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르네 마그리트의 유년기 외상경험과 예술을 통한 치유과정 연구 : 미술치료사의 관점으로

        김선주,김선희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2

        The study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as art therapist, to understand René Magritte's works and life, paying attention to the traumatic experience of the artist, witnessing his mother's suicide in childhood. Based on the life history of Rene Magritte, as an artist and writer, the study explored features of artistic expression and symbolic meanings to show how an artist, suffering from traumatic experiences in the childhood, looked deep into his inner self, expressed it artistically and transformed in art. To this end, the method of life history research was adopted with focus o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subjective system of meaning of the artist. Biography of Suzie Gablik(1970) was also reviewed to look into meaningful key contents and artistic features of the time, together with representative works of the artist.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Magritte was able to overcome depression derived from the traumatic experience of witnessing his mother’s death, while transforming it in arts and was able to accept himself and create something new out of the traumatic memory. The researcher analyzed Magritte works of art in perspectives of an art therapist and it is meaningful to find that the process runs similarity with the process of trauma patients reorganizing memory, exploring and expressing themselves, while working on creative art work and growing positive power to overcome painful memory and develop positive and creative attitudes. 본 연구는 연구자가 미술치료사로서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세계에 반영된 어린 시절 어머니의 자살을 목격한 외상 경험에 주목하여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작가 르네 마그리트의 생애사를 바탕으로 생애 주기별 미술 표현의 특징과 내용의 상징적인 의미들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어린 시절 외상 경험이 있었던 한 예술가가 작업을 통해서 어떻게 내면을 탐색하고 표현하며 삶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과정을 미술치료사의 관점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개개인이 지닌 주관적 의미체계를 재해석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생애사 연구방법과 Suzie Gablik(1970)의 전기에서 의미 있고 핵심적인 내용 및 그 시기에 작품에 표현된 내용을 작가의 특징적 작품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마그리트는 어머니의 자살을 목격한 외상경험에 대해 미술작품으로 형상화 하는 과정을 통해 우울한 정서를 해소한 것으로 보이며 어린 시절 외상의 기억을 창조적으로 구성하면서 자기를 수용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승화의 경험을 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연구자는 미술치료사의 관점으로 마그리트의 작품을 생애사 연구에 근거를 둔 전기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그를 이해하는 과정은 미술치료에서 외상환자들이 미술작업 과정을 통해 기억을 재구성하고 자기를 탐색하고 표현하면서 자아의 힘을 기르는 과정에서 고통을 극복하고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태도를 갖는 변화와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르네 마그리트 회화의 광고적 영향

        정무환 ( Moo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이 글은 사실적 초현실주의(Realistic Surrealist) 작가로 분류되는 르네 마그리트(Rene Magritte)의 회화와 당대 광고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한 연구다. 마그리트는 회화에서 오브제의 예상치 못한 결합을 통해 일상의 사물에 감추어진 ``신비(Mystery)``를 드러내는 독특한 조형세계를 추구해 왔다. 마그리트의 미술적 특징을 이러한 오브제(Object)의 결합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시도들이 있어왔는데, 그 중 수지 개블릭(Suzi Gablik)은 고립(Isolation)과 변형(Modification), 합성(Hybridization)을 비롯한 여덟 개의 오브제 결합방법으로 마그리트의 조형방법을 정리한 바 있다. 이 연구는 마그리트의 회화방법론을 현재 제작되고 있는 광고 사례들에 대조, 적용해봄으로써 마그리트의 방법론으로부터 현대 광고가 받은 영향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결과 현대 광고에서 마그리트로부터의 적지 않은 광고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진을 주로 사용하는 현대의 인쇄광고는 마그리트 회화의 오브제 결합법과 스타일을 단순히 콘텐츠로 차용, 모방하는 차원이 아니라 수사법적 공식으로 완벽하게 발전시켜 활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광고에 끼친 마그리트 미술의 영향과 의의를 재조명함은 물론, 미술과 현대광고의 밀접한 상호 영향과 관계성의 한 단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study to specifically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intings of Rene Magritte classified as a ``Realistic Surrealist`` and contemporsry advertising. Magritte has seeked for distinctive molding world to expose Mystery hidden in daily materials through unexpected combination of objet in the paintings. There have been efforts to analyze Magritte`s artistic values focusing this objet combination, and Suzi Gablik has summarized the Magritte`s methodology as eight kinds of objet combination methods, such as isolation, modification, hydrization, etc.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Magrittte Methodology had on contemporary advertising and the meaning by comparing the painting methodology of Magritte with advertising cases produced at present. As a result, the eight kinds of Magritte`s ``objet combination`` methods are still found in the contemporary advertising, which could verify contemporary advertising inherited substantial legacy from Magritte. Especially, Contemporary advertisement to mainly use photograghs surpassed borrowing and imitating objet combination method and style in Magritte paintings as simple contents and perfectly developed and applied into a rhetoric formular. This study could make us not only review the influence Magritte paintings had on the advertising of the times and the meaning but also confirm one side of close mutual influ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modern painting and contemporary advertising.

