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재인식: ‘무위의 공동체’와 경관분석을 중심으로

        정현일 ( Jeong Hyeon-i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이 글은 장-뤽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La communauté désoeuvrée)’와 경관분석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먼저 김해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정을 살펴봤다. 고대 금관가야의 수도였던 고도(古都) 김해는 역사 유적, 전통시장, 농지가 어우러진 도시였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김해로 흘러든 이주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는 역사와 전통의 도시 김해에 다문화라는 새로운 특성을 일궈냈다. 김해 다문화 공간의 경관은 자연적ㆍ사회적 경계 내에 영역화되어 있었다. 주거지에서는 이주민이 자신의 민족성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선주민과 공존하고 있었다. 번화가에서는 전통상점, 에스닉 상점, 역사 유적이 섞인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이 펼쳐졌다. 이주민은 이곳에서 필요한 물품을 사거나 여가를 즐겼으며, 지인을 만나고 정보를 교환하는 일상을 통해 김해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했다. 특히 선주민과 이주민의 교류가 일상적으로 펼쳐지는 에스닉 상점가는 평화적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체적 장소이자 환대의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무위의 공동체론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함의를 짚어 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 실존은 편위(clinamen)된 존재이자 유한하고 단수적이다. 이러한 인간 실존은 삶을 위해 세계로 외존(exposition)하며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복수성과 공동성을 띤다. 다시 말해 사전적인 규정이나 모종의 동일성, 이념, 표상, 재현과 같은 ‘인위’ 없이도 인간 실존의 양태에 자리한 ‘공동-내-존재’가 무궁무진한 변화를 여는 ‘무위’의 공동체를 도래시킬 수 있다. 김해의 다문화 경관에서 무위와 인위를 읽어낼 수 있다. 김해의 이주민은 단지 자기 삶과 일상을 위해 서로 의존하고 살아갔다. 정책적 지원이나 사전적 규정 없이 일상을 살아가는 ‘공동-내-존재’가 김해 다문화 공간에 생명력과 확장성을 부여했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김해 다문화 공간은 선주민과 이주민이 공존하는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을 보이면서 ‘가야 시대 고도’의 표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장소성을 빚어냈다. 반면 김해구도심을 범죄의 공간으로 규정하는 관과 언론은 다문화 공간의 자생력을 억압하고 긴장과 혐오의 조건을 구축했으며, 지자체의 다문화 관련 조형물은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에 유기적으로 녹아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인간 실존으로부터 다문화 공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김해 다문화 공간에서 조화와 역동성을 읽어냈다. 다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을 제공하는 무위의 공동체는 다중문명의 평화적 공진화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through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La communauté désoeuvrée) and landscape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Gimhae was a traditional city with many historical relics from the ancient era, traditional markets, and farmland. However, since the 1980s,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migrants have been flowing into Gimhae, giving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city a multicultural character. The landscape of Gimhae’s multicultural space was territorialized within natural and social boundaries. In residential areas, migrants coexis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without revealing their ethnicity. In the downtown area, we foun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ith a mix of traditional markets, ethnic markets, and historical sites. Here, migrants went about their daily routine of buying goods, enjoying leisure, meeting acquaintance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is gave Gimhae a new sense of placeness. Especially in the ethnic markets place, exchanges and daily life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were taking place,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peaceful coexistence and a space of hospitality. Next, we analyzed ‘inoperative’ and ‘artificiality’ in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Even without policy support or prior regulations, the daily lives of migrants in Gimhae gave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its vitality and expansion. The naturally formed Gimhae multicultural space constitute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here natives and migrants coexist, and created a placeness that devia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a city of history and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ies and media that characterized Gimhae Old City as a space of crime suppressed the self-generating power of 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d conditions of tension and hatred. The local government’s multicultural sculptures were also not organically integrated into the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the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spaces,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hatred and conflict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the peaceful co-evolution of multiple civilizations through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 KCI등재

