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광재,장길상,박창권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2022년 기준,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는 8만 4천 명을 넘어섰으며 2023년에는 고용허가 쿼터가 11만 명 규모로 확대되었다. 이들 외국인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곳은 중소 영세기업 중심의 제조업 현장과 건설업 현장, 농 · 어업 등 국내 근로자들이 기피하는 현장으로 저출산 · 고령화에 따른 산업현장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도 외국인 근로자 유입의 정상화와 관련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는 대부분 생산 현장에 근무함에 따라 우리나라 근로자에 비하여 조직에 대한 책임감, 직무 몰입 수준 향상의 기대치가 낮고 직장 내 신뢰관계 형성을 장려하는 것도 언어 소통의 장벽 및 문화적응 등의 사유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방안의 주요 요소인 조직 신뢰, 상사 신뢰, 직무 몰입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에서도 파악되어야 할 필요성이 적지 않다고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 수준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직무 몰입도의 매개 효과, 직속 상사의 신뢰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 고용 사업장의 근로환경 개선 및 안전보건 확보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고용된 대한민국 내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차 근로환경 조사결과 중 다양한 업종에서 종사하는 288명의 외국인 근로자 응답 설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직 신뢰, 조직몰입, 상사 신뢰, 근로환경 만족도 간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전반적인 근로환경 만족도 향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조직 신뢰 변수는 조직몰입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매개변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몰입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했으며, 조직몰입은 조직 신뢰와 근로환경 만족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의 직속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의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의 조직 신뢰의 역학관계와 이것이 직무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함의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사업주나 권한을 가진 책임자가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에서 조직 신뢰와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강구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안전문화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필수요소인 안전행동, 안전리더십 등이 노동 집약적이며 외국인 근로자를 다수 고용한 사업장에서도 발현될 것이며 이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이해의 확대와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김형주,이종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근로환경에 대한 인식, 실태, 요구 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제반환경, 정책대안 등을 중심으로 시사점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로서 청소년 근로환경에 관한 선행연구와 청소년 근로보호에 대한 정책 동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만 15세부터 24세까지의 500명 내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는데, 주요내용은 근로환경 보호를 위한 관련 법령에 대한 이해정도, 근로 경험과 관련한 인식 및 경험, 청소년 근로환경 관련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와 도움정도,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정책에 대한 요구 등에 대한 청소년들의 의견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책과제는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이란 비전 하에 총 5개 분야 10개 과제로서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노동시장 분야에서 공공부문에서의 고졸 청소년 일자리 제공, 청소년에 대한 취업정보서비스 체제 구축, 둘째, 청소년 고용사업장 근로감독 분야에서 근로청소년에 대한 부당임금지급에 대한 감독 강화, 청소년 전담 근로감독관 확대, 셋째, 근로청소년건강권 분야에서 근로청소년의 건강검진 의무화 시행, 근로청소년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 도입, 넷째, 노동인권 교육 분야에서 노동인권 교육수혜 청소년 확대, 고용주 및 교사 대상 노동인권 교육 강화, 다섯째, 노동인권 상담서비스 기반조성 분야에서 청소년근로보호센터의 허브 기능강화를 위한 지역거점 센터 확충, 부처 간 근로청소년 대상 연계·통합서비스체계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의 노동문제는 학교교육과 대학입시라는 교육문제에 밀려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과 지원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와 정책제언을 통해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of Korean youth and to suggest support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Korean youth with regard to their work environment, and presented implications and support measures based on overall surroundings and policy alternatives to better youth work environment. To begin with,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preceding works on youth work environment and policy trends in youth labor protection. This study surveyed around 500 people aged 15-24 years, which primarily explored Korean youth over: 1) their levels of understanding of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for work environment protection, 2)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lated to work, 3) their knowledge of government policies for youth work environment and the levels of assistance they receive, and 4) their needs for government policies to improve youth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en policy tasks in five areas under the vision of ’Youth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as follows: Youth labor market: Provide high school graduates with jobs in the public sector, and establish a job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youth Supervision of workplaces hiring youth: Strengthen supervision of paying unfair wages for youth workers, and increase the number of labor inspectors dedicated to youth Youth workers’ right to health: Implement mandatory medical check-up for youth workers, and introduce mental health care services for youth workers Education of labor rights: Increase the number of youth eligible for labor rights education, and reinforce labor rights education for employers and teachers Foundation for labor rights counseling services: Expand regional centers to strengthen the role of youth workers protection centers as a hub, and establish a linked and integrated system across ministries serving youth workers In Korea, the issue of youth labor has been pushed aside by school education a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reby receiving less attention and support. Authors hope that the findings and policy suggestions in this study can help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ake policie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for Korean youth.