      • KCI등재

        무의식의 표현을 통해 본 살바도르 달리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비교 분석 연구

        박완용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살바도르 달리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비교 분석을 통하여 무의식의 표현원리와 조형 언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무의식의 표현을 근간으로 하는 초현실주의 작가인 달 리와 마그리트 작품에는 어린 시절에 억압되어 있던 무의식의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 무의식의 표현을 작품의 내용과 양식, 작가가 살아가는 태도와 관련된 특성으로 비교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주제별로 살펴본 주요 작품들의 표현내용에서, 달리는 대상 에 대하여 공격적인 표현으로 적극성을 보인 반면, 마그리트는 관조하는 방식으로 무의식을 표 현하는 소극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둘째, 구도와 색, 형태, 공간의 양식적 조형언어 분석에서 달리는 동적인 구도, 고채도의 난색, 곡선의 형태, 근경과 원경만의 강한 조형어법을 사용한 반 면, 마그리트는 정적인 구도, 저채도의 한색, 직선의 형태, 근경과 중경, 원경을 모두 공간표현 에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이러한 대비는 삶의 태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달리는 자기의 존재 가치와 능력을 과시하는 자기애적 발언과 태도를 보이지만, 마그리트는 우울과 관련된 태도를 보이면서 익명성을 추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unconscious principles of expression and the formative language through comparison between Salvador Dali and Rene Magritte. The surrealist painter Dali and Magritte based on unconscious expression, repeatedly portrayed images of repressed unconsciousness in childhood. This study compared these unconscious expressions by characteristics of style and subject of works and related with their attitude to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ali having the gumption with aggressive expressions in works and Magritte expressing unconsciousness in a negative and contemplative manner after thematicall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ir main works. Second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ir formative languages such as color, composition, form, and space. Dali shows the dynamic composition, the saturated colors, the curved lines, and he only strictly uses close-range view and distant view. Otherwise Magritte shows static composition, depressed and cold colors, straight lines, and he uses near, medium and distant landscapes all in spatial expression. Third, this study confirmed a difference between them on their attitude to life. While Dali shows self-loving remarks and attitudes to show off his value and ability, Magritte pursues anonymity by showing an attitude related to depression.

      • KCI등재

        라캉(Lacan)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르네 마그리트 (Rene Magritte)의 강박증적 회화 작품연구

        원수현,박수정 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적용하여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에서 나타난 강박증적 신경증 이론을 중심으로 해석하였으며, 예술치료 관점에서 치유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첫째, 라캉의 정신분석학적 진단체계 인 정신병, 신경증, 도착증의 세 가지 심리구조 가운데 신경증 범주에 속한 강박증 심리구조에 관하여 살펴보 았으며, 타자의 욕망과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의심하면서 환상을 유지하려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라캉 의 강박증 심리구조 이론을 토대로 르네 마그리트 작품을 분석하였다. 특히 의심하는 팔루스에 의한 불확실 성, 열정과 부인의 양가성을 지니는 성적 억압, 사물화된 대상 a로 표현되는 불가능한 욕망, 모성에 대한 분노에 관한 특성들을 어떻게 승화하는지 고찰하였다. 그리고 소외와 분리, 분열과정에서 나타나는 작가의 주체화 모습과, 이를 대타자의 욕망으로 전환하고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치유 과정을 살펴보았다. 르네 마그리트의 강박증적 작품들은 자신의 삶에 주체가 되지 못하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고, 예술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에도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Rene Magritte's paintings based on Lacanian neurosis and then to consider what therapeutic meaning the obsession of psychoanalytic theory exists from an art therapy perspective. Among the three psychological structures of Lacan's psychoanalytical diagnostic system - psychosis, neurosis, and perversion - we studied the obsessive- compulsive structure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neurosis. The characteristic of this category is maintaining a fantasy by denying the desires and existence of others. We analyzed Rene Magritte's paintings based on Lacan's theory of obsessive-compulsive psychology; primarily observed the process of sublimation in the characteristics of uncertainty represented by the doubtful phallus, sexual repression with the ambivalence of passion and denial, an impossible desire expressed through objectified object a, and anger toward motherhood. We observed the painter, Magritte, in the process of alienation, separation, as well as the breakdown of subjectification, and also the healing process of converting it into others’ desire and subliming it into a work of art. Rene Magritte’s obsessive-compulsive works have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those who are undergoing an identity crisis and will als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forming the groundwork applicable to art therapy.

