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의 형식구조 원리 일고찰 -선단후장先短後長과 선장후단先長後短의 미학을 중심으로

        이지엽 ( Jee Yeub Yi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시조를 6구(句)로 구분하여 첫 음보와 둘째 음보의 장단을 살펴보면 대개 초장과 중장에서는 선단후장(先短後長)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확인되거니와 선단후장은 다음과 같은 미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우선 시의 무게 중심이 앞보다는 뒤에 있으니 안정감을 준다는 사실이다. 관형어의 수식은 대개 앞에 배치되어 짧게 나타나는 반면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는 대부분 뒤에 배치되어 문장의 안정감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선단후장의 구성은 강조의 기능 수행, 그리고 의미의 완결 등 상당히 의미 있는 미적 기능을 수행한다. 시에서 강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주요 심상의 형상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무게의 중심이 바로 여기에 있음을 시사한다. 의미의 완결은 시조의 장(章)이 갖는 독특한 성격과 관련된다. 시조의 장(章)은 자유시의 행(line)처럼 쓰이기는 하지만 행과는 전혀 다른 속성을 보여준다. 초·중·종장은 일단 하나의 완결된 시상을 가지면서, 각 장별로는 별개의 작은 의미구조와 두 개의 구(句)를 갖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선장후단(先長後短)의 원리는 여운의 효과와 시적 무게중심의 전진 배치 등 선단후장과는 아주 다른 미적 기능을 갖고 있다. 이를테면 여운을 남기기 위하여 도치를 할 경우는 뒤에 부분이 무겁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선장후단의 원리를 따르는 것이다. 아울러 변화의 마무리 등의 미학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종장 첫 구의 3음 고정과 5음 이상의 형식에는 어떤 미학적 효과가 있는 것일까. 여기에는 긴장과 이완, 전(轉)의 효과 , 둘째 음보에서의 핵심의 주제 설정 등을 들 수 있겠다. 이 연구는 도남이 얘기한 자수논리의 복원을 얘기한 것은 결코 아니다. 시적 대상으로 삼은 고시조에서부터 현대시조에 이르기까지 아주 오랜 세월동안 창작되어온 시조의 미학이 결코 단순하지만은 않은 독자적 영역이 있음을 살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보다 잘 활용하여 시조만이 가지는 장점을 잘 살려 오늘날 시조 창작에도 원용될 수 있다면 이 논문의 의미가 보다 가치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If we divide sijo into 6 phrases and examine its rhythm of the first and second metres, it shows mostly the short front-long end formation in the beginning and middle verses. It is statistically identified, and this short front-long end formation is judged to perform aesthetic functions as follows:First, as the center of gravity of poem is placed in the back rather than in the front, it gives stability. While the modification of adnominal phrase is mostly expressed short by being arranged in the front, verbs describing behavior are mostly placed in the back and contributes to increasing stability of the sentence. In addition to this, the short front-long end formation performs considerably significant aesthetic functions such as emphasis and completion of meaning. Performing an emphatic function in a poem is closely associated with embodiment of major images. Completion of meaning is related with unique features of verses in sijo. Although sijo verses are used like lines in free verse, it shows totally different attributes from line. It’s because the beginning, middle and last verses have a completed image first and each verse has another small meaning structure and two phrases. On the contrary, the principle of the long front-short end formation has totally different aesthetic functions from the short front-long end formation such as lingering imagery effect and arrangement of the center of poetic gravity in the front. For instance, in the case of inversion for lingering imagery, it is desirable the back part is not heavy, so we follow the principle of the long front-short end formation. In addition, it may perform aesthetics of completing change. What aesthetic effects are there in 3-sound fixity of the first phrase in the last verse and in the form of more than 5-sound? Tension and relaxation, turn effect, and setting up the key topic in the second metre may be included here. This research by no means tried to mention restoration of the number-of-letter logic about which Donam said. It served as a momentum to investigate that the aesthetics of sijo, which has been created for a very long time from ancient sijo which became the poetic object to modern sijo, has never simple but independent domain. And by making good use of this and bringing out advantages only sijo has, if it can also be quoted to the creation of sijo today,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would be more valuable.