      • KCI등재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이상과의 관련성

        김준호,장세진 한국보건사회학회 2012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1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job stress increases the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agnitude of job stres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and to examine its impact on employees' health outcomes. Data were from the ‘2006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A total of 6,793 waged employees who aged 20 years and over, and were working at least for one year. Job stress consists of seven domains, hazardous working environment(11 items), physical overload(5 items),work demand(5 items), lack of job control(5 items), job insecurity(1 item),insufficient reward(4 items) and emotional labor( 1 item). Seven domains of job stres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 using the tertile(low risk group,moderate group, and high risk group). Ill health (adverse health outcome) was categoriz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occupational injury during the past one yea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ill health. All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ver 18.0), a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As a result, 22.7-35.1% of total sample were the high risk group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 The proportion of the high risk group was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was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 health, and occupational injuries after adjustment for the demographcs,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ale employees, job stres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general ill health (OR: 1.51~2.54), physical ill health(OR: 1.56~2.57),psychological ill health(OR: 1.87~2.33), and occupational injuries(OR: 1.78~3.30). In female, job stres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general ill health(OR:1.56~2.79), physical ill health(OR: 1.40~3.14), psychological ill health(OR:1.47~2.79), and occupational injuries(OR: 2.46~6.39). This result suggests that job stress plays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ill health and occupational injuri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make an endeavor to reduc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den of employees. 이번 연구는 근로환경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를 세분화하여 근로자의 어떠한 건강이상과 관련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취업자 근로환경’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취업기간이 1년 이상인 전국의 만 20세 이상 임금 근로자 6,9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위해작업환경, 신체적 부담,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결여, 직업불안정, 보상부적절, 감정노동 등 7개 영역에 대하 조사하였고, 각 직무 스트레스 영역은 3분위수에 의거 저, 중, 고 3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건강이상 간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분석 결과, 근로환경에 따른 고위험 직무스트레스 노출 근로자는 위해작업환경 35.1%, 신체적 부담34.4%, 직무요구도 35.1%, 직무자율성결여 37.8%, 직업불안정 37.8%, 보상부적절 25.2%, 감정노동22.7%였다.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특성, 건강행태를 보정한 후 근로환경별 고위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이상과의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남성 근로자의 전반적인 건강은 1.51배~2.54배, 육체적 건강1.56배~2.57배, 정신적 건강 1.87배~2.33배, 손상 1.78배~3.30배 높았으며, 여성근로자의 전반적인 건강은 1.56베~2.79배 육체적 건강 1.40배~3.14배, 정신적 건강 1.47배~2.79배, 손상 2.46배~6.39배 높았다. 근로자가 어떠한 근로환경에 노출되어 있느냐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건강이상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무 중 주로 노출되는 근로환경에 따른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긴장감 완화와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과 개인-환경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최종락,임상혁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2 한국전문경영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2 No.05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이 불가피함에 따라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를 증대시키고 불법체류자는 감소시키는 것이 중소기업의 숙원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의 자발적인 직무 정체성 인식, 직무수행능력, 긍정적 자아 이미지 형성, 개인-환경 적합성(Person-Environmental Fit) 및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국내에서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외국인 근로자의 채용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건이다. 또한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보다 많은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가 취업 기간을 연장하여 중소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향상 및 인간관계 인식변화를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목적은 직무향 상 및 기업의 생산성 향상 보다, 한국 사회의 적응과 사업장 적응 및 귀국 후 취업이나 창업을 위한 지원, 불법체류자 예방을 위한 단기훈련에 치중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 요인 및 개발훈련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E-9)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요인과 잡 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훈련교사는 과업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 크래프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과정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등 모든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환경은 모든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잡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조직 적합성은 과업 크래프팅 및 인지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 크래프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동료 적합성은 관계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업 크래프팅 및 인지 크래프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개인-직무 적합성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등 모든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서는 훈련과 정이, 개인-환경 적합성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외국인 근로자가 단순한 반복적 업무수행을 탈피하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적합성 강화 및 잡 크래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활용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행 외국인 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방식이 개선되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잡 크래프팅을 통해 자신의 업무 영역 확장이나 의미 있는 변화에 따른 직무의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근로자의 불법체류 예방 및 안정된 고용으로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한 연구로서, 표본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는 한정적인 연구대상자를 보완하여 다양한 지역에서의 시계열 연구 등의 다면적 연구 및 취업 목적으로 입국한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Ⅰ

