方曲) and Mundeokgok(文德曲), written by Jeong, Dojeon(鄭道傳), but Akj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as never been included in a songbook. It is judged to have been included from the subject matter interest in the song. Chinese poem Jeongbugok(征婦曲) is a song that misses her husband who went out to guard the border. The author is unknown. 이 글에서는 새로 발굴된 가집 『歌譜』를 소개하고 그 특성을 논하고자 한다. 『가보』는 1장으로 된 折帖 袖珍本 가집이다. 서지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종이는 楮紙를 사용하였고 크기는 세로×가로 17×80cm 1장이다. 14첩으로 접히는 형태로 앞뒤로 표지가 있다. 표지에는 “歌譜”라는 제명과 함께 “佳野宅 所積”이라고 적혀 있다. 이 가집을 만든 사람이 누구인지는 불분명하다. “佳野宅 所積”이라는 기록을 통해 “佳野”라는 지명을 가진 곳의 한 가문에서 불리던 노래를 모아서 편집한 후 가창에 소용되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전국에 ‘佳野里’, ‘佳野실’, ‘佳野谷’ 등 ‘佳野’가 들어간 마을 이름이 산재하여 ‘가야댁’이 어느 지역에 있는지를 특정할 수 없다. 다만 『가보』는 서울이 아닌 지방의 한 가문에서 불리던 노래를 모아서 이와 같은 형태로 편집한 가집이 분명하다. 필사기나 그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직접적인 단서는 찾을 수 없다. 하지만 수록된 가곡 한바탕이 19세기 전반기의 특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편집된 가집으로 판단된다. 『가보』에 수록된 작품은 가곡 한바탕, 악장 2편, 한시 1편이다. 가곡 한바탕은 13곡으로 구성되었다. 노랫말은 창곡당 1수씩만 배치하였다. 우조와 계면조 체제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우조에서 계면조로 변조하는 ‘반엽’은 보이지 않는다. 이삭대엽 파생곡 가운데 ‘두거’가 등장하고 ‘중거’와 ‘평거’는 보이지 않는다. ‘롱’과 ‘낙’의 파생곡도 일부 갖추고 있다. 여창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은 가곡 한바탕이 틀을 갖추어 나가던 19시기 전반기의 특성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악장은 鄭道傳이 지은 <靖東方曲>, <文德曲> 2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선초 악장은 가집에 수록된 사례가 없다. 시가에 대한 주제적 관심에서 수록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시 <征婦曲>은 수자리 나간 남편을 그리워하는 내용이다. 작자는 알 수 없다.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의 특성과 계보