        김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재인식: ‘무위의 공동체’와 경관분석을 중심으로

        정현일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이 글은 장-뤽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La communauté désoeuvrée)’와 경관분석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먼저 김해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정을 살펴봤다. 고대 금관가야의 수도였던 고도(古都) 김해는 역사 유적, 전통시장, 농지가 어우러진 도시였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김해로 흘러든 이주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는 역사와 전통의 도시 김해에 다문화라는 새로운 특성을 일궈냈다. 김해 다문화 공간의 경관은 자연적ㆍ사회적 경계 내에 영역화되어 있었다. 주거지에서는 이주민이 자신의 민족성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선주민과 공존하고 있었다. 번화가에서는 전통상점, 에스닉 상점, 역사 유적이 섞인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이 펼쳐졌다. 이주민은 이곳에서 필요한 물품을 사거나 여가를 즐겼으며, 지인을 만나고 정보를 교환하는 일상을 통해 김해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했다. 특히 선주민과 이주민의 교류가 일상적으로 펼쳐지는 에스닉 상점가는 평화적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체적 장소이자 환대의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무위의 공동체론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함의를 짚어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 실존은 편위(clinamen)된 존재이자 유한하고 단수적이다. 이러한 인간 실존은 삶을 위해 세계로 외존(exposition)하며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복수성과 공동성을 띤다. 다시 말해 사전적인 규정이나 모종의 동일성, 이념, 표상, 재현과 같은 ‘인위’ 없이도 인간 실존의 양태에 자리한 ‘공동-내-존재’가 무궁무진한 변화를 여는 ‘무위’의 공동체를 도래시킬 수 있다. 김해의 다문화 경관에서 무위와 인위를 읽어낼수 있다. 김해의 이주민은 단지 자기 삶과 일상을 위해 서로 의존하고 살아갔다. 정책적 지원이나 사전적 규정 없이 일상을 살아가는 ‘공동-내존재’가 김해 다문화 공간에 생명력과 확장성을 부여했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김해 다문화 공간은 선주민과 이주민이 공존하는 독특하고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을 보이면서 ‘가야 시대 고도’의 표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장소성을 빚어냈다. 반면 김해구 도심을 범죄의 공간으로 규정하는 관과 언론은 다문화 공간의 자생력을 억압하고 긴장과 혐오의 조건을 구축했으며, 지자체의 다문화 관련 조형물은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에 유기적으로 녹아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인간 실존으로부터 다문화 공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김해 다문화 공간에서 조화와 역동성을 읽어냈다. 다문화 공간을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을 제공하는 무위의 공동체는 다중문명의 평화적공진화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through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La communauté désoeuvrée) and landscape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Gimhae was a traditional city with many historical relics from the ancient era, traditional markets, and farmland. However, since the 1980s,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migrants have been flowing into Gimhae, giving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city a multicultural character. The landscape of Gimhae’s multicultural space was territorialized within natural and social boundaries. In residential areas, migrants coexis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without revealing their ethnicity. In the downtown area, we foun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ith a mix of traditional markets, ethnic markets, and historical sites. Here, migrants went about their daily routine of buying goods, enjoying leisure, meeting acquaintance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is gave Gimhae a new sense of placeness. Especially in the ethnic markets place, exchanges and daily life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were taking place,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peaceful coexistence and a space of hospitality. Next, we analyzed ‘inoperative’ and ‘artificiality’ in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Even without policy support or prior regulations, the daily lives of migrants in Gimhae gave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its vitality and expansion. The naturally formed Gimhae multicultural space constitute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here natives and migrants coexist, and created a placeness that devia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a city of history and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ies and media that characterized Gimhae Old City as a space of crime suppressed the self-generating power of 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d conditions of tension and hatred. The local government’s multicultural sculptures were also not organically integrated into the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the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spaces,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hatred and conflict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the peaceful co-evolution of multiple civilizations through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나타난 지리적 타자성 : 2000년대 다문화소설을 중심으로

