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기술혁신기반 모바일생태계 발전 전략

        황석원,장병열,김성원,정의영,이자영,고명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는 모바일 생태계 발전을 위한 범정부 종합 전략 점검 및 최적 전략을 제시하고 혁신기반 모바일 생태계 구축을 위한 R&D 투자 전략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방송통신위원회(통신서비스, 규제), 지식경제부(HW/SW), 문화체육관광부(콘텐츠) 등 관련 부처를 모두 아우르는 종합 R&D 투자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내용· 모바일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는 앱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앱 개발과 관련해 1인 창조기업 육성등 정책도 본격화되고 있다. 그러나 수익성 관점에서 볼 때 1인 창조기업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한 정책 방향인가· 본 보고서에서는 국내 최초로 국내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앱 마켓인 애플 앱스토어와 SK텔레콤 T스토어의 개발 수익성을 분석했다. 국내에서는 애플 iOS 개발에 비해 안드로이드 OS 개발 교육에 그동안 더 초점을 두어 왔으나 개발 기대 수익성만 봤을 때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개발자는 557만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데 비해, 안드로이드 계열의 T스토어에서는 평균적으로 100만원도 미치지 못하는 수익을 얻고 있었다. 현재 상태로는 앱 개발을 통해 비용을 상회하는 편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앱 개발 지원 정책도 1인 창조기업 육성에서 상당한 규모와 역량을 갖춘 글로벌 앱 개발 기업을 육성하는 것으로 방향이 바뀌어야 할 것이다. 앱 생존 분석을 통해서도 마찬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앱은 유의미한 수익을 내는 생존 기간이 극히 짧고 대부분 빛을 보지도 못하고 사장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앱 수익성 분석과 앱 생존분석은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과 계량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곧바로 논문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 앱 개발 이외에도 모바일 플랫폼, 차차세대 네트워크, 모바일 서비스 등 모바일 생태계의 다른 주요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도 세밀한 정책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로 인해, 이 들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앱 개발 만큼 심층 분석을 수행하지는 못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현황 분석 및 정책 방향 설정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바일 플랫폼은 한국의 독자적인 OS 개발에 대해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의 역량을 모아 정부 차원에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요소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최근 정부의 이니셔티브에 대해 민간 기업이 반발하면서 정부차원에서 한국의 독자 OS 개발 노력은 일단 무산되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모바일 기기 뿐만 아니라 스마트 TV, 가전 등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러한 장기 비전을 전제로 기초연구와 요소기술 연구가 활발히 수행될 필요가 있다. 차차세대 네트워크는 현재 와이브로가 실패로 귀결된 상황이기 때문에, 한국의 독자 표준 추진이 힘을 얻지 못하고 있다. 과거 와이브로가 사용자 편의성(egg라는 별도 단말을 들고 다녀야 했던 시절이 있었음), 업계 이해 관계에 매몰(VoIP 허용 안되었음) 등의 이유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채 실패로 귀결되었는데, 그러한 과거의 교훈을 되새겨 향후 차차세대 네트워크 표준과 원천기술 확보에 매진해야 한다. 다만, 와이브로처럼 한국만의 ‘독자’ 표준 추진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글로벌 마켓의 컨센서스 형성과 파트너십 형성을 고려하면서 원천기술 확보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모바일서비스는 현재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화는 것이 관건이다. 국내 시장에서의 서비스에서도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카카오톡 등) 이와 관련해서는 정부 정책 차원에서 지원해줄 수 있는 수단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모바일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기업 전략 차원에서 팁이 될만한 전략 지침(M&A 전략 및 비즈니스 모델 정립 등)을 제시하는 선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론· 우선, 여러 가지 세부적인 정책 수단들이 동원되어야 한다. 1인 창조기업 육성 정책도 나름대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살아남는 소수의 앱이 수익의 대부분을 가져가는 양극화는 앱 마켓의 본질에 해당하고 앞으로 그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될 것이다. 1인 개발자에 대한 지원 사업은 유지하되, 거기에 지나친 장밋빛 희망을 담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 결국 앞으로는 앱의 퀄리티와 마케팅 능력 등이 경쟁력의 주요 원천이 될 것이므로 기업형 앱 개발 주체에 대한 지원 수단도 대폭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독자 플랫폼에 대해서는 당장 정부가 나서서 단기적인 계획을 마련하는 것은 무리다. 그러나 손을 아주 놓는 것도 문제다. 독자 플랫폼 기술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와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고려하여 스마트 TV, 여타 가전제품까지 고려한 플랫폼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모바일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정부가 선두에 서서 지휘하는 입장에 있지 못하다. 너무 다양하고, 시장 논리에 맡겨야 하는 사안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부는 규제 완화 시장 규범 확립에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공인인증서 문제, 실명제 완화, 망중립성에 대한 시장 규범 확립이 필요하다. 차차세대 이동통신기술과 관련해서는 전세계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의 원천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략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표준으로 등록되는 것만으로는 성공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와이브로 사례에서 경험하였기 때문이다. 사실상 표준의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전세계 기술개발 및 사업 주체들과 끊임없이 교류하고 동향을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종합 전략이 필요하다. 콘트롤 타워가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정책제언· 각 분야마다 세부 정책 수단들이 정교하게 개발되고 집행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시장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다. 예컨대, 앱 개발에 있어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한 기업형 앱개발 주체는 정부 지원이 없음을 호소하고 있다. 1인 창조기업 육성을 통한 청년 실업 해소 등 실효성이 의문시되는 구호만 난무하고 있다는 인식이다. 이러한 상황이 정부에 대한 개발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 독자 플랫폼 기술 개발 관련 정부의 이니셔티브가 실패한 것도 시장의 신뢰가 없기 때문이다. 불필요한 규제들(예전의 게임 사전 심의, 실명제, 갈라파고스식의 공인인증서, 게임 셧다운제 등)도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린다. 모바일 생태계 정책의 첫발은 시장의 신뢰 제고이다. 정책 추진 방향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창조기업 육성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 경쟁력있고 품질이 좋은 앱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기본적인 규모를 갖추고 있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앱 개발 및 모바일 SW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장기적으로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랩탑, 스마트 TV, 가전 등 전방위적으로 플랫폼이 통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바일 플랫폼(나아가 유비쿼터스 플랫폼)에 대한 기초 연구와 요소기술 개발이 종합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등으로 흩어져 있는 관련 기술개발 정책과 예산을 한군데로 모아 관리할 수 있는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 셋째, 차차세대 네트워크 표준과 관련해서는 과거의 실패(와이브로의 사용자 편의성, VoIP 규제)를 교훈삼아 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기술(GSM, WCDMA, LTE 처럼 과거 기술과의 호환성, 사용자 편의성)을 추구해야 하며, 업계 이해관계에 매몰되어 만들어진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하고, 독불장군식의 독자 표준보다 파트너십을 형성하면서 최대한 원천기술을 많이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모바일뱅킹 특성과 만족 및 재이용 의도와의 관계 분석 : 성별을 고려하여

