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을 위한 다문화 법과 인권교육 프로그램 구성

        김상돈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10 법과인권교육연구 Vol.3 No.2

        현재의 다문화교육은 ‘동화주의’에 입각한 평생교육 차원의 다문화교육과 국제관계·문화적 다양성을 이해시키는 ‘국제이해교육’의 수준에 머물고 있는 학교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으로 이루어지고있다. 즉, 다문화교육이 이주민들의 한국 생활 적응, 문화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인간의 존엄과 가치, 권리와 의무, 평등과 정의 등 법·인권과 관련된 내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주민들이 생활속에서 경험하는 무지, 편견, 차별, 불의, 반인권적 행태에 대한 올바른 대응과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 이주민과 그 아이들이 우리 문화에 잘 적응하게 하기 위한 문화교육과 함께 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에서 일어나는 다문화 구성원과 관련한 법적인 문제는 대부분이 인권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들에게 필요한 법과 인권에 대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은 학교교육이 가지는 다문화교육의 현실과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 개최하는 의례적이고 형식적인 일회성 다문화 행사나 프로그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대응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의 방향은 (1) 교육대상과 요구 중심, (2) 통합교육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즉,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체험 활동 중심의 문화, 법, 인권교육의 내용이 융합된통합교육을 지향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다문화 인권교육의 방법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인종이나 국적 등에 관계없이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보편적인 권리를 지각하게 하고 반차별, 반편견 의식을 배양하는 것은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역량이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다문화 인권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다문화 현상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도 실제로 다문화 인권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과 탐구는 미약했다. 본 연구는 그간 우리의 다문화 교육에서 다양성과 차이의 인정도 중요하지만 이를 넘어 보편적 인권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이 매우 필요함에도 잘 실천 되지 못했다는 점에 근거하여 초등학교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의 방안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권, 인권교육, 다문화 인권교육에 대한 의미, 특성 및 내용을 파악하고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인권교육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을 하였다. 이는 초등학교의 다문화 인권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무엇이고, 어떤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를 도출하는데 토대가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과 및 사회과의 교과교육 활동과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다문화 인권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했는데, 초등학생들이 자신의 생활 주변에서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다문화 인권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인권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을 기르는데 효과적일 수 있도록 다문화 인권을 주제로 한 동화와 공익광고를 활용한 접근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를 도덕 및 사회의 교과활동 시간과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적용하여 최초 아이디어 수준에서 구안한 접근이 실제 다문화 인권교육에서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를 보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는 수정 보완하여 최종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공익광고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의 방안은 실제로 수업을 해 본 결과 초등학생의 경험이나 발달 수준을 고려할 때 매우 효과적인 접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cause to recognize the universal right to cultivate anti-discrimination and awareness of anti-prejudice without regard to nationality or race are very important competencies required as citizens to liv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s essential in school. However, in view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our society, even while recognizing that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in elementary school, there was a few inquiries about how to teach in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some effective methods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arting points are that even though it has been empathized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and diversity in multicultural education, we have failed the practice of universal human rights. In this paper, I firstly explored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and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to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nd I also suggested two methods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One is regarding to utilizing multicultural human right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e other is the narrative approach using human rights textbooks or literatures.

      •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적용 가능한 중학생용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 : 법과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이대성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10 법과인권교육연구 Vol.3 No.2

        급속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맞추어 청소년 대상으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법과 인권교육 실천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 동화주의와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을 넘어선 다문화주의와 세계시민교육 차원에 조준점을 갖고 체험활동 중심의 교육으로 실천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14차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무엇보다도 다문화사회의 청소년을 위한 법과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주목하였다. 다문화교육이 다문화 가정 자녀들과 함께 일반학생들도 필요하며 특히 다문화교육 법령의 이해와 권리보장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법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반편견교육과 상호 이해교육 및 인권보장노력에 초점을 맞추어 인권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통합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토록 함으로써 다문화사회에서 요구하는 법과 인권적 소양과 문제해결력 및 가치태도 함양을 통해 유능한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특히 중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낼 수있도록 관심 주제와 체험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그럼에도 각 프로그램 간의 계열성 문제나 난이도 문제뿐만 아니라 교육적 효과성 연구는 한계점으로 남겨둔다. 향후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법교육과 인권교육 간의 연결고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 인권교육의 정립과 실천과제

        나달숙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7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0 No.3

        세계화로 인해 다문화사회는 우리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다문화사회의 변화근거는 인구구성의 변화 추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다문화사회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인권침해 문제도 증가하여 다문화인권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주민에 대한 인권교육이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이주외국인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주민에 대한 인권교육의 시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성과 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이를 정립하고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다문화인권교육의 실천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인권교육의 기본적 기초원리에 대한 교육을 통한 인간의 존엄성, 평등, 자유, 정의, 평화의 기초가 되는 교육적 철학에 바탕을 둔 인권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인권교육을 통합하는 방식을 통한 다문화인권교육의 실천이 필요하다. 셋째, 실제 발생하는 다문화인권문제의 해결에 대한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실시하되, 분리와 통합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인권교육은 모두를 대상으로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인권교육의 내용 범주와 학생뿐만 아니라 결혼이주자, 이주노동자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 난민 등 관련 인권교육의 대상을 확대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과제실천을 통하여 공동선 실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해양경찰교육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권의식을 매개변수로 하여 -