        이미림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다문화적·디아스포라적 상황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다문화사회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문화공간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자국민이 기피하는 3D업종이나 성산업, 돌봄노동 영역에 대체된 이주노동자는 공장주변과 노래방, 클럽, 기지촌 등의 일터와 옥탑방, 쪽방, 컨테이너, 돼지축사를 개조한 방, 재개발지역 등에 모여 산다. , 의 배경인 구로구 가리봉동은 ‘옌벤거리’, ‘작은 중국’, ‘조선족 타운’이라는 명칭처럼 조선족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이산생활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한다. 다문화공간은 낙후하고 지저분하며 위험한 곳으로 소설 결말엔 살인사건이 발생하는 우범지대, 슬럼가, 재개발지로 묘사되고 있다. 의 배경인 이태원은 윤락과 유흥업소가 밀집되어 있으며, 외국인이 많이 모여드는 곳이다. 자신이 머무는 옥탑방과 클럽이 안식처나 휴식처가 되지 못하는 러시아 출신 이주여성인 쏘냐는 애인과 브로커에게 폭행, 금전탈취, 강제섹스를 당하며 고단하고 굴욕적인 이산생활을 한다. 성, 돈, 술, 폭력이 도사린 이곳에서 쏘냐는 성적 욕망의 대상이자 순종적이고 침묵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아시아 여성으로서 다루기 쉬운 초국적 통제대상으로 취급된다. 《나마스테》 는 공장단지인 부천과 고양시 식사동이 공간적 배경이다. 건강권과 주거권을 침해당하는 이곳 역시 허름하고 악취가 풍겨나며 지저분한 재개발지역이다. 두 편의 소설에서는 네팔과 한국, 높고 성스러운 히말라야 산과 낮은 공장단지를 이분법적으로 묘사하면서 차별적이고 편견으로 가득 찬 우리 사회를 고발한다. 이와 같이 조선족 디아스포라 공동체인 가리봉동과 외국인이 밀집되어 있는 이태원, 서울주변 공단지역의 다문화공간은 지리적 타자성을 표상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공간은 비다문화공간과의 경계긋기가 분명하며 ‘그들’만의 문화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약한 장소감과 장소상실을 갖는 이주자는 사회구성원(한국인) 되기와 정주에 실패한다. 쓰레기처럼 방치되어 있고 불결하며 위험하고 공포스러운 다문화공간은 우리 사회의 경계 너머에 위치함으로써 진정한 다문화사회의 도래는 요원하다. The reality of reinforcing multicultural and diaspora situations has been witnessing the progress of multiculturization and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spaces. Being located in the areas of 3D jobs, sex business, and caregiving labor avoided by the Korean citizens, immigrant workers live in groups at job sites such as the surroundings of their plants, karaokes, clubs and military campside towns, dwelling arrangements such as rooftop rooms, single rooms, containers, and pig shed-turned rooms, and in redevelopment zones. Indicated by its titles including “Yanbian Street,” “Little China” and “Joseongjok Town,” Garibong-dong of Guro-gu, which is the backdrop of The Love Song of Garibong and The Lamb Skewers of Garibong, forms a network of Joseonjok diaspora and exchanges and shares information for dispersed life. Deteriorated, dirty, and dangerous multicultural spaces are described as crime-ridden districts, slums, and redevelopment zones where homicide takes place at the ends of the novels. The backdrop of Nine Blue Sonyas, Itaewon is full of prostitution and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and attracts a lot of foreigners. Sonya, who is an immigrant Russian lady, cannot find comfort or rest at her rooftop room and club and is subjected to violence, extortion, and forced sex by her boyfriend and broker. She leads such a hard and humiliating life. She is treated as the object of sexual desire and that of transnational control that can be easily handled as an obedient and quiet Asian woman of Orientalism at this place overwhelmed by sex, money, alcohol, and violence. Namaste and The Elephant have their backgrounds at the plant complex of Bucheon and Shiksa-dong, Goyang, respectively. Violating the health and housing rights, those places are located in shabby and dirty redevelopment zones with an odor. The two novels describe Nepal and South Korea as the high sacred Himalayas and the low plant complex, respectively, in a dual fashion, reporting the South Korean society full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 multicultural spaces in Garibong-dong, the community of Joseonjok diaspora, Itaewon with a dense population of foreigners, and industrial complexes near Seoul represent geographical otherness. In addition, multicultural spaces draw a line from non-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 a culture and space of “their own.” Immigrants with a weak sense of place and loss of place fail to become the members of society(Koreans) and settle down. Dirty, dangerous, and fearful multicultural spaces neglected like garbage are located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society, which makes the advent of true multicultural society a thing of distant future.

