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장품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의 다감각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최형욱 ( Choi Hyungwook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스토어 공간의 다감각 환경은 화장품 플래스쉽 스토어의 이미지와 구매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다감각 환경 특성에 대한 세부적인 항목 및 요소,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한 영역이다. 화장품 플래그쉽 스토어는 소비자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 구매의 중요한 장소로써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간에서 구매자가 느끼는 다감각적 자극 요인은 구매에 있어 중요한 사항인 분위기 형성과, 구매 극대화, 브랜드 선호도 증진과 직결되는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대표적 화장품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를 대상으로 다감각 항목 및 세부요인에 대하여 분류하고 분석하여 세부적으로 분위기 및 구매,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하여 결과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화장품 브랜드 중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한국소비자원의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2019년 화장품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상위 6개 브랜드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스토어 공간의 구성에 대한 분석과 다감각 요소별 분석을 진행하여 분위기 및 구매,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리커트 척도법에 의한 5점 척도 평가를 적용 및 분류하여 등간적, 비율적 평가를 챠트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결과)분위기 요인에 있어서는 시각 기반의 컬러와 밝기와 촉각 기반의 촉감 및 재질이 상위의 영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중위의 영향성을 나타낸 요인은 시각 기반의 크기와 후각 기반의 향기로 분석되었다. 또한 하위의 영향성을 나타낸 요인은 후각 기반의 음악 소리 및 온도 및 습도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화장품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에서 다감각환경 특성은 오감의 각 요인별로 분위기 및 선호도, 구매에 영향을 미치었고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의 브랜딩 스케이프 및 아이덴티티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종합되었다. (결론) 화장품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은 구매자의 인체 측면의 다감각환경 특성에 의하여 매장 공간 분위기 및 브랜드 선호도, 구매에 있어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 종합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체 여러 감각기관을 통하여 얻어지는 결과는 향후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와 구매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으며, 따라서 구매 효과를 높이는 공간 디자인과 창의적인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마케팅을 극대화 하는데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중요한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of store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mage and purchase of cosmetics flagship stores. Therefore, the study on the detailed items, elements, and factors of multisensor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Cosmetic flagship store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place for product purchase based on consumer experience, so multi-sensory stimulus factors felt by buyers in spa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tmosphere, maximization of purchase, and promotion of brand preference, which are significant matters in purch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analyze multi-sensory items and detailed factors for representative cosmetics brand flagship stores in Korea and abroad, and to present the results of the effect on the atmosphere, purchase, and preference in detail.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the top six brands with high recognition of cosmetics brands in 2019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Korea Cosmetics Industry Research Institute and the Korea Consumer Agency among domestic and foreign cosmetics bran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the store space and the analysis of multi-sensory elemen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atmosphere, purchase, and preference were applied and classified using the Likert scale. (Result) In the atmosphere factor, it was analyzed that the visual color, brightness and tactile sense, and material had the main influence, and the factors that showed moderate influence were analyzed as the size of the visual base and the smell based scent.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showed the least influence were the sound of music, temperature, and humidity, based on the olfactory sense. As such,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the cosmetics brand flagship store space have an effect on the atmosphere, preference, and purchase of each factor of the five senses, and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ingscape and identity formation of the cosmetics brand. (Conclusion) In summary, the space of the cosmetics brand flagship store has a very high impact on the store space atmosphere,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by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various human sensory organ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age and purchase of the brand in the futur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it actively to maximize marketing by presenting space design and creative experience programs that enhance the purchasing effect.

      • KCI등재

        다감각스토리텔링 기반의 활동중심중재가 뇌성마비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 ( Eun-jung Lee ),권해연 ( Hae-yeon Kwon ) 한국감성과학회 2021 감성과학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를 적용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유사실험연구로 단일눈가림, 두 집단 사전-사후검사로 설계하였고, 경직형 뇌성마비로 진단받고, 대동작기능분류체계(GMFCS) Ⅰ~Ⅲ단계에 속하는 7~8세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 12명씩 무작위 배정하고 아동과 보호자는 집단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집단별 프로그램은 회기당 60분, 주 2회, 8주간, 총 16회기 동안 진행되었고, 실험군은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를 하였고, 대조군은 구조화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중재 전과 후에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또래관계기술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for windows (IBM Corp,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또래관계기술의 집단 내 변화는 윌콕슨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확인하고, 두 집단 간 변화량 차이의 비교는 맨휘트니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기술의 집단 내 변화에서 또래관계기술의 전체 값과 하위평가의 협동과 공감영역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주도성 영역에서는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간 변화량 차이에서 또래관계기술의 하위평가의 주도성영역과 전체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협동과 공감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를 적용하여 또래관계기술에 유의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다감각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활동중심중재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how a multisensory storytelling-based activity-based intervention affects social intera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 a quasi-experimental investigation, this study used a single-blind, two-group pre-post test design. This study comprised 24 children aged 7 to 8 y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were classified as having GMFCS stages I to III. Twelve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neither the children nor their guardians knowing which group they were placed in. The group program comprised 16 sessions of 60 min each,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an activity-centered intervention centered on multisensory storytelling, whereas the control group engaged in structured physical activity. The activ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peer relations skills scale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social interaction had changed prior to and during the child’s intervention. The SPSS 25.0 for Windows (IBM Corp, USA) applicat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significance level (α)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set to 0.05. Furthermore, the Wilcoxon Signed-Rank and Mann-Whitney U tests were us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otal of the peer relationship skill scale and cooperation and empathy areas of the subtest in the intragroup change of the peer relationship skill scal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tive area, whereas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itiative area and total of the subtest of peer relationship skill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llaboration and empathy areas. We gave a multisensory storytelling-based activity-based intervention based on multisensory storytelling to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sa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eer relationship skills. It may be propo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struggle with social contact.