      • KCI등재

        르네 마그리트 데페이즈망 기법 분석을 통한 초등미술교육 활용 방안 연구

        백윤소 ( Baek Yun S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르네 마그리트의 회화를 해석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페이즈망 발상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데이비드 흄의 관념 연합 원리, 질 들뢰즈와 펠릭스 과타리의 생성과 리좀 이론, 그리스와 현대 철학에서 논하는 시뮬라크르에 대한 상반된 관점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 활용할 목적으로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을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은 일상적인 사물에 대한 복합 관념의 파괴를 통해 감상자에게 이질적인 호기심을 유발시킨다. 이를 위해 마그리트는 흄의 관념 연합의 원리를 의도적으로 전복시킨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흄의 이론과 연계하여 해석한 마그리트의 데페이즈망 전략은 ‘습관적 사고의 전복,’ ‘복제와 시각적 유희,’ ‘이종 간의 결합’이다. 이것들은 각각 인과, 유사, 근접의 관념 연합 원리와 상반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것은 들뢰즈와 과타리의 생성과 리좀, 상사, 그리고 현대 철학적 관점의 시뮬라크르의 개념과 상통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한 데페이즈망 발상 방법은 통상적인 규칙과 현상의 전복, 모방 이미지의 반복적인 사용, 숨겨진 관계에 의한 상이한 사물의 결합을 토대로 ‘규칙과 사물의 속성 흩뜨리기,’ ‘이미지를 모방한 이미지,’ ‘비슷하면서 다른 대상들의 만남’으로 구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paintings of René Magritte and to present the method of dépaysement idea that can be used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o this end, David Hume's the Principle of Association for ideas, the becoming and rhizome theory of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 and the conflicting views on simulacre, discussed in Greek and modern philosophy, were considered throug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dépaysement of Magritte was interpre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épaysement of Magritte evokes a feeling of heterogeneous curiosity to the viewer through the destruction of complex ideas of everyday objects. In this regard, it is confirmed that the Magritte deliberately overthrew the Principle of Association by Hume. Second,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Hume's theory, the strategy of Magritte's dépaysement is ‘abversion of habitual thinking,' 'replication and visual play,' and ‘combination between dissimilarities.’ These are each contrary to causation, resemblance, and contiguity of the Principles of Association. The interpretation is, thus, in line with the concept of becoming, rhizome, similitude, and simulacre from the modern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presenting method of dépaysement idea is 'breaking rules and attribute of objects,' ‘images imitating images' and ‘combination of similar but different objects.' as established by the overthrowing ordinary rules and phenomenon, repeated use of imitated images, and combination of different objects by the hidden relation.

