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 역량의 구성 요소 중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에 대한 소고

        박선미(Surunee Park),최정호(Jungho Choi),정이화(Yihwa J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1

        다문화 역량 중 '다문화 인식'은 개념적 정의가 모호하여 매우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의 기초 연구인 Sue의 다문화 상담역량 모델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ue의 다문화 인식 모형은 지식, 기능, 인식으로 구성된다. Sue 모형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지식과 기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반면, 인식의 의미와 요소는 계속 변화되었다. 둘째 Sue의 모델은 인식과 지식 간 개념적 중복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래서 Sue는 '자기 인식'과 '자기에 대한 지식'을 인식으로, '타자에 대한 인식'과 '타자에 대한 지식'을 지식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러나 지식과 인식은 자아와 타자로 구분되는 범주는 아니다. 셋째, Sue의 모델에서는 태도를 인식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그래서 인식과 태도는 분명히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 경계가 모호해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the infrastructure in Korea,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 reviewed sever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policy report,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84-2010.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from 2006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of government, university, and school level. Critical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Most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tudent of international marriage's family, support melting-pot policy of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family. 2) Some researchers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here are less studies on evaluation compare to the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asks for further studies. 1)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ed research projects, such as long-term panel research of student achievement is needed. 2) The effect of diver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 analyzed. 3) More discussion on the crit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olicy analysts, academic researchers, and specialists of field study of an academic community is strongly recommended.

      • KCI등재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의 잠재적 인식 유형과 다문화 교육경혐에 따른 차이

        강운선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4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4 No.1

        The goal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underlying types of multicultural poli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has effect on underlying types. For these, data were gathered from 495 high secondary school students Daegu.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carried out using PROC LCA for SA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ly,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policy: corporat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cultural relativism, and assimilation. Secondly, 55%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liberal multiculturalism class, 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cultural relativism class, and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ssimilation class, Thirdly, the respondnts were grouped into four laten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nti-bias educ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minority humman right, education and the experienced. 27%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anti-bias education class, 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class, 34%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minority human right class, and 36% of respondents are expected to belong to inexperienced class. Fourthly,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man right education=1, 0=else), dummy variables 3(anti-bias education=1, 0=else)were strong predictors of latent class membership of multicultural policy(p<.001), but dummy variables 1(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1, 0=else) is not statistically signicant. The most striking finding is that dummy variables 1(minority human right=1, 0=else) were 475 times more likely to belong to cooperate multiculturalism class than the inexperienced class. 본 연구에서는 대구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와 기본권을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고, 그들의 인식에 다문화교육경험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방향에 따라 대구 지역 고등학생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의 기본권을 보장해주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그리고 다문화교육경험을 다문화정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편의표집으로 고등학교 2개교의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문화 교육경험에 따른 유형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잠재적 집단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다문화정책의 인식 유형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과정에서느 다중로지수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처리하기 위하여 활용한 도구는 PROC LCA이다. 편의표집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잠재적 집단분석 방법을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화와 기본권 인정에 대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인식은 조합적 다문화주의(55%), 자유주의적 다문화주의(34%), 문화 상대주의(7%), 그리고 동화주의(4%)의 네가지 관점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다문화교육경험에 다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다문화교유경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구 지역 고등학생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은 반편견교육(27%), 다문화이해 교육(4%), 소수자 인권교육(34%), 그리고 경험없음(35%)의 네 유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험에 따른 인식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반편견교육을 받은 집단이나 소수자 인권교육을 받은 집단은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문화인정, 반편견, 인권 존중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인식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장온정,한혜림,박정윤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다문화 가정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학교 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 하에 초등학교 교사의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 수용도, 문화적 역량,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등의 하위변인을 통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중도적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해서는 편견 없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문화적 역량은 보통수준으로 타문화와 자문화에 대한 차이로 인한 갈등해결능력에는 부족한 면을 보였다. 이에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었지만 다문화에 대한 전문가로서는 부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다문화가정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변인 중 다문화가정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다양한 가족수용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변인이 가장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관련 변인들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단일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과 '다양한 가족수용도'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terms that such perceptional factors as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capabilities,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etc could affect children's adaptation to a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tudy finding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ingle-race and multiple-races, acceptance of diverse families and perception of integrative education seem to be the base of positive influence upon thei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f teachers, whose influence upon children is great, have no prejudice and accept diverse families with equality consciousness, they will provide help to children's development. Since teachers' unprejudiced minds and equality attitudes toward children can maintain the mutual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schools and families―children's two major life spaces, it will probably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children's adaptability to schools and their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prevent children's school maladjustment-oriented educational deviation phenomena, i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have unprejudiced perception of all the children. Secondly, there is no such considerable difference among the teachers in terms of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y, depending on population-sociological factor. Thirdly, among the determinant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re the most influential, and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and 'awareness of the mainstreaming education' are following in order. Lastly, the most relational and influential determinant are the 'understanding of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diverse forms of family.'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안병환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2