        권순회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9 No.-

        본고에서는 신발굴 자료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律譜』를 학계에 소개하고 그 특성과 계보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서지적 특성을 파악했다. 『율보』는 필사본 1책, 총 22장(표지 제외 44면) 규모의 가집이다. 금보와 함께 시조 99수, 가사 8편이 수록되었다. 필사 시기와 편자는 알 수 없다. 1면 에 ‘墨緣’, ‘杏農’이라는 붉은색 장서인 보이는데 底本에 찍혀 있던 것을 그대로 모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율보』는 재필사한 가집이고, 저본의 편자는 ‘杏農’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墨緣’이 秋史 金正喜(1786~1856) 주변 인물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던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杏農’은 추사의 지인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율보』는 19세기 전반에 처음 편집되었고 1890년대 후반에 현재의 형태로 재필사 된 것으로 보인다. 앞뒤 표지 안쪽 배접지에 “陰竹郡印”이라는 方印이 포착되는 데 재필사한 후 찍은 것이다. 1895년 陰竹縣이 陰竹郡으로 재편된 사실에 주목하면 『율보』의 재필사 시기는 1895년 이후, 대략 1890년대 후반으로 판단된다. 3장에서는 『율보』의 편제와 가곡 한바탕의 악곡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율보』는 금보 및 가곡장단도, 남녀창 가곡 한바탕, 가사, 시조, 남창 부조로 구성되었다. 가곡 한바탕에는 남창 19곡, 여창 9곡이 수록되었다. 무엇보다 ‘代受酙’, ‘衰玉’, ‘夜數大葉’, ‘庭花數葉’, ‘回樂’ 등 독특한 악곡명이 등장한다. 19세기 전반 가곡 한바탕의 분화 과정에서 새롭게 파생된 악곡들은 명목을 얻기 이전에는 여러 이름으로 불렸던 바 이들도 그러한 과도기적 사례이다. 가곡 한바탕의 편제는 남녀창 모두 ‘반엽’이 등장하고 우계면 체제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두거’를 ‘삼삭대엽’ 뒤에 배치했다. 이는 『율보』가 19세기 중엽의 산물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계소용’도 보인다. 여창에서는 ‘回樂’이라는 이름으로 ‘환계락’이 등장한다. ‘臺’가 ‘庭花數葉’이라는 이름으로 남창에만 배치되었다. 『율보』의 편찬 당시에는 ‘臺’의 기능이 다소 유동적이었고 명목도 얻지 못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4장에서는 가곡 한바탕의 노랫말 특성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남창 57수, 여창 22수 도합 79수가 수록되었다. 10수를 수록한 남창 계면 ‘이삭대엽’을 제외하고 악곡당 1~5수 내외를 배치하였다. 당대에 가곡 연행 현장에서 실제로 널리 불리던 노랫말 가운데 대표곡 위주로 수록한 결과이다. 『율보』가 연행 현장에서 소용되던 연창 대본이었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5장에서는 『율보』의 이본인 『歌詞』(羅孫本), 『時調音律』과 특성을 비교하고 그 계보를 탐색하였다. 이들은 모두 19세기 전반에 편집된 가집을 재필사한 것들로, 『가사』(나손본)가 가장 먼저 편집된 것으로 드러났다. 남녀창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독특한 악곡명이 쓰이고 있는 것은 가곡 한바탕이 막 분화되기 시작한 시기의 특성이다. 이에 비해 『율보』는 『가사』(나손본)와 악곡명은 공유하고 있지만 보다 안정된 한바탕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시조음율』에서는 『가사』(나손본)나 『율보』와 다르게 독특한 악곡명은 쓰이지 않는다. 이들이 한바탕 내에서 명목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체제도 『율보』보다 정비되어 있다. 이로써 이들 사이의 파생 경로는 ‘『가사』(나손본) → 『율보』 → 『시조음율』’로 파악된다. 이들은 19세기 전 ...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Gajip, Gagok song book 『Yulbo(律譜)』, owned the National Museum, to the academic community and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Chapter 2 identifie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Yulbo』 is a collection of one manuscript, a total of 22 sheets(44 pages excluding the cover page). Along with the Geomungo(Korean musical instrument with six strings) score, 99 Sijo and eight Gasa lyrics were included. The timing of the manuscript and the editor are unknown. On the front page, you can see the red ownership stamp "Mukyeon(墨緣)" and "Hangnong(杏農)", which is a copy of the original script. This reveals that 『yulbo』 is recopied Gajip, and that the original scripted editor is "Hangnong". Considering that "Mukyeon" was frequently used among figures around Chusa Kim Jung-hee(金正喜, 1786~1856), "Hangnong" is believed to be a friend of Chusa’s. Then, it seems that 『yulbo』 was first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copied again in its current form in the late 1890s. A square of "Eumjukgun(陰竹郡)" stamp is visible on the backing paper inside the front and back cover,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taken after being recopied. Noting that "Eumjukhyun(陰竹縣)" was reorganized as "Eumjukgun" in 1895, it is believed that the period of the being recopied of the 『Yulbo』 was after 1895 and in the late 1890s In Chapter 3, the organization of 『Yulb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of Gagok Hanbatang were discussed. The 『Yulbo』 was composed of Geomungo score and the picture of Gagok rhythm, song of men and women's Gagok, Gasa, Sijo, Nanchang(男唱) Bujo(浮調), In the song of Gagok Hanbatang, there are 19 men’s and 9 women's Gagok musical pieces, Above all, a unique musical name is found. That is 'Daesujim(代受酙)', ​'Jonsudaeyeop(죤數大葉)', 'Seook(衰玉)', 'Yadaeyeop(夜數大葉)', 'Jeonghwasuyeop(庭花數葉)' and 'Heorak(回樂)'. Newly derived musical pieces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were called by various names tha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s before they were nominal, and they are regarded as such transitional cases. The organization of Gagok Hanbatang shows that 'Banyeop(半葉)' appears in both men and women's song and the 'Wujo(羽調)' and 'Gyemyeonjo(界面調)' system is clear. In both men and women song, 'Dugeo(頭擧)' is located behind 'Samsakdaeyeop(三數大葉)', which shows that 『Yulbo』 is a product 'Dugeo' was derived and 'Gunggeo(中擧)' and 'Pyeonggeo(平擧)' did not appear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Gyesoyong(界騷聳)' is also visible. In Yeochang(women's song), ‘Hwangeirak(還界樂)’ appears in the name of 'Heorak'. ‘Hwangeirak’ is Called by many names, it appears to have been nominal in the late 19th century. ‘Dae(臺)’, ending song, appears only in the Nanchang(mes’s song) the name of 'Jeonghwasuyeop'. This shows that at the time of the compilation of the 『Yulbo』, the function of 'Dae' was somewhat fluid and yet nominal. In chapter 4, we discussed the lyrics of the Gagok Hanbatang. A total of 79 pieces, Namchang 57, pieces, Yeochang 22 pieces were recorded. 1~5 numbers per music were arranged. It is the result of the representative song, which was actually widely used at the stage of performing Gagok. It is a passage showing that 『Yulbo』 was a singing script used at the performance site. In Chapter 5,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Yulbo』, 『Gasa(歌詞)』(Collection of Nason) and 『Sijoeumryul(時調音律)』 and explored the genealogy. They were all recopied of Gajip edi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 『Gasa』(Collection of Nason) being the first to be edit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Namchang and Yeochang is not clear and the use of a unique musical name clearly shows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Gagok Hanbatang was diversed.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과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