      • KCI등재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 탐색

        윤갑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learning space organization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aim, I had interview with 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 experts in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three categories: First was purpose, method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as practices and learning spa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ird was directions of multicultural learning spaces for young childre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the learning space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organize for young children to be able to understand multi-culture with body and mind sincerely. Second, the learning space need to be formed for re-thinking and anti-bias. Third, the learning space need to be designed for emotional empathy and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 Last, the learning space need to designed based on ideas come from teacher’s multicultral attitude and belief. That is, it meant that the learning spa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be designed for making not only social, emotional space but also positive relationship each other beyond space as a physical environment. The results implicated that further research about dynamic multicultural learning process of young children within the learning spaces, re-engineering about learning spaces design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bout learning spaces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유아교사와 유아다문화교육 전문가 총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질문들은 유아다문화교육의 목적과 교수방법 및 내용, 유아다문화교육 실제와 학습공간, 유아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으로 나누어졌다. 그 결과, 유아 다문화학습을 위한 공간은 첫째, 몸과 마음이 만나 진정한 이해를 할 수 있는 공간 둘째, 편견을 깨닫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 셋째, 정서적 공감과 관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공간 넷째,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가 묻어나오는 공간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문화학습 공간은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공간을 넘어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공간으로 유아들이 몸과 마음으로 다문화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생성해내는 공간이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습공간의 틈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유아 다문화학습 과정의 탐색과 학습공간 디자인에 대한 재공학 및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에 대한 비판적 사고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양한 주체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다문화공간의 정체성과 그 담론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다문화작은도서관과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영(Kim, Yoon You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4

        본 연구는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내 위치한 다문화작은도서관과 모두어린이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체자들이 만들어나가는 공간의 정체성을 살피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담론들을 분석한 것이다. 본 글은 저자가 두 도서관의 실제 운영자로 위치해 있으면서 인류학적인 방법인 참여관찰을 바탕으로 자기기술적인 분석 틀을 활용하여 서술한다. 두 도서관은 이주민들이 스스로 자신의 일상을 영위하며 역량을 키워나가는 그들의 주체성과 적극성이 발휘되는 공간이다. 그러나 행정공무원들은 이주민들을 위한 복지정책의 전시효과를 극대화하는 공간으로 도서관을 활용하며, 이주민을 수동적인 복지수혜자로 인식하고 도서관을 하나의 복지시설로 간주한다. 그래서 두 작은도서관은 도서관으로서의 전문성과 이주민 대상의 특수성을 지니며 공공도서관과 복지기관이라는 두 개의 정체성을 애매모호하게 형성한다. 다문화 공간으로서 도서관의 전문성을 일컫는 ‘다문화도서관서비스’ 자체도 총체적 서비스가 아닌 이주민만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축소시키고 있다. 궁극적으로 본 글은 국가복지정책 틀에 사로잡혀 사회기반시설인 다문화도서관이 복지기관으로 전락하고, 고유한 전문성의 발전이 저해되는 한국의 다문화현상을 비판한다. This examines the ways in which diverse people construct the identity of two small public libraries located in Wongok-dong, where the 70% residents are consisted of foreign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bribes and refugees and so other immigrants. Immigrants as the users of libraries make these libraries as their ‘own’ spaces, where they can promote their capacities to make successful lives in South Korea. However local administrators construct these libraries politically and strategically as the tourism attractions to boast about the successful welfare service for supporting immigrants. They consider these libraries as ‘welfare centers’ for supporting only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library services are also considered only as organizing and practicing programs for immigrants. Ultimately this paper proposes the contradiction of multicultural phenomena in South Korea, which these libraries are easily constructed as ‘welfare support center,’ not as the specialized social institution.