        안선영,황여정,이수정,이로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청소년기에 아르바이트를 경험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연령도 낮아지는 추세다. 이는 청소년이 일하는 환경을 건전하게 조성해야할 사회적 책임의 중요도가 높아진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사회의 청소년 근로보호 수준은 여전히 열악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근로환경에 대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청소년 아르바이트 관련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정책과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2개년 연구로 수행된다. 1차년도인 2014년 연구에서는 만 18세 미만 청소년, 2차년도에는 만 18세 이상 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2014년에 수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청소년 아르바이트 기본 실태 설문 조사와 5개 업종의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 아르바이트 관련 법률 내용을 정리하고 법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온 청소년 근로보호 관련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고, 지역단위의 청소년 근로환경 개선 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아르바이트 구직 환경 및 근로환경 개선, 근로권익 보호,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및 내실화, 청소년 근로권익보호제도 홍보내실화에 관한 정책을 제안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구직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인터넷 직업정보제공/직업소개 사이트에 대한 지도?점검 강화와 청소년 친화적 일자리 확대 및 정보제공 기능 개선?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청소년 아르바이트 근로환경 개선과 관련해서는 지역기관협의체 운영과 근로계약서 작성 문화 정착 및 서약서 작성 실태 점검, 휴식권 보호 방안을 제안했다. 청소년 근로권익 보호와 관련해서는 부당행위 신고제도 개선, 알바신고센터 운영 활성화, 임금체불 대응 제도 개선, 부당행위 사업주 처벌 강화를 제안했다.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해서는 청소년 대상 노동인권교육 활성화와 노동감수성 제고를 위한 교원연수 확대를 제안했다. 청소년 근로권익보호제도 홍보 내실화와 관련하여서는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활동 중심 홍보 방안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ercentage of Korean youth experiencing part-time employment is increasing and the average age that youth starting their first part-time job is dropping. This implies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society as a whole to create safe working environment for youth is becoming more important. Unfortunately, the level of legal protection for working youth is far less than desirable in our society and even the most basic laws are often violated. With the acute awareness of the ne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youth,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propose policy plans based on th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ir part-time working experiences and the current labor laws and policy for youth. This research is a 2-year project. The subjects of the first year research are minors under 18. In the second year, part-time employment issues of the youth aged 19 to 24 will be investigated. For the first year research, 2-types of surveys and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rasp the working conditions for minors. Also, laws relating to youth employment are summed-up and suggestions about relating legislative improvement are proposed. In addition, we review policies advocating youth labor rights and regional efforts to improve youths workplace experiences. Based on these results, numerous policy suggestions are made to help youth in the process of finding part-time job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for youth and to strengthen legal protection of working youth. Also, the need of more intensive education of labor rights education for youth, teachers and employers and efforts to improve the public awareness of youth’s labor rights are suggested.