      • KCI등재

        일반논문 : 규방가사와 부요에 나타난 조선조 여성의 현실대응양상 고찰 -부부관계와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손앵화 ( Aeng Hwa So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이 연구는 조선조 여성문학을 대표하는 두 문학 갈래인 규방가사와 부요에타난 현실대응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조선조 여성들의 보편적 의식과 계층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규방가사와 부요는 가부장적 사회질서 하에서 억압당하고 소외된 여성들의 문학적 형상물이라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그러나 신분계층에 기인한 현실적 격차는 성적 동질감 이상으로 그들이 각각 향유한 문학 양식에 드러나 있다. 여성의 혼인은 새로운 세계로 들어가는 출발점이다. 이른바 ‘시집살이’의 시작인 것이다. 혼인을 통해 조선조 여성이 맞닥뜨린 현실적 조건과 이에 대응한 양상은 몇 가지 특징으로 정리된다. 여성은 새롭게 맺는 모든 시족 구성원과의 관계는 본질적으로 혼인을 통해 배우자인 남편에서 파생한 것이다. 규방가사의 향유층인 사대부 여성에게 혼 인은 남편과의 애정 관계나 부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문 대 가문으로 성사되는 일이기 때문에 남편과의 개별적이고 대응적인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시집살이나 시족 구성원들을 배제한 채 남편만을 서술의 구체적인 모티프로 다루는 경우는 드문 데 비해 부요의 경우 남편은 아내인 평민 여성의 유일한 의지처가 된다. 평민 여성은 시집살이의 보상으로 남편의 애정을 갈구하는 차이를 보인다. 규방가사와 부요 간에 처첩 간의 문제를 형상화는 방식에도 차이가 나타난 다. 남성 중심의 지배체제 유지를 목적으로 처첩이 엄격하게 구별되고 정처의 지위가 법적으로 보장받은 까닭에 규방가사에서 처첩 간의 갈등이 표면화 되는 일이 거의 없다. 다만, 남편이 첩으로 말미암아 가산을 허비하고 가문을 위태롭게 하는 경우에 한하여 비판의 대상으로 등장할 따름이다. 반면 평민 여성에게 첩의 등장은 남편의 배신 행위이며, 궁극적으로 삶의 목적과 의미를 상실케 하는 이유가 된다. 결국 부요에서 첩 문제는 죽음이라는 극단적 행위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유교 질서가 내면화된 사대부 여성일수록 빈곤으로 인해 구고봉양, 봉제사, 접빈객 등 여자소임을 다할 수 없는 데서 오는 정신적 충격을 더 크게 다룬다. 이는 규범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괴리에서 오는 정신적 고통이다. 규방가사가 근면과 절약으로 가난을 ‘극복’하고 ‘치산’하는 과정을 강조한 데 비해 부요는 직접적인 생활고, 가난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그러면서도 가난한 상황을 극복하려는 현실적인 노력이나 의지의 천명 보이지 않고 가난 자체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인다. 이처럼 규방가사와 부요에는 조선조 여성들이 현실을 인식하고 살아낸 다양한 방식들이 형상화되어 있으며, 형상화의 밑바탕에는 현실과 균형을 이루려는 여성의식이 자리해 있다. 따라서 규방가사와 부요는 여성 삶의 다양한 실상이 진솔하게 표출된 생활문학이요, 여성이 살아낸 삶의 체험을 오롯이 담고 있는 체험문학이라 할 수 있다. This story is aimed at revealing universal consciousness of Joseon era’s women and hierarchical distinctiveness by comparing the aspect of reality response that is expressed in Gyubanggasa and Buyo, or two main branches that represent woman literature. Gyubanggasa and Buyo show the similar recognition that women suppressed and isolated under patriarchal social system are literary form. But on one hand the class difference between nobleman and the common people was the social standard to decide the standard and quality of life because Joseon era regarded the order of social status as important. Woman``s marriage is the starting point going into the new world. There are a few characteristics about the realistic condition and the aspect of response that Joseon era’ women confront through marriage. Woman``s native home is the space that is difficult to go back again and object of longing and nostalgia. On the other hand, husband``s home is the object of fear and anxiety as the space that they should live through. The position of woman``s parents is replaced by husband``s parents and siblings by husband``s siblings. The relationship that woman makes with all husband``s family members is derived from the spouse, husband through marriage. Therefore the husband is the precondition in understanding the woman``s reality. In Gyubanggasa the individual and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husband is not considered. The woman that is accustomed to family consciousness rarely deals with husband as a concrete motif excluding husband``s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the husband in Buyo is the only support of woman. The woman commoner craves for husband``s affection as the compensation of woman`s married lif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ay of representing the problems between wife and mistress in Gyubanggasa and Buyo. In the case of Gyubanggasa, the conflict between wife and mistress did not come to the surface because wife and mistress was distinguished strictly and formal wife``s position is guaranteed by law. By comparison, the aspect of conflict between wife and mistress is exposed remarkably. The appearance of mistress to woman commoner is the husband``s betrayal and the reason to make her lose the purpose and meaning of life ultimately. Also as noble-woman internalizes Confucius order, she deals with the mental shock more significantly coming from the fact that she can``t do her duty-supporting family, performing ancestral ceremonies and visitors because of poverty. It``s the mental pain coming from between prescriptive self and realistic self. Also the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to overcome poverty by diligence and saving in Gyubanggasa is expressed more specifically. Buyo deals with the direct financial difficulty and poverty mainly. There are many works that reveal the hardship of physical labor. But they don``t try to overcome poor situation and just accept poverty itself as fate. The various ways that Joseon era’ women recognize reality and live through are represented in Gyubanggasa and Buyo. Therefore Gyubanggasa and Buyo are the life literature that various reality of woman is expressed and experience literature to contain the experience of life that women live through.