      • KCI등재

        다문화공간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차별화

        공윤경(Kong, Yoon-Ky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본 연구는 공간적 관점에서 다문화공간의 형성,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인종, 민족, 국적 등의 차이가 다문화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문화공간을 바라보는 차별적, 이중적 시선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공간은 다양한 인종, 민족, 국적, 언어, 종교 등에 따라, 그리고 외국인 공동체의 사회자본에 따라 공간적으로 세분화, 개별화되고 있었다. 또한 우리사회의 차별과 편견 속에서, 지역적 특성을 보이면서 그 분포를 달리하고 있었다. 외부 세력에 의해 대중적인 장소성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외국인들은 특정 공간, 구체적 장소에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들의 특정 공간 점유뿐 아니라 다른 외부의 힘과 관계망에 의해 공간의 성격은 변화되고 공간 구조는 재구성되고 있었다. 아울러 선망과 배제의 이중적 시선에 따라 또는 상품가치, 시장가치의 논리에 따라 다문화공간에 대한 양극화,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에스니시티와 초국가적 사회공간은 상품화되거나 주변화되고 있었다. 특히 주변화되고 있는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해서는 치안 유지와 더불어 슬럼화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작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문화공간은 아직 수용국 주도적인 위치에 있으며 외국인들의 태도는 대부분 수동적이었다. 따라서 다문화공간이 공생의 공간으로서 지속적으로 생성, 유지되기 위해서는 정체성, 문화 등 상호 인정을 위한 외국인들의 주체적, 실천적 행위와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first, examine the formation,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paces while taking the approach of spatial point; secon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s in race, ethnicity, nationalit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 spaces; and next to, find out about the discriminative, dualistic viewpoint towards multi-cultural spac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spaces are spatially subdivided and individualized according to various races, ethnicities, nationalities, languages, relig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immigrants community as well. While faced with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y are also distributed differently and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Moreover, it was revealed that the outside power built popular placeness or immigrants made social capital and new placeness in the definite space and specific place. In other word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nd spatial structures are reconstructed through immigrants possession on specific place, external forces and networks. In addition, according to dualistic eyes of envy and exclusion or depending on commercial value and market value, multi-cultural spaces are polarized and discriminated. The ethnicity and transnational social spaces accordingly have be commercialized or marginalized. Particularly,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ncurrently maintain the public order in multi-cultural spaces that are being marginalized. Also receiving nation-state takes the lead still about multi-cultural spaces and immigrants take a passive attitude in Republic of Korea. Therefore in order to generate and maintain multi-culture spaces as symbiotic spaces continually, this study indicated that immigrants have to retain subjective activity and practical effort for the mutual recognition of identity and culture.

