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빈도와 이미지 분석

        박선미(Sunmee Park),정이화(Yihwa Jung),최정호(Jungho Choi)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4

        본 연구는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직업 빈도와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표준직업분류표에 따른 대분류·중분류별 직업의 빈도와 다양성, 직업의 이미지와 스테레오타입 인덱스를 조사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 빈도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은 전문가와 관리자에 해당되는 직업에 집중되어 있고, 이 두 직업군을 제외한 직업들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직업의 구체성과 다양성을 살펴본 결과 관리자와 전문가의 경우 50~100여 가지의 다양한 직업이 세분되어 제시된 반면, 그 이외의 직업군은 각각 약 10여종의 직업만이 제시되어 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전문가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그 밖의 직업은 부정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특히, 판매종사자나 농림어업 및 숙련종사자는 소득이 안정적이지 못한 직업으로, 기능 종사자의 경우 근로 환경이 열악하고 소득 수준이 낮은 이미지로 그려지고 있다. 넷째, 교과서가 직업에 대한 차별적 스테레오타입을 강화 혹은 약화시키는지를 살펴본 결과 직업에 대한 우리 사회의 차별적 스테레오타입을 강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equency and images of occupation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Several factors are examined such as the frequency and diversity of occupations (in first and second categories) by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and occupational images and stereotype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s of professionals and managers appear most frequently in the textbooks and relatively, other groups of occupation are neglected. Second, whereas professionals and managers are subdivided into 50~100 kinds of occupations, oth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only 10 kinds of occupations. Third, professionals and managers are mostly described as positive images. In contrast, the rest of the group are mostly described as negative images. Especially, sales workers and skille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are assumed to be the occupations with low income, and manual labors are described as negative images that have poor working environments and low income. Fourth, it is found that the textbooks strengthen discriminative stereotypes on occupations in our society.

      • 다문화 역량의 구성 요소 중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에 대한 소고

        박선미(Surunee Park),최정호(Jungho Choi),정이화(Yihwa Ju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1

        다문화 역량 중 '다문화 인식'은 개념적 정의가 모호하여 매우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역량의 기초 연구인 Sue의 다문화 상담역량 모델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의 개념적 모호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ue의 다문화 인식 모형은 지식, 기능, 인식으로 구성된다. Sue 모형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지식과 기능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반면, 인식의 의미와 요소는 계속 변화되었다. 둘째 Sue의 모델은 인식과 지식 간 개념적 중복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래서 Sue는 '자기 인식'과 '자기에 대한 지식'을 인식으로, '타자에 대한 인식'과 '타자에 대한 지식'을 지식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러나 지식과 인식은 자아와 타자로 구분되는 범주는 아니다. 셋째, Sue의 모델에서는 태도를 인식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그래서 인식과 태도는 분명히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 경계가 모호해졌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the infrastructure in Korea,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 reviewed sever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policy report,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84-2010.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from 2006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of government, university, and school level. Critical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Most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tudent of international marriage's family, support melting-pot policy of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family. 2) Some researchers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here are less studies on evaluation compare to the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asks for further studies. 1)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ed research projects, such as long-term panel research of student achievement is needed. 2) The effect of diver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 analyzed. 3) More discussion on the crit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olicy analysts, academic researchers, and specialists of field study of an academic community is strongly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