      • KCI등재

        기행가사 기반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한국고전시가의 학술적, 대중적인 지식정보 자원화 방안의 일환으로 기행가사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으며,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이 뚜렷해지고 있는 우리 사회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전시가 분야의 연구자들도 텍스트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지혜를 모으지 않을 수 없다. 전자문화지도는 시간, 공간, 주제라는 다차원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융합학의 새로운 학문적 탐색을 다채롭게 시도해볼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도 그 활용 가능성이 적지 않다. 뿐만 아니라,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는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모바일 앱을 통해 여행정보는 물론 인접 문화자원에 대한 정보, 그리고 다채로운 멀티미디어 텍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문화지도는 여행지에 대한 가상 체험과 상상력을 공유할 수 있게끔 한다는 점에서 무척이나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 설계와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즉 자료대상 범위 확정, 베이스 맵의 설계, 교통로 복원의 방안, 지명데이터베이스, 텍스트 및 참조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가공, 타임맵의 구현 방안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는 정전 중심의 근대적 문학주의에 대한 비판과 문화론적 전환이 모색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연구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닌다. 또한 연간 국민의 약 70%가 국내관광에, 약 30%가 해외관광에 참여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여행지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심미적 인식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This thesis discusses design and utilization method of cultural atlas with a theme of Travel Gasa among various subjects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re is much attention to Travel Gasa these days due to change into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The reason is that it will be easy to have public utiliz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to conduct a interdisciplinary research if it is established as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refore, this thesis reviews concept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building method of Travel Gasa- based electronic cultural atlas, utilization of research method, methodology of public cultural contents, virtual actualization phase and etc.