        노미진(Mi-Jin Noh)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경영연구 Vol.25 No.4

        인터넷, 모바일상거래, 위치정보서비스 등이 활성화되면서 정보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와 함께 모바일뱅킹 산업이 활성화되었다. 모바일뱅킹이란 휴대폰, PDAs(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하여 뱅킹 거래를 수행하는 것이다. 모바일뱅킹 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많은 고객들이 이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며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재이용 의도가 높을 때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뱅킹 사용자특성으로 혁신성과 친숙도를 고려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둘째, 모바일뱅킹 서비스 특성으로 편리성, 보안성, 접속성, 이동성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들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셋째,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사용자특성과 모바일뱅킹 서비스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모바일뱅킹 서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경로분석과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용자특성 중에서 친숙도는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성은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모바일뱅킹 서비스 중에서 보안성은 의미 있는 영향력을 가지지 못했지만 편리성, 접속성, 이동성은 정(+)의 영향력을 가졌다. 셋째, 모바일뱅킹 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재이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사용자특성과 모바일뱅킹서비스 특성은 성별에 따라 만족에 다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뱅킹 산업의 발전과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activate mobile banking services, many customers have to use this services and improve a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the servi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ser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are the innovations and familiarity, and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thi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Second, service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is the convenience, security, connection, and mobility, and we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is servic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Third,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s on the reuse intention of the satisfaction. Finally, we study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according to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novation among user characteristics hadn't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and the user familiarity had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Second, the security among services characteristics of mobile banking hadn't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but the convenience, connection, and mobility among this services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Third, the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reuse intention. Finally, the innovation, familiarity, and connection to customer satisfaction for femal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for males. The convenience, security, and mobility to customer satisfaction for males were positively larger than those for females. This study will provide diverse implications when companies build strategies for providing services of mobile banking and develop business models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패션관여와 인터넷 쇼핑 친숙도가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 Kim Ji Hye ),황진숙 ( Hwang Jin-soo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 직접 카드결제의 가능으로 모바일 쇼핑의 발전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관여와 인터넷 쇼핑 친숙도에 따라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 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소비자의 패션관여와 인터넷 쇼핑 친숙도에 따라 소비자 집단을 분류하고, 둘째, 각 집단 간 모바일 추구혜택, 모바일 위험지각,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의도의 차이를 알아보며, 셋째, 각 집단에 따른 모바일 추구혜택과 모바일 위험지각이 모바일 패션 쇼핑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들은 패션관여와 인터넷 쇼핑 친숙도에 따라 `패션 즐거움 추구 집단`, `의복 선택 불확신/인터넷 비친숙 집단`, `패션 상징성 추구/인터넷 친숙 집단`, `무관심 집단`의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 간 모바일 추구혜택의 차이는 접근성 추구, 편리성 추구, 효율성 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각 집단 간 모바일 위험지각의 차이는 모바일 사용 위험만이 차이를 보였다. 각 집단별 모바일 추구혜택이 모바일 패션 쇼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패션 즐거움 추구 집단과 의복 선택 불확신/인터넷 비친숙 집단에서 추구혜택의 요인 모두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각 집단별 모바일 위험지각이 모바일 패션 쇼핑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패션 즐거움 추구 집단의 경우 모바일사용 위험 요인이 구매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mobile shopping is expected to have a great development based on ever wider use of smart-phones, active mobile internet service and direct card payment features. The specific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categorize consumers into groups based on their fashion involvement and internet shopping familiarity, to find ou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erms of benefits in mobiles shopping, perceived risks and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enefits sought and perceived risks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each group.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consumers are categoriz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and internet shopping familiarity. Each group is characterized by `pursuing pleasure in fashion group`, `uncertainty in clothing selection/unfamiliarity with internet group`, `pursuing symbolism in fashion/familiarity with the internet group`, and `indifference group.` In regard to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in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benefits sought, and mobile using risk of perceived risk.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re are effects of benefits sought and perceived risks on purchase intention of each consumer segment.