      • KCI등재

        다감각환경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의 경향: 체계적 고찰

        조은희,송현은,유두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7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s of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linical applications, and to aid South Korean research on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Methods : PubMed, Cochrane, and Google Scholar were used to search for paper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The main search terms were “multisensory environment” and “snoezelen”, A total of 10 foreign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 Results : Among the 10 papers, 6 included participants with dementia. The other studies examined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pregnant women. The study periods ranged from 3 weeks to 10 months. Most of the interventions included 2 or 3 sessions per week. The duration of each intervention session was 30 to 60 minut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social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and physical domains.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used for the interventions in the studies consisted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s, as well as additional olfactory and taste sensations, and vestibular sensations. Conclusion : In the future, the research should be applied to various target groups, especially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multisensory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 South Korea. 목적 : 다감각환경 중재에 관한 효과를 연구한 국외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용 시 정보를 제공하고, 국내 다감각환경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Cochrane, Google scholar을 이용하여 2008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multi-sensory environment,‘snoezelen’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국외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에 따라 정리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 중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지적장애, 정신분열증, 임산부를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3주에서 10개월로, 주 2~3회기의 중재가 대부분이였고, 회기별 중재시간은 30~60분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으로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과 삶의 질과 같은 사회적 요인, 인지적, 신체적인 영역에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중재로 사용된 다감각환경은 시각, 청각, 촉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외의 후각과 미각, 전정감각 등이 추가적으로 제공되었다. 결론 : 앞으로 국내에서는 다감각환경 중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대상군 특히, 아동에게 적용해 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치매 노인의 다감각환경 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박보라 ( Bor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치매 노인에게 다감각환경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고찰 방법으로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cience ON을 포함한 2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선별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감각환경 중재는 1:1이 4편(80.00%), 기간은 8주, 12주가 각 2편(40.00%), 총 회기는 24회기가 2편 (40.00%)이었다. 다감각환경의 중재 결과 감각은 시각, 청각, 후각이 전체 연구에 적용되었고, 효과성에 대한 평가도구는 신경정신행동검사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치매 노인에게 다감각환경 중재 적용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study applying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a systematic review. Using two databases including Science ON, a total of 5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4 studies (80.00%) of 1:1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 2 studies (40.00%) each for 8 weeks and 12 weeks, and 2 studies (40.00%) for 24 sessions in total.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of the multisensory environment, the senses were applied to the whole study in terms of visual, auditory, and olfactory sens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neuropsychiatric behavior test was mainly used as an evaluation tool for effective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program for the application of multisensory environment intervention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 KCI등재

        노인 치매예방을 위한 커뮤니티무용의 다감각환경(multisensory environment)적 접근 가능성 탐색

        차은주,김지영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5

        이 연구는 노인 치매예방을 위한 커뮤니티무용에 다감각환경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 전문가회의를 실시하여 다감각환경 기반 노인 커뮤니티무용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감각환경 기반 커뮤니티무용은 노인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감각도구, 감각자극 무용프로그램이 실천되는 의도적인 공간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다감각은 시각, 촉각, 후각, 청각, 미각뿐만 아니라 운동감각의 전정감각, 고유수용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노인의 상태특성에 적합한 커뮤니티무용의 순서, 방향, 높낮이, 회전, 속도 등을 적용한 움직임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프로그램은 공간, 무용프로그램, 지도자 요소의 상호작용적 구조에서 감각 세션별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노인 치매예방을 위한 무용의 유형별, 종류별 논의에서 나아가 환경적 접근방안을 토대로 노인 커뮤니티무용의 이론적 틀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how multisensory environments in community dance may prevent older people from suffering from dementia. Initial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reviewing references and holding meetings with subject matter experts. The proposal was a multisensory environment-based community dance for older people and related program contents. Results showed that first of all, intentional spatial approach involving multisensory environmental factors is needed to enhance the effects of community dance for older people, and multisensory environment-based community dance for older people should consist of contents fit for visual, touch, smell, auditory, vestibular senses, and proprioceptive stimulus. In addition, it needs to be designed with sensual stimuli considering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status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Secondly, movement factors applied with order, direction, height, rotation, and speed of community dance fit to their status characteristic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o multisensory environmental stimulus factors. This has suggested a theoretical frame of multisensory environment-based community dance for older people.