      • KCI등재

        <정과정(鄭瓜亭)>의 성립 과정 -악곡 구조와 가사 배열을 통하여 봄

        윤덕진 ( Dug Jin You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정과정>이 향가와 관련을 가진다는 추정은 11단의 시행 배열과 결구 차사 수반에서 말미암았다. 시가사의 흐름으로 보아 이런 추정이 불가하지는 않지만 명확한 단서가 되는 자료의 부족으로 확증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일본에 남아있는 고중세 가악 가운데에 도래 양식으로 보이는 <최마악>은 악곡 구조를 대비해본 결과 한국 가곡 계통인 것이 밝혀졌다. 또한, <정과정>에 남아 있는 악곡 정보를 통하여 <정과정>이 가곡의 선행 양식임을 확증할 수도 있었다. 이에 향가-<최마악>-<정과정>의 통서 수립이 가능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고, 본 논문은 이 통서 규명의 시발점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통서 규명의 도달점은 향가의 악곡 형식이 되어야 할 터인데 우선, <최마악>과의 관련이 더 깊이 맺어져야 한다. 이 관련은 고중세 동아시아 가악 교류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터이므로 여러 분야의 연구 업적이 통합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표 설정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기존 <정과정> 연구의 여러 분야를 통합의 시각에서 다루었고, 문학과 국악의 연계선상에서 논지를 확보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정과정>의 악곡 구조에 관한 연구는 『大樂後譜』악보를 근거로 하여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이 작품이 계면조의 원류라는 사항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관심이 베풀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 가악 풍도형용이나 시조계의 관습을 원용하여 이 문제에 접근하여 보았으나, 여전히 악조의 인상을 확인하는 선에 머물렀다. 선율 분석이나 다른 작품이나 다른 갈래와의 대비를 통한 구체적인 규명이 더 가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악곡 구성 방식상으로 보아 <정과정>이 무악 계통의 악곡이리라는 지적도 사회정치사적인 맥락에서 <정과정>의 음악적 바탕을 무속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와 연계하거나 무악의 일반적인 특징을 대입시켜 보거나 하는 구체적인 작업을 통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작업은 결국에는 삼국시대의 가악을 무악 성향이 강한 것으로 보는 국악계의 연구 성과와 결합될 것이므로 향가와의 관계 규명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the restoration of HYANGGA``s musical mode. There is very few data on HYANGGA’s performance, and only a handful of musical scores remains. Would we ever be able to sing HYANGGA again? Can we only read works of HYANGGA with the help of borrowed Chinese characters? Fortunately, Japan has preserved the old songs from the 7th~8th centuries, SAIBARA, which was originated from Korea. SAIBARA has the same characters as GAGOK, the classical song of CHOSUN dynasty. SAIBARA has very slow tempo and its dominant mood is gentle. The scholar-officials (sadebu) were the main audience of the GAGOK. The officials enjoyed the songs accompanied by geomungo, and the majority of GAGOK pieces were accompanied by geomungo. <CHEONGKWACHEONG> is also a song accompanied by geomungo. The close relation between GAGOK and <CHEONGKWACHEONG> was demonstrated by CHOSUN dynasty scholar-officials who were enthusiasts of geomungo. They testified that the modes of singing GAGOK, slow-moderate-fast THAEYUPs, came from <CHEONGKWACHEONG>. We can infer the relation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from the clear association between SAIBARA and GAKOK. The common factor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may be the type of performance, and this factor can be determined by the geomungo. In this study I try to clarify the common factors between the three singing mode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and musical scores from CHOSUN dynasty. Further studies should involve investigation of the equivalent resources from Japan and China.

      • KCI등재

        한국전쟁과 가사문학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한국전쟁 당시의 경험을 서술한 가사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까지 확인된 가사는 총 7편으로, <회심□> <원한가> <고향 □난 회심곡> <피란사> <나라의 비극> <추월감> <셋태비감> 등이다. <추월감>을 제외한 모든 자료는 학계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먼저 각 가사 자료의 확인된 소재지를 정확하게 밝혔다. 그리고 작품 내용의 분석을 통해 각 가사가 한국전쟁과 관련한다는 점, 가사의 창작연대, 작가의 성별, 창작 당시 작가의 나이 등을 고증했다. 다음으로 한국전쟁을 직면한 작가의 입장을 분석했다. 국군과 인민군 중어느 한 편의 입장을 벗어나 전쟁 자체에 대한 반감에 초점을 두고 서술한 가사는 <회심□>, <나라의 비극>, <피란사> 등이다. 국군의 입장에서 서술한 가사는 <원한가>와 <고향 □난 회심곡>이다. 그리고 좌우갈등의 문제를 서술한 가사는 <추월감>과 <셋태비감>이다. 마지막으로 이들 가사 작품의 문학사적 의미를 규명했다. 가사문학이 한국전쟁 당시까지도 장르적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라는 점, 한국전쟁 당시 한국인의 경험과 입장들을 다양하게 반영하는 다큐멘터리로 기능한다는 점, 한국전쟁 당시 동족상쟁의 비극성을 한탄하고 전쟁 자체를 강하게 거부하는 한국인의 일반적 정서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이들 가사 작품의 문학사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researched the texts of Gasa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writer in the period of Korean War. To obtain the texts of Gasa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writer in the period of Korean War, I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manuscrips and printing books. As a result, seven pieces of Gasa were corrected until now. These are <hoesimsa>, <Wonhanga>, <Gowhyang-dduhnan-hoesimgok>, <Peeransa>, <narayi-beeguk>, <Chuwolgam>, <Setebigam>. Until now the academia did not pay attention to these texts of Gasa except <Chuwolgam>. First of all, I presented the texts of Gasa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writer in the period of Korean War. A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work I proved the writer, writing age, the fact that each work was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whether the writer is a woman or a man. Next, I analyzed the position of each writer facing the Korean War. Gasa which describe the antipathy to the war itself are <hoesimsa>, <narayi-beeguk>, <Peeransa>. Gasa which describe in the position of Southern soldiers are <Wonhanga>, <Gowhyang-dduhnan-hoesimgok>. Gasa which describe the ideological conflict of one woman are <Chuwolgam>, <Setebigam>. Finally, I probe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se Gasa works. These Gasa works has the significance as a documentary literature which typically reflect the tragedy of war and the life of our ordinary people in the period of Korean War. And these Gasa works shows us that traditional features of poetry existence was maintained until recently.