        최근 우리나라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으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른 나라 사람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약 절반이 필요하다 이상에 응답하였다. 둘째,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 경험유무에 대해서는 다문화교육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87.5%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인식,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교류에 대한 인식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보통 정도의 반응을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인식,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교류에 대한 인식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차이는 성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계열별로 인문계고등학교 학생들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다문화교육경험이 있는 경우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degrees of general awareness and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How is the awareness and attitude by personal variabl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4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Kyeonggi province, who were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contained three types 30 statements: the awareness abou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ultural diversities and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nd t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basis of above, with respect to the reliability data, it is apparent that high school students survey is adequately reliable. Second, those who feel the ne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understand people from different countries were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Third,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insufficient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tudents. Fourth, the awareness abou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awareness about cultural diversities and exchange, and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of respondents were moderate and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s.

      • KCI등재

        초등사회과의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

        장혜정(Jang, Hye Jeo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의 준거를 제안하고, 이 준거에 터하여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에 대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세계화 시대에 이성적이고, 참여적인 세계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사회과 교육목표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글로벌인식의 함양이라 할 수 있다. 글로벌인식의 함양이란 아동이 전지구적 관점으로 세계를 보고,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며, 각 지역의 문화 및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문화의 상호 비교, 이를 통한 문화와 가치의 보편성에 대한 인식, 타문화의 관점에서 자기문화 조망, 문화간 상호작용을 통한 세계문화의 개념 형성, 타문화를 수용하는 태도, 전통 및 자기 문화에 대한 태도 등이 포함된다. 둘째, 글로벌인식 함양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종합하여 내용 구성 준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ⅰ) 지역·국가·세계 내용과 과거·현재·미래 내용의 균형을 통해 시공간 인식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한다. ⅱ) 문화 다양성, 문화간 상호작용, 문화 상대주의, 전통문화의 보전과 재발견 등 문화간 이해를 촉진시켜야 한다. ⅲ) 통합사회과를 지향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ⅳ) 인간과 자연, 자신과 타인의 상호관련성과 상호의존성의 이해를 돕는 내용이어야 한다. ⅴ) 학생의 생활과 밀접하고, 흥미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셋째, 글로벌인식 함양을 위한 내용 구성의 예로서 세계문화유산을 소재로 하여 웹사이트 형태의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즉, 지역의 과거와 관련된 세계문화유산을 소재로 하여 세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문화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문화간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 웹사이트를 기획하였다. 이를 위해 시공간의 통합적 접근을 시도할 때 학생 대상의 웹사이트인 점을 고려하여 공간적으로는 세계지도를, 시간적으로는 연대표형식의 메타포를 이용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과 같은 범주의 다른 나라 세계문화유산을 비교하는 활동을 통하여 문화 다양성, 문화간 상호작용, 문화 상대주의 등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전통문화를 보전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한 활동으로서 세계문화유산신청 활동을 제공하였다. Recently globalization has rapidly transformed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This social change require the global perspective in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of the content for the global perspectiv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rationale of the global perspectiv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studies and curriculums related to global perspective. Also, the criteri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ntent for global perspectiv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re suggested. ⅰ) balance of the content in the spatial and temporal dimensions ⅱ) diversity of cultures and values, connections and borrowing of cultures, cultural relativism and conservation and rediscovery of the traditions of one's own culture ⅲ) integrate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ⅳ) interdependence and interconnection ⅴ) children's life and interest. Based upon these criteria, a case of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n the world wide web is suggested. The world heritage promote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content for global perspective.

