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십과 팔로워십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전선호,박상욱,김희봉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과 팔로워십 관련 변인 설정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두 변인간의 관계와 구조를 살펴보는 메타분석을 통해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리더십과 팔로워십 변인을 설정하여 진행된 88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팔로워십과 리더십 모델 간 효과 크기를검정한 결과, 효과 크기가 가장 높은 리더십 모델은 진성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서번트리더십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변인을 설정한 연구가다수였으나 팔로워십과의 효과 크기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팔로워십과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리더십 구성요인은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 이상적 영향력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팔로워십과 효과 크기가 높은 리더십은 팔로워 중심적 접근의 리더십이유효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출판구분에서는 학술논문의 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도구는 국내 연구자가 보완하여 활용한 도구의 효과 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리더십과 팔로워십간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팔로워십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모델 및 구성요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으며, 리더십과 팔로워십의 상호 관계적인 연구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학문적 의의가 있다.

      • 공유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가치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상봉(Sang Bong Lee),우종범(Jong Bum Woo)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4

        오늘날 조직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불명확하고, 변화의 속도는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빠르다. 이런 도전적인 환경 속에서 많은 조직들이 전통적인 수직적 구조에서 팀 중심의 수평적 구조로 개편을 도모하고 있는데, 이는 효율적인 의사소통, 신속한 의사결 정 등을 장점으로 하는 팀 중심의 조직 구조가 변화무쌍한 환경에서 조직의 생존과 경쟁 우위 달성에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기술 및 전문성을 가진 팀 조직에서 팀 구성원들에 의한 리더십 기능의 공유는 단순히 수직적 리더십에 의존하는 것 보다 더욱 효과적인 리더십 기능 및 성공적인 임무달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적 리더십 구조를 가진 군 조직에서 공식적인 1인의 리더가 아닌 집단 내부에서 나타나는 수평적 리더십인 공유리더십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팀 내 공유리더십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공유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에서 리더와 구성원의 가치일치 가 팀 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군에서 공유리더십 발휘는 특수부대 와 같은 특정영역에서 더 일반적으로 나타난다는 Lindsay, Day, & Halpin(2011)의 연구 를 바탕으로 특전사의 40개 팀(총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에 의한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팀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서 팀 구성원 개개인의 설문을 받아 분석에 활용되므로, 집단수준의 변수로 합산하기 위한 타당성 검증(rwg, ICC(1), ICC(2), F값)을 통해 집단수준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공유리더십의 수준이 높을수록 팀 성과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치일치가 높을수록 공유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는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 및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se day,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s quickly changing to in which a leader can no longer handle everything alone. Accordingly, almost all organizations have been managing its structure in teams to adapt to such turbulent environment. Likewise, special forces in military have operated in teams for a relatively long time, because they perform tasks in extremely uncertain and ambiguous situations. Such team organizations raised questions to the tradition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surfaced as one of the answ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in the ROK's special forces. And also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value congruence. For the hypotheses tests, data were collected from 45 teams, and the survey results from 40 teams, exempting those returned unreliable, were used. The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impacts on team performance positively. And value congruence acts a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In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can be found.

      • KCI등재후보

        국내 변혁적 리더십 연구 동향 분석: 경영학 분야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은국,박운정,김정훈 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4

        Domestic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been actively done since the mid-1990s but the studies summarizing the research trend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been lacking. Also, despite of their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tribution, majority of studies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been conducted repeatedly without a differentiation from the studies of leadership in general. In this sen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ults and procedures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n provide suggestions to overcome the identified limit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sed the research stream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reviewing the 60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domestic major management journals during the past 15 years between 1999 and 2014.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ncepts (variables) investigated reveal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ed psychological achievements and innovative performances. Most of the 60 studies empirically analyzed the concepts by conducting an self-administered survey. One to six factors have been extracted and empirically tested to measu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made it possible to extend existing leadership theories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ies. Meanwhile, due to the use of self-administered survey the similar limitations which appeared in the other empirical studies of leadership in general were found. As for conceptual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exploratory study would be recommendable to carry out to investigate extended variables and to do a literature review in a sophisticated way. In methodology, a scenario approach and context based explicit survey questions could be also adopted.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in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a systemic way and in providing a comprehensive outline of the research trends. However,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would be less reliable, since this study confined to qualitative analyses on the papers published at domestic academic journals only. 1990년대 중반 이후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변혁적 리더십 연구의 현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변혁적 리더십 연구가리더십 연구와 경영현장에서 많은 이론적․실무적 기여점을 제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타의리더십 연구처럼 반복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 수행된변혁적 리더십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그간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과제로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 국내 경영학 분야 주요학술지에 게재된 변혁적 리더십 관련 연구논문 60편에 대한 연구동향을분석하였다. 개념적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심리적 성과와 혁신성과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것을 확인하였다. 방법론적 분석에서는 모든 연구가 설문지에 의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설문지는 대부분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의 측정도구는 1개부터 6가지까지 요인이 다양하게 추출되었다. 그동안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이론의 확장과 실무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반면에, 자기보고식 설문응답으로 인한 동일방법편의 가능성 등 여타 리더십의 실증적 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한 한계점이 계속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념적으로는 변수의 확장, 이론적배경의 확장과 정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의 수행도 요구된다. 방법론적으로는 자기보고식 설문응답의 방법론적 편협함을 해소를 위하여 시나리오법 등의 연구 방법론의 적용과 맥락연구의 연구제언을 반영한 확장된 연구수행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 변혁적 리더십연구에 대한 체계적 정리로 관련 연구자들에 연구동향을 총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의의가 있지만, 국내 경영학분야 학술지 게재 논문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어 일반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정량적 분석을 하지 않고 정성적 분석에 그친 한계가 있다.