        권순회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5 No.-

        본고에서는 새로 발굴한 필사본 『流行雜歌』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를 파악하였다. 2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의 서지와 편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필사본 『유행잡가』의 필사 시기는 1910년으로 활자본 잡가집에 선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수록 작품은 총 25편으로 잡가, 단가, 시조, 가사 등으로 당대에 널리 불리던 노래들이다. 이 가운데 잡가가 15편이나 수록되어 이 가집이 잡가 위주로 편집된 사실을 말해준다. 3장에서는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新舊流行雜歌』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논의 결과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는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필사본 『유행잡가』에 수록된 작품들이 모두 활자본 『신구유행잡가』에 수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수록 순서가 완전히 일치한다. 이것은 『신구유행잡가』가 필사본 『유행잡가』를 그대로 수용한 바탕 위에 당시에 인기를 끌던 새로운 노래들을 추가해서 편집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4장에서는 1914년 이후 등장한 활자본 잡가집의 생성 경로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활자본 잡가집의 저자들은 대부분 출판업자들로 이들은 필사본 잡가집을 저본으로 삼고 여기에다 당대에 인기를 끌던 레퍼토리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활자본 잡가집을 간행했다. 본고에서 살펴본 필사본 『유행잡가』와 활자본 『신구유행잡가』가 바로 그러한 경우이다. 이러한 편집 과정을 거쳐 마련된 초기의 활자본 잡가집은 이후에는 이들을 복제하거나 새로 인기를 얻은 레퍼토리를 추가해서 수정․증보하는 방식으로 확대․재생산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조롱 형태의 놀이로서의 규방가사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民族文化硏究 Vol.42 No.-