      • KCI등재

        인종별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공간분포 특성

        민성희,안용진,박정호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ethnic enclaves which are identified spatial clusters at the level of eup-myeon-dong by LISA analysis and binary logit regress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atial distribution of ethnic enclaves significantly vary by their home country. Second, Chinese enclaves are generally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showing high residential ratio of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Third, while Vietnamese enclaves are considerably concentrated in Daegyeong or Dongnam region, Philippine enclaves are along the west side of Korea, especially, ChungCheong and Jeolla region. Lastly, Japanese enclaves are concentrated in SMA and its surrounding areas in Gangwon or Chungnam region revealing relatively high residential ratio of Japanese multicultural family. These results are supported by binary logit analysi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to support social assimil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nhance their living conditions centered on ethnic enclaves in Korea. 본 논문은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출신 국가별 공간분포 특성과 밀집거주지 이주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 관련 지역 공간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광역적 시 · 도 단위로 다문화가족의 분포 현황을 파악한 후 LISA분석을 활용해 미시적 공간단위(읍 · 면 · 동)에서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항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밀집거주지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역적 수준에서 다문화가족이 형성하고 있는 밀집거주지는 출신 국가별(중국 조선족, 중국 한족 등 기타 민족, 베트남, 필리핀, 일본)로 차별화된 공간적 입지 특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중국인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는 높은 밀집 거주율을 보인 반면, 베트남 다문화가족은 대경 · 동남권에 높은 밀집 거주율을 보였다. 이외에 필리핀 다문화가족의 경우 충청권 및 전라권에 밀집거주지 분포패턴을, 일본 다문화가족의 경우 중국 다문화가족과 유사하게 주로 수도권과 인접 지역에 높은 밀집 거주율을 확인하였다. 이항 로짓모형에서의 분석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다문화가족 정주화 현상의 가속화 추세를 감안했을 때,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다양한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 공간분포 특성과 거주지 결정요인은 향후 다문화가족의 주요 정주공간으로서 밀집거주지 관련 공간 · 지역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다문화 공간 스토리텔링을 위한 향유자 인식 연구 : 소셜미디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윤희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consumers’ cognition embedded in discourses regarding Korean multicultural space, by conducting the social medial sentiment analysis. The multicultural space, a place in which a variety of nations, languages, religions and cultures are mingled or the ethnicity of immigrants staying in Korea is strongly manifested, is a fluid space which is formed by immigrants and produces their identity and even commoditizes it. Such a space where the exchange among various subjects including immigrants, multicultural policy officers, non-immigrants, tourists, etc. occurs aims for the communication among the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spatial stories intended by space producers are told. This study drew the network relationship by collecting the unstructured data about Seorae Village and Daerim-dong in Seoul, Multicultural Stress in Ansan and Dongsang-dong, Kimhae-si in Gyeongnam, which were issued by a Naver blog in 2019, and analyzed the discourses about each space by conducting a sentiment analysis. This is an analysis on texts recreated by enjoyers and the Korean society’s discourse regarding the spaces. The findings, the real results derived from non-immigrants’ perspectives on the Korean multicultural spaces, can be used as strategies for the future storytelling about multicultural spaces.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감성 분석을 통하여 국내 다문화 공간 관련 담론에 내재된 공간 향유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문화 공간은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 문화가 혼재되거나 국내 체류 이주민의 에스니시티가 강하게 표출되는 장소로 이주민에 의해 형성되고 이주민 정체성을 생산하며 생산된 이주민 정체성을 상품화하기도 하는 유동적인 공간이다. 이주민, 다문화 정책 담당자, 비이주민, 관광객 등 다양한주체의 교류가 일어나는 다문화 공간은 이들 간의 소통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간 생산자가 의도한 공간의 이야기가 어떻게 이야기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서래마을, 서울 대림동, 안산 다문화거리, 경남 김해시 동상동 일대를 대상으로 2019년 네이버 블로그에 발행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 관계를 도출하고 감성분석을 통해 각 공간에 관한 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는 향유자가 재창조한 텍스트에 대한 분석으로 해당 공간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이주민이 국내 다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현실 그 자체로 향후 다문화 공간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전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이미림(Lee, Mi-R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현대소설연구 Vol.- No.61