        이진선,강영숙,오종철,노호래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8 경찰학논총 Vol.13 No.4

        본 연구는 해양경찰교육생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인권의식, 다문화태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해양경찰교육생들의 다문화태도는 평균 4.48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4.19점, 인권의식은 3.63점으로 나타났다. 세 변수 모두 보통수준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세 변수 중 다문화태도가 가장 높았으며, 인권의식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r=.293~.693 사이에서 유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문화태도에 있어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해양경찰교육생들의 입직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3.568, p<.01). 특히 외국어특채와 공채의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외국어특채로 들어온 교육생이 공채로 들어온 교육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평균값을 가진 집단으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외국어특채로 들어온 해양경찰교육생들이 외국어를 배우기 위해 외국에 대해 관심을 갖거나 혹은 외국 여행의 경험이 영향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매개변수인 인권의식과 종속변수인 다문화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즉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1점 높아지면 인권의식이 β값이 .368점 높아지며, 다문화태도는 β값이 .680점 높아진다. 반면, 인권의식은 다문화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있었지만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인권의식이 투입되었을 때 다문화태도는 β값이 .671점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 Coast Guard Trainee, human rights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ttitud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verage multicultural attitude of Korea Coast Guard Trainees was 4.48, 4.19 and 3.63 for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l three variables were higher than normal. Among the three variables, multicultural attitudes was the highest, and human rights awareness was the lowest. Th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between r=.293 and 6.933.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in the multicultural attitude, the backgrounds of Korea Coast Guard Traine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Especial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foreign language and public bond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a higher average of students who entered foreign language classes than those who entered public education. This is believed to have affected Korea Coast Guard Trainee who have entered foreign language specials either interested in foreign languages or their experience in foreign travel. The study'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behavior,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n other words, if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creases by one point, human rights awareness increases by .368, and multicultural attitudes by .680 points. On the other hand, human rights awareness had a direct impact on multicultural attitudes. However, it was found that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oes not play a role as a parameter in its influence on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attitude is β value when human rights consciousness, a parameter, is introduced. It turned out to be 671. The study revealed that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major contributor to multicultural attitudes. Therefore, the authorities of the Korea Coast Guard Training Institute, which is in charge of education of Korea Coast Guard, should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multiculturalism to Korea Coast Guard Trainees. And we need to raise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hrough regular training, not one education.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of Korea Coast Guard Trainee’s human rights is lower than other variables, and the site of human rights abuse is frequently witnessed and occurred in the ocean Therefore, it suggests that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also be conducted to promote awareness of human rights among Korea Coast Guard Trainees.

      • KCI등재

        다문화사회 속의 인권

        이수경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7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0 No.3

        이 글은 2001년부터 일본의 대학에서 다문화공생교육과 인권교육을 가르쳐 온 필자가 그동안 취급해 온 다문화공생사회 및 인권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한일 양국의 인권적 사례를 통해 다문화공생사회를 지향하는 한일 양국의 과제를 고찰한다. 글로벌화와 더불어 국경을 넘나드는 인류의 이동 속에서 다문화 공생사회는 시대적으로 불가피한 현실이다. 그렇기에 그에 걸맞는 사회적 인프라 정비는 물론, 이문화 이해와 다양성 인정을 통해 다문화가 결코 짐이 아니라 사회를 보다 풍요롭게 발전시켜주는 새로운 에너지원이라는 적극적 발상의 인권교육이 수반되어야 한다. 다양한 문화가 교류, 융합 하면서 다이나믹한 에너지 창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모든 사회 구성원이 인권 의식을 갖추도록 효율적 인권교육이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다양함으로 인한 충돌과 혼란을 피하기 위해 개개인의 인권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 개인의 인권 보장이 이뤄지는 다문화공생사회가 구축되어야 바람직한 [더불어 살기]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런 다문화사회 속의 인권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며, 다문화사회를 지향하는 일본 속의 인권문제, 특히 재일동포의 인권사정 및 교육 현황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재우(Han Jae Woo),김용기(Kim, Yong-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19년 04월 1일부터 2019년 5월 15일까지 전라남도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하위 요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의식의 매개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효능감 및 인권의식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육역량, 다문화 교수 효능감 및 인권의식 상호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은 다문화 교수효능감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 및 그 모든 하위요인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직접적으로 다문화 교육역량 그리고 다문화 교육역량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 것을 통해 다문화 교육역량 및 다문화 교육 역량의 하위요인들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 awareness, and then it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it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teaching capability: what would be the results on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The collected data was first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spective children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The Pearson prob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Baron and Kenny’s the three steps parametr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look if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 awareness would be appeare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mpact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ordinate facto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relevant static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the multicultural efficacy, and human rights awareness . it mean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m. Second, human rights awareness of the prospective young children teacher appeared partial mediating effect vetween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rest of all subfactors. It sho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effect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directl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However, it also previws that th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could increa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ppability.