      • 한국과 몽골의 모바일 광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바야르,이인구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2014 한몽경상연구 Vol.25 No.1

        본 논문은 몽골과 한국 모바일 광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모바일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모바일이 주목 받게 된 이유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관련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일반인들 에게 휴대전화는 대표적인 모바일기기로 인식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TV방송, 신용카드나 교통카드, 공장 물류센터의 편의를 위한 PDA, 자동차 네비게이션,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 등 우리 생활의 거의 모 든 부분에 걸쳐 이용하는 미디어가 되었다.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연구동향 을 살펴보면 크게 모바일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모바일 광고 수용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모바일 광고에 관한 인식조사 연구 등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이용자요인과 단말기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과 몽골의 모바일 광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조사는 휴대폰 주요 이용자인 10-50대 한국의 서울, 몽골의 울란바토르 및 수도권 거주자 로 현재 휴대폰을 이용하는 남녀 302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을 이용한 서베이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를 점검하기 위해서 Cronbach's α 값을 알아보고, 타당성을 위한 요인 분석을 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과 Chow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몽골의 모바일 광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모바일 이 용자 요인과 단말기 요인에서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러나 한국과 몽골의 집단 간 모형의 계수가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Chow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모바일 이용자의 경우는 한국과 몽골의 집단 간 모형의 계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바일 단말기의 경우는 한국과 몽골의 집단 간 모형의 계수가 차이가 없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는 표본이 주로 대학생이라 는 점에서 일반화의 한계를 갖고 있다. Most representative of the general population have a mobile phone, and it is recognized as a mobile device using the internet, TV broadcast, a credit card or transportation card, factory distribution center for the convenience of PDA, car navigation, such as notebook computers, and almost every part of our lives media was used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each country and the world today is more fast-paced society, regardless of the medium, and therefore are to be constantly changing and evolving. As a result of today's mobile era is an opportunity to make a w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things. First, Mongolia and South Korea for the mobile advertising mobile advertising by the effective exposure affects variables to find data on patients. The second is the use of Mongolia and South Korea's mobile advertising through the analysis of variables that affect the use of the current state of mobile advertising to identify and Mongolia, or Korea, for effective mobile advertising strategy is to provide useful data. After the analytical results, the fear of invading privacy in the customer factor showed that it does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mobile advertisement in Korea and mongolia. The following is the attitude toward mobile advertising mobile advertising in the two countries equally influence on this. Korea and Mongolia, and pass time in the two countries is the use of a mobile ad does not appear significant impact. Finally, the flow of mobile users is a factor of two countries, Korea and Mongolia in the use of mobile advertising influence. Factors of the mobile terminal screen consists of mobile devices in Korea and Mongolia using mobile advertising in the two countri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was measured and the hypothesis is rejected. Factor, whereas the content of mobile devices using mobile advertising in Korea showed a significant affect. However, the use of mobile advertising in Mongolia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respectively. Factor of mobile handsets and the interactivity of the two countries, Korea and Mongolia significantly affect the use of mobile advertising, respectively. Factor or mobile devices by using a mobile ad prices in the case of Korea does not appear significant impact. However, in the case of Mongolia, the use of a mobile ad showed a significant impact. Finally, Korea and Mongolia inconvenience factor is the use of mobile advertising in the two countries showed a significant impact. Mongolia, South Korea and the coefficient of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model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Chow test is used in the case of mobile users in South Korea and Mongolia,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coefficients of the model were found to be. In the case of mobile terminal groups of Korea and Mongolia,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models is that the coefficient assayed directly. Of Korea and Mongolia these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mobile advertising through the analysis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ongolia's mobile advertising looks enjoy it.