        규방가사에는 남녀간, 혹은 여자들이 모인 공간에서 상대방을 심하게 조롱하며 대립하는 사례들을 적지 않게 발견된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언술 특성이 규방가사 향유의 한 특성을 구명할 수 있는 주요한 단서 일 수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논의를 통해 우리는 화전가가 주로 조롱 형태의 신명나는 놀이로서 소통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놀이의 핵심이 문중 구성원의 화합과 자긍을 이끌어 내는데 있다는 사실도 파악하였다. Ⅱ장에서는 조롱 형태의 언술이 주로 문답형 화전가에서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그 양상을 고찰하였다. 조롱은 화전놀이를 배경으로 같은 문중내의 남성과 여성이나 여성과 여성, 특히 출가녀들과 며느리 사이에 서로 답가를 주고받은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논의 결과 남성과 여성 사이의 조롱은 기존 논의에서처럼 남녀간의 성 역할에 대한 토론으로 볼 수 없다. 오히려 조롱은 그 자체로서의 의미를 가지기보다 놀이적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다. 또한 문중내의 출가녀들과 며느리들이 상대방의 행실과 가문에 대해 서로 조롱하는 상황도 궁극적으로 가사 짓기 놀이를 통한 가문 구성원 간의 화합에 그 지향점이 있다. Ⅲ장에서는 문답형 화전가의 소통 방식과 조롱의 기능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화전놀이에서 문답형 가사는 주로 조롱 형태의 놀이로서 소통되었다. 조롱 형태의 놀이는 먼저 재담을 주고받는 놀이적 상황으로 연출된다. 그리고 조롱 형태의 재담을 통해 형성된 흥취는 화전놀이에서 일회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화전놀이의 공간을 벗어나 가사로 기록되면서 다시 한번 놀이적 상황이 문학적으로 연출된다. 놀이가 끝난 이후에도 서로 답가를 지어가며 계속해서 놀이의 흥취를 이어간다. 이러한 조롱 형태의 언술은 놀이공간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긴장감과 오락성을 조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성들은 잠시 일상을 떠나 화전놀이라는 공적 소통의 장에서 조롱이 유발하는 흥취와 카타르시스를 통해 현실에서의 억눌린 감정들을 토로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조롱 형태의 규방가사의 미감이 다분히 해학적인 것은 이 때문이다. Cases of making a fool of others and conflicting in place where man and woman, or women gathered are often noticed in Gyubanggasa- lyric depicting women's life in feudal society. The current study began with a hypothesis that this kind of verbal characteristic can be an important clue to find out characteristic of its enjoyment. In chapter II, an aspect of mockery shown in Gyubanggasa was studied. mockery was performed in the form of exchanged respondent songs between man and woman or woman and woman, especially among married daughters and a daughter-in-law within the same family in the back ground of Hwajeonnori -a picnic that people cook and enjoy flower-shaped cakes. As results of the study, even though mockery and tension were being raised among men and women around Hwajeon-nori,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not directly connected with a basic problem about sex role of woman and man according to the growth of women's consciousness. Rather than that, it was because they wanted to maintain tension and taste in Hwajeonnori. In additi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ituation in which married daughters and a daughter-in-law within a family mocked at each other's behavior and family ultimately pursued the harmony among family members. In chapter III, communication method and function of mockery in Hwajeonnori were investigated. In a good many interrogatory Gyubanggasa that were sung in Hwajeonnori situation, disputes happened through the medium of verbal mockery. This means that verbal mockery creates tension and entertainment that are essential to maintain the playing space, and Gyubanggasa in Hwajeonnori was mainly communicated as a play in the form of mockery. Women seems to express their suppressed emotion in reality through taste and catharsis caused by mockery in a formal communication space, Hwajeonnori. This is why an aesthetic sense of Gyubanggasa in the form of mockery is greatly humorous.

      • KCI등재

        가곡 연창 방식에서 중대엽(中大葉) 한바탕의 가능성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民族文化硏究 Vol.44 No.-