      • KCI등재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에 있어서 소리풍경의 기능

        노시훈(Shihun N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에 잠재된 청각적 이미지가 형성하는 소리풍경이 어떤 기능을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그의 작품 1,957점에 나타난 소리풍경 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악기’, ‘악보’, ‘종․방울’이 주제군을 형성하고, ‘튜바’, ‘악보’, ‘방울’이 각 주제군을 대표함을 알 수 있었다. 콜라주를 통해 작품에 포함된 ‘악보’는 침묵 속에 있는 미술 작품에 청각적 이미지를 불러일으켜 시각이 절대적으로 지배하는 감각들의 위계 체계와 그로 인한 감각기관들사이의 불화를 깨뜨리는 기능을 한다. 마그리트의 아이콘들과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병치 된 ‘튜바’는작품에서 충격과 신비를 불러일으킴으로써 현실에 전복적인 시적 의미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방울’ 은 작품에서 소리풍경의 일상적 존재를 깨닫게 하고 그 이면에 있는 신비를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마그리트의 작품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하는 소리풍경은 초현실주의의 새로운 표현 방식으로서의가능성을 보여준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analyze the function of the soundscapes formed by the auditory images latent in René Magritte's works and examine their mean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undscape elements in his 1,957 works, it was found that ‘instrument’, ‘score’, and ‘bell’ form theme groups, and ‘tuba’, ‘score’, and ‘bell’ represent each subject group. The ‘score’ included in the work through collage functions to evoke auditory images in the art work in silence, breaking the hierarchy of senses absolutely dominated by sight and the discord between sense organs. The ‘tuba’, juxtaposed with Magritte’s icons in an unexpected way, functions to give a subversive poetic meaning to reality by evoking shock and mystery in the work. In the work, ‘bell’ has the function of making us aware of the everyday existence of soundscapes and revealing the mystery behind them. The soundscapes that serve various functions in Magritte's work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a new expressive method of surrealism as a whole.

      • KCI등재

        그림감상에 의한 통찰의 가능성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정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treatment of the fine arts, particularly through the method of painting appreciation by adolescents.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it is significant for the therapist to select the appropriate choice of paintings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the problems of those who are treated. The heart of the study confirms whether there is the possibility of insight by adolescents when they appreciate the paintings of Rene Magritte, a famous surrealism painter, whose work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model of self-healing through the activity of the fine art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 studied on the eighty three articles which deal wit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Rene Magritte and chose his four paintings which implies the factor of ‘insight,’ a way of treatment in the fine arts. Second, after selecting experimental groups of 183 high schoolers and 119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er asked them if they can appreciate something from the four paintings of Rene Magritte with the following of a survey on the evaluation of their appreciation.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although there were more or less different response to the four paintings, everyone felt ‘insight’ from the four painting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no age gap in response to the four paintings, which means not only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the college students were able to appreciate the factor of insight. However, as some of the interesting points, it is discovered that the female students of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feel much more insight than the male students do, and for the college students, the students of the human and social sciences feel more insight than those of the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do. Therefore, the researcher argues that the appreciation of the paintings of Rene Magritte for the case of adolescents provides an opportunity of insight and this way of treatment can be an important method in assisting and supporting the process of the treatment in the fine arts.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그림감상을 활용한 미술치료에 있어, 치료목표와 심리문제에 적합한 그림선택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미술활동을 통한 자기치유의 주요 모델로 여겨지는 초현실주의 화가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감상에 의한 청소년의 통찰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분석으로 이루어진 83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미술치료요인 ‘통찰’이 내재된 그림 4점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작품분석 내용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분류된 그림에 대해 고등학생 183명과 대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한 그림감상 후 평가를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4점의 그림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그림 모두에서 통찰을 느끼고 있으며, 고등학생, 대학생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고등학생, 대학생 모두 남성보다는 여성이 그림에서 통찰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전공에 따른 통찰반응을 살펴보면 이공계와 의학전공보다는 인문사회전공자가 그림에서 통찰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에서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감상은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의 치료과정을 돕고 목표를 이루는데 주요한 방안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크로마키 기법으로 제작된 뮤직비디오의 초현실주의 콜라주 양상

        김대환(Daehwan Kim),석혜정(Hae Jung Su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5