      • KCI등재후보

        모바일진의 광고매체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명천(Myoung-Chun Lee),우학기(Hak-Ki Woo),김정현(Jung-Hyun Kim) 한국옥외광고학회 2009 OOH광고학연구 Vol.6 No.3

        최근 새로운 표현 수단을 찾아 매일 세계적으로 7만개 이상의 블로그들이 새로 생성되고 있고, 블로거들은 미디어 매거진 발행인, 취재기자로서 스스로 생산한 정보를 유통할 수 있다. 즉, 풀브라우징이 탑재된 스마트폰이 클라우드 컴퓨팅과의 결합 등으로 유비쿼터스가 일상화되었고, 오프라인 잡지나 웹진, 블로그진 등이 모바일진화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또한 데이터프리 요금제 활성화로 수적 · 양적 데이터 사용량이 늘고 있는 추세이고, 이통사 입장에서도 음성통화 시장의 포화 상태에서 ARPU(Average Revenue Per User,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데이터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렇듯 발전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모바일진의 광고매체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진과 모바일진의 특성을 알아보고, 모바일 광고의 유형 및 특징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또한 모바일진의 토양이 되는 기술적 사항들을 살펴보고, 현재 모바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컨텐츠 비즈니스중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모바일진의 수익화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진은 전문성을 갖춘 컨텐츠로 세분된 타겟 유저를 향한 차별화된 전략이 가능하며, 이는 광고매체로서 모바일진의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결론지었다. 아울러 현재 모바일진은 명확한 독립매체로서 확실한 영역을 갖추고 있지는 못한 상황이지만, 가장 저변이 잘 구축되어 있는 분야중의 하나이고, 기술적, 환경적 요인도 점차 제고 되고 있으므로 향후 광고매체로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결론지었다. In search of new expression means, more than 70,000 blogs are newly created everyday in the world. The publishing companies of off-line magazine that were in charge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information in the past was converted to on-line and advanced to publish webzine so that all bloggers can produce and distribute information by themselves. Namely, all bloggers as publisher of media magazine and reporter can distribute the information that they produce by themselves. As wired Internet world expressed by web was developed to peripheral environment of mobile, bloggers possess the special features of mobile represented by mobility. As smart phone equipped with full browsing combines with cloud computing, ubiquitous becomes routine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off line magazine, webzine, blogzine, etc can be mobilezine is being established. Due to activation of data free rat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nsumption is increasing. It is global phenomenon that mobile communication pays attention to data service as means to increase ARPU when voice call market is satura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ds media of mobilezine in the mobile environment which is developing so, this research checked and analyzed the webzine and blogzine realized in on -line and grasped domestic and overseas mobile environment and wired and wireless situation. Further, it checked technical matters which are the fundamental of mobilezine and surveyed to possibility of profit of mobilezine by researching the representative cases among diverse contents business. In conclusion, mobilezine as contents with expertise can perform differentiated strategy for segmented target user, which became the opportunity to check the possibility of mobilezine as ads media. In the above research, mobilezine is currently without positive area as definite independent media, but it is the media device with well-organized base. Further, as the technical and environmental factor is gradually enhancing, the possibility of mobilezine as possibility of ads media can be expected.

