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형식학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학습 효과인식의 조절효과

        김현옥,이명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1

        Organizations adopt their training systems to achieve improved performance in employees' current jobs or future roles to transfer essential skills, knowledge, and competencies to employee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A strategically designed 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an organization's competitive position in the field. This study focuses on informal learning among a company's training programs and examines the effect of workers'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on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perceived by work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tested that the more participated in informal learning,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onger as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increased. Even if workers participated in informal learning a lot, the increas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weak whe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informal learning was low. 기업의 교육·훈련 활동은 시장에서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기법으로, 전략적으로 설계된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시장에서 조직의 경쟁적 위치를 확보하고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조직 내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크게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으로구분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의 무형식학습 참여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무형식학습 참여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무형식학습 참여와 조직몰입의관계에서 근로자가 인식한 무형식학습 효과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2019년도 근로자 8,270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무형식학습에 많이 참여할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무형식학습 참여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무형식학습 효과인식이 높을수록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근로자들이 무형식학습에 많이 참여하여도 무형식학습에 대한 효과인식이 낮을 경우는 조직몰입의 증가가 약하게 나타났고, 무형식학습에 대한 효과인식이 높은경우는 무형식학습에 많이 참여할수록 조직몰입의 증가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형식학습 프로그램 설계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제시했다.

      • KCI등재

        기업교육 중심의 무형식학습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2008년~2018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명섭,서숙영,최명숙 한국기업교육학회 2019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1 No.1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on low learning transfer of corporate education, concept definition and scope of informal learning, and direction of empirical research are defined differently from previous studies, in contrast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informal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llected 104 articles of journals that studied adult informal learning centered on corporate Training,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evious studies on ‘unformed learning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s, research content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prepar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Analysis, First, the diversity of research contents is increasing, even though the increase of research is slowed by formal characteristics of firm's informal learning study. Secon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he variables and analytical methods used are rather lower than those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Third, most studies focused o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others’ conceptual type of informal learning, and mos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y use the concept of unified informal learning concept. Fourth, the center of social network of extracted main words and variables was analyzed as high, but the similarity was low.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following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research target group into the enterprise center and use the age-centered variable by the position, the years of service, and competence. Secon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tools for measurement of informal lear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additional tools that can measure various research topics along with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hird, as the direction of resear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ay of specifying the concept through the theoretical defini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pluralistic concept rather than the one-dimensional concept definition, Research is needed. 기업교육의 낮은 학습전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형식학습에 대한 중요성의 증가에 비해 무형식학습의 개념정의와 범위, 실증연구의 방향성 등은 선행 연구별로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교육을 중심으로 성인무형식학습을 연구한 104개의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이론적 검토를 통해 마련된 분석틀을 기준으로 ‘무형식학습 특성,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대한 선행연구의 현상을 도출하기 위해 ‘빈도분석, 사회연결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의 무형식학습 연구의 형식적 특성으로 연구의 증가가 둔화되고 있음에도 연구내용의 다양성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특성으로 양적연구의 급격한 증가에 비해 사용되는 변인이나 분석방법은 오히려 그 다양성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식학습의 개념유형을 ‘타인과의 상호작용’ 과정에 중점을 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연구 대부분이 일원적 무형식학습 개념유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추출한 주제어와 변인의 사회연결망중심화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유사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 집단을 기업중심으로 전환하고 연령중심의 변인사용을 직책, 근속년수, 역량 등으로 다양화 하여야 한다. 둘째, 무형식학습의 측정에 대한 추가적인 도구 개발을 통해 연구의 다양성 확대와 더불어 도구 또한 다양한 연구주제를 측정할 수 있는 추가적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무형식학습은 이론적 정의를 통해 그 개념을 특정 하는 방법에 따라 연구의 방향이 달라지는 만큼, 일원적 관점의 개념 정의보다 다원적 개념의 정의를 통해 무형식학습의 한 측면이 아닌 다양한 측면을 구성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개념지도 작성에 근거한 무형식학습 개념의 형성 과정 탐구