      • KCI등재

        자기희생적 리더십 : 선행요인으로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

        손승연(Seung Yeon Son),김석영(Seckyoung Loretta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4

        리더의 자기희생이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중 하나라는 것에는 학자나 일반인들이나 모두 공감하는 듯하다. 이런 사회적 통념 및 학문적 공감이 토대가 되어 1990대 후반부터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들이 등장하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다양한 인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되었다. 하지만 기존연구들은 선제적 관점에서 무엇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히지 못했다. 그에 따라 연구관점의 불균형이라는 약점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런 기존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발굴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사의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이 지각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았다. 제조업체 기업 종사자 상사-구성원 255쌍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만성이 높은 상사일수록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더 많이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사가 자신의 조직이 정치적이라고 지각할수록 구성원들은 자신의 상사가 덜 희생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상호작용효과 검증 결과, 조직정치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을 때 원만성과 자기희생적 리더십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자기희생적 리더십 선행요인 중 일부를 밝힘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연구관점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결과에만 초점을 둔 선행연구의 관점 불균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상사의 성격특성 특히 원만성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시 여전히 성격특성에 대한 고려가 유용하다는 것과 특히 원만성이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주로 구성원 수준에서 다루어온 조직정치지각의 부정적 효과가 상사수준의 리더십에도 여전히 부정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에 유익한 상사의 바람직한 리더십을 이끌어 내려면 조직이 어떤 업무환경 조성에 주력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특성활성화 이론을 이용하여 원만성과 조직정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자기희생적 리더십이 보다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리더 선발 과정에서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와 그런 행동을 유도하도록 조직이 무엇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Prior empirical research in self-sacrificial leadership has examined the effec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Scholars have demonstrated that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Recognizing this issue, this study selected a leader s trait of agreeableness and his or 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s predictor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In particular, the study hypothesiz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More importantly,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a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trait-activation theor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Korean firms by postal mails or direct visits. All of the items except demographics (age, gender, position and tenure) were measured on a seven-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strongly disagree to 7=strongly agree). A total of 255 matched dyadic data was used for ou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testing our hypothes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reeablenes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xhibit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a leader’s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is strengthened when the lead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is high than when it is low. This research ha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findings suggested that a leader s agreeableness and his/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dicting his or her self-sacrificial leadership. Furthermore, our results applied a trait-activation theory and demonstrated when leader exhibited self-sacrificial leadership. Our results exhibited that fair and low political work environments may compensate for the negative effects of low agreeableness on self-sacrificial leadership. Based on our result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How Does Leadership Sharing Promote Collective Orientations among Team Members?

        조윤희(Yoon hee Cho),홍계훈(Gye Hoon Hong),윤정구(Jeong koo Yoon)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 집단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팀 집단 지향성은 팀원들이 집단에 대해서 어떠한 인지 및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팀의 집단 책임감과 팀 효능감으로 측정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집단 책임감 및 팀 효능감의 관계들에서 팀 구성원들 간 리더십을 공유하는 공유 리더십의 매개 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팀장이 팀원에게 미치는 리더십의 영향력은 점차적으로 팀원 전체에게 내재화되고 공유된다는 가정하에, 공유 리더십을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집단지향성을 연결시켜주는 매개효과로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3년 초부터 2014년 4월까지 4개의 회사의 팀장과 팀원들에게 팀 단위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142팀 962명의 표본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가설에서 예측했던 바와 같이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원간의 집단 책임감 및 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들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과 집단 책임감 및 팀 효능감 간의 관계들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변혁적 리더십과 집단 책임감의 관계에선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공유 리더십의 효과는 결코 적지 않으며, 수직적인 관계에서 시작하는 리더십 영향력이 수평적인 관계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 및 공유리더십 영향력 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도 제시되어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eadership sharing on collective orientations among team members. The source of sharing is a team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target of distribution is team members. Collective orientations of interest are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team efficacy. We postulate that when a team effectively distributes its leader's leadership style to members, the members who successfully share the leadership style of their leader develop collective orientations. We argue further that when members fully adopt their leader's leadership style, the effect of the source leadership by the leader on collective orientations was diminished, because the shared leadership among members mediate the source leadership. We tested these theoretical hypotheses with 962 team members working in 142 teams at Korean firms. As predicted, the effect of the team leader's leadership style on collective orientations was mediated by members' distributed leadership. Especially, shared leadership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in more detail.