        이 연구는 르네 마그리트의 여덟 가지 오브제 결합방식을 기반으로 초현실주의 콜라주 양식과 크로마키 기법으로 제작된 뮤직비디오 간의 관련성을 고찰한 연구다. 마그리트의 회화는 일상에 존재하는 평범한 오브제들을 고유영역 밖으로 재배치하고 예상치 못한 결합을 통해 데페이즈망(dépaysement)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적 리얼리티 세계를 넘어 절대적 리얼리티 세계인 초현실적 세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그의 회화 원리는 오늘날 이질적 오브제 간의 결합을 통해 비현실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크로마키 기법의 형식 혹은 수사법적 특성과 그 맥락을 함께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그리트의 스타일은 오늘날 크로마키 기법이 사용된 뮤직비디오상에서 빈번히 목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그리트의 미술적 특징을 8가지 오브제 결합방법으로 정리한 수지 개블릭(Suzi Gablik)의 분류법을 바탕으로 현재 제작되고 있는 뮤직비디오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현대 뮤직비디오에서 단순히 그의 회화적 특성을 차용 혹은 외형적 모방을 하는 것을 넘어 또 다른 하나의 영상언어로써 확장 및 적용되어 효과적인 창작 장치로 되살아나고 있다는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정지 이미지 내에서의 오브제 결합법과 뮤직비디오상의 결합법이 서로 상이한 목적성을 띠고 있었으며, 두 번째는 뮤직비디오에서 활용된 오브제 결합법이 단일 기법의 성격뿐만 아니라, 다른 기법의 성질과 중첩되어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결합하는 오브제의 확장 및 다양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크로마키가 사용된 뮤직비디오에 나타나는 초현실주의 콜라주 양상 분석을 통해, 그것의 영향과 의의 그리고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뮤직비디오 제작자들의 표현기법 개발에 영감을 주며 표현 양식의 다양화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mporary music video as a subject that has been expand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that claimed the relevant between Rene Magritte’s paintings and the printed advertisement based on the eight kinds of Magritte’s ‘objet combination’ methods. René Magritte, Who is representative painter in surrealism revealed the surreal world which is beyond the literal reality by relocating an object from its own belonging and trying to combine unexpected objets through his paintings. These days, the principle of his painting is interpreted as a common context with formality or rhetoric of chroma key techniques. And those techniques are shown in music video which includes the chroma key technique frequently. This study analyzed over 100 cases of music videos based on Suzi Gablik’s classification which has categorized the artistic features of Magritte in 8 kinds of objet combination methods. As the result, the music videos in using objet combination method not only imitate Surrealism as a film language, but also surpass its configuration. First of all, objet combination method of static image and moving images in music video is used for the different purpose. Secondly, objet combination methods in Music video was overlapped with other methods. Finally, the object which is combined is expanded and diversified. This study that analyzes the influence of surrealism collage in contemporary music videos, would be helpful to the production of creative music video by giving them inspiration and more expressive motives.

      • KCI등재

        르네 마그리트 작품의 제목 연구

        노시훈(Shihun N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제목을 문법적 차원 및 기능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그 특성을 밝힘으로써 그가 제목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미학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그의 작품 제목의어휘 및 빈도 분석을 토대로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발견된다. 1) 형태․통사론적 특징: 그의제목은 그 어휘빈도가 현대 프랑스어의 그것과 비슷하고, 도구어와 실어를 모두 골고루 사용하고, 성구를 자주 이용하며, 길지 않고 단순하다는 점에서 다른 초현실주의적 제목과 큰 차이가 없으나, 자주 반복된다는 점에서 후자의 제목과 구별된다. 2) 의미론적 특징: 그의 제목은 초현실주의 운동의 우선적가치와 관련된 어휘 대신 ‘외부 세계’와 그에 대한 ‘감각’과 관련된 어휘를 선호한다. 3) 기능적 특징: 그의 제목에서 감정표시적․능동적․메타언어적 기능은 찾기 어렵고, 지시적 기능이 약화한 대신 시적기능이 강화된다는 점에서 그의 제목은 다른 초현실주의적 제목과 유사하나, 시적 기능을 통해 현실적인식을 뒤집는 전복의 미학을 실현한다는 점에서 후자의 제목과 차이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esthetics René Magritte seeks to realize through his titles by analyzing the titles of his works in detail at the grammatical and functional levels and revealing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based on vocabulary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titles of his work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discovered. 1)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His title is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surrealist titles in that its lexical frequency is similar to that of modern French, it uses both function words and content words equally, it frequently uses idioms, and it is not long and simple.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titles in that it is frequently repeated. 2) Semantic characteristics: His title prefers vocabulary related to the ‘external world’ and its ‘sense’ instead of vocabulary related to the priority values of the Surrealist movement. 3) Functional characteristics: His title is similar to other surrealist titles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emotive, conative, and metalingual functions in it, and the poetic function is strengthened while the referential function is weakened. However, it differs from the latter titles in that it realizes the aesthetics of subversion that overturns realistic perception through poetic fun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