      • KCI등재

        조선전기 "무등산권 赤壁" 공간의 문학작품 연구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문학 공간’으로서의 ‘무등산권 적벽문학’을 다루고 있다. ‘적벽’이란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문학 공간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따라서 ‘적벽’은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이나 일본 등에 많이 남아 있다. 전통시대에는 山水가 아름다운 곳에 누정과 원림 등을 건축하면서 특별한 문학 공간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래서 무등산권 적벽 지역이 위치하였던 同福縣에는 많은 누정이 건립되었음을 여러 기록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적벽의 자연 공간을 그린 문학작품과 더불어, 勿染亭 등 그 적벽 지역에 있던 많은 누정들의 문학을 포괄하여 ‘적벽문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특히 화순의 ‘무등산권 적벽’은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공간으로서의 적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에는 누정과 같은 많은 문화적인 유적이 있었고, 셀 수 없는 작품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 적벽문학의 대표적인 공간인 전라도 화순의 ‘무등산권 적벽’ 공간에 대한 개괄적 연구의 한 가지이다. 그 내용은 조선 전기의 무등산권 적벽문학으로 한정시켜서 다루고 있다. 조선 전기 신재 최산두 선생은 자연공간의 적벽을 인문공간의 적벽으로 인식하여 나갔다. 그 후로 신재의 한시부터 석천 임억령, 제봉 고경명의 한시 등은 적벽 공간의 아름다움을 잘 그리고 있다. 다른 한편 제봉 고경명의 <遊瑞石錄>이나 학봉 김성일의 <遊赤壁記> 등 산문 작품은 조선 전기 대표적인 적벽 遊記이다. 그러나 일부 작품은 은둔사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대개는 관인들의 문학이었기에, 경관의 아름다움을 주로 그리면서, 유가적인 학문자세 등이 잘 드러나 있기도 하다. This article addresses ``Jeokbyeok literature in Mt. Mudeung area`` as ``the literary space``. ``Jeokbyeok`` refers to the representative literary space in East Asia. A number of ``Jeokbyeok`` remain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past, special literary spaces such as Nujeong, 樓亭 and Wonrim, 園林 had been built in sites of scenic beauty. It is reported that many Nujeong had been built in Dongbokhyeon, 同福縣 which was in the same location of Jeokbyeok in Mt. Mudeung area. The literary works regarding natural space of Jeokbyeok and Nujeong such as Mulyeomjeong, 勿染亭 are generally called ``Jeokbyeok literature``. Especially, ``Jeokbyeok in Mt. Mudeung area`` in Hwasun, 和順 is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space`` in Korea. There are plenty of cultural sites such as Nujeong and literary works. This paper is one of the studies on Jeokbyeok in Hwasun in Jeollanam-do province as the Korean representative literary space. The content is mainly concerned with Jeokbyeok literature in Mt. Mudeung are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njae Choi San-du, 新齋 崔山斗 recognized Jeokbyeok in natural space as a literary space. Classical Chinese poetry by Sinjae, 新齋, Seokcheon Yim Eok-ryeong, 石川 林億齡, and Jebong Go Gyeong-myeong, 霽峯 高敬命 illustrates the beauty of Jeokbyeok. <Yuseoseokrok>, 遊瑞石錄 by Jebong Go Gyeong-myeong, 霽峯 高敬命 or <Yujeokbyeokgi>, 遊赤壁記 by Hakbong Kim Seong-il, 鶴峰 金誠一 is the typical pros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very piece of the literary works represents the beauty of Jeokbyeok. However, many pieces show the Confucian, 儒家的 academic attitude rather than the secluded spiritual world.