      • 자기희생적 리더십 :개념적 정의 재조명 및 통합 연구모형 제시 1)

        손승연,노명화,윤석화,Seung Yeon Son,Myong Hwa Roh,Seokhwa Yun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3

        급변하는 경영환경으로 인한 불확실성 , 불안정성이 증대되는 오늘날 그 어느 때보 다도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이 중요해지고 있다 . 그에 따라 구성원들의 이런 헌신과 희생을 독려하는 효과적인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는데 , 자기희생적 리더십은 그런 새로운 리더십 패러다임에 부응하는 리더십 중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점차 많은 연구관심이 제기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연구의 체계적 수행을 위해 다음의 3 가지 사항을 중점 적으로 다룸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첫째 , 수동적 형태 중심의 현존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개념적 정의에 적극적 형태의 자기희생을 보완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보완된 개념적 정의는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둘째 , 긍정적인 영향 뿐 아니라 부정적 결과까지 초래하는 자기희생적 리더십의 다양한 결과와 유형을 고찰 함으로써 긍정적 영향력에 치중된 선행연구의 관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해 자기희생적 리더십에 대한 연구 접근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발견된 것들을 의미 있게 묶어주며 향후 연구를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자기희생적 리더십 통합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 이 통합 모형은 자기희생적 리 더십 역학관계에 대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아울러 논문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rely more on employees’ voluntary participations and dedications. Following this trend, researchers have been investigated effective leadership to motivate subordinates’ dedications and self-sacrifices. Among these leaderships, SSL is regarded as an inspirational and exemplary behavior. In the present article, we focus on three topics to help theoretic foundation reinforced for future researches relating to SSL. First, we attempt to present more comprehensive conceptual definition of SSL that encompass active types of self-sacrifice. The improved definition complements existing definition that concentrates on passive form of self-sacrifice. Second, we consider the dark side of SSL as well as positive consequences. By doing so, we try enlarge the research perspective that have placed too much emphasis on desirable outcome of SSL. In the same vein, we suggest various SSL patterns to result in positive and/or negative effects on leader, employees, and/or organization. Finally, integrated research model of SSL is proposed. This model can play a role to integrate previous findings and act as a guide to help researchers take his or her course for future studies. Even though this paper has not a few limitations, it has also theoretical significances in that it might contribute to complete big picture of SSL.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송용욱,문명,조윤형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in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Also,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servant leadership's effect on through job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promotion policies. We set the hypothesis was based on direct effect,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hypothesi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local governments at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job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job calling. Also, job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e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Finally, we considered moderated mediate effects which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re low on go along to get ahead’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local government public sectors’s servant lead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nurture the servant leader and strengthen the sense of job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ngagement. Key words: Servant leadership, Job calling,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Go along to get ahead, pay/promotion policie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과 상황을 고려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 전남지역 기초자치단체 5곳과 광역자치단체2곳에서 총 30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는 정치⋅행정⋅경제 전반에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근속연수 역시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피기에 충분히 장기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가설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공직에서도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을 높이고 높아진 직업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낮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므로 조직정치를 줄여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를 육성하여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서번트 리더십, 직업소명의식, 직무열의, 조직정치 지각(가만히 있기, 임금/승진 정책)

      • KCI등재

        대학생들의 리더십 경험 유형, 강도,시기가 리더십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Hyeyoung Kim),이수정(SooJung Lee),박소연(SoYeon Park),유지현(Jihyun Yoo)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리더십 개발을 위한 리더십 경험의 가치를 찾아보고, 고등교육에서 바람직한 리더십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 에서는 리더십 경험과 리더십 수준에 관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들의 리더 십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경험의 종류, 양, 시기에 대한 양적 자료를 활용 하였다. 먼저 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의 개발방법 등에 관한 대표적 문헌이 수집되어 검토되었다. 다음으로 리더십 경험에 관한 양적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양적자료는 리더십 경험의 종류, 양, 시기에 따라 대학생들의 리더십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의 16개 대학 4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양적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리더십 경험에 관련된 개념과 함께 가설형태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에서는 잠재리더로서 대학생들은 대학 생활뿐 아니라 그 이전의 학교생활에서의 대표 및 리더로 활동한 리더십 경험을 통해 리더십을 개발시킬 수 있었으며, 직접적인 리더십 경험만이 아니라 단체 활동 경험 같은 간접적 리더십 경험을 통해서도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리더십 개발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리더십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본 연구를 토대로 고등교육기관에서는 적합한 리더십 경험을 제 공하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리더십 경험과 관련된 많은 실증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leadership capability of college students and pays attention to leadership experience a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develop leadership in higher education. First, it examines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nd leadership development conceptually, and emphasizes the role of leadership experienc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leadership capabilities. Second, it analyzes the type, amount, and timing of leadership experiences that affect the leadership level of college students. For the analysis, the study uses references related to leadership, leadership development, and leadership experience, and it uses quantitative research data for systemizing leadership experience. The quantitative data was taken from surveys conducted on 428 college students of various years at 16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o identify differences in leadership level depending on the type, amount, and timing of leadership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leadership experien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leadership level and included not only experiences as leaders in organizations but also experiences as followers in group activities. The study concluded that college students as potential leaders can develop their leadership capability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leadership experiences.

