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도시적 공공미술

        정현일(Jeong, Hyeon-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9

        근대도시는 감당할 수 없는 환경부하로 발생하는 생태문제와 불가분의 관계다. 이 같은 반(反) 생태적 근대도시의 한계를 극복하는 시도로 생태도시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실의 생태도시는 녹색의 건조환경과 관계된 것으로만 인식될 뿐 그에 맞는 사회적 구축을 고려하지 않아 현실적 대안이 되지 못했다. 도시가 주민들의 사회적 실천으로 만들어지는 집합적 ‘작품(oeuvre)’이라는 점에서 생태도시의 사회적 구축은 필수적이다. 이 글은 생태도시의 사회적 구축을 위해 공공미술에 주목하고 둘의 결합을 제안한다. 특히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은 사회적 참여를 이끌어내 공공성을 마련하고 공동체와 사회를 만드는 힘을 지니고 있다. 우린 먼저 생태와 예술의 관계를 확인하고 생태도시와 공공미술의 결합 가능성과 조건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근대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생태도시와 공공미술의 핵심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궁극적으로 생태도시와 공공미술을 결합한 ‘생태도시적 공공미술’을 제안했다. 생태도시적 공공미술은 생태도시의 사회적 구축을 통해 대안적 도시로서 생태도시를 현실로 만들 것이다. Modern city is inseparably associated with ecological problems caused by ruinous environmental load. Eco-city gains attention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s of anti-ecological modern city. However, this city is perceived as being related with green built environment in reality, yet it has not been a real alternative as it did not consider appropriate social constructi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eco-city is essential in that city is a collective ‘oeuvre’ formed by social practice performed by residents. This paper focuses on public art for the social construction of eco-city and proposes the combination of both models. In particular, new genre public art possesses the power to induce social participation, form publicity, and create the community and society. It ide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ecology, the possibility, and condition of integrating eco-city with public art. Then it compared and reviewed the core features of eco-city aiming for overcoming the limits of modernity, and thereby ultimately proposed “eco-urban public art” formed by integrating eco-city with public art. This eco-urban public art will construct the eco-city society and make it real as an alternative city.

      • KCI등재후보

        원도심 도시재생의 공간유형: 부산 원도심 도시재생의 경관분석을 중심으로

        정현일 ( Jeong Hyeon-il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20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원도심 도시재생의 다양한 공간유형과 이들 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원도심 도시재생 공간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경관분석을 수행했다. 먼저 부산 원도심의 자연경관과 문화경관을 분석하고 원도심 도시재생 공간에 대한 다양한 시선과 개입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원도심 도시재생의 불균등한 효과로 인한 원도심 도시재생의 다양한 공간유형을 확인했다. 첫째는 주민 소외가 나타나는 스펙타클 공간으로 상업경관을 보여주는 소비공간과 벽화경관을 보여주는 전시공간이 나타났다. 둘째는 주민의 일상과 삶이 나타나는 일상생활공간으로 생활경관과 안전경관이 나타났다. 셋째는 폐가가 나타나는 유기공간으로 폐가경관이 나타났다. 이들 공간유형은 각각 고유한 입지, 경관, 공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이들 공간유형으로부터 ‘가난의 낭만화’를 실현하는 외부자 시선, ‘선택과 집중’을 실현하는 외부자 접근성이라는 원도심 도시재생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했다. 결론에서는 원도심 도시재생과 포용적 도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ous spatial patterns of old downtown urban renewa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se spaces.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Busan’s old downtown urban renewal spaces and has also implemented landscape analysis. Firstly, this study analyzed the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Busan's old downtown and examined the existence of various gazes and interventions on Busan's old downtown urban renewal spaces. Next, this study has identified various spatial patterns as a result of the uneven effects of old downtown urban renewal. First was the space of spectacle, which features the alienation of residents, and shows the consumption space that portrays a commercial landscape, as well as the exhibition space that portrays the mural landscape. Second was the space of everyday life, which features the residents’ everyday lives, and shows the lifestyle landscape and the safety landscape. Third was the deserted space which features deserted houses, and shows deserted house landscapes. Each of these spatial patterns showed unique location conditions, landscapes and spatiality. Subsequen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old downtown urban renewal from these spatial patterns─ the outsiders’ gaze of realizing the “romanticization of poverty” and the outsiders’ accessibility to realiz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The conclusion suggests some implications of old downtown urban renewal and inclusive cities.