        위영은(Wee Young Eun),이희수(Lee Hee Su)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무형식학습이 성인교육에서 출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형식학습 사용 빈도에 비해 평생교육관점에서 근본 뿌리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아직도 개념의 지형도가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념지도 작성 전략을 통해 무형식학습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대별로 무형식학습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개념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무형식학습의 이론적 논의와 관련된 계보를 개념지도로 작성하였다. 그 결과, 무형식학습의 근간은 성인의 경험과 반성적 사고, 상황과 맥락, 안드라고지, 행동과학에 상호영향을 주었고, 평생교육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평생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변화와 특성을 반영한 맥락적, 통합적 관점에서 무형식학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성인의 성찰, 의도성, 자율성에 근거하여 무형식학습 과정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셋째, 무형식학습의 연구대상과 방법이 다양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There has hardly ever been properly discussed about its basic root and concept at a viewpoint of lifelong learning in spite of the fact that informal learning began with adult education. For that reason this study started with critical perspective that the concept of informal learning was not established comparing with the frequency of use.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how the concept of informal learning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ual mapp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of concept on the basis of the documentary data on informal learning by chronicle and made up the genealogy related to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informal learning into a conceptual mapp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asis of informal learning has been expanded while having an mutual effect on adults' experience and reflective thinking, situation and context, andragogy, behavioral sciences, and also reflects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lifelong learning. The implications suggested to lifelong learning by su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informal learning should be done at a contextual and integrated viewpoint reflecting the changes of the life; secondly, it is required that there should be a discussion about the process of informal learning based on adults' reflection, self-direction, autonomy; thirdly, the research of the subject and method should be diversely applied.

      • KCI등재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의 관계

        박현주,김진모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informal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and learning culture in large corporation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employees of large-sized corporations in Korea. After screening the data, 259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uch as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F-test.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n, to identify the mediator effect, bootstrapping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level of informal learning outcome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were higher than normal. Also workers of large corporations’ level of informal learning outcome was affected by position. Seco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ormal learning outcome. Third external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culture in regular order had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informal learning outcome. Fourth, informal learning activity had positi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informal learning outcome, internal learning motivation, external learning motivation, leaders’ learning support and learning culture. Lastly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무형식학습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무형식학습을 무형식학습 활동과 무형식학습 결과로 구분하였으며, 내재적 학습동기, 외재적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대기업 근로자이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인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학습 활동은 무형식학습 결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내재적 학습동기, 학습문화 순으로 무형식학습 결과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학습동기, 외재적 학습동기, 상사의 학습지원 및 학습문화는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하여 무형식학습 결과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형식학습으로서의 Action Learning에 관한 연구

        안동윤(Dong-Yun, A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 No.1

        최근 일터학습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해 무형식학습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기업 내 무형식학습의 증진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첫 째는 무형식학습의 형식화와 제도화를 들 수 있고, 두 번째는 형식학습의 무형식화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형식학습이 무형식화 되어가는 현상으로서 프로젝트기반학습, 그 중에서도 Action Learning을 주목하고 무형식학습으로서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Action Learning은 형식학습 혹은 무형식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의 제반 요소들이 형식성과 무형식성의 연속체 위에 각각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교육에 있어 형식성과 무형식성을 적절히 통합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전달해 주고 있다. Recent trend shows increasing importance of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learning. This trend is separated into two practices. One practice is the form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l learning. The other is the informalization of formal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eatures of Project-based Learning and Action Learning as cases of informalization of formal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Action Learning can not be classified into formal learning nor informal learning because key components of the Action Learning exist on the continuum of informality and forma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recommends that corporations can gain more benefits through integration of both formal and informal learnings.