      • KCI등재

        유아 다문화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유아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Lee, Sun-A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6

        다문화이해교육은 민주주의 이념인 ‘함께’와 ‘공동체의 선’을 기반으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고 인종, 생활양식, 계층, 사회편견 등을 다룸으로써 유아기에 발달하는 조망수용능력과 비판적 사고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가 인식하는 환경에서 삶의 구성요소로 다문화를 이해하여 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능력의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구성절차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유아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누리과정과의 연계를 위해 생활주제와 접목한 다문화 교육내용을 추출하고 다문화적 교수법 및 단기평가과정을 거쳤다.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위해 만 5세 유아에게 12주간 36회기를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다문화인식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유아에 다문화인식의 가치를 탐색하고 의미를 구성해 보는 유아 다문화이해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뿐만 아니라 유아가 인식하는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바람직한 유아 다문화이해교육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Multi-cultural Comprehension Education Program has a high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as it promotes th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critically thinking ability of a child in early childhood; by cognizing the society’s value and dealing with the issues such as race, life style, class, stereotypes based on the idea of being ‘unified’ and ‘virtue of the society’, the idea of democra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by understanding multi-culture as an element of the life in the environment of child. For this, this program has set its aim o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dvanced research. And for the connection with the child education (‘Nuri’ curriculum), it extract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life style factors, and went through the multi-cultural teaching methods and short-evaluation process. The experiment of applying this program on children of age 5 for 36 times on an 12 week basis has proved the effects of children’s multi-cultural cogni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e result proves that it emphasize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multi-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 that investigates the value of children’s muti-cultural cognition and makes the meaning. Also it increases the multi-cultural cognition which the children perceive and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Hence, this result can provide a theoretical evidence and guideline for a reliable multi-cultural comprehension program in the childhood education field.