        이 논문은 실체가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았던 중대엽 악곡과 唱詞에 대한 탐구를 통해 가곡 연창 방식에 있어서 中大葉 한바탕(篇歌)의 가능성을 제기함으로써 시조사의 추이를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하려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논의 결과 우리는 중대엽은 17-18세기에 우리가 이해하던 것보다 훨씬 체계적인 연창의 틀을 확립하고 있었다는 여러 사실을 확인하였다. 17세기 초중반에 중대엽은 네 개의 악조로 분화되고 체계적인 연창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하지만 아직 다양한 악곡으로 분화되는 단계는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중대엽의 악곡 분화는 17세기 후반부터 확인된다. 17세기 후반 4개 악조×3악곡=12악곡으로 구성되는 중대엽 악곡의 틀이 확립된다. 18세기 초에는 중대엽 각 악곡을 대표할 수 있는 노래말이 고정된다. 악곡의 분화가 완료되고 노랫말이 고정되면서 이 시기에 중대엽 한바탕이 확립된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는 중대엽의 전성기라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우리는 18세기 초중반에 간행된 가집들을 통해 이 시기 중대엽이 초삭대엽과 함께 거의 가창되지 않은 결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금보나 시조 한역 자료 등을 통해 중대엽이 18세기 중반 무렵까지도 활발하게 연창된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중대엽 한바탕의 존재를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노래인 '臺'를 통해 구명하였다. 중대엽 한바탕은 악조와 악곡을 고려할 때 연행 상황에 따라 최대 12곡의 노래로 구성할 수 있고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대받침이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파악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of Sijo suggesting the potential of Joongdaeyeop (midium tempo) Hanbatang in the singsing method through examining the musical pieces of Joongdaeyeop and lyrics of those songs. The findings show evidences of the Joongdaeyeop forming it's fundamental structures during 17-18th centuries, which is better established structure than today's common understanding. In the early and middle of the 17th century, Joongdaeyeop was subdivided into four musical tones. However, it was yet to be subdivided into various musical pieces. The subdivided music pieces of Joongdaeyeop started to appear in the late 17th century. In the late 17 century, the structure of Joongdaeyeop which consisted of 4 tones × 3 pieces to make 12 pieces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8C, the words to represent each piece of Joongdaeyeop is fixed. After the division of pieces and fixation of the words, the Joongdaeyeop Hanbatang is established. In this line, the time between the late 17 century and the early 18C can be seen as the peak time for Joongdaeyeop. It has been believed through song books published in the middle of 18 century that Joongdaeyeop along with Mandaeyeop(slow tempo) were not sang during those times. However, reviewing resources of Sijo interpreted into Korean and of musical notes for traditional Korean stringed instrument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Joongdaeyeop was sang in many occasion upto the middle of 18th century. This study found the existence of Joongdaeyeop Hanbatang through the song 'Dae(臺)' which is closing song of the Hanbatang. It is also found that, given the musical tones and pieces in it, Joongdaeyeop Hanbatang can consist of 12 pieces of song at maximum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at there was Dae support song to close Hanbatang.

      • KCI등재

        필사본 『불우헌유고(不憂軒遺稿)』의 발굴과 <상춘곡(賞春曲)>의 작자 문제

        권순회 한국시가학회 2022 韓國 詩歌硏究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iscovered manuscript 『Buluheonyugo』 and to discuss the authorship issue of <Sangchungok> again. In Chapter 2, the bibliography characteristics of the manuscript 『Buluheonyugo』 were examined. The manuscript 『Buluheonyugo』 is one book, length 32.5×width 21.5cm, and a total of 38 pages. The person who copied it and when it was copied is unknown. The title of the book is “Buluheonyugo(不憂軒遺稿)”. It looks blurry at the top left of the cover. The most basic things that a collection of literature should have, such as prolog and epilog, records of a deceased person’s life, and epitaphs put in graves, were omitted. It is also unusual to put Korean poetry and prose before Chinese poetry. It is judged to be a version close to the original edition, as there are still unresolved traces everywhere, such as writing the corrections in the margins or recording the same work in two.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of manuscripts 『Buluheonyugo』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不憂軒集)』.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Sangchungok> was not included i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In the first edition 『Buluheonjip』, <Buluheonga(不憂軒歌)>, <Buluheongok (不憂軒曲)>, and <Sangchungok> are included in the item ‘Gagok(歌曲)’. On the other hand, the manuscript 『Buluheonyugo』 contains only <Buluheongok> and <Buluheonga> at the beginning of the without a separate item name. In addition, all manuscripts 『Buluheonyugo』 are written in Idu(吏讀), whereas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Buluheongok> is written in Idu, and <Buluheonga> and <Sangchungok> are written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of the 18th century. Second, in the case of prose, the manuscript 『Buluheonyugo』 is wholly equipped with the passages lost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In <Ujinpyeso(又陳弊疏)> of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some of the articles discussing ‘the evils of land grades in the tax law’ and ‘the tolerant evils of the law governing thieves’ were lost, and ‘the following articles were los(此下逸)’ is annotated separately, but all of these passages appear i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Third, Korean poetry contains 83 titles and 156 numbers i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and 54 titles and 92 numbers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The manuscript 『Buluheonyugo』 contains all the works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as well as 29 titles and 64 more. Jeong Geuk-in(丁克仁) ’s works contain 60 titles and 106 numbers i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and 36 titles and 58 numbers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There are more 24 titles and 48 numbers i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Most of the titles of the poems newly appearing i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are the works of Jeong Geuk-in. Comparing the works included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and the manuscript 『Buluheonyugo』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number of works included in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is small despite the title of the same poem. As a result of the above comparis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uscript 『Buluheonyugo』 and the published first edition 『Buluheonjip』. The manuscript not only has the contents completely lost in the published edition 『Buluheonjip』, but also has a much larger number and volume of work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anuscript 『Buluheonyugo』 was regarded as the version before it was lost in the process of the Imjin War, as mentioned by Hwang Yun-Seok(黃胤錫). In Chapter 4, the issue of the author of <Sangchungok> was reconsidered. What we have confirmed through the manuscrip...