      • KCI등재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Satisfaction on Workplace Environment

        Sang Gyoon Kim,Yongil Jeo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무환경 만족도, 업무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현황을 파악하고,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5차 한국근로환경조사에 응답한 만 15세 이상 취업자 총 50,20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직업에 따라 주관적으로 느끼는 근로환경 만족도, 업무 스트레스, 건강상태에는 상당한 개인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근로환경 만족도는 여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업무 스트레스는 남성이 높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여성이 남성보다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근로자의 근로환경만족도는 업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상태에 상당히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업무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 좀 더 세부적으로는 인격적 존중과 전신피로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직업별 근로자의 내·외부 특성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근로환경 만족도 개선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기업조직에서는 근로자 간의 인격적 존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하고,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We identified interactions between job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Korean worker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on work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data for a total of 50,205 employees aged 15 or older collected from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atterns of interaction among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depended on occupation and gender. Secondly,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Korean workers was heavily affected by the levels of job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coworkers, specifically personal disrespect and excessive fatigue, mainly affected their satisfaction on workplace environment. Therefore, the proper actions to enhance personal respects and reduce fatigue at workplace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and implemented, along with active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activities.

      • KCI등재

        근로시간 단축이 근로자의 생활과 근로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용관 ( Yong Kwan Lee ) 한국경제학회 2015 經濟學硏究 Vol.63 No.2

        본 논문에서는 법정근로시간 단축이 사업체 규모별로 다른 시점에 적용되어 실근 로시간이 ``외생적으로`` 감소하는 자연실험적 상황이 발생했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중차감 도구변수(DD-IV) 추정법으로 근로시간 단축이 근로자의 생활과 근로환경에 미치는 인과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개별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생활 및 근로환경 관련 지표들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한국근로환경조사(KWC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근로자의 일과 삶의 부합도와 근로환경 만족도 지표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식자율성 지표는 악화되며 흡연 및 음주여부, 작업속도 지표는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 estimate the causal effect of working hour reduction on the workers` lifestyle and working conditions. I exploit a natural experiment arising from the transition to the 40-hour workweek system in Korea. The 40-hour workweek system had gradually been adopted over the years at different times by establishment size.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 instrumental variable (DD-IV) estimation method a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data, I find that a reduction in working hours significantly improves the workers` work-life balance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 while it worsens rest-autonomy. I also find that smoking, drinking and working speed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 KCI등재

        근로 장애인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오지원(Ji Won Oh),여영훈(Yeong Hun Yeo)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장애유형에 따라 직무환경 영향력의 상이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직무환경은 물리적 및 제도적 직무환경으로 구분하였고, 장애유형은 장애인복지법의 장애유형 중분류를 바탕으로 근로역량 차이를 고려하여 신체외부장애, 감각장애, 정신적 장애, 신체내부장애로 분류하였다.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3차 조사의 근로장애인 1,395명을 대상으로, 전체 근로장애인 및 각 장애유형에 따라 각각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설명력 변화 및 근무환경 회귀계수의 유의미 차이를 비교 검증하였다. 첫째, 장애유형에 따라 물리적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제도적 근무환경의 경우 정신적 장애가 타 장애유형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근로장애인의 경우, 물리적 근무환경과 제도적 근무환경 모두 유의미하게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물리적 근무환경은 모든 장애유형에 유의미한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제도적 근무환경은 신체외부장애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만족에 있어 근무환경의 중요성과 함께, 각 장애유형에 따라 물질적. 제도적 근무환경의 영향력이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각 장애유형 특성을 보다 세밀히 반영한 직무환경조성과 지원제도 확충 및 장애인 고용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worker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the work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This study measured working environment by physic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the disability grouped into physical external disorder. sensory disorder. mental disorder. and internal disorder. Based on the 1.395 workers with disabilities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Wave 3. this study employed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stimate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working environment by the disability types with the comparison of R-squared changes and regression estimates. First. working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is dangerous. job satisfaction is normal. and institutional working environment has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disability. Second. in all types of disability.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f safe and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was found. Third. different types of work were shown by types of disabilities. and this form was related to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the influence of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which commonly affects by type of disability was the most powerful. and institutional working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for physical external disabilit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working disabled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ing disabled with the types of disabilities were confirm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ing disabled should be create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disabilities so that both the non-disabled and the disabled can work in a safe working environment.