      • KCI등재

        가사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

        김병국 ( Byung Kuk K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이 연구는 가사작품이 현대에 활용되는 모습과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나름의 의견을 개진한 것이다. 가사의 활용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해보면, 문화콘텐츠로의 개발, 글쓰기교육, 한국어 교육, 한국 문화 교육, 문학치료 등에 가사를 활용하고 있다. 가사를 현재의 생활에 활용하거나 그 활성화의 경우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이러한 가사 문학이 현대에 활성화되고 그 전통이 미래에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전통이기 때문에 지켜야 된다는 당위성보다 그 속에서 현재의 우리에게 필요한 가치를 찾아 널리 공감을 얻어야 할 것이다. 그 한 방법이 바로 문화 콘텐츠로의 개발이다. 이 경우, 지역과 관련 있는 가사 작품만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보다는 한 지역을 대상으로 기본 콘셉트를 잡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면서 그 일환으로 가사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면에서 ‘담양’의 경우는 현재 담양이 추구하는 가치와 전통으로 보아 자연과 인간의 교감, 자연과 (과학)문명, 전통과 현대의 공존, 예술과 놀이의 공존, 관람과 체험의 공존 등을 통해 몸과 마음을 힐링한다는 것을 기본 컨셉트로 하고 지역민들이 담양이라는 지역, 문화, 전통에 자긍심을 느끼면서 참여할 수 있는 기획이 필요하다. 또한 학문적으로 가사의 자료를 집적하고 그것에서 현재적 가치를 개발하는 작업을 꾸준히 하면서 실생활 속에서 손쉽게 가사 작품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작업도 필요하다. 현재까지 교육 분야에서는 주로 글쓰기 교육, 창의력교육, 비판적 사고 교육 등에 가사 작품들을 활용하고 있는데, 교육에서도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에듀테인먼트로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가사에 대한향유가 학교 교육에서 그치지 않고 그 이후에도 생활 속에서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도 필요하다. 현대에 가사도 시조처럼 일정하게 그것을 향유하는 계층의 존재가 필요하니, 그것은 우리가 생활의 표현수단을 하나 더 갖는다는 점과 그것이 오랜 우리의 전통으로부터 나왔다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Based on a review of the relevant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o the current usage and possible revitalizing ways of using Korean gasa(lyrics). A review of the research on gasa suggests its us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teaching of writing, learn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literature therapy. For the gasa tradition to succeed in today`s world, it is necessary to find and show its value for contemporary society, rather than insist that it is our duty to keep the tradition. One of the ways to see its value is to develop it as a part of cultural contents. It is recommended that regional Gasa not be used simply as a subject of cultural education, but to develop the region as a basic concept and formulate the regional gasa a part of the cultural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the values and traditions of Damyang, healing of mind and body need to be set as a basic concept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nature and people, as well as in the coexistence of nature with science, the past with the present, art with entertainment, and observation with experience. This consideration also requires that the local people be infused with pride in the region and its culture and traditions. The continued collecting of gasa and finding its current value as well as making it easy for local people to access this literature are all necessary. Currently, gasa is used mostly in teaching writing, creativity, and critical thought.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it as a part of edutainment relating to cultural contents and to create a climate to keep works of gasa in reality, rather than restricting them to the classroom. As in the case of sijo, gasa needs a certain class of people today. Gasa also provides a significant, additional way of expression stemming from our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백순철 ( Sun Chul Pai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고전시가의 주요 작품들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통해 현재 시점의 대표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고의 대상인 화전가의 중심인 화전놀이가 현대적으로 계승 활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화전가 텍스트를 통해 그 놀이의 역사성을 현재에 되살리는 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또한 화전가를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확장 전환하는 방향을 검토하였다. 고전시가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시조, 가사, 민요, 무가 등의 자료 집성 및 주석과 현대화 등 기초적인 성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전시가가 현대시, 현대소설, 대중가요 등의 현대적 텍스트로 변용된 사례에서 향가와 속요 갈래의 현대적 계승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 고전시가가 관광콘텐츠로 활용된 긍정적 사례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고전시가가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적절성과 확장성을 지닌 텍스트임을 제시하였다. 화전놀이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유희적 소통으로 이뤄지는 현재의 화전놀이 수용 사례를 성찰하고 화전놀이 문화 본래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복원하기 위해 화전가와의 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과 연대의 치유적 소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화전가의 콘텐츠적 가능성에서는 교육연구 콘텐츠 구축, 대중매체 콘텐츠로의 변용, 관광이나 전시 등의 산업정보 콘텐츠로의 확장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대중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깊이 있는 교육연구 텍스트의 구축 못지 않게 대중적 확산과 소통의 노력을 위한 콘텐츠의 활용도 중요함을 제시한 것이다. The purpu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To this end, In this paper analyzed usage examples as culture contents in main works of classical poetry. And Whajeonnori includes regional features and historical features, However, Today, this had not just chance of modern succession in classical poetry. This study clarified appropriateness and scalability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Fir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is study suggested Modernization of Sijo, Gasa, Folk song, and Muga. Besides, Modern change in appearance of classical poetry showed positive examples through of the Koryo-gayo and Hyangga. Next, this study emphasized local examples of festival and exhibition as Tourism contents of classical poetrySecond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nori, this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by healing and solidarity from combination with Whajeonga. La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ga, this study emphasized building of education cotents, transition to popular contents and transition to industrial cotents. As a whole, This paper institutes necessity of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rough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we can identify potential of popular spreads and communi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견훤문학의 문예콘텐츠화에 대한 연구 -완산요(完山謠)를 중심으로