      •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 촉진 방안 - 비서직의 업무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보람 ( Seo Bo-ram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3 No.-

        지식기반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기업들의 조직구성원들의 무형식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조직내의 평생학습문화와 무형식학습의 확산을 위하여 임원진, 관리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비서직 종사자의 경우, 업무의 가변성, 다양성 그리고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제약이 있는 업무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무형식학습에 대한 의존이 높으나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서직 종사자가 임원진, 관리자와 같은 그들의 상사를 최측근에서 보좌하는 업무적 특성을 반영하여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 촉진 방안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직무기반 코칭리더십과 관계기반 코칭리더십으로 구분하여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의 촉진 방안으로의 활용방법과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상사의 직무기반 코칭리더십은 직무에 대한 정보 제공, 교육참여와 학습 지지, 수행에 대한 피드백 제공 등과 같은 방법으로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 촉진이 가능하며 그 결과로 비서직 종사자는 업무와 조직이해에 관한 지식과 기술, 상사의 업무스타일 파악, 자기개발능력 함양과 관련된 무형식학습이 가능하다. 상사의 관계기반 코칭리더십은 지지와 격려, 칭찬과 같은 방법으로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 촉진이 가능하며 그 결과로 비서직 종사자는 인간관계 기술, 자기개발능력 함양과 관련된 무형식학습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상사의 코칭리더십에 대한 참여와 의지를 반영하지 않은 한계점을 지니나 비서직 종사자의 업무적 특성을 반영한 무형식학습 촉진 방안의 제시로 그 의의를 지니며 비서직 종사자의 무형식학습 확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ilitating factors of secretaries’ informal learn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judgement of the author of this study, coaching leadership of superior came out very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s of secretaries’ informal lear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erior's duty-based coaching leadership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job skills and feedbacks facilitates secretaries' informal learning. Second, superior's relationship-based coaching leadership such as encouraging and praising facilitates secretaries' informal learning. Learning outcomes from superior's coaching leadership are knowledges about work procedure and organization's main issues, communication skills, inspiration, and self-development.

      • KCI등재

        사회적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 -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

        조윤형,박서정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9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6 No.1

        Among the elements of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cial learning support.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learning affect on innovative behavior which reflect of learning transfer theory and focus on process used terms such as informal learning and context ussed terms a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POP) in hospital situations. The concept of social learning support defined the degree of individuals perceived that their learning support and valued by workplace sources, such as supervisor and coworker.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are consist of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 and promotion polic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draw the mai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the hypothesis, total 406 questionnaires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learning support have positive impact on informal learning. Second, informal learning leading to innovative behavior. Third, informal learning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earning support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POP are partially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have mode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practical value as it helps organizations understand what types of social learning support of employees should invest in to learning on the other hand reduce POP. There are many strategies that an organization can use to increase both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of learning, such as increase training budget for enhancing informal learning. Also take up of learning supportive policies, which in turn may lead employees to perceive the organizational climate as more learning supportive, which relates to lower POP. This study shows how important it is for organizations to invest in selecting and developing managers who are able to provide positive learning support for employees generally on the innovation issues. 교육훈련과 직무성과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 교육훈련이 어떻게 전이되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학습자 특성,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개발, 업무환경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업무 환경의 여러 요소 중(Baldwin & Magiuka, 1991; Kontoghiorghes, 2002) 사회적 지원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들만이 수행되어져 왔으므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상황/맥락을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학습에 대한 전이결과로 혁신행동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학습지원, 무형식 학습, 혁신행동과 조직정치 지각과 관련된 기존 문헌을 검토하였는데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것과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가설,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일반병원과 종합병원 등을 대상으로 병원간호사와 의료기사 그리고 행정직원들로부터 설문지를 수거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6개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 학습지원과 동료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 학습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무형식 학습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학습지원인 상사 학습지원, 동료 학습지원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정치 지각은 무형식 학습과 혁신행동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는데 조직정치 지각: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가 높은 경우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정치 지각: 임금/승진 정책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선행요소로 사회적 학습지원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사 뿐만 아니라 동료의 학습지원이 무형식 학습활동을 높인다는 것이다. 또한 학습전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학습지원은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며, 높아진 무형식 학습의 학습전이 결과로 혁신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높은 경우는 무형식 학습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낮추고 있어 조직정치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의 조절효과