      • KCI등재

        김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재인식: ‘무위의 공동체’와 경관분석을 중심으로

        정현일 ( Jeong Hyeon-il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4 사회사상과 문화 Vol.27 No.1

        이 글은 장-뤽 낭시의 ‘무위의 공동체(La communauté désoeuvrée)’와 경관분석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특성과 의미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먼저 김해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정을 살펴봤다. 고대 금관가야의 수도였던 고도(古都) 김해는 역사 유적, 전통시장, 농지가 어우러진 도시였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김해로 흘러든 이주노동자, 유학생, 결혼이민자는 역사와 전통의 도시 김해에 다문화라는 새로운 특성을 일궈냈다. 김해 다문화 공간의 경관은 자연적ㆍ사회적 경계 내에 영역화되어 있었다. 주거지에서는 이주민이 자신의 민족성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선주민과 공존하고 있었다. 번화가에서는 전통상점, 에스닉 상점, 역사 유적이 섞인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이 펼쳐졌다. 이주민은 이곳에서 필요한 물품을 사거나 여가를 즐겼으며, 지인을 만나고 정보를 교환하는 일상을 통해 김해에 새로운 장소성을 부여했다. 특히 선주민과 이주민의 교류가 일상적으로 펼쳐지는 에스닉 상점가는 평화적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체적 장소이자 환대의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무위의 공동체론을 통해 김해 다문화 공간의 함의를 짚어 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인간 실존은 편위(clinamen)된 존재이자 유한하고 단수적이다. 이러한 인간 실존은 삶을 위해 세계로 외존(exposition)하며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복수성과 공동성을 띤다. 다시 말해 사전적인 규정이나 모종의 동일성, 이념, 표상, 재현과 같은 ‘인위’ 없이도 인간 실존의 양태에 자리한 ‘공동-내-존재’가 무궁무진한 변화를 여는 ‘무위’의 공동체를 도래시킬 수 있다. 김해의 다문화 경관에서 무위와 인위를 읽어낼 수 있다. 김해의 이주민은 단지 자기 삶과 일상을 위해 서로 의존하고 살아갔다. 정책적 지원이나 사전적 규정 없이 일상을 살아가는 ‘공동-내-존재’가 김해 다문화 공간에 생명력과 확장성을 부여했다.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김해 다문화 공간은 선주민과 이주민이 공존하는 독특하고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을 보이면서 ‘가야 시대 고도’의 표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장소성을 빚어냈다. 반면 김해구도심을 범죄의 공간으로 규정하는 관과 언론은 다문화 공간의 자생력을 억압하고 긴장과 혐오의 조건을 구축했으며, 지자체의 다문화 관련 조형물은 혼종적인 다문화 경관에 유기적으로 녹아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인간 실존으로부터 다문화 공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김해 다문화 공간에서 조화와 역동성을 읽어냈다. 다문화 공간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선을 제공하는 무위의 공동체는 다중문명의 평화적 공진화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through Jean-Luc Nancy’s Inoperative Community(La communauté désoeuvrée) and landscape analysis. We first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Gimhae was a traditional city with many historical relics from the ancient era, traditional markets, and farmland. However, since the 1980s, migrant workers, international students, and marriage migrants have been flowing into Gimhae, giving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city a multicultural character. The landscape of Gimhae’s multicultural space was territorialized within natural and social boundaries. In residential areas, migrants coexis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without revealing their ethnicity. In the downtown area, we foun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ith a mix of traditional markets, ethnic markets, and historical sites. Here, migrants went about their daily routine of buying goods, enjoying leisure, meeting acquaintances, and exchanging information. This gave Gimhae a new sense of placeness. Especially in the ethnic markets place, exchanges and daily life between natives and migrants were taking place,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peaceful coexistence and a space of hospitality. Next, we analyzed ‘inoperative’ and ‘artificiality’ in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Even without policy support or prior regulations, the daily lives of migrants in Gimhae gave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its vitality and expansion. The naturally formed Gimhae multicultural space constituted a unique and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where natives and migrants coexist, and created a placeness that deviat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a city of history and tradition’.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ies and media that characterized Gimhae Old City as a space of crime suppressed the self-generating power of multicultural spaces and created conditions of tension and hatred. The local government’s multicultural sculptures were also not organically integrated into the hybrid multicultural landscape. In conclusion, this article has shown the possibilities of multicultural spaces, the conditions for overcoming hatred and conflict in multicultural societies, and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the peaceful co-evolution of multiple civilizations through the Gimhae Multicultural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