        이주와 다문화현상이 뚜렷한 우리 사회에 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2세, 한민족 이주자,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자의 삶이 문학 속에서 재현되고 있다. 그동안 다문화소설연구는 재현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에 치우친바 본고는 서사구조, 갈등양상, 이주자 묘사 및 상징기법, 공간적 특징 등 형식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서사구조는 1990년대 여행서사와 2000년대 이주서사가 결합된 ‘디스토피아적 여행서사’ 구조를 지닌다. 동화와 소외, 억압과 폭력이 중심주제인 다문화서사는 탈북디아스포라와 이주여성이 등장하는 인신매매·이주매춘서사, 결혼이주여성이 출현하는 여성수난(잔혹)서사, 이주노동자가 나타나는 에스닉노동·제노포비아서사 그리고 다문화가정 2세의 성숙을 그린 다문화성장서사 등 다채로운 서사구조를 지님으로써 소설지형을 넓히고 있다. 둘째, 갈등양상에 있어서는, 자국민과 이주자의 시선이 교착되고 있다. 자국민은 이주자에 대해 차별적·배제적·폭력적인 태도를 지녔고, 풍문으로 전달된 사실로 판단하고 왜곡하며 자의적·주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이주자 역시 자국민의 배타적 민족의식, 이중적 잣대, 계급주의적 태도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이러한 갈등은 사회적 불화를 야기하며 타국의 관습, 언어, 음식, 의상 등을 조롱하고 멸시함으로써 문화혼종성을 수용하지 않거나 문화평등주의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이주자 정체성은 타자이자 주변부, 소수자로 표상된다. 이주자는 떠돎과 부유(浮遊), 섞임과 혼종성, 연약하고 위험함, 에스닉, 공동체 바깥을 의미하는 동물, 외래종 식물로 은유된다. 나비, 새, 물고기, 찔레꽃, 민달팽이, 개, 해파리, 사과배, 핑궈리, 파프리카, 크로아티아장미 등으로 표상되거나 인형, 유령, 시체, 벌레 같은 비인간적·비역사적·비현실적 존재로 그려진다. 넷째, 이주자의 주거지와 일터는 비다문화공간과 경계 지어지는 ‘그들’만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거주는 하층계급이자 집값이 낮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혐오감, 위험과 낙후성, 공포, 범죄발생가능지역으로 표상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재현공간으로는 이주민센터, 한글학교, 다문화센터 등이, 이주노동자의 공간으로는 노동환경인 가구공단지역과 여인숙, 쪽방, 컨테이너박스, 옥탑방, 재개발지역이, 탈북디아스포라서사에서는 국경, 수용소, 난민보호소, 하나원이 배경이 된다. 탈국경상황이 전개됨으로써 해외로 문학공간이 확장되며 다문화센터, 하나원, 접경지대 같은 새로운 장소들이 등장한다. 다문화소설은 이분법적이고 도식적인 인물유형에서 벗어나 이주자의 내면심리와 디테일한 이주생활을 통해 불편하고 불안한 삶이 구체적으로 그려져야 하며 이방인의 목소리를 위해 이주자 출신 작가가 배출되어야 한다. 또한 21세기 우리 소설의 한 장르로 자리 잡을 것이기에 다양한 소재를 바탕으로 깊이 있는 주제의식과 문학적 수사가 요구된다.