      • KCI등재

        모바일 쇼핑에서 항공 및 여행 패키지 상품의 충동구매 및 후회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바일 능숙도, 가격민감도, 조절초점을 중심으로-

        이희정 ( Hee-ju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5

        최근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항공 및 여행상품의 구매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렇듯 소비자들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항공 및 여행상품의 구매 및 이용을 활발히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공 및 여행분야에서 모바일 채널에 대한 마케팅적 접근을 하고 있는 연구는 일부 탐색적 연구 및 항공권 관련연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향후 모바일을 이용한 항공 및 여행상품의 구매는 점차 증가할것이며 모바일 환경에서 항공 및 여행상품의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온라인 환경과는 별개로 연구가 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항공 및 여행상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이 구매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모바일 구매를 할 경우 소비자들이 충동구매를 하게 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항공 및 여행상품의 모바일 구매에서도 이러한 성향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검증해보고자 한다. 모바일 구매를 통해 항공 및 여행상품을 구매한 이후 충동구매로 여기고 후회감을 경험하게 될 경우 이후 항공 및 여행상품의 재구매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모바일 구매에서 소비자의 행동으로써 충동구매 및 후회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항공 및 여행상품을 구매할 때 모바일 기기에 대한 능숙도와 가격민감도, 조절초점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가격민감도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별되는 조절초점성향이 충동구매 및 후회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결과 소비자들은 모바일 채널 및 쇼핑환경에 대한 능숙함이 높을수록 가격민감도가 높으며 향상초점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민감도가 높은 소비자는 항공 및 여행상품의 충동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항공 및 여행상품 구매 시 향상초점 성향이 높을수록 충동구매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모바일 채널 쇼핑에 익숙하고 능숙한 소비자일수록 오히려 항공 및 여행상품의 충동구매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행상품의 모바일 판매 시 소비자들이 가격 정보 이외에도 중요한 정보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는 화면 구성 및 정보 제공 전략이 필요하며 과도한 가격할인 정책은 오히려 충동구매 성향을 높여 구매 후 후회감을 경험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Nowadays, many people access mobile shopping channels through different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 and tablet. Especially, through mobile shopping channel,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are sold a lot and considered importantly in travel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to figure out how consumers` behaviors are happened in mobile shopping channel, when they buy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When consumers use mobile shopping channel, they usually are sensitive on price rather than online shopping or traditional shopping. Price sensitivity affect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in mobile channel. In addition to this factor, there could b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on consumer behavior of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in mobile channel. So in this research, factors which influence on consumers` impulsive buying behavior are treated. This study also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nel skillfulness and price sensitivity, regulatory focus and find the relationship with regulatory focus and impulsive buying behavior as well. As results, when customers buy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their mobile skillfulness affects to price sensitivity and regulatory focus. And their price sensitivity and regulatory focus about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influence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and regret. Concretely, the more skillful in mobile channels, the more customers are affected to promotion focus. The customers who are promotion focused show a tendency of being impulsive in their sho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led to several implications for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marketer concerning mobile shopping channel. In the case of mobile shopping of air and package tour product, channel skillfulness affect price sensitivity and promotion focus positively. And price sensitivity and promotion focus influence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positively. So air and package tour product marketer should not make consumers price sensitive and promotion focused. Marketers also are care about mobile skillful customers who are easy to be price- sensitive and promotion focused. In order to prevent impulsive buying behavior, marketers should offer concrete information about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and make easy to compare each air and package tour products. It helps that consumers don`t regret for their air and package tour product buying behavior.