        손종흠 ( Jong Heum So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선조들이 만들고 즐겼던 고전시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작품과 관련을 가지는 모든 정보가 있어야 한다. 작품의 내용, 작품 형성의 사회적 배경과 문화, 작품과 관련을 가지는 역사적 사실, 작가에 대한 정보, 관련 유적 정보, 작품과 관련을 가지는 방계 정보 등 수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는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내용이 풍부하면 할수록 이해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예술적 아름다움을 정확하게 짚어낼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정보들은 지금까지는 각각 분리된 채로 존재했고, 정보와 정보간의 자유로운 소통이 쉽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만들어주는 과정과 이론이 반드시 필요했다. 종래의 이런 이해 방식은 멀지 않은 미래에 일반화할 것으로 보이는 빅 데이터가 기초를 이루는 사물인터넷으로 인해 크게 변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는 누군가에 의해 자료들이 수집되고, 분석되고, 이론화되어 사람들에게 전해졌다면 앞으로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전해지면서 수요자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맞춤정보의 방식으로 선택해서 수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빅 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정보시대는 인류의 삶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가 피해갈 수 없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고전시가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고전시가는 작품과 관련을 가지는 모든 정보들을 빅 데이터화하고 분석하여 분류한 다음 각각 분리되어 존재하는 정보들은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체계화한 문예콘텐츠를 통해 수요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되어야 한다. 후백제를 세운 시조인 견훤과 관련을 가지는 시가인 <완산요>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견훤의 생애 관련 자료, 역사적 활동 자료, 유적 자료 등이 모두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를 모두 하나로 모아 빅 테이터화 한 다음 그것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고 사물인터넷 방식으로 연결하여 수요자에게 맞춤정보로 제공할 수 있는 문예콘텐츠를 창조해야 한다. <완산요> 관련정보는 견훤의 출생과 죽음에 이르는 생애 자료, 세력의 확장과 건국 과정에 대한 자료, 견훤과 관련을 가지는 산성 자료 등으로 크게 분류한 후 다시 아래 단위로 세분화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견훤의 출생 설화인 야래자설화와 같은 방계 자료에 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모든 정보들이 사물인터넷 방식을 통해 유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체계를 갖춘 <완산요>의 문예콘텐츠가 만들어지면 수요자는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든 허브와 허브에 담긴 정보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면서 소통할 수 있는 수많은 통로를 따라 자신에게 가장 필요하면서 적합한 것들을 맞춤정보로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가능하게 된다. <완산요>와 같은 방식의 문예콘텐츠의 창조는 고전시가 전체 작품에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서는 고전문학 전체 작품이 이러한 방식으로 재창조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classics poetries made and enjoyed by ancestors requires a range of information and references. These resources include the content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historical fact of the poetries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the poets, remaining relics and other collateral parts. As this collected information becomes quantitatively more abundant, at the end, it enables us to obtain better understanding and to discover details of artistic features more accurately. However, until recent dates, it has been difficult for average people to search and compare references from different areas due to a lack of collective base for those information resources. This is why processes collecting and analysing a variety of the information and its conclusive ideas have been compulsory for people to understand materials. In the near future, this old way of accessing information is expected to undergo huge transformation due to emergence of Internet of Things(IoT) based on extremely large data sets called Big Data. Although, until now, data has been carried on by those who collect, analyse and theorize it, this will be undertaken by IoT where consumers can choose the most suitable range of information depending on their personal needs themselves. Since it seems unavoidable that this customized data setting built up on IoT and Big Data will be a major part of human lives, Korean classic poetries will be affected, as well. Consequently, in a bid to follow up this trend, the way of consumers receiving information of classics poetries has to be reestablished with a new systemized set of Art and Literary Contents via IoT that allows separated groups of data of literatures to be collected into Big Data and to be analyzed, classified then reconnected correspondingly.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Sing of Wansan that was related to Gyeon Hwon by who Later-Baekjae was founded, all the information about his life, activities and historical remains is essential. Art and Literary Contents has to be created to provide customized data to internet users,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the data into Big Data, and categorizing under certain criteria and reconstructing based on IoT. Information about Wansanyo is to be separated into story of GyeonHwon`s life including his birth and death, expansion of his empire, establishment of the country then subdivided into smaller units to deliver such information. Also, this has to allow data such as the myth of the birth of GyeonHwon known as Yaraeja story(a Cupid&Saiki typed myth) to be provided, and a system needs to be created so that all the information can be mutually interrelated under IoT. Once this systematized Art and Literary Contents has been organized for Wansanyo, it enables literary works to be understood properly as consumers are able to receive the most suitable information as customized one according to numerous ways of accessing data through hub and its information regardless of when, where and how they access. Creation of Art and Literary Contents in similar way to Wansanyo`s is considered necessary for Korean classic poetries, and, in turn, the whole group of those works is anticipated recreating in such way.