      • KCI등재

        다문화 공간과 타자성 사유 방식- 한국계 해외입양인 소설을 중심으로

        장미영(Jang Miy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본 연구는 한국계 해외입양인(Korean overseas adult adoptee) 주인공 소설을 대상으로,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회적 소속감에 기반하고 있는 개인 정체성 개념의 문제점을 짚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정체성에 대한 기존의 인식들을 해체하며 정체성의 재-개념화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고의 작업은 아직까지 한국 사회에 강하게 버티고 있는 자민족 중심의 배타적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문화 중심의 공동체적 삶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의미가 있다. 한국계 해외입양인(Korean overseas adult adoptee)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소설은 태생적으로 타자성, 외부성, 소수성을 사유할 수밖에 없는 다문화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 공간이란 제노포비아(xenophobia)를 비롯한 각종 인종차별과 문화충돌 문제 등 다양한 현실적 갈등이 존재하는 곳이다. 이러한 다문화 공간에서의 삶이 보다 개선되고 보다 바람직한 건강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단일문화 공간에서의 삶과는 다른 새로운 대안적 모색이 필요하다. 한국계 해외입양인(Korean overseas adult adoptee)은 출생지의 문화와 입양지의 문화 간 차이뿐만 아니라 태어난 곳과 자란 곳 각각의 민족적 또는 국가적 삶의 방식이 상호 다르다는 것을 가장 먼저 외모에서부터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존재이다. 이로써 한국계 해외입양인은 자기 문화와 타자의 문화, 자기 삶의 방식과 타자로서의 삶의 방식과 같은 이분법적 세계로부터 벗어나 어느 한쪽에 깃들 수 없는 경계인(boundarian)의 입장을 갖는다. 한 사람의 정체성은 서로 다른 배합에 따라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여러 요소로 만들어진다. 정체성은 시대적 요구나 생애 주기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둘 이상의 복수 소속을 가진 경우는, 여러 가지 소속이 한 사람 안에서 융합되어 또 다른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개인의 정체성이 단순하게 한 집단에 소속되는 것만으로 정의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국경을 넘는 이주가 세계적으로 활발한 오늘날, 많은 이들의 정체성은 국가나 민족, 인종이나 종교만으로 단순히 규정될 수 없다. 인간의 삶은 애착을 가질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 속에서 정신적인 변화를 겪고, 자신이 몸 담고 있는 공간 속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받으며 새롭게 갱신되어 나가는 여정이기 때문이다. 전지구적 이주가 보편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 사회는 다문화의 소통과 공존을 위한 새로운 사유 방식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계 해외입양인소설을 통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재고를 위해 적극적이고도 실천적인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point out problems in the concept of an individual identity that is based on the social sense of belonging generally today aimed at novels whose heroes or heroines are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Accordingly, this paper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re-conceptualization of an identity while breaking down existing perceptions about an identity. Such a job in this paper is to offer the possibility of new reasoning concerning a new communal life focused on multi-culture by overcoming the ethnocentric exclusive way of life that still exists stubbornly in Korean society. Novels in which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appear as heroes or heroines have a background of a multi-cultural space that cannot help but have reasoning otherness, externality, and minority attributes inherently. A multi-cultural space is a place where various realistic conflicts involving various types of racial discrimination such as xenophobia and cultural conflicts exist. In order to have a life in such a multi-cultural space further improved and to obtain more desirable soundness, it is necessary to seek a different new alternati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life in the existing single cultural space.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are beings who cannot help but admit to not only a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e of their birth places and the culture of their adopted places but also the fact that each of the ethnic or national life patterns of their birth places and growing places are mutually different beginning from their appearance. In this way,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should be in a position of a boundarian who is very likely not to lean on any side while avoiding a dualistic world such as their culture or another’s culture and their lifestyles or another’s lifestyles. This is because In order for them to live a healthy life, prejudice against and bias about otherness and other cultures should be as little as possible. An identity of one person is made by various factors that create an identity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 identity becomes also different by the demand of the times or a life cycle. In case of having more than two belongings, various belongings are converged in one person, thereby creating another identity. Therefore, so as to solve an identity issue, there is a need for perceiving that an identity of one person is not defined simply by belonging to one group. Today, in which Immigration over borders occurs very actively, the identities of many people cannot be simply defined only by country, ethnicity, or race. The life of a human experiences mental change in valuable things that are worthy to be attached affectionately. Also, it is an itinerary on which a person receives effects consistently in a space where he or she belongs, and keeps being renewed. At this point when global immigration has become common, it is imperative to have a new type of reasoning for communications and coexistence of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Subsequently, this paper is to discover practical implications to propose a direction of a new perception about multi-cultural space through novels about Korean overseas adult adopt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