      • KCI등재

        근로청소년의 행복결정요인 연구

        장윤정,김근식,권민숙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근로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실생활에서 방과 후 근로청소년들이 행복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적용하기 위함이다. 특히 방과 후에 근로활동을 한다는 특성 상 근로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아탄력성, 근로환경지지체계, 가정환경지지체계, 학교환경지지체계로 나누어 그 영향력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청소년의 행복감에 직접적이고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탄력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환경지지체계는 탄력성에 이어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셋째, 가정환경지지체계와 근로환경지지체계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 자아탄력성은 행복감을 느끼는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정서적으로 민감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올바르게 형성된 높은 자아탄력성을 통해 자신의 삶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청소년의 행복감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근로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간접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개발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influence a support system for after-school working adolescents has upon happiness of teenage workers. Examining the findings that were shown in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routes that a support system for the working adolescents leads to ego-resilience, the support system for working environment was indicated to have influence upon ego-resilience. Thus, the positive support in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known to be a factor that further increases ego-resilience in the working adolescents. Even a support system for family environment was shown to have influence upon ego-resilience. Especially, the family-environment support system was indicate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upon ego-resilience in the working adolescents among support systems. Hence, family environment can be known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growth of adolescent period. A support system for school environment could be known to have influence upon ego-resilience in the working adolescents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eachers. Considering that adolescents spend most of time at school,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 at a school can be known to have great effect on ego-resilience in th working adolescents. Finally, this study surveyed targeting the working adolescents who are attending a high school, However, a research is needed by expanding the subjects of after-school working adolescents in consideration of the points such as getting lower in age group of participating in the working activity in light of our country's conditions and as getting higher even in participation rate.

      • KCI등재

        근로환경에서의 위험노출 정도에 관한 연구

        이재성(Jaeseong Lee),안준기(Junki Ah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1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공단의 근로환경조사(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4차(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용형태별(비정규직 세분류; 기간제, 비기간제, 시간제, 파견, 용역, 특수형태, 가정 내, 일일)로 근로환경에서의 위험노출 정도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ordered logit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 확률(predicted probability)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대부분의 위험요소영역에서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비정규직 유형 가운데서도 비전형근로, 특히 용역, 일일(호출), 특수형태근로 종사자의 위험노출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각각의 위험요소별로 위험노출 확률에 대한 정도가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로환경 측면에서는 용역근로, 육체적 근로방식에 있어서는 일일(호출)근로, 정신적 근로방식에 있어서는 파견이나 기간제, 특수형태근로, 시간제 등의 고용형태에서 위험노출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는 비정규직이 정규직에 비해 일자리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일자리의 안전성도 취약함을 의미하고, 비정규직에 있어서 일자리에서의 안전 강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stimates the predicted probabilities of risk-exposure degree in working environment by employment type such as temporary workers, non-standard workers, non-regular workers, and atypical workers applying order logit analysis, using the 4th wave of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hich is conduct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in South Korea.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 first, non-stand workers are likely to be relatively more exposed to risk than standard in most risk factors. Second, among non-standard workers, the atypical workers are likely to be relatively more exposed to risk. Third, subcontracting workers are the most likely to be exposed to risk in case of working conditions, one days workers are the most likely to be exposed to risk in case of physical working methods, and dispatch workers and part time workers are the most likely to be exposed to risk in case of psychological working meth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n-standard workers are more vulnerable than standard workers in job safety as well as job security. Also, in the case of non-standard workers, it is required to intensify the safety in work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