      • KCI등재

        한국애정시 전개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와 양상

        조태성 ( Tae Seong J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글은 사회적 감정이라고 회자되는 사랑을 이른바 ‘전근대’라는 시공간에 투사하여 한국 애정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몇 가지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우리 애정시를 살펴보는 명확한 관점이 미약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애초 ‘애정시’에서의 ‘사랑’을 어떤 객관적 기준으로 정의하지 못했던 데서부터 비롯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랑’의 객관적 정의에서부터 비롯하여, 이런 정의를 토대로 우리 애정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몇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던 것이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사랑의 당대성과 애정시에서의 타당성에 대해 논구하는 하는 일도 가능하리라 판단하였다. 이런 관점 아래에서 결국 우리 시대 애정시의 표상감정은 ‘체념’ 혹은 ‘기다림’ 그리고 그로 인한 ‘슬픔’에 귀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시대의 사랑은 적어도 문학적 측면에서는 슬픔으로서만 표상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런 현상으로 미루어 보면 우리 애정시의 정서적 특징은, 전근대와 근대를 막론하고 사랑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인해 파생된 복합감정을 표출하는 것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결론은 애정시에 나타나는 사랑이 박제화된 감정으로 오인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전근대 시기의 사랑의 의미가 문화적(혹은 사상적) 변이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은 확실해 보이지만, 결국 비극적 감정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영향 받은 비극적 감정을 두고 사회적 감정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애정시에서의 사랑은 사회적 감정이다.’고 말할 수 있는 까닭은 동일한 표상감정의 층위임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노래하는 행위가 지향하는 바는 확연히 달랐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전근대의 그것이 개인적 감흥의 극대화를 지향했다면, 우리 시대의 그것은 사회적 공감의 극대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근거 역시 우리 시대 애정시의 주체를 보다 면밀히 추적하는 과정에서 좀 더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writing is tried to present some standard of developing aspect of korean affection poetry projecting time space called post-modern which is remembered as social emotion. because It is judged that clear viewpoint about our affection poetry is weak until now. this problem is started from reason that ‘Love’ could not be defined by any objective standard in affection poetry. thus, This writing endeavor to present objective definition of ‘Love’ and viewpoint that can research our developing aspect base on this definition. absolutely, It is possible to argue about Love’s (being one generation) and validity in affection poetry. Under this viewpoint, affection poetry’s symbol emotion in our age is concluded ‘resignation’ or ‘waiting’ and ‘sadness’ by them. so Love in this age is at least presented as sadness in literary side. our affection poetry’s emotional feature through this situation is not existed itself whatever post-modern or modern but It can say that complex feeling is expressed through it. However, these conclusion has a ability to mistake that Love presenting in affection poetry is fixed. meaning of Love seems to be affected by cultural(or ideological) in post-modern, but most of case was expressed to tragic emo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ragic emotion affected from them is social emotion. That is to say, If it in post-modern seek personal inspiration’s maximization, it in this age seek social sympathy’s maximization. the reason is expected to be revealed more clearly in processing to research detailedly subjects of affection love in our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