      • KCI등재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인권 교육의 실태 및 과제

        은지용,모경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contents are adequately presented regarding “critique of mono-cultural viewpoints and recognition of the world through a pluralistic viewpoint.” Regarding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lthough contents are adequately covered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more active reading and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for the “communication among cultural groups and formation of cooperative solidarity,” more divers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Second, in terms of “human rights of m inority groups,” content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and respect for multicultural human rights” are adequately covered. However, specific guidance for the types and contents of human rights that are crucial to ethnic m inorities is required. For the “inquiry into the violation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ppropriately reflect the everyday experiences of ethnic minorities. However, more diverse reading materials or inquiry activities are needed. In addition, proper issue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should be presented for inquiry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we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First, based on multicultural human rights, related elem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selected and organized. Second, content elements related to ethnic minority groups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rd, for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textbooks, more detailed curriculum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contents on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of ethnic minority groups may be adequately cover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다문화 인권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Rios & Markus(2011)의 논의를 토대로 다문화 인권 교육 내용을 문화 다양성과 소수 집단의 인권 측면으로 구분하고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다양성’ 측면에서, ‘단일 문화적 관점 비판 및 다원적 관점을 통한 세상 인식’ 항목에서는 내용이 적절히 제시되었으며, ‘문화 다양성 인식 및 문화적 차이에 대한 존중’ 에서는 초・중학교 모두 내용은 적절히 다루고 있으나 읽기 및 탐구 활동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그리고 ‘문화 집단 간 소통 및 협력적 연대감 형성’ 에서는 자료들은 적절히 제시되어 있으나 소재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둘째, ‘소수 집단의 인권’ 측면에서, ‘다문화 인권의 내용 이해 및 존중’ 항목에서는 초・중학교 모두 평등권을 강조하고 중학교 일부 교과서에서 이주민의 참정권을 다루고 있으나, 다문화 배경을 가진 소수자들에게 절실한 인권의 종류 및 내용이 미흡하다. ‘다문화 인권의 침해 문제 탐색’ 항목에서는 초・중학교 모두 다문화 배경을 가진 소수자의 일상적 경험을 반영하고 있으나 이들의 실제적 인권 침해 관행이나 사례와 관련된 다양한 읽기 자료나 탐구 활동이 요구된다. 그리고 ‘다문화 인권 보장 관련 쟁점 탐구’ 에서는 다문화 인권 보장과 관련된 쟁점을 적극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인권 교육의 관점에 기초하여 세부 내용 요소를 체계적으로 선정 및 조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 측면에서, 다문화 배경을 가진 소수 집단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인권의 종류 및 내용, 관련 사례를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셋째, 사회 교과서 개발 측면에서, 다문화 배경을 가진 소수 집단의 인권 침해 사례와 해결을 위한 교과서 개발 준거 및 집필 안내가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유아 다문화인권교육 활동이 인권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향선(Hyang Seon Yoo),최현정(Hyun Jung Cho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유아들에게 적용하고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 다문화인권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분석하여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다문화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하여 S유치원의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다문화인권교육 프로그램을 8주간 16회 실시하였다.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사전과 사후에 유아인권관련 태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인권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Windows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공변량 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권관련태도의 하위 요소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looks at how young children`s human rights attitudes are affect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hat incorporate a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human rights. The study constructed a human infants multicultural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cultural rights. Over a span of 8 weeks, the study conducted 16 times a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To evaluate the effect, the study examined pre-and post-program effect on the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in the young childre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esting for human rights-related attitude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performed 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Analysis of covariance one-way (One-way ANCOVA) was performed on the data using SPSS 15.0. This program looked at whether children`s attitudes toward human rights could be noticeably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lso include toddlers` perceptions of each sub-category of human rights-related attitudes as child elements related to human rights and the fundamental attitudes about rights- equal rights, liberty rights, economic rights, political rights, social rights. It can be seen that young children`s attitudes about all of these areas were positively impacted by the multicultural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외국의 다문화교육의 동향 분석 : 이주민의 인권과 관련하여

        박상준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11 법과인권교육연구 Vol.4 No.1

        이 논문은 우리와 비슷한 상황에서 다문화사회로 진행되었던 외국의 다문화교육의 동향을 고찰하고, 그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프랑스, 독일, 일본은 초기에 동화주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다가 최근에 관점을 전환하여 상호이해교육이나 공생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인권의 관점에서 소수민 권리, 자기 결정권, 문화권을 기본적 인권으로 인정하지 못했고, 자문화중심주의 관점에서 이주민이 고유한 언어, 종교, 문화 등을 버리고 주류 집단의 언어와 문화에 동화되도록 강요하는 한계를 지녔다.이런 고찰의 결과와 논의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같다. 다문화교육의 기본 방향은 동화주의에서 벗어나서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주민의 평등권, 소수민 권리, 문화권 등에 대하여 인권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한국인 일반으로 확대하고,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다양한 이주민의 언어와 문화를 인정하는 다중언어교육과 인권교육으로 확대하고, 외국인 이주민과 자녀의 취업과 승진 등에서 차별없이 평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정책과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