        김태은,조윤형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4

        Authentic leadership,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leadership theory.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defined in various ways, most conceptualizations and research espouse the fundamental notion of being true to one's self and often considered the root construct of other leadership. Authentic leaders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the people around them by practicing real values, beliefs and behaviors, being subordinate oriented and making honest evaluations of the behavior and performance of employees. That means authentic leaders are ethical, transparent, openness to change, involve their subordinates in decision-making, and encourage positive attitudes and behaviors, which in turn adv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authentic leadership affect employees’ in-role and innovative behavior. Also, informal learning mediate those of relationship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salience(POVS) moderat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formal learning. Authentic leadership are consist of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set the direct, mediate, moderate and moderated mediation(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survey method were performed by using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are collected by 2nd times(T1, T2) such as 3 month time lag, to remove common method bias. At T1 period, we measure authentic leadership, informal learning and POVS, and then T2 period, in-role and innovative behavior. Total 369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using Process Macro(Hayes, 2018).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 on both of in-role, innovative behavior and informal learning. Second, informal learning have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role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POVS have positive impact on informal learning and moderat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formal learning. Fourth, informal learning mediate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in-role,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h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and in-role that show mediation effect of informal learning boost-up under high on POVS a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All of our hypothesis(H1, H2, H3, H4) are supported. Our results reveal that authentic leadership are critical antecedent of employees’ in-role and innovative behavior. And authentic leadership increase informal learning and then, if high on informal learning increase employees’ in role and innovative behavior. If high on POVS,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authentic leadership and informal learning are greater than compared with low on POVS. Specially, if high on POVS, mediation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re more strong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authentic leadership, workplace learning concept and organizational vision of role for in-role and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으며, 진성리더십의 영향력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어떠한 맥락에서 강화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과정의 측면에서는 무형식학습의 매개역할, 맥락의 측면에서는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을 고려하였다.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는데 설문은 동일방법편의를 극복하기 위해 3개월의 시차를 두고 2차례 진행하였다. 진성리더십, 무형식학습,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은 1차 시점에서 측정하였으며, 역할행동과 혁신행동은 2차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1차, 2차 동일한 응답자의 설문을 위해 고유번호 4자리를 입력하도록하였으며 1차, 2차 모두 응답한 일치된 설문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369부의 설문을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진성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으며 무형식학습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형식학습은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은 무형식학습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성리더십과 무형식학습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즉,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이 높은 경우 진성리더십이 무형식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무형식학습은 진성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진성리더십이 무형식학습을 높이며, 높아진 무형식학습이 역할행동과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성리더십과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의 매개효과는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이 높은 경우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어 조절된 매개효과(조건부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역할행동과 혁신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의 진성리더십 발휘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진성리더십의 영향력은 무형식학습의 촉진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조직비전 명료성 인식의 영향력을 고려해 봤을 때 조직의 비전을 조직구성원들에게 명확하게인지, 이해시키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

        배을규,이형우,강명구 한국산업교육학회 2011 산업교육연구 Vol.23 No.-

        이 연구는 중소기업, 특히 혁신형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일터에서의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와 학습전이 정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와 학습전이 정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도가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 학습전이 정도,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도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혁신형 중소기업 중 40개 기업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57명의 유효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는 학습전이,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형식 학습 활동 중 타인과의 학습, 자기성찰의 정도는 학습전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형식 학습 활동 정도와 학습전이 정도 간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도의 조절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정도는 무형식 학습 활동의 타인과의 학습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 활동이 가능하기 위한 학습 환경 구축이 필요하며, 학습전이를 높이기 위해 관계주도성, 정보수집, 대인관계에서의 자신감 형성,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 유연한 사고 등의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of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oward this end,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sending out the 62 item questionnaire to 400 employees of 40 innovat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365 out of 359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such as learning with others, external scanning, and self-exam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arning transfer,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Second, in particular, two type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such as learning with others and self-examination, resulted in a meaningful learning outcome, namely, high degree of learning transfer.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has existed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re were some needs to build a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 for improving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developing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ould be needed more productive research and debate about an increasing concern about how to design informal learning and support its implementatio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s well as large ones, reflecting on two theoretical constructs and practical issues of social network accessibility and learning transf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