      • 다문화교육에 대한 경기도지역 중등교사들의 인식 수준과 유형에 관한 연구

        김명숙(Myong-Suk Kim)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1

        이 논문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역할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중등학교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과목에 구분 없이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에 따른 인식수준과 다문화교육 목표에 따른 인식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교사들의 인식수준, 인식유형을 진단하여 다문화교육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표로 나아가기 위한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의 체크리스트를 통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중등교사들의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에 대한 인식수준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목표에 따른 중등교사들의 실제 인식유형과 지향하는 인식유형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미래의 다문화교육의 인식유형은 사회개혁 중심형(59.4%)인데 현재 교사들의 인식유형은 인간관계 중심형(40.2%)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들의 다문화적 소양과 태도에 대한 인식수준과 다문화교육목표에 대한 인식유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적 상황에 대한 사례집의 보급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수기회의 확대와 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 학부모와 지역공동체 를 적극 활용하여 지역공동체 사회 활동 프로잭트에 참여하여 실천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become the principal agents by providing students with concrete activities and m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Therefore, the positive awareness of teachers, who have direct impact on studen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are existing studies regarding the awareness levels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however, they are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related to multi-culture education such as Korean Language or Community Lif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know the overall awareness level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suggestion of improvement measures by diagnosing the awareness levels and types of general teachers in the junior-high schools; so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advance toward the ultimate objectives it should aim for. The study results suggested that current awareness levels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o low. The awareness levels of the teachers have big impact on the students because teachers are doing important role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ly required to expand the training opportunity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to narrow the gap of awareness levels and develop the programs that w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멘토링 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수정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entor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on multicultural families students, on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ethod, effects on their recognition on multiculture. For the purpose, we reviewed some leading researches on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mentoring and the effects of mentoring. And,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in terms of before and after of 200 students in an university and an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K area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mentoring when it was performed from June, 2012 to January, 2013. The summary of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of students was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the multiculture mentoring experiences, and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sub areas of multicultural recognition(acceptance on multiculture, sensitivity on multiculture, openess on multiculture). Second,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of all mentors in both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educ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analyzing the change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upon college types. Third, the multiculture mentoring experiences had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level of both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but it was improved significantly for only girl students.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upon sex types. Fourt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for the sub areas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when we looked into the influences on the change of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for the multiculture mentoring experiences. but the level of multicultural recogni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regardless of multiculture mentoring experiences. As a result,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mentoring can be the effective way improv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n multiculture education of students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upon college, sex types and mentoring experience.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의 한 방법인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다문화멘토링 경험이 대학생 멘토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멘토링의 개념 및 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2012년 6월 ~2013년 1월까지 다문화멘토링에 참여한 K지역의 종합대학교 및 교육대학교 200명 멘토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다문화멘토링 참여 전과 후의 다문화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멘토링 경험을 통해 대학생 멘토의 다문화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다문화에 대한 수용성, 다양한 문화에 대한 민감성, 다양성에 대한 개방성)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멘토의 소속 대학유형에 따라 다문화멘토링 경험이 다문화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종합대학교 및 교육대학교 멘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멘토의 성별에 따라 다문화멘토링 경험이 다문화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 및 여학생 멘토 모두 다문화 인식 수준 향상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나 여학생 멘토의 경우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나타나 멘토의 성별 간에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 멘토의 다문화멘토링 경험 유무에 따라 다문화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하위영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다문화멘토링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다문화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멘토링이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관련하여 멘토의 대학유형별, 성별, 다문화멘토링 경험 유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다문화 인식과 관련된 다문화 역량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와 진로인식

        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성별, 연령별, 다문화 여부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과 전남의 4-6학년 초등학생 341명(다문화: 165명, 일반: 17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흥미는 성별 주효과가 있었는데, 탐구형은 남학생이 높고, 예술형과 사회형은 여학생이 높았다. 다문화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로인식은 다문화와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다문화의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태도 및 진로인식 총점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성별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인식 총점에서 유의하였으며 여학생이 높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을 보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으며, 진로인식의 경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직업세계 인식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전 영역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의 상관관계는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보다 뚜렷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이 진로인식과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여부가 직업세계 인식과 진로태도, 진로인식 총점에 대해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진로인식에 영향력 있는 진로흥미는 사회형과 예술형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의 영향이 컸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관련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조사 연구

        이수정,이철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다문화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경기, 인천, 경남 지역의 학교 관리자(교장, 교감, 행정관리자 등)를 대상으로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또, 학교 관리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의 차이, 학교 관리자의 개인 변인과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관리자는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인식은 성별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고, 다문화교육 인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개인 변인 중 다문화교육 수강 유무와 직책에 대해서는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교육 인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인식 수준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항목은 직책으로 나타났고, 다문화교육 인식 수준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개인 변인은 성별, 직책, 다문화교육 수강 유무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관리자의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교육 인식과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principals, vice-schoolmasters, administrators)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Gyeonggido, Incheon, Kyungnam areas, and analyzed the understanding level of those.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school administrators have a open and affirmative understanding overall about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ir school positions in each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school position was shown as the high explanatory factor for the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e, and when it comes to the understanding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x, school position, and t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hown as the high explanatory factors. Fourth,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the strong affirmative correlation with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