      • KCI등재

        조선 후기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 대한 재검토

        권순회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In this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Yeohang-in item’, which contains the works of artist Yeohang-in in the late Joseon songbook. Among the songbooks that appear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ohang-in item were investigated for the songbooks in which Yeohang-in appeared in the part where the author of Isaacdaeyeop(二數大葉) was known. As a result of examining a total of 23 songbooks, 441 works by 38 Yeohang-in were confirmed. The Yeohang-in item was first set under the name of ‘Yeohang-yukin(閭巷六人)’ in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by Kim Cheon-taek(金天澤) in the early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artist's name was maintained, ‘Yeohang-yukin’ became the core of Yeohang-in item, showing a tendency to become canonized. Among these, the Yeohang-in item of the songbook that appeared after Cheongguyoungeon(edited by Kim Cheon-taek)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deliberately excluded Kim Cheon-taek and included Park In-ro(朴仁老), a Sadaebu(士大夫), instead. In the new Yeohang-in, only one person, Jo Eung-hyun(趙應顯), was added.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book of the series Haedonggayo(海東歌謠) that appeared later, Kim Soo-jang(金壽長) restores the traces of Kim Cheon-taek and establishes the orthodox context of Yeohang-in. At the same time, the works of 11 Yeohang-in who were active during the Kim Su-jang era are separately recorded in Cheonggugayo(靑邱歌謠) to expand the scope of the Yeohang-in item. After the late 18th century, Yeohang-in items were differentiated in various ways. Writers who appeared in ‘Yeohang-yukin’ and Cheonggugayo are integrated into one, and a new Yeohang-in is added here. A total of 18 new Yeohang-ins have appeared. The format of the Yeohang-in items is also different.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Yeohang-in is mixed with Sadaebu, and the name of the item is not given, except for some songbooks. In the midst of thi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ongbook is converted into a comprehensive piece of music and the lyrics are rearranged accordingly, the scale is greatly reduced and the Yeohang-in item gradually disappears.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가집에서 여항인 작가의 작품을 수록한 ‘여항인 항목’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출현한 가집 가운데 이삭대엽 유명씨부에 여항인 작가가 등장하는 가집을 대상으로 여항인 항목의 특성을 살폈다. 총 23종의 가집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여항인 38인의 작품 411수를 확인하였다. 여항인 항목은 18세기 초 김천택에 의해 『청구영언』(김천택 편)에 ‘여항육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정되었다. ‘여항육인’은 작가명 표기가 유지되는 19세기 전반까지 여항인 항목의 핵심으로 자리하면서 정전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가운데 18세기 중반 『청구영언』(김천택 편) 다음에 등장한 가집의 여항인 항목에서는 의도적으로 김천택을 배제하고 대신에 사대부인 박인로를 포함했다. 새로운 여항인은 조응현 단 1인이 추가되었을 뿐이다. 반면에 김수장은 이후 등장한 『해동가요』 계열 가집에서 김천택의 흔적을 되살리며 여항가객의 정통적 맥락을 다시 확립한다. 동시에 김수장 시대에 활동했던 여항인 11인의 작품을 『청구가요』에 별도로 수록하여 여항인 항목의 외연을 확장한다. 18세기 후반 이후에는 여항인 항목이 다양하게 분화된다. ‘여항육인’과 『청구가요』에 등장했던 작가들이 통합되고 여기에 새로운 여항가객들이 더해진다. 총 20인의 여항가객이 새로 출현하였다. 여항인 항목의 수록 형태도 달라진다. 여항인들이 사대부와 뒤섞여 분산 수록되는가 하면, 항목명을 별도로 부여하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가운데 가집의 편제가 전면적인 악곡 편제로 전환되고 노랫말이 악곡별로 재배치되는 19세기 전반에 오면 그 규모는 대폭 축소되고 여항인 항목은 점차 자취를 감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