      • KCI등재

        다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오혜원,김고운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Purpose : This study provided multi-sensory play therapy programs for 15 ADHD children to find out their effects on attention and learning ability. Methods : A total of 12 times in 6 weeks and 50 minutes twice a week. The FAIR concentration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was evaluated using K-ABC to identify the ability to learn. Results : ADHD children's attention and learning ability have improved, and this has positive effect on ADHD children's attention an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Conclusion : multi-sensory play therapy program showed that it is a positive intervention method for ADHD children's attention and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o challenging activities, it has been possible to elicit children's interest by providing a variety of senses at the same time, and is believed to have motivated them internally to engage actively. 목적 : 본 연구는 ADHD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다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 및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 6주 동안 총 12회, 1주일에 2회 50분씩 실시하였다. FAIR 주의집중력 검사는 중재 전후의 주의집중력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학습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을 식별하기 위해 K-ABC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결과 : 중재 후 주의집중력과 학습능력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다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 따라서, 다감각놀이치료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과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중재 방법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아동에게 도전 가능한 활동과 더불어 다양한 감각을 동시에 제공하여 아동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었으며, 내적 동기를 부여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다감각매체를 활용한 치료적 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이선영,남영옥,김수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다감각 매체를 활용한 치료적 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만 5세 유아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다감각 매체를 활용한 치료적 미술교육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검사, 정서 지능 평정 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처리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감각 매체를 활용한 치료적 미술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의 2가지 하위 변인과 정서지능의 6가지 하위변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urveyed 39 children, all 5 years of age, to ascertain how therapeutic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multisensory media influence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o conducting the activities, the study employed a self-esteem test and an emotional intelligence composure criterion test as its research tools. An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used in analyzing pre-and post-test data Findings reveal that the therapeutic art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multisensory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 2 subordinate variables of childrens' self-esteem(selfacceptance, cognitive competence) and 6 subordinate variable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utilization of emotion, empathy,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relationship with peers).

      •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음운변동 적용 단어 재인 훈련방법 개발 및 효과검증

        김인숙,김수진 나사렛대학교출판사 2010 지성과 창조 Vol.- No.13

        본 연구는 읽기문제를 가진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다감각접근법 을 응용하여 개발한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리말 가운데 음운변동 규칙이 적용되어야 하는 단어 즉 자소-음소대응이 일치하지 않는 단어재 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다감각접근법 을 응용하여 개발한 중재기법이 언어발달지체를 가진 학령기 아동의 단 어재인 능력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훈련을 통해 습득된 대상아동들의 단어재인 능력이 훈련종료 후에도 유지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에 재학 중이며 단어재인에 문제가 있는 2명의 언어발달지체 아동들이 었고, 연구의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across subject design)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다감각접근법의 응용중재를 적용한 결과 두 아동 모두 단어재인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다감각접근법을 응용한 중재가 읽기문제를 가진 아동 들의 단어재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음운변동 단어들의 읽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감각환경(스노즐렌) 적용이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용준환,이지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감각환경의 효과성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감각환경의 적용이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 3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0분간 스노즐렌 적용을 하였으며 측정도구로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도구와 CANS 3000 도구의 심전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스노즐렌 적용 전과 후에 심전도 검사를 통하여 mean HRV, SDNN, 스트레스 저항도, 신체 각성도, 자율신경계 밸런스를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다. 결과 : mean HRV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SDNN, 스트레스 저항도, 신체 각성도, 자율신경계 밸런스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성별과 스트레스 점수에 따르는 자율신경계의 변화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스노즐렌의 적용이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스노즐렌이 정신건강예방 분야에서 이완 방법 및 스트레스 예방 관리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하며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tisensory environments(Snoezele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 32 college students received a session of Snoezelen for 30 minutes. participants were evaluated with the Campus Life Stress Scale in the pretest and ECG was evaluated in the pretest &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Independe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 The autonomic nervous system(Mean HRV, SDNN, stress endurance, physical arousal, balance of ANS) was chang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1) after Snoezelen progra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women and stress score on ANS. Conclusion : We realized that the use of snoezel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NS. Thus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e potential for future research into stress management.

      • KCI등재

        치매 노인을 위한 다감각환경(snoezelen)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유은영,이지연,황수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에게 다감각환경(스노젤렌) 프로그램이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의 감소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원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6명의 중등도-중증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 스노젤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평가도구는 신경정신행동검사(Neuropsychiatric Inventory)였고, 12가지 이상행동빈도와 이에 따른 보호자의 고통정도를 스노젤렌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비모수 통계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증상 빈도의 평균이 57점에서 37점으로 35% 감소하였고, 보호자의 고통정도는 평균이 29점에서 19점으로 29.6% 감소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감각환경을 이용한 프로그램이 중증 치매노인의 이상행동과 보호자 고통정도가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Snoezelen) environments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burden of care in persons with dementia. Methods : Six persons with moderate to severe dementia and significant problem behaviors, received 8 weeks of multisensory environments program.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was employ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and includ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 Participants's average problem behavior scores decreased from 57 in the pretest to 37 after multisensory environments program. Mean scores of burden of care decreased from 27 to 19. Conclusion : Multisensory environments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decrease problem behaviors and burden of care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