      • KCI등재

        혁신교육에서 교사의 리더십에 적용되는 복잡성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

        김명은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by applying it to the principle of complex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analyzed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innovative education,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and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applying complexity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teacher leadership, and when teacher leadership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schools is applied to the principle of complexity,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cy, subjectivity, spontaneity, interaction, change orientation, sharing, and re-creation. In addition, the exercise of leadership as a teacher in the learning field where various situations exist could be applied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principles such as positive feedback of confusion and unstable situations, shared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complexity theory as a principle to explore the process of leadership to accommodat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and successfully demonstrate teacher leadership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plexity. 본 연구는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을 복잡성원리에 적용하여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혁신교육의 특징과 원리,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 복잡성원리를 적용한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해 분석하고 탐색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혁신학교에서 교사리더십은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교사리더십과는 방향이 다르며, 혁신학교라는 특성과 부합하는 교사리더십을 복잡성원리에 적용하여보았을 때,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의 특성은 민주성, 주체성, 자발성, 상호작용, 변화지향성, 공유중심, 재창조성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라는 다양한 상황이 존재하는학습의 장에서의 교사로서의 리더십 발휘는 혼란과 불안정한 상황의 긍정적 피드백, 교사와 학생의 자기조직화 및 공진화를 통한 동반성장과 창발 등 복잡성원리의 특징과 부합하여 적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양한 환경변화를 수용하고수업방식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혁신학교에서, 교사리더십을 성공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리더십의 과정을 복잡성 원리를 적용하여 탐색적으로 접근하여 보고, 혁신학교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혁신학교와 교사리더십이라는 개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원리로 복잡성이론을 제시한다.

      • 육사 생도 리더십 역량 평가의 타당성 분석 : 입시자료, 심리검사, 생도생활 성취도 자료를 중심으로

        문양호(Moon, Yangho)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육군사관학교에서 사관생도 리더십개발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 역량 평가제도에서 평가하고 있는 평가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생도들의 ‘리더십 역량’을 반영한다고 간주되는 다른 지표들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 지표들과 리더십 역량평 가 결과 사이의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입학전 자료, 입시선발 1차학과 시험 및 2차면접시험 결과, MMPI를 비롯한 심리검사 결과, 생도생활 적응 및 성취도 관련 자료들이었다. 또한 리더십 역량평가 결과가 매우 저열한 생도와 우수한 생도를 구분하여 입시관련 자료, 심리검사 결과, 일반학 교과 성적, 체력관련 자료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능시험 성적, 고교 내신성적, 면접 등 입시성적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리더십 역량 우수자와 저열자 간의 심리검사 소척도상에서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MMPI의 ‘반사회성’과 ‘편집증’에서, 표준화 인성진단검사에서는 ‘반사회성’, 그리고 자아실현검사에서는 ‘실존성’과 ‘자기수용성’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리더십 역량 우수자와 저열자 간의 생도생활 적응 및 성취도에서는 모든 지표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면접시험 점수에서는 리더십 역량 저열자들이 우수자들에 비해 면접 총점이 낮았다. 일반학 성적에서는 저열자 집단이 우수자집단에 비해 성적 평점과 서열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성적 서열에 대 한 분석에서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군사학 성적, 체육학 성적 서열, 훈육 성적에서도 리더십 역량 저열자는 리더십 역량우수자보다 저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더십 역량평가제도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의미가 있다. Korea Military Academy develop and implement the aptitude evaluation system to evaluate each cadet's character, value, attitude, and behavior tendency that is required to be a future military officer in Korean Army.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primarily used for a discipline and education of the cadet. However, there was the question of validity and creditability in connection with the aptitude evaluation system.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validity and creditability of the cadet aptitude evaluation. We analyzed entrance exam results, all academic records, physical and military training records, and psychological test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adet aptitude evaluation system, as a tool to evaluate a cadet's character, value, attitude, and behavior tendency required as a future military officer, is significantly valid and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