      • KCI등재

        모바일인터넷 접속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모바일미디어 활용행태

        박상미,이은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모바일인터넷 접속 유형에 따라 휴대폰 소비행동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파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미디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모바일인터넷 접속유형(모바일포탈, 풀브라우징)에 따라휴대폰 이용능력, 휴대폰 활용정도, 휴대폰 이용성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모바일인터넷을 이용하는 20대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모바일인터넷 접속유형에 따라 모바일포탈 300명, 풀브라우징 300명을 선정하여 실증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 t-검증, 상호작용항을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휴대폰 이용능력의 경우 개인특성과 휴대폰 이용동기(체면/과시동기, 오락동기, 정보획득동기, 시간관리동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용인식, 사회적영향,체면/과시동기, 오락동기에서는 모바일포탈 이용자와 풀브라우징 이용자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상생활에서의 휴대폰 활용의 경우에는 연령, 성별(남성), 휴대폰 이용동기(대인상호작용동기, 오락동기, 정보획득동기, 시간관리동기)와 휴대폰 이용능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오락동기, 정보획득동기, 기기조작능력, 서비스이용능력에서는 모바일포탈 이용자와 풀브라우징 이용자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휴대폰 이용성과의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의 휴대폰 활용, 휴대폰 이용능력, 휴대폰 이용동기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노동/소비생활과 교제생활에서의 휴대폰 활용, 기기조작능력, 오락동기, 정보획득동기, 연령 등에서 모바일포탈이용자와 풀브라우징 이용자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that mobile phone use brought to daily life of peopleand the factors that had impact on consumer behavior, staying away from the theory thatbehavior of mobile phone consumers is simply the adoption of mobile device and the diffusion ofmobile phone use. To this effect, we conducted the survey after selecting 300 mobile portalusers and 300 full-browsing users, according to the mobile internet access type, among menand women over 20 years old who use mobile internet. Frequencies and mean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t-test, Chi-square test, multipleregression and a dummy variable interaction technique were conducted by SPSSWIN 18.0. The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ith respect to outcome of mobile phone use, Infunctional benefit,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difference in age, social influence, motivation of pleasure/entertainment, motivation of informationseeking, ability to operate equipment, utilization time, mobile phone use for life of work andconsumption, and mobile phone use for friendship with significance. In regard to social benefit,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difference only inability to operate equipment with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citizen benefit, There was no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In consumption and financial benefit,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difference only inability to operate equipment with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psychological benefit, There wasno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 KCI등재

        모바일 환경을 위한 모바일 RFID 미들웨어 모듈 설계 및 구현

        박병섭(Byoung-Seob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9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RFID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시간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수집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공하여 유용한 정보만을 응용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 전용 RFID 미들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모바일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 하였다. 구현된 모바일 RFID 미들웨어 시스템은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바일 리더 인터페이스, 태그데이터를 의미있는 데이터로 가공하여 응용인터페이스에게로 전송하는 모바일 필터링 엔진, 그리고 기존 모바일 응용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m-SOAP 응용접근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모바일 응용 인터페이스 구현 하였다. 개발된 미들웨어 엔진의 필터링 속도도 모바일 단말 환경 특성에 적합한 성능을 보여준다. The most critical element in the real-time operation of RFID application programs that are suitable for the mobile environment is the RFID middleware, made exclusively for mobile handsets, which processes collected data on a real-time basis and sends only the useful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client. In this paper, we intend to design and implement a mobile RFID middleware system that supports the mobile handset environment for real-time based processing of the necessary data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 proposed mobile RFID middleware system includes a mobile reader interface that collects the tag data, a mobile filtering engine that processes the tag data into more meaningful data that is sent to the application interface, and finally the mobile application interface that supports the m-SOAP application access protocol for interfacing with existing mobile applications. The filtering speed of the newly-developed middleware engine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handsets.

      • KCI등재

        모바일 소셜커머스 특성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행로,양동우 한국창업학회 2019 한국창업학회지 Vol.14 No.5

        Based on the phenomenon of ever-increasing mobile shopping transactions, this study focuses on mobile social commerce.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and the rapid growth of social commerce market and the mobile commerce market, mobile social commerce research has largely been untenab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at characteristics are behind the rapid growth of mobile social commerce and how they affect the use of mobile social commerce. In addition, we intend to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n what characteristics are all the more important and appropriate strategies should be implemented for companies that wish to utilize the mobile social commerce channel. Specifically, we conducted the survey of customers who had experience using mobile social commerce with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instantaneous access woul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due to characteristics of mobile social commerce sites, but transaction stabil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 to use them. Location-based services were shown to be insignificant. In addition, the quality of mobile social commerce services showed that physical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and interaction qualit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anies which utilize mobile social commerce as well as online shopping malls ensure that products and services are instantly connected anytime, anywher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mobile devices. However, transaction stability plays as an inconvenience to users who use mobile shopping. Finally, it suggests that the important task is to provide products and services which are clear and definitely tangible and empathetic to consumer sensibility and needs rather than just providing location-based or regional-based services.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18년도 온라인쇼핑 시장규모는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2017년 약 7조 8백억 원 → 2018년 약 7조 9천억 원 : 11.6% 증가). 이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간편결제의 편리성, 모바일이용 확산 등으로 전년 대비 22.8% 증가하였으며, 규모로는 약 4조 8천억 원으로 모바일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은 60.4%에 달하고 있다(통계청, 2018).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면 모바일 소셜커머스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데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커머스의 급성장 배경에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그러한 특성들이 모바일 소셜커머스 이용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모바일 소셜커머스 채널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어떠한 특성이 더욱더 중요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전략을 실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모바일 소셜커머스 사이트 특성으로 즉시접속성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거래안정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치기반서비스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소셜커머스 서비스품질 특성에서 물리적 품질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상호작용품질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쇼핑몰뿐만 아니라 모바일 소셜커머스를 활용하는 기업들에게 모바일의 특성으로 대표되는 언제 어디서나 즉시 연결되어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 게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거래안정성 증진과 관련된 개인정보보호나 보안성의 강화 정책은 오히려 모바일 쇼핑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한 요소로 작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는 위치기반 혹은 지역기반의 서비스보다는 명확하고 확실한 유형적인 제품과 소비자의 감성과 니즈에 공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초등 4학년 26명의 영어학습 흥미도 발달을 위해 모바일 앱 활용 영어활동 적용 실행연구

        오마리아,채송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실행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지방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6명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하여 담임교사가 수업에서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 활동을 소개하고 지원할 때 학생들의 영어학습 흥미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많은 이론가와 학자들이 모바일 앱 기반 영어학습의 유망한 효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국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들의 모바일 앱 기반 영어학습을 돕는 현장 교사의 실행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런 선행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해 본 실행연구가 수행되었다. 방법 전형적인 질적 연구인 본 실행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계획되고 수행되었는데, 수업이 진행되는 전 중 후에 데이터가수집되고 분석된 후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2022년 봄학기 동안 남부지방의 초등학생 26명은 담임교사와 함께 정규 수업이 시작되기 전 매일 아침활동 시간 30분 동안과 일주일에 한 번 동아리 수업 40분 동안 모바일 앱 기반 영어학습 활동을 수행하였다. 교사가소개한 네 개의 모바일 앱을 자율적으로 활용하는 영어학습 활동을 학생들이 수행하는 동안과 영어학습 활동 전, 후에 기록된 교사관찰 보고서, 설문 조사 결과 및 인터뷰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질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첫 번째 결과는 26명의 학생 거의 모두가 Youtube 앱을 사용하여 영어 노래 부르는 영어학습 활동을 좋아했다는 것이다. 두번째 결과는 학생 대부분은 네 가지 영어학습용 앱 중에서 리틀팍스 앱의 Dino Buddies 시리즈와 Kahoot 단어퀴즈 앱을 가장 좋아하고, 영어학습 자율성이 낮은 학생들은 ‘FunEasyLearn’ 영어 단어 익히기 앱 활동을 제일 좋아했다. 세 번째 결과는 설문조사 데이터에서 26명 중 5명의 학생이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연구 참여 중에 미미하게 개선되었으며 21명의 학생은 연구에 참여하는동안 영어학습 흥미도가 대체로 향상되었다는 것이다. 네 번째 결과는 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에 대한 선호도가 영어학습 흥미도향상 정도에 따라 학생별로 매우 다양하였다는 것이다. 결론 한 학기 동안 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을 수행한 26명의 학생들이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가 다양하게 발달하였고 모바일앱 활용 영어학습 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다양했다는 연구결과는 모바일 앱 활용 영어학습 지도는 개인별로 매우 섬세하게 수행된다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앱 활용 영어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자로서의 특징, 자율성, 성격, 영어 능력 수준 등에 맞추어 섬세하게 계획되고 시행된다면 학습효과가 극대화될 것임을 예견할 수 있다. 특히 영어 학습자로서의 자율성이 낮은 학생 대상으로 모바일 앱 활용 영어교육을 수행할 때는 개인별 학습 도우미나 보조교사로 필요하다고 할 수있다. 한국 초등학생 대상으로 모바일 앱 기반의 초등 영어 교육 전망은 위드코로나 시대에 매우 희망적이지만 언제 어떻게 활용되어야 더 효과적인지 모바일 앱 기반 초등 영어교육의 한계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다양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한분야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